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772A -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772A
KR20100001772A KR1020080061817A KR20080061817A KR20100001772A KR 20100001772 A KR20100001772 A KR 20100001772A KR 1020080061817 A KR1020080061817 A KR 1020080061817A KR 20080061817 A KR20080061817 A KR 20080061817A KR 20100001772 A KR20100001772 A KR 20100001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gc
holding
module
application data
partici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석
한미정
Original Assignee
조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창석 filed Critical 조창석
Priority to KR102008006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772A/ko
Publication of KR2010000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게임대회(OGC: Online Game Conference)의 개최·운영을 희망하는 일반 소비자 측의 OGC 개최신청을 접수하고, 이를 심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일반 소비자 측의 OGC 개최신청내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대전일정을 산출·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대전일정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운영 플랫폼을 책정·배당하고, OGC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온라인 게임을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참여자를 모집·호출하여, 각 OGC 참여자가 OGC 대전일정에 정해진 적정 시점에서, OGC에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운영결과에 따라, 특정 OGC 참여자(예컨대, 상위에 랭크된 OGC 참여자)에게 시상을 시행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체적인 OGC 운영결과를 OGC 개최를 신청한 일반 소비자 측에 보고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일반 소비자 측에서, 별도의 어려움 없이, 일련의 OGC 개최신청계획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셀프 디자인하면서,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공유·연계하여, 자신만의 맞춤형 OGC 운영절차를 유연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OGC의 자가 개최·운영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욕구가 융통성 있게 해소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업체 및 일반 소비자의 온라인 게임 운영 플랫폼 공유·연계를 통해, 온라인 게임의 전체적인 소비경로를 다변화 시켜, 해당 온라인 게임의 유통 개연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OGC를 자체적으로 개최·운영하는 일반 소비자들의 이익은 물론, 온라인 게임을 운영하는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업체 측의 이익까지도 최적화 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온라인 게임 시장이 자연스럽게 확대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The system which guides the holding/operating process of a online game conference}
본 발명은 각종 온라인 게임대회의 개최/운영을 가이드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온라인 게임대회(OGC: Online Game Conference; 이하, "OGC"라 함)의 개최·운영을 희망하는 일반 소비자 측의 OGC 개최신청을 접수하고, 이를 심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일반 소비자 측의 OGC 개최신청내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대전일정을 산출·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대전일정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운영 플랫폼을 책정·배당하고, OGC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온라인 게임을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참여자를 모집·호출하여, 각 OGC 참여자가 OGC 대전일정에 정해진 적정 시점에서, OGC에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운영결과에 따라, 특정 OGC 참여자(예컨대, 상위에 랭크된 OGC 참여자)에게 시상을 시행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체적인 OGC 운영결과를 OGC 개최를 신청한 일반 소비자 측에 보고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일반 소비자 측에서, 별도의 어려움 없이, 일련의 OGC 개최신청계획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셀프 디자인하면서,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공유·연계하여, 자신만의 맞춤형 OGC 운영절차를 유연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OGC의 자가 개최·운영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욕구가 융통성 있게 해소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망 등과 같은 유/무선 온라인망 관련 기술이 급속한 발전을 이루면서, 온라인망을 통해 유통·소비되는 온라인 게임시장의 규모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온라인 게임을 운영/서비스하는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의 개설 숫자 또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의 개설 숫자에 비례하여, 각 업체간의 경쟁 또한 점차 치열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해당 업체 측에서는 자가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의 유효 고객 수를 타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 보다 좀더 우월하게 확보·유지시키기 위하여, 가능한 한 여러 방면에 걸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 게임운영 업체 측에서는 수시로(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일련의 OGC를 개최하고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OGC를 통하여, 많은 수의 신규고객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근래에, 이러한 OGC의 장점이 일반 소비자들에게까지 폭 넓게 전파·인식되면서, 이에 맞추어, 자신만의 맞춤형 OGC를 스스로 개최/운영하고자 하는 일반 소비자들(예컨대, 일반 업체, 일반 모임, 일반 개인 등)의 수요 또한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일반 소비자들에 의해 <맞춤형 OGC의 개최수요>가 크게 증가할 수밖 에 없는 이유는, 일련의 개방형 구조를 취하고 있는 온라인 게임의 고유특성 상, OGC는 예컨대, <자가 업체/모임 직원/구성원들의 친목도모를 유도할 수 있는 친교수단>, <자가 업체/모임의 온라인 홍보를 유도할 수 있는 홍보수단>, <광고용 베너를 게시할 수 있는 수익창출 수단> 등으로써, 매우 유용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상, OGC가 정상적으로 개최·운영되기 위해서는 사용자들의 수요동향에 매칭되는 각종 온라인 게임 컨텐츠, OGC 운영계획, OGC 시행능력 등이 시의 적절하게 확보되어야 함은 물론, 그에 필요한 자본 역시, 융통성 있게 마련/운용되어야 하는 바, 물론, 이 상황에서, 그 능력, 여건 등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일반 소비자들이 외부의 아무런 도움 없이, 자신의 자체적인 노력만으로 OGC를 유연하게 개최·운영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종래의 체제 하에서, 다수의 일반 소비자들 측에서는 OGC의 자가 개최·운영에 대한 강한 욕구에도 불구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현실화시키는데 있어, 많은 난관에 부딪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대회(OGC: Online Game Conference)의 개최·운영을 희망하는 일반 소비자 측의 OGC 개최신청을 접수하고, 이를 심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일반 소비자 측의 OGC 개최신청내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대전일정을 산출·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대전일정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운영 플랫폼을 책정·배당하고, OGC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온라인 게임을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참여자를 모집·호출하여, 각 OGC 참여자가 OGC 대전일정에 정해진 적정 시점에서, OGC에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운영결과에 따라, 특정 OGC 참여자(예컨대, 상위에 랭크된 OGC 참여자)에게 시상을 시행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체적인 OGC 운영결과를 OGC 개최를 신청한 일반 소비자 측에 보고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일반 소비자 측에서, 별도의 어려움 없이, 일련의 OGC 개최신청계획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셀프 디자인하면서,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공유·연계하여, 자신만의 맞춤형 OGC 운영절차를 유연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OGC의 자가 개최·운영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욕구가 융통성 있게 해소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업체 및 일반 소비자의 온라인 게임 운영 플랫폼 공유·연계를 통해, 온라인 게임의 전체적인 소비경로를 다변화시켜, 해당 온라인 게임의 유통 개연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OGC를 자체적으 로 개최·운영하는 일반 소비자들의 이익은 물론, 온라인 게임을 운영하는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업체 측의 이익까지도 최적화 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온라인 게임 시장이 자연스럽게 확대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망을 매개로 하여, 온라인 게임을 운영하는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 및 온라인 게임대회(OGC: Online Game Conference)의 개최·운영을 희망하는 OGC 개최자가 보유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와 선택적으로 신호 연결되면서, 상기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접수하는 절차 및 접수된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따라, OGC를 개최·운영하는 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와,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와 신호 연결되면서,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OGC 개최신청 기초정보를 상기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 측에 제시하여, OGC 개최자 측에서,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스스로 디자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면서, 상기 OGC 개최자 측에 의해 디자인 완료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접수·처리하는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과,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따라, OGC 대진표가 기재된 OGC 대전일정데이터를 생성하는 OGC 대전일정 처리모듈과,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온 라인 게임 운영 서버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 내에, 상기 OGC 대전일정데이터에 상응하는 OGC 운영 플랫폼을 책정·배당하는 OGC 운영 플랫폼 배정모듈과,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OGC 대전일정데이터에 기재된 OGC 대진표에 따라, OGC 참여자를 참여시켜, 상기 OGC 운영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프레임 내에서, 온라인 게임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OGC 운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게임대회(OGC: Online Game Conference)의 개최·운영을 희망하는 일반 소비자 측의 OGC 개최신청을 접수하고, 이를 심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일반 소비자 측의 OGC 개최신청내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대전일정을 산출·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대전일정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운영 플랫폼을 책정·배당하고, OGC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온라인 게임을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참여자를 모집·호출하여, 각 OGC 참여자가 OGC 대전일정에 정해진 적정 시점에서, OGC에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OGC 운영결과에 따라, 특정 OGC 참여자(예컨대, 상위에 랭크된 OGC 참여자)에게 시상을 시행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체적인 OGC 운영결과를 OGC 개최를 신청한 일반 소비자 측에 보고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일반 소비자 측에서는, 별도의 어려움 없이, 일련의 OGC 개최신청계획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셀프 디자인하면서,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공유·연계하여, 자신만의 맞춤형 OGC 운영절차를 유연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OGC의 자가 개최·운영에 대한 욕구를 융통성 있게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업체 측과 일반 소비자 측과의 자연스러운 온라인 게임 운영 플랫폼 공유·연계를 현실화시켜, 온라인 게임의 전체적인 소비경로 및 유통 개연성을 다변화/극대화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OGC를 자체적으로 개최·운영하는 일반 소비자들은 물론, 온라인 게임을 운영하는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업체 측까지도, 자신의 이익을 최적화 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온라인 게임 시장은 그 규모가 자연스럽게 확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100)은 온라인망(6), 예를 들어,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예컨대, 모바일 기기, 전자메일 계정, 단문메시지 계정 등), OGC 참여자 클라이언트(3),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4: 예컨대, 모바일 기기, 전자메일 계정, 단문메시지 계정 등),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와, 이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의 제어 하에 놓인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 운영 보 조모듈(104),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105),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106), OGC 개최신청데이터 보정모듈(107), OGC 개최신청데이터 접수결과 통지모듈(108), OGC 대전일정 처리모듈(109), OGC 운영 플랫폼 배정모듈(120), OGC 운영모듈(121), OGC 참여자 모집모듈(115), OGC 참여자 호출 처리모듈(117), OGC 후원자정보 처리모듈(118),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119), OGC 결과 처리모듈(116)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OGC의 개최/운영을 희망하는 OGC 개최자(예컨대, 일반 업체, 일반 모임, 일반 개인 등)가 보유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참여자가 보유한 OGC 참여자 클라이언트(3) 등으로는, 예컨대,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정보처리기기를 위시하여,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가 OGC 개최자, OGC 희망자 등이 처한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4) 등으로는 별도의 툴(Tool)이 아닌,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참여자 클라이언트(3) 자체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이때,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가이드 프레임 운영 모듈(103)은 OGC 개최자가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를 통해, 시스템(100) 측에 접속하게 되는 경우, D/B 관리모듈(110)을 매개로, 운영정보 저장 D/B(114)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각종 서비스 운영정보, 예컨대,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각종 웹 페이지 설정정보 등을 융통성 있게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각 운영정보를 토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201)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201)을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측으로 선택 전송·게시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한 각종 서비스 절차의 기초 환경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순조롭게 조성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201)에는, <OGC의 개최를 신청할 수 있는 항목>, <OGC 개최신청내역의 접수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 <자신이 개최한 OGC 이력을 검색/확인할 수 있는 항목> 등이 두루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OGC 개최자 측에서는, 가이드 프레임(201)에 게시된 메뉴항목들을 선택적으로 조작(입력)/확인하는 극히 간단한 전산작업만으로도, 이를테면, <OGC의 각종 구체적인 절차를 스스로 디자인하고, 이의 개최를 시스템(100) 측에 신청하는 절차>, <자신이 디자인한 OGC 개최신청내역의 접수상황을 확인하는 절차>, <자신이 개최한 OGC 이력을 검색/확인하는 절차> 등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융통성 있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D/B 관리모듈(110)은 시스템(100) 내에 배치된 각 전산모듈들의 전산 이벤트에 따라,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데이터 저장 블록(111) 내의 필요 D/B(112,113,114)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역으로, 로딩(Loading)·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D/B 관리모듈(110)은 단순히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때,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 D/B(114)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각종 웹 페이지 설정정보 등을 위시하여, 각 OGC 개최자들의 회원 등록정보, 각 OGC 참여자들의 신상 등록정보, 각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의 등록정보, 각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4)의 등록정보, 각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의 등록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컴포넌트 정보, OGC 개최신청심사의 기준정보, 시스템(100)의 자원현황 정보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물론, 위에 열거된 각 운영정보들은 시스템(100) 측 상황에 따라, 그 종목 또는 범위가 탄력적으로 추가/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 보조모듈(104)은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 운영정보 저장 D/B(114)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보조절차, 예컨대, OGC 개최자의 시스템 로그인 과정을 관리하는 절차, OGC 개최자의 시스템 방문이력을 갱신하는 절차,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와의 통신 세션을 연결/유지하는 절차, 시스템 보유자원을 분배/관리하는 절차,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의 등록정보를 갱신 관리하는 절차, 운영정보 저장 D/B(114) 내의 저장 데이터를 갱신/관리하는 절차 등을 다채롭게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 측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OGC 참여자 클라이언트(3),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4),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 등과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후술하는 각 전산모듈들을 체계적으로 컨트롤하여, <OGC의 개최·운영을 희망하는 OGC 개최자 측의 OGC 개최신청을 접수하고, 이를 심사하는 절차>(도 3 및 도 4 참조), <OGC 개최자 측의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대전일정데이터를 산출·생성하는 절차>(도 5 참조), <OGC 대전일정데이터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OGC 운영 플랫폼을 책정·배당하고, OGC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련의 온라인 게임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절차>(도 6 참조), <OGC 참여자를 모집·호출하여, 각 OGC 참여자가 OGC 대전일정에 정해진 적정 시점에서, OGC에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절차>(도 5 및 도 6 참조), <OGC 운영결과에 따라, 특정 OGC 참여자(예컨대, 상위에 랭크된 OGC 참여자)에게 시상을 시행하는 절차>(도 7 참조), <전체적인 OGC 운영결과를 OGC 개최를 최초 신청한 OGC 개최자 측에 보고/통지하는 절차>(도 8 참조) 등을 총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 측의 동작 수행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황 하에서, OGC 개최자(즉, 일반 소비자) 측에서는, 별도의 어려움 없이, 일련의 OGC 개최신청계획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셀프 디자인하면서,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 플랫폼>을 효과적으로 공유·연계하여, 자신만의 맞춤형 OGC 운영절차, 예컨대, <OGC를 자가 업체/모임 직원/구성원들의 친목도모를 유도할 수 있는 친교수단으로 활용하는 절차>, <OGC를 자가 업체/모임의 온라인 홍보를 유도할 수 있는 홍보수단으로 활용하는 절차>, <OGC를 광고용 베너를 게시할 수 있는 수익창출 수단으로 활용하는 절차> 등을 유연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OGC의 자가 개최·운영 및 활용에 대한 욕구를 융통성 있게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이 상황 하에서, 기간 온라인 게임 운영업체 측에서는 일반 소비자(즉, OGC 개최자) 측과 온라인 게임 운영 플랫폼을 공유·연계하여, 온라인 게임의 전체적인 소비경로 및 유통 개연성을 적극적으로 다변화/극대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자신의 이익을 최적화 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온라인 게임 시장은 그 규모가 자연스럽게 확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본 발명의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105)은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와 일련의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하면서, OGC의 개최/운영을 희망하는 OGC 개최자가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를 매개로, 가이드 프레임(201)에 접속한 후, 이에 게시된 메뉴항목을 선택하여,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측으로부터 <OGC의 개최/운영을 신청하고 싶다>는 취지의 요청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 운영정보 저장모듈(114) 등과의 교신 하에, OGC 개최신청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OGC 개최신청 기초정보(예컨대, 메뉴정보, 예시정 보, 그림정보, 링크정보 등)가 담긴 가이드 프레임(202)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202)을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측에 전송·제시함으로써, OGC 개최자 측에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스스로 디자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측에, OGC 개최신청 기초정보가 담긴 가이드 프레임(202)이 전송/게시되는 상황에서, OGC 개최자 측에서, 데이터 작성 프로세스(또는, 데이터 디자인 프로세스)를 모두 완료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측으로부터 앞의 가이드 프레임에 상응하는 OGC 개최신청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1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이를 수신/접수한 후,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와 교신을 취하여, 접수 완료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OGC 개최신청데이터 내에는 예컨대, OGC 개최자 정보, OGC 타이틀 정보, OGC에서 시행될 게임 종류 정보, OGC 참가가 가능한 참가대상 정보, OGC 참가비 정보, OGC 대전 스케쥴 정보, OGC 대전방식정보, OGC 시상내역정보, OGC 후원자 관련정보 등이 다양하게 담겨지게 된다(물론, 이러한 OGC 개최신청데이터의 주요 내역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상술한 절차에 따라,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 내에 OGC 개최자 측의 OGC 개최신청데이터가 안정적으로 접수/저장 및 관리되는 상황에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106) 측에서 는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103),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 등과 교신을 취하여,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확보함과 아울러, 운영정보 저장 D/B(114)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개최신청심사 기준정보를 추출 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GC 개최신청데이터 및 OGC 개최신청심사 기준정보가 확보 완료되면,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106) 측에서는 OGC 개최신청심사 기준정보를 토대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판독/심사하여, 그 오류내역, 예컨대, 게임 타이틀이 적합한가의 여부, 참가대상 선정이 적합한가의 여부, 게임인원이 적합한가의 여부, OGC 개최자의 계좌정보를 볼 때, 해당 OGC 개최자가 시상능력이 있는가의 여부, 특정 필수정보의 누락여부, 참가비가 적정한가의 여부 등을 체크하고, 그에 상응하는 OGC 개최신청 심사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예컨대, 게임 타이틀이 부적합한 오류, 참가대상 선정이 부적합한 오류, 게임인원이 부적합한 오류, OGC 개최자가 시상능력이 없는 오류, 특정 필수정보가 누락된 오류, 참가비가 적정하지 않은 오류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106) 측에서는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XX 오류가 있어, OGC 개최신청데이터가 반려된다>는 취지의 OGC 개최신청 심사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일련의 OGC 개최신청 심사결과 데이터가 생성 완료되는 상황에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개최신청데이터 접수결과 통지모듈(108) 측에서는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106) 측과 교신을 취하여, OGC 개최신청 심사결과 데이터를 확보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등과 교신을 취하여, 확보 완료된 OGC 개최신청 심사결과 데이터를 OGC 개최자 측에 전송/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물론, 상술한 절차에 따라, OGC 개최신청 심사결과 데이터가 전송/통지된 상황에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등을 통해, 이를 수신한 OGC 개최자 측에서는 자가 디자인한 OGC 개최신청데이터의 접수결과, 예컨대,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XX 오류가 있어, OGC 개최신청데이터가 반려되었다는 접수결과>,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별다른 오류가 없어, OGC 개최신청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접수되었다는 접수결과> 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결국, 그에 따른 후속조치를 탄력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106)의 기능 수행에 의해, OGC 개최신청 심사결과 데이터가 생성 완료되는 상황에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개최신청데이터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106) 측과 교신을 취하여, OGC 개최신청 심사결과 데이터를 확보한 후, 확보 완료된 OGC 개최신청 심사결과 데이터를 판독하여, OGC 계최신청데이터에 어떠한 오류가 있는가를 체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예컨대, 게임 타이틀이 부적합한 오류, 참가대상 선정이 부적합한 오류, 게임인원이 부적합한 오류, OGC 개최자가 시상능력이 없는 오류, 특정 필수정보가 누락된 오류, 참가비가 적정하지 않은 오류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OGC 개최신청데이터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그 즉시,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와 교신을 취하여, 해당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추출한 후, 운영정보 저장 D/B(114) 내에 기 저장되어 있던 OGC 개최신청심사 기준정보를 토대로, 일련의 데이터 보정루틴을 진행시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보정하는 절차, 예컨대, 게임 타이틀을 적합한 수준으로 보정하는 절차, 참가대상을 적합한 수준으로 보정하는 절차, 게임인원을 적합한 수준으로 보정하는 절차, 시상수준을 적합한 수준으로 보정하는 절차, 누락된 필수정보를 추가 기재하는 절차, 참가비를 적정 수순으로 보정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일련의 OGC 개최신청 보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GC 개최신청 보정데이터가 생성 완료되면, OGC 개최신청데이터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등과 교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OGC 개최신청 보정 데이터를 OGC 개최자 측에 전송/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물론, 상술한 절차에 따라, OGC 개최신청 보정 데이터가 전송/통지된 상황에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등을 통해, 이를 수신한 OGC 개최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시스템(100) 측에서 요구하는 정상적인 수준의 OGC 개최신청데이터(즉, OGC 개최신청 보정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추후,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측으로부터 OGC 개최신청 보정데이터에 상응하는 보정수락 데이터가 전송되면, OGC 개최신청데 이터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상술한 절차를 통해 생성 완료된 OGC 개최신청 보정데이터를 해당 OGC 개최자의 정식 OGC 개최신청데이터로 확정하게 되며, 추후,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와 교신을 취하여, 정식 확정 완료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 내에서, 해당 OGC 개최자 명의로 저장 관리하게 된다(도 4 참조).
한편,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의 기능 수행에 의해, OGC 개최자 명의의 OGC 개최신청데이터가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 내에 저장 관리되는 상황에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참여자 모집모듈(115) 측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GC 운영데이터 저장 D/B(113)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 양식, 예컨대, 배너 이미지 양식, 문자양식, 플래시 동영상 양식 등을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와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 양식, OGC 개최신청데이터 등이 확보 완료되면, OGC 참여자 모집모듈(115) 측에서는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맞추어,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 양식, 예컨대, 배너 이미지 양식, 문자양식, 플래시 동영상 양식 등을 수정/편집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상응하는 타이틀, 대회일정, 대회방식 등의 정보>를 담은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M:예컨대, 배너 이미지, 문자, 플래시 동영상 등)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상응하는 타이틀, 대회일정, 대 회방식 등의 정보>를 담은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M:예컨대, 배너 이미지, 문자, 플래시 동영상 등)가 생성 완료되면, OGC 참여자 모집모듈(115) 측에서는 이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M)에 시스템(100) 측과 연결성을 지닌 링크정보를 탑재한 후, 운영정보 저장 D/B(114)에 저장되어 있던 OGC 개최자 회원정보, 시스템(100) 측 표준 확보정보 등을 참조하면서, 온라인망(6)에 개설된 온라인 게시수단(300), 예컨대, OGC 개최자가 소속된 업체/모임의 미니 홈페이지, OGC 개최자가 소속된 업체/모임의 온라인 게시판, OGC 개최자가 소속된 업체/모임의 온라인 커뮤니티 카페, 임의의 사용자들에게 개방된 일반 사이트(쇼핑몰 페이지, 방송국 페이지, 커뮤니티 페이지, 서비스 제공 페이지 등) 등과 교신을 취하여, 해당 온라인 게시수단(300) 내에 생성 완료된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M)를 전송/게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온라인 게시수단(300)의 범위는 OGC 개최자 측 선택 등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상황에 따라, 이러한 온라인 게시수단(300)에는 OGC 참여자 클라이언트(3),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4)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도 5 참조).
이러한 절차 하에, 온라인망(6)에 개설된 온라인 게시수단(300) 내에, 시스템(100) 측과 연결성을 지닌 링크정보가 탑재된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M)가 게시된 상황에서, 온라인 게시수단(300)을 서핑/방문중인 각 참여자가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M)를 클릭하여, 시스템(100) 측에 접근하게 되는 경우, OGC 참여자 모집모듈(115) 측에서는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과의 교신 하에, OGC 참여자 모집 가이드 페이지(203)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OGC 참여자 모집 가이드 페이 지(203)를 OGC 참여자 클라이언트(3),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4) 등에 전송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 상황에서, OGC 참여자 측에서, OGC 참여자 모집 가이드 페이지(203)를 기초로 일련의 필요 데이터를 입력 완료하여, OGC 참여자 클라이언트(3),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4) 등으로부터 일련의 OGC 참여자 정보(예컨대, OGC 참여자 신상정보, OGC 참여자 통신 관련정보 등)가 전송 완료되면, OGC 참여자 모집모듈(115) 측에서는 이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OGC 참여자 정보를 OGC 운영데이터 저장 D/B(113) 내에 저장시킴과 아울러(도 5 참조), OGC 참여확인정보(예컨대, OGC 참가번호 등)를 OGC 참여자 클라이언트(3),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4) 등에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OGC 참여자 측에서, 자신의 OGC 참여가 정상적으로 수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의 기능 수행에 따라, OGC 개최신청데이터, OGC 참여자 정보 등이 확보 완료된 상황에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대전일정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추출 확보한 후, 확보 완료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참조하면서,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예컨대, OGC 개최자 정보, OGC 타이틀 정보, OGC 일정정보, OGC 대회방식 정보, 1인당 게임수 정보, 게임 종류 정보, OGC 참여인원정보, OGC 대진표 정보(물론, 이러한 정보내역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등이 담겨진 OGC 대전일정데이터를 1차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GC 대전일정데이터가 1차 생성 완료되면, OGC 대전일정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OGC 운영데이터 저장 D/B(113)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참여자 정보를 확보한 후, 이 OGC 참여자 정보를 OGC 대진표 정보 내에 분산 삽입하여(물론, 이러한 분산 삽입과정은 무작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OGC 개최자의 확인 하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OGC 참여자 별 OGC 대진표가 기재된 최종의 OGC 대전일정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OGC 대전일정데이터를 OGC 운영데이터 저장 D/B(113)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의 기능 수행 하에, OGC 대전일정데이터, OGC 참여자정보 등이 확보 완료된 상황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운영 플랫폼 배정모듈(120)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와 교신을 취하면서,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 내에, OGC 대전일정데이터에 상응하는 각종 OGC 운영 플랫폼(5a), 예컨대, 온라인 게임 프로그램 플랫폼, OGC 계정 플랫폼, 통신 플랫폼, 메모리 영역 등을 책정·배당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이후, OGC가 정상적으로 개최 운영될 수 있는 기초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 내에, OGC 대전일정데이터에 상응하는 각종 OGC 운영 플랫폼(5a), 예컨대, 온라인 게임 프로그램 플랫폼, OGC 계정 플랫폼, 통신 플랫폼, 메모리 영역 등이 책정·배당 완료된 상황에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운영모듈(121) 측에서는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와 교신을 취하면서, OGC 대전일정데이터에 기재된 OGC 대진표에 따라, OGC 참여자를 참여시켜, OGC 운영 플랫폼(5a)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프레임(204) 내에서, 온라인 게임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OGC 개최자(즉, 일반 소비자) 측에서는, 별도의 어려움 없이, OGC를 예컨대, <자가 업체/모임 직원/구성원들의 친목도모를 유도할 수 있는 친교수단>, <자가 업체/모임의 온라인 홍보를 유도할 수 있는 홍보수단> 등으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이러한 OGC의 진행상황 하에서, OGC 운영모듈(121) 측에서는 각종 OGC 결과 데이터, 예컨대, OGC 참여자 로그기록 데이터, OGC 승부결과 데이터, OGC 관람자 로그기록 데이터, OGC 진행시간 데이터 등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OGC 결과 데이터를 OGC 운영데이터 저장 D/B(113) 내에 지속적으로 저장 관리함으로써, 이 OGC 결과 데이터가 추후, <OGC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상국면>, <OGC 개최자를 대상으로 하는 보고국면>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OGC의 진행상황(또는, OGC의 진행준비 상황) 하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참여자 호출처리(117) 모듈 측에서는 OGC 운영데이터 저장 D/B(113)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대전일정데이터를 추출 확보한 후, 확보 완료된 OGC 대전일정데이터를 판독하여, 이에 기재된 OGC 대진표를 체크하면서, 각 OGC 참여자의 OGC 참여시점이 임박하였는가를 모니터링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만약, 특정 OGC 참여자의 OGC 참여시점이 임박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OGC 참여자 호출처리 모듈(117) 측에서는 OGC 참여자 정보에 기록된 OGC 참여자 통신 관련정보를 참조하면서, 해당 OGC 참여자가 보유한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4), OGC 참여자 클라이언트(3) 등으로 OGC 참여자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6 참조).
물론, 이러한 절차에 따라, OGC 참여자 호출 메시지가 전송/접수되는 상황에서, 각 OGC 참여자 측에서는 별다른 노력 없이도, 자신의 OGC 참여시점이 임박하였음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결국, OGC에 좀더 충실하게 참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의 기능 수행에 따라, 각 OGC 참여자들이 OGC 운영 플랫폼(5a)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프레임(204) 내에서,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후원자정보 처리모듈(118) 측에서는 OGC 운영데이터 저장 D/B(113) 또는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 등과 교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추출 확보한 후, 확보 완료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판독하여, 이에 기재된 OGC 후원자정보를 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이 경우, OGC 후원자로는 OGC 개최자에게 금전제공을 약속/계약한 기업, OGC 개최자가 소속된 업체/모임, OGC 개최자에게 금전제공을 약속/계약한 개인 등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기재된 OGC 후원자 정보, 예컨대, OGC 후원자 측 배너 이미지, OGC 후원자 측 문자, OGC 후원자 측 플래시 동영상 등이 확보 완료되면, OGC 후원자 정보 처리모듈(118) 측에서는 해당 OGC 후원자 정보에 <해당 후원자 측 웹 시스템과 연결성을 지닌 링크정보>를 탑재한 후,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와 교신을 취하여, OGC 후원자정보를 OGC 운영 플랫폼(5a)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프레임(204) 내에 게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절차에 따라, OGC 후원자 정보가 온라인 게임 프레임(204) 내에 게시되는 상황 하에서, 각 OGC 참여자는 물론,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를 서핑하며, OGC를 관람 중인 일반 사용자들 역시, OGC 후원자 정보에 무작위로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OGC 개최자 측에서는 OGC 후원자정보를 온라인 홍보하면서, 자신이 디자인한 OGC를 예컨대, <자가 업체/모임의 온라인 홍보를 유도할 수 있는 홍보수단>, <광고용 베너를 게시할 수 있는 수익창출 수단> 등으로 폭 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앞의 각 절차에 따라, 일련의 OGC가 마무리되는 상황에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119) 측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OGC 운영데이터 저장 D/B(113)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결과 데이터 예컨대, OGC 참여자 로그기록 데이터, OGC 승부결과 데이터, OGC 관람자 로그기록 데이터, OGC 진행시간 데이터 등을 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판독하여, 이에 기재된 OGC 시상내역(예컨대, 1등에 랭크된 OGC 참여자에게는 XX를 제 공하고, 2등에 랭크된 OGC 참여자에게는 XX를 제공하고‥‥하는 등의 시상과 관련된 정보내역)을 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GC 결과 데이터 및 OGC 시상내역이 확보 완료되면,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119) 측에서는 OGC 결과 데이터에 기재된 OGC의 운영상황(예컨대, OGC의 승부결과)에 따라, OGC 개최자에 의해 제공되는 유/무형의 시상품(예컨대, 상금, 상품 등)을 OGC에 참여한 일부 OGC 참여자(예컨대, 상위에 랭크된 OGC 참여자) 측에 시상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일례로,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119) 측에서는 OGC 결과 데이터에 기재된 OGC의 운영상황(예컨대, OGC의 승부결과)에 따라, 외부 금융업체 서버(301)와 교신을 취하여, OGC 개최자 측 금융계좌에서 <상위에 랭크된 OGC 참여자 측 금융계좌>로 상금을 이체시키는 시상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다른 예로,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119) 측에서는 OGC 결과 데이터에 기재된 OGC의 운영상황(예컨대, OGC의 승부결과)에 따라, 외부 배송업체 서버(도시 안됨)와 교신을 취하여, OGC 개최자가 기탁한 상품을 상위에 랭크된 OGC 참여자의 주소지로 배달시키는 시상절차를 진행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119)의 기능수행 하에서, OGC에 참여하여, 상위에 랭크된 각 OGC 참여자 측에서는, OGC 참여에 상응하는 상금, 상품 등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자신의 금전적인 이익을 융통성 있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의 각 절차에 따라, 일련의 OGC 및 그에 따른 시상절차가 마무리되 는 국면에서,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에 의해 제어되는 OGC 결과 처리모듈(116) 측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OGC 운영데이터 저장 D/B(113)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결과 데이터 예컨대, OGC 참여자 로그기록 데이터, OGC 승부결과 데이터, OGC 관람자 로그기록 데이터, OGC 진행시간 데이터 등을 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119) 측과 교신을 취하여, OGC 참여자 시상내역을 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나아가, OGC 개최신청데이터 저장 D/B(112)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판독하여, 이에 기재된 OGC 개최자 정보를 확보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GC 결과 데이터 및 OGC 참여자 시상내역, 그리고, OGC 개최자 정보가 확보 완료되면, OGC 결과 처리모듈(116) 측에서는 일련의 데이터 통합/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예컨대, OGC 참여자 로그기록 데이터, OGC 승부결과 데이터, OGC 관람자 로그기록 데이터, OGC 진행시간 데이터, OGC 참여자 시상내역 등이 포괄적으로 통합 기재된 OGC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등과 교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OGC 결과 데이터를 OGC 개최자 측에 전송/통지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8 참조).
물론, 상술한 절차에 따라, OGC 결과 데이터가 전송/통지된 상황에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OGC 개최자 통신 터미널(2) 등을 통해, 이를 수신한 OGC 개최자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자신이 스스로 디자인하고, 운영한 OGC의 각종 진행결과를 손쉽게 확보/확인할 수 있게 되며, 결국, 해당 OGC 진행결과를 예컨대, 다음 OGC의 개최/운영에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앞의 각 실시예들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 여러 유형의 변형된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 측에서는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 운영 보조모듈(104),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105),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106), OGC 개최신청데이터 보정모듈(107), OGC 개최신청데이터 접수결과 통지모듈(108), OGC 대전일정 처리모듈(109), OGC 운영 플랫폼 배정모듈(120), OGC 운영모듈(121), OGC 참여자 모집모듈(115), OGC 참여자 호출 처리모듈(117), OGC 후원자정보 처리모듈(118),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119), OGC 결과 처리모듈(116) 등을 긴밀하게 제어 운영하면서, 한명의 OCG 개최자 측 요청에 맞추어, 동일 OGC 개최기간 내에 다수의 OGC를 개최·운영할 수도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 측에서는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03),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105) 등을 연계 활용하면서, <OGC 대진표를 디자인하는 절차>, <OGC 참여자 정보를 OGC 대진표 정보 내에 분산 삽입하는 절차> 등이 OGC 개최자의 셀프 디자인에 의해 진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 측에서는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와 교신을 취하면서, 일련의 <OGC 결과>가 게임 운영 서버(5) 측으로부터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1) 또는 OGC 개최자 통신터미널(2) 측으로 직접 보고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 측에서는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5), OGC 운영 플랫폼 배정모듈, OGC 운영모듈 등과 교신을 취하면서, 하나의 OGC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온라인 게임(절대 기록형 온라인 게임, 상대성 온라인 게임 등)이 복합적으로 선택·운영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 측에서는 OGC 후원자 정보 처리모듈(118)을 제어하면서, OGC 후원자 정보(예컨대, OGC 후원자 측 배너 이미지, OGC 후원자 측 문자, OGC 후원자 측 플래시 동영상 등)가 다른 여러 OCG 개최자에 의해 개최되는 여러 OGC의 온라인 게임 프레임(204)에도 한꺼번에 게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 측에서는 OGC 후원자 정보 처리모듈(118)을 제어하면서, OGC 후원자 정보(예컨대, OGC 후원자 측 배너 이미지, OGC 후원자 측 문자, OGC 후원자 측 플래시 동영상 등)가 OCG 후원자 측 광고서버를 통해 좀더 전문적으로 제공/확보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도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본 발명의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101) 측에서는 상술한 온라인 게임 서버(5)의 각 컴포넌트들을 시스템(100) 내에 추가 배치하여, OGC가 시스템(100) 내의 자체 프로그램 풀 내에서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여러 변화된 조치 하에서도, OGC 개최자(즉, 일반 소비자) 측에서는, 별도의 어려움 없이, 일련의 OGC 개최신청계획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셀프 디자인하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맞춤형 OGC 운영절차, 예컨대, <OGC를 자가 업체/모임 직원/구성원들의 친목도모를 유도할 수 있는 친교수단으로 활용하는 절차>, <OGC를 자가 업체/모임의 온라인 홍보를 유도할 수 있는 홍보수단으로 활용하는 절차>, <OGC를 광고용 베너를 게시할 수 있는 수익창출 수단으로 활용하는 절차> 등을 유연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게시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의 기능수행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 OGC 개최신청데이터 보정모듈, OGC 개최신청데이터 접수결과 통지모듈의 기능수행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OGC 대전일정 처리모듈, OGC 참여자 모집모듈의 기능수행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OGC 운영모듈, OGC 운영 플랫폼 배정모듈, OGC 후원자 정보 처리모듈, OGC 참여자 호출 처리모듈의 기능수행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의 기능수행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OGC 결과 처리모듈의 기능수행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Claims (7)

  1. 온라인망을 매개로 하여, 온라인 게임을 운영하는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 및 온라인 게임대회(OGC: Online Game Conference)의 개최·운영을 희망하는 OGC 개최자가 보유한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와 선택적으로 신호 연결되면서, 상기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접수하는 절차 및 접수된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따라, OGC를 개최·운영하는 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와;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와 신호 연결되면서,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OGC 개최신청 기초정보를 상기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 측에 제시하여, OGC 개최자 측에서,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스스로 디자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면서, 상기 OGC 개최자 측에 의해 디자인 완료된 OGC 개최신청데이터를 접수·처리하는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과;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따라, OGC 대진표가 기재된 OGC 대전일정데이터를 생성하는 OGC 대전일정 처리모듈과;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 내에, 상기 OGC 대전일정데이터에 상응하는 OGC 운영 플랫폼을 책정·배당하는 OGC 운영 플랫폼 배정모듈과;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와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OGC 대전일정데이터에 기재된 OGC 대진표에 따라, OGC 참여자를 참여시켜, 상기 OGC 운영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프레임 내에서, 온라인 게임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OGC 운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OGC 개최신청 접수모듈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의 오류내역을 체크·심사하는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과;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과 교신을 취하면서,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의 오류내역 심사결과를 상기 OGC 개최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여, OGC 개최자 측에서 자가 디자인한 OGC 개최신청데이터의 접수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OGC 개최신청데이터 접수결과 통지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 심사모듈에 의해,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오류내역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의 오류내역을 수정하여, OGC 개최신청 보정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OGC 개최신청 보정데이터를 상기 OGC 개 최자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는 OGC 개최신청데이터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온라인망에 개설된 온라인 게시수단 내에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를 게시 운영하면서, 상기 OGC 참여자 모집 매개체를 매개로 하여, OGC 참여자를 모집하는 OGC 참여자 모집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GC 대전일정데이터에 기재된 OGC 대진표를 체크하면서, 특정 OGC 참여자의 OGC 참여시점이 임박한 경우, 해당 OGC 참여자가 보유한 OGC 참여자 통신 터미널로 OGC 참여자 호출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OGC 참여자가 상기 OGC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호출하는 OGC 참여자 호출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온라인 게임 운영 서버 및 OGC 운영모듈에 의해 온라인 게임이 진행되는 상황에서, 상기 OGC 개최신청데이터에 기재된 OGC 후원자정보를 확보한 후, 확보 완료된 OGC 후원자정보를 상기 OGC 운영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프레임 내에 게시하여, 상기 OGC 후원자정보를 온라인 홍보하는 OGC 후원자정보 처리모듈을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GC 개최/운영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GC의 운영상황에 따라, 상기 OGC 개최자에 의해 제공되는 유/무형의 시상품을 상기 OGC에 참여한 일부 OGC 참여자 측에 시상하는 OGC 참여자 시상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GC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KR1020080061817A 2008-06-27 2008-06-27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KR20100001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817A KR20100001772A (ko) 2008-06-27 2008-06-27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817A KR20100001772A (ko) 2008-06-27 2008-06-27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72A true KR20100001772A (ko) 2010-01-06

Family

ID=4181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817A KR20100001772A (ko) 2008-06-27 2008-06-27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7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7378B2 (en) Online product reservation system
KR101935456B1 (ko)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ims) 채팅방에서 퀴즈와 광고 동시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14001925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rity operations in a social network
KR20120137568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연예인과 팬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방법
WO2010019792A2 (en) Sports matchmaker systems
CA2855476C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sweepstakes platform
US201701034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hallenges and awarding promotional awards through a gamified network
KR102386273B1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사이니지 시스템
US20140024436A1 (en) Scheduling and marketing of casino tournaments
KR20110061569A (ko) 위젯들을 통한 신디케이트된 광고 및 상거래
US20130097509A1 (en) Video sticker album available on line and system develoed for operationalizing such album
CA2823256A1 (en) Collaboration meeting management in a web-based interactive meeting facility
US202001678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targeted polling via an e-commerce promotions platform
US201301035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goods and services promotion
CN110910205A (zh) 一种基于充电宝的社交互动方法及系统
KR100626146B1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KR20100001772A (ko)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운영 가이드 시스템
CN106605250A (zh) 利用内容确保及扩张客户的广告方法
KR102154844B1 (ko) 오프라인 행사를 지원하는 개인 방송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행사 지원 방법
RU81825U1 (ru) Система обмена услугами
KR20130118038A (ko)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방법 및 그 시스템
Granfeldt et al. Fostering Network Effects: How to achieve user retention on multisided platforms
KR20090054611A (ko) 퀴즈정보 제공시스템 및 퀴즈정보 제공방법
KR20210147458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마케팅 방법 및 소셜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KR20220119575A (ko) 상품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상품 제공 서버 및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