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331A -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 Google Patents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331A
KR20230096331A KR1020210185711A KR20210185711A KR20230096331A KR 20230096331 A KR20230096331 A KR 20230096331A KR 1020210185711 A KR1020210185711 A KR 1020210185711A KR 20210185711 A KR20210185711 A KR 20210185711A KR 20230096331 A KR20230096331 A KR 20230096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use
rear end
coupling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돈
Original Assignee
진영전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전선(주) filed Critical 진영전선(주)
Priority to KR1020210185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6331A/ko
Publication of KR2023009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은 제1암나사부를 형성한 접속홀을 구비한 도체로 된 전방캡; 양단부에 제1수나사부와 제2수나사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제1암나사부에 상기 제1수나사부를 나사 결합하는 부도체로 된 퓨즈관; 후단부에 제3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퓨즈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전방캡의 상기 접속홀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도체로 된 제1접점; 선단부에는 제2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고, 내주면에는 결합홈부와 걸림턱을 각각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플러그몸체와 나사 결합하는 제5수나사부를 형성한 도체로 된 결합관; 선단부에는 제4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환상홈부를 형성하며, 후단부에는 방사형의 절개선을 가진 결합편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부에 상기 결합편이 끼워지게 결합하는 도체로 된 제2접점과; 가열되면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되어 상기 제2접점의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하는 압축부재; 상기 퓨즈관의 후단부와, 상기 제2접점의 선단부 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접점에 탄성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선단부에는 상기 제3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3수나사부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상기 제4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4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정격차단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 발생시 단락되는 퓨즈; 및 상기 결합관(40)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케 삽입 설치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점의 후단부에는 외광내협으로 된 삽입홈을 형성하고, 제2접점의 후단부에 밀착하는 스토퍼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돌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ELECTRODE FOR POWERPLUG OF CHARGING CABLE HAVING POWER-OFF FUNCTION}
본 발명은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전자제품은 외부전원(콘센트)에서 전원을 공급받거나 충전을 위하여 외부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원플러그가 있다.
전원플러그의 형상(플러그 타입)은 통상적으로 각 국가에서 일반 가정에 공급하는 사용전압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에는 전기의 생산과 공급을 전담했던 한국전력에서 100V로 전기를 공급하였기 때문에, 전극봉의 종단면이 납작한 직사각형으로 된 "B" 형 전원플러그를 사용하였으나, 점차 증가하는 전력사용량에 대응하기 위하여 1973년부터 전국 각 가정에 220V 승압 사업을 시작하여 2015년 현재는 전국 모든 가정에는 220V로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 제조, 판매되는 모든 전자제품은 220V로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전극봉의 종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된 "C" 형 전원플러그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자제품에 구비된 전원플러그를 외부전원에 접속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낙뢰(落雷)나 회로의 합선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과전류가 공급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모든 전자제품은 정격출력으로 동작하기 위한 전력전류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력전류 값을 초과하는 과전류가 갑자기 전자제품에 공급되면 전자제품의 주요 회로가 손상됨으로써 전자제품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갑작스런 과전류의 공급으로 인한 전자제품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전자제품에는 과전류 공급시 단락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퓨즈"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전자제품 내부에 설치되어 과전류로부터 전자제품을 보호하는 퓨즈가 전기적 문제점으로 인하여 단락되는 경우에 이 퓨즈를 교체해야 전자제품의 재사용할 수 있는데, 퓨즈의 위치가 복잡한 분해, 조립 구조를 가지는 전자제품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전문적인 전기적 지식 없이 전자제품을 사용하는 일반 소비자들이 직접 전자제품 내부에 설치된 퓨즈를 교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전기적 문제점으로 인해 단락된 전자제품 내부의 퓨즈를 교체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전기적 지식을 갖춘 전문 기술자나 해당 전자제품 제조 회사의 서비스센터에 비용을 지불하고 퓨즈를 교체해야 함으로써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과전류 등 전기적 문제점 발생시에 단락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퓨즈를 내부에 내장한 전원플러그가 개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퓨즈를 설치함으로써 과전류 등 전기적 문제 발생시에 퓨즈가 단락되어 전기적 문제로부터 전자제품을 보호하는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601호,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등록일: 2005년 09월 05일)을 들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는 플러그몸체에 분리, 결합하는 전원접지 봉과 그 전원접지봉에 부도체의 연결구가 구비되어 연결구 내부에 퓨즈가 설치된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코일형으로 구성되어 선단캡과 후단캡의 전원접속접점판에 연결되고 접점판은 후단캡내에서 전, 후진 되게 하되 접점판은 전진방향으로 탄성 지지가 되어 후단캡의 접속단턱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통전이 되고 연결구 내의 퓨즈 발열에 의한 내부기압팽창압력에 의해 접점판이 후진되어 접속단턱에 분리되는 구성으로 전원이 차단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는 과전류가 발생하면, 퓨즈가 단락되면서 과전류가 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자제품을 보호할 수는 있으나, 정격차단전류 범위 내에서 전자제품 내부의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 변동으로 인해 전원플러그가 과열되는 경우에 전원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전원플러그에서의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 시설의 충전케이블의 경우 과전류에 의해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소에 대형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601호,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등록일 : 2005년 09월 05일)
본 발명은 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은 정격차단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 발생시 단락되는 퓨즈를 내장하여 플러그몸체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하는 전원차단수단을 가지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있어서, 제1암나사부를 형성한 접속홀을 구비한 도체로 된 전방캡; 양단부에 제1수나사부와 제2수나사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제1암나사부에 상기 제1수나사부를 나사 결합하는 부도체로 된 퓨즈관; 후단부에 제3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퓨즈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전방캡의 상기 접속홀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도체로 된 제1접점; 선단부에는 제2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고, 내주면에는 결합홈부와 걸림턱을 각각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플러그몸체와 나사 결합하는 제5수나사부를 형성한 도체로 된 결합관; 선단부에는 제4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환상홈부를 형성하며, 후단부에는 방사형의 절개선을 가진 결합편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부에 상기 결합편이 끼워지게 결합하는 도체로 된 제2접점과; 가열되면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되어 상기 제2접점의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하는 압축부재; 상기 퓨즈관의 후단부와, 상기 제2접점의 선단부 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접점에 탄성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선단부에는 상기 제3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3수나사부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상기 제4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4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정격차단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 발생시 단락되는 퓨즈; 및 상기 결합관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케 삽입 설치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점의 후단부에는 외광내협으로 된 삽입홈을 형성하고, 제2접점의 후단부에 밀착하는 스토퍼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돌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은 쇼트와 같이 정격차단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급격하게 인가되는 경우에 내부에 설치된 퓨즈가 단락됨으로써 과전류로부터 전자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정격차단전류 범위 내에서 전자제품 내부에서 발생한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 변동으로 플러그에 과열이 발생하는 경우에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압축부재의 작용에 의해 플러그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이 분리되어 퓨즈의 단락 없이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을 방지함과 동시에 퓨즈 교체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따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과전류에 의해 퓨즈가 단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이상 전류에 의한 과열에 의해 접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플러그몸체와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따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과전류에 의해 퓨즈가 단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이상 전류에 의한 과열에 의해 접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플러그몸체와의 조립 방법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은 도체로 된 전방캡(10)과; 상기 전방캡(10)의 후단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하는 부도체로 된 퓨즈관(20)과; 상기 퓨즈관(20)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전방캡(10)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도체로 된 제1접점(30)과; 상기 퓨즈관(20)의 후단부에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하고, 플러그몸체(B)와 나사 결합하는 도체로 된 결합관(40)과; 상기 결합관(40) 내부에 설치하는 제2접점(50)과; 상기 제2접점(50)의 결합홈부(402)에 결합하는 압축부재(60)와; 상기 퓨즈관(20)과 제2접점(50) 사이에 설치하는 코일스프링(70)과; 상기 제1접점(30)과 제2접점(50) 간에 설치하는 퓨즈(80)와; 상기 결합관(40) 내부에서 설치하는 스토퍼(90)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캡(10)은 전기 저항이 매우 낮아 전기를 잘 전달하는 구리나 알루미늄 등 금속재로 된 도체로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접속홀(101)을 형성하여 그 접속홀(101)의 입구에 퓨즈관(20)과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1암나사부(102)를 형성한다.
상기 퓨즈관(20)은 전기 저항이 매우 커서 전기를 잘 전달하지 못하는 플라스틱과 같은 부도체로 형성하고, 선단부에는 제1수나사부(201)를 형성하여 상기 전방캡(10)의 제1암나사부(102)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 제1접점(30)은 상기 전방캡(10)과 같이 도체로 형성하고, 상기 퓨즈관(20)에 형성된 중공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봉체로 형성하여 상기 퓨즈관(20) 내부에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전방캡(10)의 접속홀(101) 내주면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접점(30)의 선단부는 상기 전방캡(10)의 접속홀(101)과 긴밀한 접촉을 통해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서로 접촉하는 접속홀(101)의 내측단부와 제1접점(30)의 선단부는 반구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접점(30)의 후단부에는 퓨즈(80)의 일단부를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제3암나사부(301)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관(40)은 상기 전방캡(10)과 같이 도체로 형성하고, 선단부에는 제2암나사부(401)를 형성하여 상기 퓨즈관(20)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2수나사부(202)에 나사 결합한다.
또한, 결합관(40) 내주면에는 상기 제2접점(5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환상의 결합홈부(402)를 형성하고, 결합관(40)의 후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스토퍼(90)의 이탈을 방지하는 환상의 걸림턱(403)을 형성한다.
또한, 결합관(40)의 외주면에는 플러그몸체(B) 내부에 설치된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제5수나사부(404)를 형성한다.
상기 제2접점(50)은 상기 제1접점(30)과 같이 도체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관(40) 내부에서 유연하게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관(40)의 내주면과 적절한 유격을 가지는 원통체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2접점(50)의 선단부에는 퓨즈(80)의 타단부를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제4암나사부(501)를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환상홈부(502)를 형성하여 상기 압축부재(60)를 결합하며, 후단부에는 방사형의 절개선(504)을 가진 결합편(50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편(503)이 상기 결합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부(402)에 끼워지게 결합한다.
상기 압축부재(60)는 상기 제2접점(50)의 환상홈부(502)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일부분이 분리된 고리형으로 형성하되, 가열되면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함으로써 정격차단전류 범위 내에서 전자제품 내부의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 변동으로 인해 전원플러그에 과열되는 경우에 내경이 축소되면서 제2접점(50)의 환상홈부(502)를 압축하여 상기 결합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부(402)에 끼워진 제2접점(50)의 결합편(503)을 결합홈부(402)에서 강제 분리한다.
상기 코일스프링(70)은 퓨즈관(20)의 후단부와, 상기 제2접점(50)의 선단부 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접점(50)에 탄성을 가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압축부재(60)가 가열되면서 내경이 축소되어 제2접점(50)의 결합편(503)을 결합홈부(402)에서 강제 분리하는 경우에 제2접점(50)을 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제2접점(50)과 퓨즈(80)로 연결된 제1접점(30)을 전방캡(10)의 접속홀(101)에서 분리시켜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상기 퓨즈(80)는 상기 제1접점(30)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3암나사부(301)에 나사 결합하는 제3수나사부(801)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상기 제2접점(50)의 선단부에 형성된 제4암나사부(501)에 나사 결합하는 제4수나사부(802)를 형성하여 제1접점(30)과 제2접점(50) 사이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함으로써 외부전원이 전방캡(10)을 통해 인가되는 경우에 제1접점(30)과 제2접점(50)을 결합관(40)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고, 정격차단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용융 단락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과전류로부터 전자 제품을 보호한다.
상기 퓨즈(80)의 제1점점 및 제2접점(50) 간의 결합은 견고한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 방식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퓨즈(80)와 제1점점 및 제2접점(50) 견고한 분해 조립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결합수단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스토퍼(90)는 상기 결합관(40)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관(4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하되, 스토퍼(90)의 외경은 결합관(40) 내부에서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관(40)의 후단부에 형성된 환상의 걸림턱(403)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관(40) 내부에서 후퇴한 제2접점(50)을 결합관(40) 내부로 용이하게 밀어넣을 수 있도록 상기 제2접점(50)의 후단부에는 외광내협으로 된 삽입홈(505)을 형성하고, 제2접점(50)의 후단부에 밀착하는 스토퍼(90)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홈(50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돌부(90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원 차단수단을 가지는 전원플러그용 전극봉의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은 도 5와 같이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충전 케이블의 일단에 연결된 플러그몸체(B)의 전면에 나사 결합한다.
그리하여 충전케이블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을 콘센트에 꽂으면, 도 2와 같이 도체로 된 전방캡(10)과 제1접점(30), 퓨즈(80), 제2접점(50), 결합관(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충전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위와 같이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낙뢰, 회로의 합선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정격차단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도 3과 같이 퓨즈(80)가 단락되면서 외부전원이 배터리 또는 전자제품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 및 전자제품을 과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과전류로 인하여 퓨즈(80)가 단락되는 경우에,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분리한 후, 결합관(40)에 나사결합된 퓨즈관(20)을 풀어서 제1접점(30)과 퓨즈(80)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제1접점(30)과 제2접점(50) 간에 나사 결합된 퓨즈(80)를 교체한 후, 다시 결합관(40)에 퓨즈관(20)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퓨즈(80)의 교체가 완료되기 때문에 전문적인 전기적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도 퓨즈(80) 교체를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외부전원으로부터 배터리 및 전자 제품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정격차단전류범위 내에서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 변동으로 인하여 플러그몸체(B)가 가열되는 경우에 그 열은 결합관(40)을 통해 결합관(40) 내부에 설치된 제2접점(50)의 환상홈부(502)에 결합된 압축부재(60)로 전달된다.
상기 압축부재(60)는 가열되면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몸체(B)가 가열되는 경우에 내경이 축소되면서 제2접점(50)의 환상홈부(502)를 압축함으로써 환상홈부(502)와 이어지게 형성된 결합편(503)의 외경이 절개선(504)에 의해 축소되면서 결합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상의 결합홈부(402)에 이탈한다.
이때, 상기 퓨즈관(20)과 제2접점(50) 사이에는 코일스프링(70)이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접점(50)의 결합편(503)이 결합관(40)의 결합홈부(402)에서 이탈하면, 압축된 코일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제2접점(50)이 결합관(40)의 후단부로 후퇴하게 되는데, 제2접점(50)의 선단부에는 퓨즈(80)의 후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그 퓨즈(80)의 선단부에는 제1접점(3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2접점(50)의 후퇴로 인하여 제1접점(30)이 전방캡(10)의 접속홀(101)에서 분리되어 부도체로 된 퓨즈관(20) 내부로 완전히 투입됨으로써 전방캡(10)과 제1접점(30) 간의 이격으로 인해 외부전원이 배터리 또는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정격차단전류 범위 내에서 접촉저항 이나 잦은 전류 변동으로 인하여 가열된 플러그몸체(B)의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그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플러그몸체(B)가 가열되면서 제1점점이 전방캡(10)과 분리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 전자 제품에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가열된 플러그 몸체가 충분히 식은 후, 결합관(40)을 플러그몸체(B)에서 분리하여 코일스프링(70)에 의해 후퇴한 제2접점(50)에 의해 결합관(40)의 걸림턱(403)에 걸려있는 스토퍼(90)를 결합관(40) 선단부 쪽으로 강제로 밀어넣으면, 코일스프링(70)이 압축되면서 제2접점(50)이 결합관(40)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다가 제2접점(50)의 결합편(503)이 결합관(40)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부(402)에 다시 끼워짐으로써 제1접점(30)은 다시 전방캡(10)의 접속홀(101) 내부에 삽입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은 쇼트와 같이 정격차단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급격하게 인가되는 경우에 내부에 설치된 퓨즈가 단락됨으로써 과전류로부터 전자제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정격차단전류 범위 내에서 전자제품 내부에서 발생한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 변동으로 플러그에 과열이 발생하는 경우에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압축부재의 작용에 의해 플러그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이 분리되어 퓨즈의 단락 없이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화재 발생 위험을 방지함과 동시에 퓨즈 교체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A...플러그 B...플러그몸체
C...전극봉 10...전방캡
101...접속홀 102...제1암나사부
20...퓨즈관 201...제1수나사부
202...제2수나사부 30...제1접점
301...제3암나사부 40...결합관
401...제2암나사부 402...결합홈부
403...걸림턱 404...제5수나사부
50...제2접점 501...제4암나사부
502...환상홈부 503...결합편
504...절개선 505...삽입홈
60...압축부재 70...코일스프링
701...와셔 80...퓨즈
801...제3수나사부 802...제4수나사부
90...스토퍼 901...돌부

Claims (1)

  1. 정격차단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 발생시 단락되는 퓨즈를 내장하여 플러그몸체에 분해 조립 가능케 설치하는 전원차단수단을 가지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에 있어서,
    제1암나사부를 형성한 접속홀을 구비한 도체로 된 전방캡;
    양단부에 제1수나사부와 제2수나사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제1암나사부에 상기 제1수나사부를 나사 결합하는 부도체로 된 퓨즈관;
    후단부에 제3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퓨즈관 내부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전방캡의 상기 접속홀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도체로 된 제1접점;
    선단부에는 제2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제2수나사부와 나사 결합하고, 내주면에는 결합홈부와 걸림턱을 각각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상기 플러그몸체와 나사 결합하는 제5수나사부를 형성한 도체로 된 결합관;
    선단부에는 제4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외주연에는 환상홈부를 형성하며, 후단부에는 방사형의 절개선을 가진 결합편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홈부에 상기 결합편이 끼워지게 결합하는 도체로 된 제2접점과;
    가열되면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되어 상기 제2접점의 상기 결합홈부에 결합하는 압축부재;
    상기 퓨즈관의 후단부와, 상기 제2접점의 선단부 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접점에 탄성을 가하는 코일스프링;
    선단부에는 상기 제3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3수나사부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상기 제4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4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정격차단전류를 초과하는 과전류 발생시 단락되는 퓨즈; 및
    상기 결합관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케 삽입 설치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점의 후단부에는 외광내협으로 된 삽입홈을 형성하고, 제2접점의 후단부에 밀착하는 스토퍼의 전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돌부를 더 포함하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KR1020210185711A 2021-12-23 2021-12-23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KR20230096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711A KR20230096331A (ko) 2021-12-23 2021-12-23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711A KR20230096331A (ko) 2021-12-23 2021-12-23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331A true KR20230096331A (ko) 2023-06-30

Family

ID=8695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711A KR20230096331A (ko) 2021-12-23 2021-12-23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633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601Y1 (ko) 2005-06-24 2005-09-13 최광열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601Y1 (ko) 2005-06-24 2005-09-13 최광열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43102B (zh) 同轴熔断器保持组件
US8328569B2 (en) Adapter for coupling a deadbreak bushing to a deadbreak arrestor elbow
KR101756547B1 (ko) 전기 코넥터 메카니즘용 접지 링크
US7658657B1 (en) Single-pol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teel retaining spring
JPH05500027A (ja) プラズマアークトーチのための空気―電気式急速脱着コネクタ
CN101582551A (zh) 电连接用连接器
US7588469B2 (en) Safely separating electrical connecting system
US6773304B2 (en) Tamper resistant pin connection
KR20180006131A (ko) 다단형 퓨즈
KR20230096331A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KR102310271B1 (ko) 내장된 잠금 기능이 있는 전기 접속 장치
KR200395601Y1 (ko)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EP4091863A1 (en) Charging base with replaceable terminal element for electric vehicle
CN203631902U (zh) 电连接器、低压电路控制装置及高压互锁电连接器组件
KR20200039969A (ko) 전선 퓨즈
KR20160114988A (ko) 전원 차단수단을 가지는 전원플러그용 전극봉
KR101413432B1 (ko) 라운드 터미널 조립체
CN108711696B (zh) 一种端子及连接器
CN104600507B (zh) 用于牺牲性附件的接地杆
CN205985375U (zh) 一种适用范围广的接线端子及开关插座
KR200453150Y1 (ko)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CN220122224U (zh) 具有熔断功能的连接器
CN219801321U (zh) 连接器防护装置、连接器及车辆
CN215008125U (zh) 一种熔断器组件、连接组件、连接器件、配电设备及车辆
CN113571942B (zh) 连接器用母端子、公端子及母端子的制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