KR20100002255U -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255U
KR20100002255U KR2020080011236U KR20080011236U KR20100002255U KR 20100002255 U KR20100002255 U KR 20100002255U KR 2020080011236 U KR2020080011236 U KR 2020080011236U KR 20080011236 U KR20080011236 U KR 20080011236U KR 20100002255 U KR20100002255 U KR 201000022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use
head
tube
powe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150Y1 (ko
Inventor
최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
Priority to KR2020080011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15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90)는, 수용 기능을 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본체(100) 내부로 인입된 케이블(C)에 연결되는 전극봉(200)으로 구성된 전원 플러그(90)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200)은 일측에 수나사부(210)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20)이 형성된 튜브(205)와, 상기 튜브(205) 내부에 수용되는 퓨즈(30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0)는 일측에 상기 수나사부(210)가 체결되며 케이블(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인, 체결구(110)가 삽입되어 구성됨으로써, 전원 단락 시, 일반인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상기 전극봉(200)을 교체함으로써, 전원 단락을 해결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원 플러그, 퓨즈

Description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Plug having function of fuse}
본 고안은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전원 플러그에 구성되는 전극봉 내부에 퓨즈가 내장되도록 하여 과부하 시, 자체 단락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원 플러그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통상적으로 전원 플러그는 콘센트에 삽입되어 전자 제품에 전기의 도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기 부품이다.
이러한 전원 플러그(9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수용 기능을 하는 본체(15)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5)의 일측으로는 도체인 전극봉(17)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5)에 케이블(C)이 관통되어 상기 전극봉(17)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극봉(17)을 통해서 케이블(C)로 전기의 도통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 플러그(10)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단락시키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주로 전자 제품의 본체 내부에 퓨즈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정격 전압이 초과할 경우, 상기 퓨즈가 단락되어 전자 제품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제품 내부의 단락된 퓨즈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자 제품의 본체를 분해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일반인은 퓨즈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숙련자가 아니고서는 퓨즈를 교체할 수 없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원 플러그의 전극봉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단락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전자 제품의 본체 내부에 퓨즈를 내장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일반인도 용이하게 전자 제품의 전원 단락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는 수용 기능을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본체 내부로 인입된 케이블에 연결되는 전극봉으로 구성된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은 일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튜브와, 상기 튜브 내부에 수용되는 퓨즈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일측에, 상기 수나사부가 체결되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인, 체결구가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 퓨즈는 전후방으로 관통구가 형성된 내열성 절연체인 헤드와, 상기 헤드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부착된 인입리드와, 상기 인입리드의 후방면에 접촉되고 후방에 플랜지가 형성된, 축 형상의 피스톤과, 상기 플랜지와 상기 헤드의 후방면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피스톤의 후방에 위치하는 저융체와, 상기 저융체와 피스톤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 링과 저융체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판과, 상기 헤드의 전방이 노출되도록, 헤드에서 저융체까지 수용하는 도체인 외피가 구성되고, 상기 외피의 후방면에 상기 튜브의 후방에 접촉되는 도출리드가 부착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과부하로 인한 발열 또는 접촉 불량으로 인한 발열 시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하고 또한 화재 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2차 발화를 저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극봉 내에 퓨즈가 수용되고, 상기 전극봉의 탈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원 단락 시, 일반인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상기 전극봉을 교체함으로써, 전원 단락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이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극봉이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에 구성되는 전극봉으로서 저융체가 응고된 상태에서 전원이 도통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에 구성되는 전극봉으로서 저융체가 용융되어 전원이 단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원 플러그(9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수용 기능을 하는 본체(100)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는 도체인 전극봉(200)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에 케이블(C)이 관통되어 상기 전극봉(20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극봉(200)을 통해서 케이블(C)로 전기의 도통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극봉(200)이 본체(100)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상기 전극봉(200) 내부에 퓨즈(300)가 내장됨으로써, 과전류가 흐를 때, 자체적으로 단락이 가능하고, 전극봉(200)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전극봉(200)은 일측에 수나사부(210)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20)이 형성되고 양측 종단부가 폐색되어 형성되고, 콘센트에 삽입되는 핀 형상의 튜브(205)와 상기 튜브(205) 내부에 수용되는 퓨즈(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튜브(205)의 수나사부(210)가 체결되도록 탭홀(115)이 형성되고, 케이블(C)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인, 체결구(110)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퓨즈(300)는 전후방으로 관통구(311)가 형성된 내열성 절연체인 헤드(310)가 위치하는데, 주로 세라믹으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310)의 관통구(311)에는 전기가 인입되는 도체인 인입리드(320)가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부착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리드(320)의 후방면(325)에는 후방에 플랜지(337)가 형성된 축 형상의 피스톤(330)이 접촉되어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330)의 플랜지(337)와 상기 헤드(310)의 후방면(313) 사이에는 압축스프링(S)이 개재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330)의 플랜지(337) 쪽 후방에는 저항열에 의해 액상으로 용융되는 저융체(340)가 위치하고 상기 저융체(340)와 피스톤(33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P)이 개재되어 피스톤(330)을 전방으로 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스프링(P)과 저융체(34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P)을 받치는 가압판(350)이 더 구성된다. 상기 가압판(350)은 저융체(340)의 형상이 불규칙할 경우, 용이하게 압박하도록 하기 위해서 구성된다.
상기 저융체(340)는 정격전압 이상의 과부하로 인해서 발생하는 저항열에 의해 쉽게 용융되어 액상으로 변환되는 재료이면 모두 가능한데, 일례로서 우드메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헤드(310)의 전방이 노출되도록, 헤드(310)에서 저융체까지 수용하는 도체인 외피(360)가 구성는데, 상기 피스톤(330)의 플랜지(337)에 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외피(360)의 후방면에는 상기 튜브(205)의 후방에 접촉되는 도출리드(370)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전극봉(200)의 구성에 의하면, 퓨즈(300)의 인입리드(320)는 상기 튜브(205)의 내측 전방에 밀착되고, 도출리드(370)는 상기 튜브(205)의 내측 후방에 밀착되어 전기이 도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극봉(200)의 튜브(205)는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이면 가능한데, 일실시예로서, 부도체인 연결관(240)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관(240)의 전방에는 도체인 전방캡(230)이 부착되고, 상기 연결관(240)의 후방에는 도체로서 상기 수나사부(210)가 형성된 후방캡(250)이 부착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 하고, 상기 연결관(240)이 부도체이므로, 전방캡(230)에서 후방캡(250)으로만 전류가 흐르고, 측방 즉, 연결관(240)을 통해 누전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콘센트에 삽입하게 되면, 전극봉(200)의 튜브(205)의 전방을 통해 인가된 전류가 상기 인입리드(320)와 피스톤(330) 그리고 외피(360), 도출리드(370)를 지나서 튜브(205)의 후방을 통해 체결구(110)를 지나서 케이블(C)로 흐르게 된다.
이때,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상기 퓨즈(300)에 저항열이 발생하게 되면, 저융체(340)는 액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상기 저융체(340) 전방에 있던 압축스프링(P)은 팽창하면서 후방으로 후진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330)은 전방에 개재된 압축스프링(S)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하게 되어, 인입리드(320)와 피스톤(330)은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전원의 단락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단락된 본 고안을 본체(100)의 체결구(110)로부터 이탈시키고 본 고안에 의한 새 전극봉(200)을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고 신속하게 다시 전원을 도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과부하로 인한 발열 또는 접촉 불량으로 인한 발열 시 전원을 신속하게 차단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하고 또한 화재 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2차 발화를 저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극봉(200) 내에 퓨즈(300)가 수용되고, 상기 전극봉(200)의 탈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전원 단락 시, 일반인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상기 전극봉(200)을 교체함으로써, 전원 단락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원 플러그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극봉이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에 구성되는 전극봉으로서 저융체가 응고된 상태에서 전원이 도통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에 구성되는 전극봉으로서 저융체가 용융되어 전원이 단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체결구
115: 탭홀 200: 전극봉
210: 수나사부 220: 수용공간
300: 퓨즈 310: 헤드
320: 인입리드 330: 피스톤
337: 플랜지 340: 저융체
360: 외피 370: 도출리드
S, P: 압축스프링

Claims (1)

  1. 수용 기능을 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본체(100) 내부로 인입된 케이블(C)에 연결되는 전극봉(200)으로 구성된 전원 플러그(90)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200)은 일측에 수나사부(210)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220)이 형성되고 양측 종단이 폐색된 튜브(205)와,
    상기 튜브(205) 내부에 수용되는 퓨즈(300)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0)는 일측에, 상기 수나사부(210)가 체결되며 케이블(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인, 체결구(110)가 삽입되어 구성되고,
    상기 퓨즈(300)는 전후방으로 관통구(311)가 형성된 내열성 절연체인 헤드(310)와,
    상기 헤드(310)의 관통구(311)에 삽입되어 부착된 인입리드(320)와,
    상기 인입리드(320)의 후방면(325)에 접촉되고 후방에 플랜지(337)가 형성된축 형상의 피스톤(330)과,
    상기 플랜지(337)와 상기 헤드(310)의 후방면(313)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S)과,
    상기 피스톤(330)의 후방에 위치하는 저융체(340)와,
    상기 저융체(340)와 피스톤(330)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P)과,
    상기 압축스프링(P)과 저융체(340)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판(350)과,
    상기 헤드(310)의 전방이 노출되도록, 헤드(310)에서 저융체(340)까지 수용하는 도체인 외피(360)와,
    상기 외피(360)의 후방면에 상기 튜브(205)의 후방에 접촉되는 도출리드(370)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337)는 상기 외피(360)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KR2020080011236U 2008-08-22 2008-08-22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KR200453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236U KR200453150Y1 (ko) 2008-08-22 2008-08-22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236U KR200453150Y1 (ko) 2008-08-22 2008-08-22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55U true KR20100002255U (ko) 2010-03-04
KR200453150Y1 KR200453150Y1 (ko) 2011-04-13

Family

ID=4419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236U KR200453150Y1 (ko) 2008-08-22 2008-08-22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1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6180A (zh) * 2012-12-28 2013-04-10 浙江超威创元实业有限公司 一种绝缘线夹
CN107706608A (zh) * 2017-09-18 2018-02-16 杭州航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三层绝缘体组件的防短路分离插头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423U (ko) * 1997-11-29 1999-06-25 전주범 파워코드 플러그의 퓨즈분리구조
KR100592867B1 (ko) 2003-07-28 2006-07-03 강대윤 다목적 전기플러그 및 플러그아답타
KR20080002409U (ko) * 2006-12-29 2008-07-03 쿠쿠전자주식회사 전원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6180A (zh) * 2012-12-28 2013-04-10 浙江超威创元实业有限公司 一种绝缘线夹
CN107706608A (zh) * 2017-09-18 2018-02-16 杭州航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三层绝缘体组件的防短路分离插头连接器
CN107706608B (zh) * 2017-09-18 2019-05-07 杭州航天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三层绝缘体组件的防短路分离插头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150Y1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1607C (en) Safety plug suitable for the connection to an electric current outlet
JP5984091B2 (ja) 電源コード
US20130200986A1 (en) Varistor fuse element
CN105103393A (zh) 用于过电压保护器的过载保护的布置
JP2013175389A (ja) 過電流遮断機能を有するコネクタ
KR200453150Y1 (ko)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US9490096B2 (en) Medium voltage controllable fuse
JP5552660B2 (ja) 分離器付spd
JP2011504282A (ja) 熱的過負荷保護を備えるサージアレスタ
CN106796832A (zh) 保护元件
KR200395601Y1 (ko)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CN208507617U (zh) 手动维护开关
KR102333913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폭발 방지 장치
CN204463965U (zh) 一种小型化耐高压温度电阻器
KR200395599Y1 (ko) 퓨즈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KR100980999B1 (ko) 차량용 시거라이터조립체
JP3111465U (ja) 安全防護装置を具えたプラグ
CN205406455U (zh) 一种带双绝缘子的热熔断体
CN214478019U (zh) 插头、电源控制器及电源连接器
JP3128342U (ja) 抗電撃絶縁断電ヒューズ
CN210350297U (zh) 带过电流保护电源插头
US20210050171A1 (en) Fuse
KR20230096331A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US1589161A (en) Thermal cut-out
CN205564697U (zh) 一种电力专用的定位警报熔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