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873U -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 - Google Patents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873U
KR20100001873U KR2020090002930U KR20090002930U KR20100001873U KR 20100001873 U KR20100001873 U KR 20100001873U KR 2020090002930 U KR2020090002930 U KR 2020090002930U KR 20090002930 U KR20090002930 U KR 20090002930U KR 20100001873 U KR20100001873 U KR 201000018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ed
scaffold
cylin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9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원
Original Assignee
(주)맥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맥디자인 filed Critical (주)맥디자인
Priority to KR20200900029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873U/ko
Publication of KR20100001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8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Abstract

본 고안은 개개인의 신체적 조건이나 건강상태 그리고 원하는 운동량에 맞게 중량부하를 조절하면서 다리근육과 무릎관절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는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두께가 하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전면부의 중간부분에 S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기둥부(10)와; 기둥부(10)의 중간부분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삽입된 실린더 샤프트(30)와; 기둥부(10)의 하단부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삽입된 발판 샤프트(40)와; 발판 샤프트(50)의 양 축에 각각 삽입 및 축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50a,50b)와; 한 쌍의 베어링(50a,50b)이 발판 샤프트(40)를 축으로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51a,51b)의 전면부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발판 지지대(60a,60b)와; 실린더 샤프트(40)의 양축과 발판 지지대(60a,60b)에 고정되어, 미리 설정된 부하 하중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70a,70b)와; 한 쌍의 발판 지지대(60a,60b)의 상부표면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발판(80a,80b)과; 사용자가 두 손으로 지지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기둥부(10)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지지대(90a,90b)로 구성된다.
공중걷기, 유압실린더, 조절 노브, 발판

Description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Walking Machine}
본 고안은 실외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 근육과 무릎관절을 효과적으로 단련하기에 적당한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비만 예방 또는 성인병 예방차원과, 방송 매체를 통한 몸짱 열풍으로 인해 남녀노소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양한 운동을 즐겨하고 있다. 이러한 운동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겠지만 최근 많은 사람들이 헬스클럽에 등록하여 운동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헬스 클럽에서 운동하는 이유는 운동기구가 다양하며, 자신의 신체 조건과 운동량에 따라 근육 운동의 중량부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헬스 클럽은 계절과 날씨 그리고 시간에 관계없이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헬스 클럽에서 하는 운동은 크게 유산소운동과 기구운동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다시 운동 목적에 따라 상체 근육운동, 하체 근육운동, 복부 근육운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하체 근육운동을 위한 대표적인 운동기구로서, 워킹 머신(Walking Machine), 레그익스텐션컬(Leg Extentioncal) 등이 있다. 이러한 상체 근육 운동기구들은 중량추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을 부가하여 운동한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실내 운동기구들은 실내 헬스 클럽에서 신체 건강한 남녀 성인들이 운동하기에 적당하도록 만들어졌다. 따라서, 운동기구의 전체 구성이 다소 복잡하여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사용자가 직접 중량추를 바꾸어가면서 운동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인 어르신들은 그 사용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급격하게 일고 있는 웰빙(well-being) 붐과 함께 사회전반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어린이,노인 어르신들, 일반 성인들의 레저 활동뿐만 아니라 각종 실내,외 운동에 대한 전반적인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헬스 클럽에 다니기 힘든 저소득층 주민들도 운동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 전반적인 욕구에 부응하여, 대도시뿐만 아니라 중소도시에도 야외공원에 주민 복지차원에서 다양한 운동시설들의 설치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 운동기구를 야외에 그대로 설치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따른다. 따라서, 종래의 실내 운동기구를 야외에 설치할 경우, 어린이나 노인 어르신들도 지도자나 관리자가 없는 상태에서 운동할 경우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운동기구에 녹이 스는 등 운동 기구의 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야외에 설치되는 실외 운동기구는 그 구성이 비교적 단조롭고, 운동기구의 관리가 비교적 용이한 평행봉, 철봉, 허리돌리기, 윗몸 일으키기 등의 운동기구가 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실내 운동기구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며, 운동기구의 관리도 비교적 용이한 실외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설치되고 있다.
현재까지 야외공원에 설치되는 실외 운동기구는 역기 올리기, 역기 내리기, 달리기운동, 파도타기, 허리돌리기, 노젖기운동, 공중걷기, 오금펴기, 윗몸 일을키기, 어께 유연성운동, 상체 근육풀기, 하체 근육풀기, 평행봉, 등허리 지압기, 철봉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실외 운동기구는 사용상의 안정성 확보 및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무게추를 구비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조건 이나 건강상태 및 원하는 운동량에 따라 중량부하를 조정할 수 없었다. 즉, 남녀노소, 어린이, 노인 어르신 등의 사용자의 운동 조건을 불문하고 모두 동일한 중량부하가 걸린 실외 운동시설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을 살려 운동 효과를 극대화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외 운동기구에는 많은 베어링이 필요로 하는데, 운동기구의 전체 구성을 종래보다 단순화하면서도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면 전체 설치비용도 줄일 수 있으며, 운동시설의 관리 또한 매우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 으로, 개개인의 신체적 조건이나 건강상태 그리고 원하는 운동량에 맞게 중량부하를 조절하면서 다리 근육과 무릎관절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는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동기구에 연결된 실린더 로드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낼 때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부하 하중을 각각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운동기구에 사용되는 베어링의 수량을 최소화하여 전체적인 외형을 콤팩트하게 제작하고, 이에 따른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는, 전면부의 소정 높이에 형성된 절곡부를 기준으로 상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폭이 하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소정 형상의 기둥부(10)와; 기둥부(10)의 중간부분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삽입된 실린더 샤프트(30)와; 기둥부(10)의 하단부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삽입된 발판 샤프트(40)와; 발판 샤프트(50)의 양 축에 각각 삽입 및 축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50a,50b)와; 한 쌍의 베어링(50a,50b)이 발판 샤프트(40)를 축으로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51a,51b)의 전면부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발판 지지대(60a,60b)와; 실린더 샤프트(40)의 양축과 발판 지지대(60a,60b)의 상부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실린더 하측용 브라켓(61a,61b)에 삽입 및 고정되어, 미리 설정된 부하 하중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70a,70b)와; 한 쌍의 발판 지지대 (60a,60b)의 상부표면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발판(80a,80b)과; 사용자가 두 손으로 지지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기둥부(10)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지지대(90a,90b)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 지지대를 잡고, 두 발은 한 쌍의 발판(80a,80b)에 각각 올려놓은 준비자세에서, 사용자가 한 발을 하측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발판(80a 또는 80b)을 밀어내어 자세를 유지하는 동작과, 사용자가 힘 준 발에 힘을 풀어주면서 원래의 준비자세로 돌아가는 동작을 다른 발과 엇갈리게 소정 횟수 반복하여 실행할 때, 유압 실린더(70a 또는 70b)가 미리 설정된 부하 하중을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각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는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적 조건이나 건강상태 그리고 원하는 운동량에 맞추어 중량부하를 조절하면서 다리 근육과 무릎관절을 효과적으로 단련한다.
또한, 운동기구에 연결된 실린더 로드를 잡아당기거나 밀어낼 때, 유압 실린더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부하 하중을 각각 제공할 수 있어 운동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는 종래의 실외 운동기구에 비교하여 베어링의 구비를 최소화하여 그 전체 구성이 콤팩트하므로 제작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시설의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남녀노소, 성인, 노약자 등 사용자의 운동조건에 맞게 실외 운동을 실행할 수 있어 다양한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실외 운동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보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서 시트를 제외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보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서 시트를 제외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는, 상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두께가 하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전면부의 중간부분에 S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기둥부(10)와; 기둥부(10)의 상부 표면에 고정되며, 양 측면에 개구부를 갖는 고정 플랜지(20)와; 기둥부(10)의 중간부분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삽입된 실린더 샤프트(30)와; 기둥부(10)의 하단부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삽입된 발판 샤프트(40)와; 발판 샤프트(50)의 양 축에 각각 삽입 및 축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50a,50b)와; 한 쌍의 베어링(50a,50b)이 발판 샤프트(40)를 축으로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51a,51b)의 전면부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일자형의 발판 지지대(60a,60b)와; 실린더 샤프트(40)의 양축과 발판 지지대(60a,60b)의 상부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실린더 하측용 브라켓(61a,61b)에 각각 삽입 및 고정되어, 미리 설정된 부하 하중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 (70a,70b)와; 한 쌍의 일자형의 발판 지지대(60a,60b)의 상부표면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발판(80a,80b)과; 일 측 끝단은 고정 플랜지(20)의 개구부에 각각 삽입되며, 사용자가 두 손으로 지지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타 측 끝단이 기둥부(10)의 중간부분의 양 측면에 다른 고정 플랜지(23)에 의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지지대(90a,90b)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둥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0)의 밑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기둥부(10)를 지지하는 받침대(11)와; 기둥부(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바(12)와; 지지바(12)에 고정되는 내부 보강용 브라켓(13)과; 상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폭이 하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되도록 전면부의 소정 높이에 절곡부가 형성된 전면 커버(14)로 구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샤프트(30)가 기둥부(10)의 중간부분의 양측면을 관통하며, 기둥부(10)의 양측면을 관통한 실린더 샤프트(30)의 양 축에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70a,70b)의 상단부의 고정홀이 각각 삽입된 후, 볼트 등의 고정소자를 이용하여 한 쌍의 유압 실린더(70a,70b)가 빠지지 않도록 각각 고정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샤프트(40)가 기둥부(10)의 하단부의 양측면을 관통하며, 기둥부(10)의 양측면을 관통한 발판 샤프트(40)의 양축에는 한 쌍의 베어링(50a,50b)이 각각 삽입 및 축고정된다. 이때,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51a,51b)이 한 쌍의 베어링(50a,50b)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면번호 53a, 53b는 한 쌍의 베어링(50a,50b)이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51a,51b)에서 이탈되지 않게하는 베어링 마개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일자형의 발판 지지대(60a,60b)가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51a,51b)의 전면부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을 올릴 수 있는 한 쌍의 발판(80a,80b)이 한 쌍의 일자형의 발판 지지대(60a,60b)의 상부표면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손잡이 지지대(90a,90b)의 일 측 끝단이 고정 플랜지(20)의 개구부에 각각 삽입되며, 사용자가 두 손으로 지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도록 고정 플랜지(20)의 개구부에서 공중걷기 기구의 전면부의 하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후, 공중걷기 기구의 후면부로 연장 방향을 바꾸어 한 쌍의 손잡이 지지대(90a,90b)의 타 측 끝단이 기둥부(10)의 중간부분의 양 측면에 다른 고정 플랜지(23)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80a,80b) 위에 올라선 상태에서 하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베어링(50a,50b)에 삽입된 발판 샤프트(40)를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하 회동운동을 실행한다. 즉, 사용자가 하나의 발판에 올린 다리에 힘을 하측 방향으로 가하면 발판 지지대가 발판 샤프트(40)를 축으로 하여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고, 사용자가 다리에 힘을 빼면 원래의 준비 자세로 되돌아 온다.
이때, 한 쌍의 유압 실린더(70a,70b)가 실린더 샤프트(40)의 양축과 발판 지지대(60a,60b)의 상부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실린더 하측용 브라켓(61a,61b)에 삽 입 및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발판에 올라와 다리에 힘을 가할 때나 다리에 힘을 뺄 때 미리 설정된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부하 하중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70)는 비압축성 유체로 채워지는 이중 쳄버와, 쳄버 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부하 하중에 의해 왕복운동을 실행하는 피스톤과, 비압축성 유체를 일방향으로 순환되도록 안내하는 유도관과, 이중 쳄버중 하나의 쳄버에 구비되어 피스톤 로드의 체적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공기 튜브를 구비한 실린더 몸체부(71)과; 실린더 몸체부(71)의 일측 밑면을 기밀 상태를 유지하면서 관통하여 피스톤의 일측과 조립되어 외부로 연장 돌출된 피스톤 로드(72)와; 피스톤 로드(72)의 끝단에 고정되어 조립되는 제1 로그 앤드 베어링(73)과; 실린더 몸체부(71)의 상부 표면에 구비되어, 실린더 몸체부(71) 내에 채워지는 비압축성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피스톤 로드(72)의 부하 하중을 다단계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 노브(74)와; 피스톤 로드(72)가 관통된 실린더 몸체부(71)의 타측 끝단에 고정되어 조립되는 제2 로드 앤드 베어링(75)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또한 조절 노브(74)가 한번에 11kg 씩 조절되도록 부하 하중이 설정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의 사용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두 발을 발판(60a,60b)에 올려놓고, 두 손을 손잡이 지지대(90a,90b)를 잡은 준비동작을 실행한다.
이어, 사용자는 손잡이 지지대(90a,90b)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허리를 가급적 펴주면서 한 쪽 발에만 힘을 하측 방향으로 가하여 발판(60a 또는 60b)과 발판 지지대(60a 또는 60b)를 하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때, 발판 지지대(60a 또는 60b)에 연결되어 고정된 베어링 하우징(51a 또는 51b)의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50a 또는 50b)이 발판 샤프트(40)를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하측 방향으로 회동운동을 실행한다.
또한, 발판 지지대(60a 또는 60b)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운동을 할 때, 유압 실린더(70a 또는 70b)가 실린더 샤프트(40)의 양축과 발판 지지대(60a,60b)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어 미리 설정된 순방향의 부하 하중을 제공한다.
이어, 사용자가 하측 방향으로 힘을 가한 발에 힘을 천천히 빼면서 원래의 준비 자세로 되돌아 올 때, 반대로 다른 발에 힘을 하측 방향으로 가하여 발판(60b 또는 60a)과 발판 지지대(60b 또는 60a)를 하측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위에서 설명한 공중걷기 운동동작을 실행한다.
여기서, 유압 실린더(70b,70a)는 사용자가 하측 방향으로 힘을 가한 발에 힘을 천천히 빼면서 원래의 준비 자세로 되돌아 올 때에도 미리 설정된 역방향의 부하 하중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상에서 설명한 공중걷기 기구를 이용하여 다리근육과 무릎관절을 효과적으로 단련 운동을 자신의 신체조건이나 건강상태 및 원하는 운동강 도에 따라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의 사용전 또는 사용 도중에 언제든지 간편하게 다단계의 부하 하중을 선택하여 조절하기 위해서, 유압 실린더(70)의 조절 노브(74)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운동 조건에 따라 적당한 부하 하중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남녀노소를 구분하지 않고도 본 고안에 따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를 이용하여 개개인의 신체적 조건이나 건강상태 그리고 원하는 운동량에 맞추어 중량부하를 조절하면서 다리근육과 무릎관절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어, 남녀노소, 성인, 노약자 등 다양한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실외 운동기구가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보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서 시트를 제외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보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서 시트를 제외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보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서 기둥부의 배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에 구비된 유압 실린더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둥부 11 ; 받침대
12 ; 수직 프레임 13 ; 내부 보강용 브라켓
14 ; 전면 커버 20 ; 고정 플랜지
30 ; 실린더 샤프트 40 ; 발판 샤프트
50a,50b ; 베어링 51a,51b ; 베어링 하우징
60a,60b ; 베어링 하우징 61a,61b ; 실린더 하측용 브라켓
70 ; 유압 실린더 71 ; 실린더 몸체부
72 ; 피스톤 로드 73,75 ; 로드 앤드 베어링
74 ; 조절 노브 80a,80b ; 발판
90a,90b ; 손잡이 지지대

Claims (2)

  1. 상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두께가 하부의 전면부와 후면부간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전면부의 중간부분에 S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된 소정 형상의 기둥부(10)와;
    상기 기둥부(10)의 중간부분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삽입된 실린더 샤프트(30)와;
    상기 기둥부(10)의 하단부의 양측면을 관통하면서 삽입된 발판 샤프트(40)와;
    상기 발판 샤프트(50)의 양 축에 각각 삽입 및 축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50a,50b)와;
    상기 한 쌍의 베어링(50a,50b)이 상기 발판 샤프트(40)를 축으로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한 쌍의 베어링 하우징(51a,51b)의 전면부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발판 지지대(60a,60b)와;
    상기 실린더 샤프트(40)의 양축과 상기 발판 지지대(60a,60b)의 상부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실린더 하측용 브라켓(61a,61b)에 삽입 및 고정되어, 미리 설정된 부하 하중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70a,70b)와;
    상기 한 쌍의 발판 지지대(60a,60b)의 상부표면에 각각 고정된 한 쌍의 발판(80a,80b)과;
    사용자가 두 손으로 지지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기둥부(10)에 각각 고 정되는 한 쌍의 손잡이 지지대(90a,90b)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 지지대를 잡고, 두 발은 상기 한 쌍의 발판(80a,80b)에 각각 올려놓은 준비자세에서, 상기 사용자가 한 발을 하측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발판(80a 또는 80b)을 밀어내어 자세를 유지하는 동작과, 상기 사용자가 힘 준 발에 힘을 풀어주면서 원래의 준비자세로 돌아가는 동작을 다른 발과 엇갈리게 소정 횟수 반복하여 실행할 때, 상기 유압 실린더(70a 또는 70b)가 미리 설정된 부하 하중을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70)는,
    비압축성 유체로 채워지는 이중 쳄버를 구비한 실린더 몸체부(71)과;
    상기 실린더 몸체부(71)의 일측 밑면을 기밀 상태를 유지하면서 관통하여 피스톤의 일측과 조립되어 외부로 연장 돌출된 피스톤 로드(72)와;
    상기 피스톤 로드(72)의 끝단에 고정되어 조립되는 제1 로그 앤드 베어링(73)과;
    상기 실린더 몸체부(71)의 상부 표면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몸체부(71) 내에 채워지는 비압축성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72)의 부하 하중을 다단계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 노브(74)와;
    상기 피스톤 로드(72)가 관통된 실린더 몸체부(71)의 타측 끝단에 고정되어 조립되는 제2 로드 앤드 베어링(7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용 공중걷 기 기구.
KR2020090002930U 2009-03-13 2009-03-13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 KR201000018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30U KR20100001873U (ko) 2009-03-13 2009-03-13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930U KR20100001873U (ko) 2009-03-13 2009-03-13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873U true KR20100001873U (ko) 2010-02-22

Family

ID=4444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930U KR20100001873U (ko) 2009-03-13 2009-03-13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87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0047A (zh) * 2014-05-03 2015-11-25 青岛瑞箭机电工程技术有限公司 踏步康复机
CN109011394A (zh) * 2018-10-09 2018-12-18 孙权 无动力自主跑步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80047A (zh) * 2014-05-03 2015-11-25 青岛瑞箭机电工程技术有限公司 踏步康复机
CN109011394A (zh) * 2018-10-09 2018-12-18 孙权 无动力自主跑步机
CN109011394B (zh) * 2018-10-09 2023-12-26 孙权 无动力自主跑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9075A (en) Device for simulation of climbing
CA2884721A1 (en) Push-up exercise apparatus
CN20564977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家用康复健身器
US20090054210A1 (en) Station for Gymnastics in Water
US5060935A (en) Water immersed stair climber
KR200463740Y1 (ko) 실외용 쇼울더 기구
KR101237373B1 (ko) 다리의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
KR20100001873U (ko) 실외용 공중걷기 기구
KR200453493Y1 (ko) 실외용 레그 익스텐션컬 기구
KR200462291Y1 (ko) 실외용 하이풀리 기구
KR200453492Y1 (ko) 실외용 체스트 프레스 기구
WO2022222162A1 (zh) 一种多功能跑步机
KR20200117469A (ko) 등산연습 겸용 계단오르기용 스텝 운동기구
JP2008237785A5 (ko)
KR200437422Y1 (ko) 자동트위스트 기능을 가진 스텝퍼
JP2008237785A (ja) 重力負荷運動装置
KR100807361B1 (ko) 하체 근력 강화기
KR200457592Y1 (ko) 실외용 업도미널 기구
KR20100001876U (ko) 실외용 스커트 기구
CN107362499B (zh) 一种推磨健腹器
KR200429304Y1 (ko) 복합 서킷 트레이닝 운동기구
JP3100109B2 (ja) 機具運動遊戯プール並びに機具装着具と機械
KR200342369Y1 (ko) 레그프레스 운동기구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KR100935697B1 (ko) 체중 체감형 다리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