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2200U -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 Google Patents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2200U
KR20100002200U KR2020080011151U KR20080011151U KR20100002200U KR 20100002200 U KR20100002200 U KR 20100002200U KR 2020080011151 U KR2020080011151 U KR 2020080011151U KR 20080011151 U KR20080011151 U KR 20080011151U KR 20100002200 U KR20100002200 U KR 201000022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djustment
fixed
rotat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국원
Original Assignee
윤국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국원 filed Critical 윤국원
Priority to KR2020080011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2200U/ko
Publication of KR20100002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2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서 의자에 안착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올바른 자세로 안착시킬 수 있는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에 관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가이드 판을 갖는 고정프레임과; 한 쌍의 "ㄱ"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판과 맞닫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으로 고정함으로서 사용자가 경사각을 조절할 때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경사각을 이루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과 회동프레임에 관통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이 경사각을 이룰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회동프레임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회전부를 가짐으로서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회동프레임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경사 조절부분을 구비함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경사 조절부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경사 조절부분, 고정프레임, 회동프레임, 조절나사

Description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Chair of Seat able to Adjusting it's angle}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경사 조절부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되었던 의자로서 좌판의 높이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과 등받이의 각도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의료용 의자나 이,미용 의자 등에서 여러 종류 찾아볼 수 있었고 이들은 그 대부분이 기계적인 작동에 의한 것과 유압식 또는 압축 공기가 충진된 실린더를 상하작동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였었다.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가장 올바른 자세는 관악기의 경우 서서 연주할 때 폐활량이 좋으며 앉은 상태는 좌판과 등받이의 각도가 약 96~97도가 가장 바람직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함으로서 자세교정하는 데에도 바람직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출원번호 10-1997-0061642에는 의자 좌판의 경사도 조절 장치가 게시된 바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종래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좌판의 높낮이를 수평상태에서 상, 하로 조절하게 된 의자에 있어서, 좌판(100)이 부착되는 지지 프레임(210,220,230)을 다리에 결합할 때 그 결합부를 핸들(120)의 조작에 의해 조정 또는 회동 가능한 힌지 형태로 체결하고, 상기 좌판(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등받이(110)를 좌판(100)의 후방에 일체로 결합하여 그 결합부에 등받이(110)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핸들(120)을 설치함에 따라,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좌판(100)의 높낮이를 맞춘 상태에서 좌판(100)의 경사도와 등받이(110)의 기립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착석하게 되어 사용자의 자세불량을 교정하게 됨과 아울러 허리에 가해지는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종래의 의자는 단순히 좌판의 높이와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좌판에 착석한 상태에서 좌판의 높이가 높거나 낮을 경우,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학생들의 학교 수업이나 직장인들의 사무작업등을 수행할 때 등이 앞쪽으로 기울어지거나 뒤로 젖혀지게 되며, 이 자세가 장시간 유지되면 의자 좌판과 허벅지의 압박량이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등과 허벅지간의 압박으로 인해 혈액순환에 장애를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인한 사용자의 무릎과 상체간의 각도 감소는 척추 후만을 유발시켜 척추관련 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연주자용 의자는 일반 의자에 연주자의 허벅지방향으로 경사진 삼각형상의 깔판을 깔고 앉아 연주를 하였는데 이는 깔판의 딱딱한 안착감에 의해 안정감이 떨어지고 자세의 불안정함 때문에 장시간 앉아 있으면 피로감이 쉽게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원가와 고장율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힘이 발생되는 핸들과 좌판의 끝단부간의 거리가 멀어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의 회전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경사 조절부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사조절부의 전방이 하방으로 기울여짐으로서 자세가 교정되는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브라켓과 조절나사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조절브라켓에 조절나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함으로서 조절나사를 회동시킬 때 고정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된 회동프레임이 용이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경사 조절부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경사조절부의 전방이 하방으로 기울여짐으로서 자세가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고정브라켓과 조절나사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조절브라켓에 조절나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함으로서 조절나사를 회동시킬 때 고정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된 회동프레임이 용이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스프링이 삽입된 소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사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안착하는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1000)에 있어서, 의자(1000)의 좌판(1001) 경사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 조절부분(A)과 의자(1000)의 좌판(1001)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부분(B)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좌판시트 조절의자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 되고 양측에 가이드 판(112)을 갖는 고정프레임(11)과 한 쌍의 한 쌍의 "ㄱ"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프레임(1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판(112)과 맞닫게되는 가이드 판(122)이 형성되고 고정프레임(11)과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으로 고정함으로서 경사각 조절에 따라 회전축(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경사를 이루는 회동프레임(12)과 고정프레임(11)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그 끝단에 고정되며 자체 회전에 에 따라 회동프레임(12)의 경사가 상하로 조절되는 조절수단을 포함함으로서, 의자(1000)에 앉아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허리를 받치면서 꽂꽂한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프레임(11)은 바람직하게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의자(1000)를 형성하는 좌판(1001)의 하부와 회동프레임(12)의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고정프레임(11)의 양측에 가이드 판(112)이 형성되어 회동프레임(12)과 맞닫아 회동프레임(12)의 기울여지는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장방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관통공(1111)을 갖음으로서 조절나사(13)가 제 1관통공(1111)을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브라켓과(111)을 포함한다.
조절브라켓(111)은 고정프레임(11)의 하부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장방향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절브라켓(11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 1관통공(1111)이 구비된다. 나사산으로 형성된 조절브라켓(111)의 제 1관통공(1111)을 통해 조절나사(13)가 나사결합하여 회전함으로서 회전방향에 따라 좌판(1001)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정프레임(11)의 하부에 고정 되어 좌판(1001)의 경사각의 조절에 따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회동프레임(12)에 경사각을 조절할 때 조절나사(13)의 나사부(131)가 조절브라켓(111)의 제 1관통공(1111)과 맞물려 회전하고, 조절나사(13)의 회전부(132)가 고정브라켓(121)의 제 2관통공(1211)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조절나사(13)을 회전시키면 조절나사(13)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고정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1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함으로서 회동프레임(12)의 경사각을 조절 가능한 특징이 있다.
회동프레임(12)은 바람직하게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며 고정프레임(1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판(112)의 외측면에 각각 맞닫아 형성된다. 아울러, 회동프레임(12)의 양측면에 가이드 판(122)을 구비하여 회동프레임(12)이 일정각도 경사각을 이룰 때 한 쌍의 회동프레임(12)의 회전경로를 서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한 쌍으로 구성되는 회동프레임(12)의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이 원뿔형으로 형성고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조절브라켓(111)에서 관통된 조절나사가 관통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 2관통공(1211)을 갖는 고정브라켓(121)을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21)은 회동프레임(12)의 사이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장방향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은 그 끝으로 갈 수 록 좁어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관통공(1111)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고정브라켓(121)의 일측과 타측의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 2관통공(1211)가 구비된다. 아울러, 조절나사(13)가 고정프레임(11)의 관통공(113)을 통해 관통되어 제 2관통공(1211)에 고정 되고 조절나사(13)를 회전시킬 때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프레임(12)이 상하로 움직임으로서 좌판(1001)의 경사가 조절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12)은 고정프레임(11)의 가이드 판(112)과 회동프레임(12)의 가이드 판(122) 일측에 회전축(3)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회동프레임(12)의 경사각을 조절할 때 고정프레임(11)의 가이드 판(112)과 회동프레임(12)의 가이드 판(122) 일측에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된 회전축(3)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11)의 가이드 판(112)과 회동프레임(12)의 가이드 판(122) 타측이 서로 벌어지면서 회동프레임(12)에 경사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조절나사(13)는 바람직하게는 그 외주면의 하측 소정 부분까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31)와 나사부(131)의 상측에 민무늬로 형성된 회전부(132)가 구비며 조절나사(13)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조절나사(13)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33)가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부(132)는 제 2관통공(1211)에 고정부재(1321)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나사부(131)는 제 1관통공(1111)의 암나사산과 맞물려 나사결합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부재(1321)는 제 2관통공(1211)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공지된 기술을 이용함도 가능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동프레임(12)의 경사각을 조절할 때, 조절나사(13)의 하부에 구비되는 손잡이(133)를 회전시키면 손잡이(1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관통 공(1111)과 조절나사(13)의 나사부(131)에 의한 나사결합에 의해 조절나사(13)가 상하로 이동된다. 조절나사가 상하로 이동되면 제 2결합부와 고정된 조절나사의 회전부가 회동하면서 회동프레임이 경사각을 이루게 된다.
그러므로, 회동프레임(12)의 좌판(1001)이 전면으로 기울여짐으로서 사무작업등을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나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들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기울여짐으로서 각각 사용환경에 맞는 작업 및 연주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높낮이 조절부분(B)은 의자(10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이는 공지된 기술과 유사한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진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단면도, 도 5 은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안착할 수 있는 좌판(1001)의 하부에 경사 조절부분(A)과 높낮이 조절부분(B)이 형성된다.
경사 조절부분(A)에도 고정 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12)과 조절나사(13)가 포함되며, 고정프레임(11)은 바람직하게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프레임(11)의 양측에는 고정프레임(11)의 가이드 판(112)이 형성된다. 고정프레임(11)의 가이드 판(112)은 회동프레임(12)의 가이드 판(122)과 밀착되어 형성되며, 회동프레임(12)이 상하로 회동할 때 회동프레임(12)의 회동경로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 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회동프레임(12)은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프레임(11)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1)의 가이드 판(112)과 회동프레임(12)의 가이드판(122)이 각각 밀착되어 형성되며 고정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12)의 고정은 고정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12)의 각각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회전축(3)으로 결합함으로서 회동프레임(12)의 타측이 회동가능하도록 벌어지게 고정된다.
이어서, 고정프레임(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조절브라켓(111)의 제 1관통공(1111)과 조절나사(13)의 나사부(131)가 나사결합되고, 고정프레임(11)의 소정위치와 제 1관통공(1111)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고정프레임(11)의 관통공(113)을 관통하여 회동프레임(12)의 사이에 구비된 고정브라켓(121)과 고정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높낮이 조절부분(B)은 고정프레임(11)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높낮이 조절부분(B)의 실린더(21) 상면이 고정프레임(11)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고정프레임(11)의 가이드 판(112)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프레임(11)의 장공부(123)를 통해 높낮이 조절부분(B)의 레버(23)의 일측이 고정프레임(11)의 내부로 관통되어 들어오게 되고 레버(23)의 일측이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실린더(21)와 맞닫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레버(23)를 당기면 면서 의자(10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1000)의 작동관계는 사용자가 의자(1000)의 경사각을 조절할 때 조절나사(13)의 나사부(131)가 조절브라켓(111)과 나사결합되고 고정 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12)의 일측에 회동가능하 도록 고정됨으로서 고정브라켓(121)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조절나사(13)를 회전시키면 조절나사(13)의 나사부(131)와 조절브라켓(111)에 의해 상하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조절나사(13)의 회전부(132)와 고정브라켓이(121)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하이동하는 조절나사(13)의 이동방향에 따라 고정브라켓(121)도 상하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정브라켓(121)이 고정된 회동프레임(12)이 고정 프레임(11)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됨으로서 고정 프레임(11)과 회동프레임(1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경사 조절부분(A)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경사 조절부분(A)의 전방이 하방으로 기울여짐으로서 자세가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고정 브라켓(121)과 조절나사(13)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되고, 조절 브라켓(111)에 조절나사(13)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함으로서 조절나사(13)를 회동시킬 때 고정 브라켓(121)과 일체로 형성된 회동프레임(12)이 용이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의자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단면도.
도 5 은 본 고안에 따른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의 사용상태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
1000 : 의자 1001 : 좌판
1 : 경사 조절부분
11 : 고정프레임
111 : 조절브라켓 112 : 고정프레임의 가이드판
113 : 관통공 114 : 고정프레임의 장공부
12 : 회동프레임
121 : 고정브라켓 122 : 회동프레임의 가이드판
123 : 회동프레임의 장공부
13 : 조절나사
131 : 나사부 132 : 회전부
133 : 손잡이

Claims (3)

  1. 의자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가이드 판을 갖는 고정프레임과;
    한 쌍의 "ㄱ"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판과 맞닫게되는 가이드 판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으로 고정함으로서 경사각 조절에 따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경사를 이루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그 끝 단에 고정되며 자체 회전에 에 따라 상기 회동프레임의 경사가 상하로 조절되는 조절수단을 포함함으로서,
    상기 의자에 앉아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허리를 받치면서 꽂꽂한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장방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관통공을 갖음으로서 상기 조절나사가 상기 제 1관통공을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브라켓과;
    한 쌍으로 구성되는 상기 회동프레임의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 성되며 일측과 타측이 원뿔형으로 형성고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조절브라켓에서 관통된 상기 조절나사가 관통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 2관통공을 갖는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회동프레임에 경사각을 조절할 때 상기 조절나사의 나사부가 상기 조절브라켓의 제 1관통공과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부가 상기 고정브라켓의 제 2관통공과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조절나사을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과 회동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함으로서 상기 회동프레임의 경사각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KR2020080011151U 2008-08-21 2008-08-21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KR201000022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151U KR20100002200U (ko) 2008-08-21 2008-08-21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151U KR20100002200U (ko) 2008-08-21 2008-08-21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00U true KR20100002200U (ko) 2010-03-04

Family

ID=4419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151U KR20100002200U (ko) 2008-08-21 2008-08-21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22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56B1 (ko) 2014-09-22 2016-01-27 정대훈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56B1 (ko) 2014-09-22 2016-01-27 정대훈 의자의 좌판 각도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3167B2 (ja) 椅子(改良型)
US11464342B2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and ergonomic chair
JP2013501544A (ja) 人間工学に基づいた姿勢を矯正するための勉強バックレスト
JP3153124U (ja) 二つの背もたれ付き乗物
JP3169561U (ja) 椅子調整装置
KR20200046600A (ko) 무브 체어
KR100886181B1 (ko) 장애인용 의자
KR101473879B1 (ko) 각도 조절되는 좌판이 구비된 의자
KR20100002200U (ko) 좌판시트 경사각 조절의자
KR200430620Y1 (ko)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 구조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20090095700A (ko) 전동식 흔들의자
KR101131508B1 (ko) 스트레칭 의자
KR200494583Y1 (ko) 등받이 의자
KR101196317B1 (ko) 거꾸로 매달리기 운동기구
KR20100079718A (ko) 높이조절 가능한 탈착식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0377417Y1 (ko) 허리 젖힘 운동 겸용 의자
TWM592777U (zh) 電動倒立機
KR20150108091A (ko) 책상과 의자로 상호 전환 가능한 기구
JP3095764U (ja) デッキチェア
KR102330397B1 (ko) 등받이 의자
JP5877880B2 (ja) 椅子
TWI769620B (zh) 可調式軀體支撐裝置
TWM320333U (en) Adjustable typed rock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