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601Y1 -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601Y1
KR200395601Y1 KR20-2005-0018268U KR20050018268U KR200395601Y1 KR 200395601 Y1 KR200395601 Y1 KR 200395601Y1 KR 20050018268 U KR20050018268 U KR 20050018268U KR 200395601 Y1 KR200395601 Y1 KR 200395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act plate
fuse
end cap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열
Original Assignee
최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열 filed Critical 최광열
Priority to KR20-2005-0018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차단 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종 전자제품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플러그의 전원접지봉에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를 내장하여 전자제품을 보호하되 정격차단전류범위내에서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변동으로 열이발생하는등 이상전류시에는 퓨즈의 용융단락전에 전원접지봉에 구비된 접점판이 밀폐된 공간내의 퓨즈발열에 의한 내부기압팽창압력에 의해 접점판이 분리되어 신속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는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즉, 플러그몸체에 분리,결합되는 전원접지봉과 그 전원접지봉에 부도체의 연결구가 구비되어 연결구내부에 퓨즈가 설치된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코일형으로 구성되어 선단캡과 후단캡의 전원접속접점판에 연결되고 접점판은 후단캡내에서 전,후진되게 하되 접점판은 전진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후단캡의 접속단턱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통전이 되고 연결구내의 퓨즈발열에 의한 내부기압팽창압력에 의해 접점판이 후진되어 접속단턱에 분리되는 구성으로 전원이 차단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이다.

Description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Electric power plug with power off}
본 고안은 전원차단 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종 전자제품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플러그의 전원접지봉에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를 내장하여 전자제품을 보호하되 정격차단전류범위내에서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변동으로 열이발생하는등 이상전류시에는 퓨즈의 용융단락전에 전원접지봉에 구비된 접점판이 밀폐된 공간내의 퓨즈발열에 의한 내부기압팽창압력에 의해 접점판이 분리되어 신속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는 전원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종 전자제품에 제품의 안전을 위하여 퓨즈를 내장함으로서 제품에 갑작스런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퓨즈가 단락되어 각종 전자제품을 안전하게 보호할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퓨즈가 제품내에 설치됨으로서 단락된 퓨즈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자제품을 일일이 분해해야 되는 불편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퓨즈가 구비된 전원플러그(실용신안등록제166003호)가 개발되어 전원플러그의 전원접지봉에 과전류를 차단할수 있는 퓨즈가 내장된 구성으로 전자제품을 과전류로부터 보호할수 있게 되었고 단락된 퓨즈의 교체도 용이하였었다.
즉, 상기의 전원접지봉에 구비된 퓨즈는 여러변동조건을 감안하여 정격차단전류가 설정된 것을 사용하여 과전류차단기능을 수행하게 되지만, 정격차단전류 범위내에서 전자제품내부의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변동으로 열이발생하는 등 이상전류시에는 전원차단이 되지 못하여 민감하고 정밀한 전자회로 등의 보호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플러그의 전원접지봉에 부도체의 연결구를 구비하여 연결구내부에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를 설치하되 연결구에 결속되는 후단캡 내부에 탄성지지된 접점판을 구비하여 정격차단전류범위내에서 이상전류발생시에는 밀폐된 공간내의 퓨즈발열에 의한 내부기압팽창압력에 의해 접점판이 분리되어 전원이 차단되게 한 구성에 의해 전자회로를 보호할수 있고 후단캡 후단에서 접점판을 강제접속시킬수 있는 구성으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플러그몸체에 분리,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 전원접지봉과, 상기 전원접지봉내에 과전류를 차단하는 퓨즈가 설치되고 상기 퓨즈가 설치되는 연결구에 결속되는 후단캡내부에 전원접속접점판이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된 구성으로 연결구내의 기압팽창압력에 의해 접점판이 분리되면서 전원차단이 되고 후단캡 후단에 접점판 작동레버를 구비하여 접점판을 강제접속하여 통전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몸체(10)와 전원접지봉(20)(20')을 구비하는 전원플러그에서 플러그몸체(10)의 결속구(14)에 외측을 향하도록 나선홀(14a)을 형성하여 원통형의 전원접지봉(20)을 결합하고 후단에는 전선(30)이 결속된 전선접속단자(32)를 연결하며, 결속구(14)에 결합되는 전원접지봉(20)은 퓨즈(28)가 내장된 부도체연결구(26)의 선,후단에 전도체로된 선,후단캡(22)(24)으로 결속되고 후단캡(24)은 결속구(14)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선부(24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의 퓨즈(28)는 코일형으로 구성하여 연결구(26)내에서 선단캡(22)과 후단캡(24)의 전원접속접점판(40)에 연결하고 상기 접점판(40)은 후단캡(24)내부에서 가이드봉(44)을 따라 전,후진되게하되 접점판(40)이 스프링(43)으로 탄성지지되어 전진상태로 접속단턱(42)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통전이되고 연결구(26)내의 열팽창압력으로 접점판(40)은 접속단턱(42)과 분리되어 스톱퍼(46)에 의해 후진상태가 유지되는 구성으로 전원차단이 되며 접점판(40)분리방향의 후단캡(24)측벽에 팽창되는 공기압을 배출시키는 압출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46)를 작동레버(45)선단에 형성하고 부도체로된 작동레버(45)는 축핀(45a)으로 연결설치되어 축핀(45a)전방의 스톱퍼(46)가 작동홈(47)내에 스프링(47a)으로 내향탄성지지되게하고 작동레버(45)후단은 후단캡(24)의 작동구멍(48)에 관통된 구성으로 작동레버(45)의 후단에서 스톱퍼(46)의 스톱상태를 해제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점판(40)의 후단에 부도체로된 연결판(40a)이 부착되고 외주연은 후단캡(24)내벽과 간극이 형성되게 한 구성으로 접점판(40)이 접속단턱(42)과 분리되어 있을때 통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러그를 구성하는 플러그몸체(10)의 결속구(14)에 나선홀(14a)이 형성되어 있는 퓨즈(28)가 내장된 전원접지봉(20)의 후단캡(24)에는 상기 결속구(14)에 나사결합되는 나선부(24a)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을 나사결합하면 통상의 전원플러그가 구성되므로 이러한 플러그몸체(10)를 콘센트에 접속시키면 콘센트의 전원이 플러그몸체를 통하여 전자제품에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전자제품에서 정격차단전류이상의 비상적인 과전류가 인가되면 전원접지봉(20)의 퓨즈(28)가 용융단락되어 전원을 차단하는 수단으로 전자제품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퓨즈(28)가 단락되지 않는 정력차단전류범위내에서 전자제품내부의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변동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등 이상전류시에는 퓨즈(28)부분은 용융단락에 앞서 밀폐된 공간내의 퓨즈발열에 의해 순식간에 열팽창하게 되는바 이때 발생되는 연결구(26)내의 내부기압팽창압력에 의해 퓨즈(28)후단에 연결되고 스프링(43)으로 탄성지지된 접점판(40)을 후진시켜 후단캡(24)의 접속단턱(42)에서 접점판(40)이 분리되는 작용으로 전원차단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분리되는 접점판(40)은 스톱퍼(46)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내부의 팽창되는 공기압은 후단캡(24)의 압출구멍(41)을 통해 외부배출이 된다.
즉,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쇼트발생과 같이 정격차단전류이상의 급속한 과전류발생시에는 퓨즈(28)가 단락되어 전원차단이 되고 정격차단전류범위내에서 이상전류발생시에는 퓨즈(28)의 용융단락에 앞서 접점판(40)이 분리되어 전원차단이 이루어지므로 민감하고 정밀한 전자부품회로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신속한 전원차단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고장발생원인을 해결한 다음에 다시 통전상태로 만들때에는 플러그몸체(10)에 결합되는 전원접지봉(20)을 분리한 다음 전원접지봉(20)의 후단캡(24)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구멍(48)에 관통된 상태의 작동레버(45)후단부에서 스톱퍼(46)해제방향으로 작동레버(45)를 당김작용함으로서 후진상태의 접점판(40)이 스프링(43)의 탄성작용에 의해 전진하여 후단캡(24)의 접속단턱(42)에 접속되게 한 수단으로 통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는 플러그몸체에 분리결합되는 전원접지봉에 전자제품에서 쇼트와 같이 정격차단전류이상의 과전류가 급격하게 인가되는 경우에 퓨즈가 용융단락수단으로 전원차단을 하되 정격차단전류범위내에서 전자제품내의 접촉저항이나 잦은 전류변동으로 열이 발생하는등 이상전류시에는 퓨즈용융단락에 앞서 밀폐된 공간내의 퓨즈발열에 의한 내부기압팽창압력에 의해 접점판이 분리되어 신속한 전원차단을 할수 있게 되는 등 2단계 전원차단수단으로 전자제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수 있고 잦은 퓨즈교체의 번거로움도 줄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전원플러그의 일부절개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접지봉의 구성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접지봉의 접점판 분리상태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접점판이 접속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접점판이 분리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작동레버에 의해 스톱퍼 해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스톱퍼를 2개로 구비시킨 일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러그몸체 14 : 결속구
14a : 나선홀 20,20': 전원접지봉
22 : 선단캡 24 : 후단캡
24a : 나선부 26 : 연결구
28 : 퓨즈 30 : 전선
32 : 전선접속단자 40 : 접점판
40a : 연결판 41 : 압출구멍
42 : 접속단턱 43 : 스프링
44 : 가이드봉 45 : 작동레버
45a : 축핀 46 : 스톱퍼
47 : 작동홈 47a : 스프링
48 : 작동구멍

Claims (3)

  1. 플러그몸체에 분리,결합되는 전원접지봉과 그 전원접지봉에 부도체의 연결구가 구비되어 연결구내부에 퓨즈가 설치된 전원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코일형으로 구성되어 선단캡과 후단캡의 전원접속접점판에 연결되고 접점판은 후단캡내에서 전,후진되게 하되 접점판은 전진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후단캡의 접속단턱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통전이 되고 연결구내의 퓨즈발열에 의한 내부기압팽창압력에 의해 접점판이 후진되어 접속단턱에 분리되는 구성으로 전원이 차단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캡의 측벽에 내부기압팽창공기압을 배출시키는 압출구멍이 형성되고 후단캡내부에 접점판의 후진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톱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작동레버선단에 형성되고 작동레버가 축핀으로 연결설치되어 축핀전방의 스톱퍼가 작동홈내의 스프링으로 내향탄성지지되고 작동레버 후단은 작동구멍에 관통된 구성으로 작동레버의 후단에서 스톱퍼의 스톱상태를 해제할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KR20-2005-0018268U 2005-06-24 2005-06-24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KR200395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68U KR200395601Y1 (ko) 2005-06-24 2005-06-24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68U KR200395601Y1 (ko) 2005-06-24 2005-06-24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601Y1 true KR200395601Y1 (ko) 2005-09-13

Family

ID=4369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68U KR200395601Y1 (ko) 2005-06-24 2005-06-24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6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053B1 (ko) * 2013-10-31 2015-08-27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KR20160114988A (ko) 2015-03-25 2016-10-06 최광열 전원 차단수단을 가지는 전원플러그용 전극봉
KR101846718B1 (ko) 2016-10-04 2018-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과전류 보호장치
KR20230096331A (ko) 2021-12-23 2023-06-30 진영전선(주)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053B1 (ko) * 2013-10-31 2015-08-27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KR20160114988A (ko) 2015-03-25 2016-10-06 최광열 전원 차단수단을 가지는 전원플러그용 전극봉
KR101846718B1 (ko) 2016-10-04 2018-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과전류 보호장치
KR20230096331A (ko) 2021-12-23 2023-06-30 진영전선(주)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981B1 (ko) 커넥터 시스템 및 집적 보호 회로를 갖는 조립체
CN105337169B (zh) 一种组合式电涌保护装置
US7742273B1 (en) Self-protected, intelligent, power control module
WO2011085563A1 (zh) 具有热保护功能的电涌抑制器
JP2021503160A (ja) 火工式切換装置
WO2019042134A1 (zh) 断路器
US20170110226A1 (en) Surge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urge arrester and one short-circuit switching device which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urge arrester, can be thermally tripped and is spring-pretensioned
CN106026067A (zh) 一种防弧型快速分断的电涌保护装置
KR200395601Y1 (ko) 전원차단수단이 구비된 전원플러그
CN106716591B (zh) 一种用于被保护装置的熔断器
WO2015149585A1 (zh) 具有浪涌防护功能的光控器
US20090027155A1 (en) Fuse
JP2003258615A (ja) 電気組立体、電気システム、ソリッドステート継電器、及びソリッドステート形a継電器
CN103109340B (zh) 机电超温保护元件
JP2010211928A (ja) 遮断板付spd
CN205622224U (zh) 一种防弧型快速分断的电涌保护装置
CN214674303U (zh) 一种新型机电一体化电机用保护装置
JPH10326646A (ja) 遮断機能付き電源プラグ
KR200453150Y1 (ko) 단락이 가능한 전원 플러그
CN115769328A (zh) 一种烟火断流器
JP6124323B1 (ja) 分離機能付き避雷器
JP3111465U (ja) 安全防護装置を具えたプラグ
KR200395599Y1 (ko) 퓨즈가 구비된 전원플러그
KR20230096331A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충전 케이블의 플러그용 전극봉
KR101310691B1 (ko) 변전소의 변전용 특고압 변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