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722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722A
KR20100001722A KR1020080061744A KR20080061744A KR20100001722A KR 20100001722 A KR20100001722 A KR 20100001722A KR 1020080061744 A KR1020080061744 A KR 1020080061744A KR 20080061744 A KR20080061744 A KR 20080061744A KR 20100001722 A KR20100001722 A KR 20100001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air conditioner
fastening member
wir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722A/ko
Publication of KR2010000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 그릴과, 상기 캐비닛과 상기 흡입 그릴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양단에 체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닛과 상기 흡입그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체결부재에 대응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홀에 삽입된 후에 회전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 그릴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와이어의 체결성을 개선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 또는 정화시킨 후 다시 실내로 토출시켜서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상부 전방에 배치된 전면 패널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흡입 그릴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 그릴을 회동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은 내부 점검시 상기 흡입 그릴을 개방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흡입 그릴이 개방되는 각도를 한정하기 위해서 양측에 클립이 결합된 와이어로 상기 흡입 그릴과 상기 전면 패널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흡입 그릴과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클립이 체결되는 후크가 마련된다.
전술한 공기조화기는 전면 패널의 후크에 클립을 체결하기 위해 힘을 가해 후크에 클립을 끼우는 구조이므로, 클립을 체결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에서 흡입 그릴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와이어의 체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 그릴과, 상기 캐비닛과 상기 흡입 그릴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양단에 체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닛과 상기 흡입그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체결부재에 대응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홀에 삽입된 후에 회전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 중에서 상기 홀에 삽입된 후에 회전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돌기부의 끝단에서 상 기 홀의 두께만큼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하측에는 상기 전면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을 형성하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다수개 마련되어 상기 흡입 그릴과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흡입 그릴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와이어를 쉽게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라인 조립 시 체결작업이 용이하고, 서비스 작업 시 흡입 그릴을 완전히 개방하기 위한 해체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전면 패널과 흡입 그릴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1)과, 캐비닛(1)의 상부 전방에 캐비닛(1)과 후크 결합하는 전면 패널(2)과, 캐비닛(1)의 하부와 힌지 결합하여 캐비닛(1)의 하부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흡입 그릴(3)을 포함한다.
흡입 그릴(3)은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다수개의 흡입구(3a)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 그릴(3)의 내측면 양측부에는 금속성의 보강브라켓(4)이 흡입 그릴(3)의 내측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나사홀(미도시)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흡입 그릴(3)의 후측에는 흡입구(3a)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 공기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에어필터(5)가 설치된다.
금속성의 보강브라켓(4)은 흡입 그릴(3)을 구조적으로 보강하고, 흡입 그릴(3)을 닫았을 때 캐비닛(1)의 좌우 내측면에 마련된 자석(미도시)에 의해 흡입 그릴(3)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수단의 역할을 수행한다.
에어필터(5)의 후측에는 에어필터(5)를 통과한 실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도록 증발기(6)가 설치되어 있고, 증발기(6)의 하측에는 증발기(6)에서 실내 공기가 열교환되면서 서로의 온도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를 집수하여 배수수단(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응축수받이(6a)가 설치된다.
전면 패널(2)의 상측에는 증발기(6)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측으로 토출시키도록 토출구(2a)가 형성되어 있고, 증발기(6)와 토출구(2a) 사이에는 흡입 그릴(3)의 흡입구(3a)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가 캐비닛(1) 내부로 강제흡입되게 함과 동시에 그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6)를 거쳐 토출구(2a)로 토출되도록 송풍수단(7)이 설치된다.
그리고, 토출구(2a)에는 토출구(2a)를 통하여 실내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받아 상하 및 좌우방향 으로 각각 스윙되는 상하 및 좌우풍향조절수단(8a,8b)이 설치된다.
한편, 캐비닛(1)의 바닥면에는 공기조화기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기판(9a) 및 트랜스(9b) 등이 내장된 컨트롤박스(9)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 그릴(3)은 평상시에는 캐비닛(1)의 하부 전방에 고정된 상태이지만, 내부 점검시에는 캐비닛(1)의 전방 쪽으로 회동하여 개방된다. 여기에서 흡입 그릴(3)은 캐비닛(1)의 전면으로부터 일정 각도만 개방되도록 일정 길이의 와이어(W)에 의해 전면 패널(2)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를 수리하거나 서비스 작업 시에는 와이어(W)와 전면 패널(2) 혹은 와이어(W)와 흡입 그릴(3)의 연결을 해체하여 흡입 그릴(3)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다.
와이어(W)는 한 개만 사용하여 흡입 그릴(3)과 전면 패널(2)을 연결하게 되더라도 흡입 그릴(3)의 개방을 한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 그릴(3)의 안정된 개방을 위하여 양쪽에서 와이어(W)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체결부재(20)가 전면 패널에 체결되는 순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와이어(W)의 체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와이어(W)는 흡입 그릴(3)의 개방을 한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와이어(W)의 일단에는 클립(10)이 마련되며, 와이어(W)의 타단에는 체결부재(20)가 마련된다.
클립(10)은 보강브라켓(4)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홈(4a)에 고정되고, 체결부재(20)는 전면 패널(2)의 내측면 하부 일측에 마련된 고정부(30)에 고정된다. 고 정부(30)는 내측에 홈(31)이 형성된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 패널(2)과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20)는 원통형의 몸체부(21)와, 고정부(30)의 홈(31)과 대응하는 형태로 몸체부(21)의 선단부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부(2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체결부재(20)는 위와 같이 몸체부(21)와 제1돌기부(22)로만 형성되어도 흡입 그릴(3)을 개방하여 흡입 그릴(3)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와이어(W)가 긴장된 상태일 때 와이어(W)가 고정부(3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와이어(W)를 전면 패널(2)에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해서 체결부재(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부(22)의 끝단에서 고정부(30)의 두께(t)만큼 후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21)의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부(2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부재(20)를 고정부(30)에 더욱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해서 제1돌기부(22)와 직각을 이루는 위치에 제2돌기부(23)를 각각 한 개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돌기부(23)는 제1돌기부(22)의 끝단에서 고정부(30)의 두께(t)보다 후방으로 더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2돌기부(23)는 제1돌기부(22)의 끝단에서 고정부(30)의 두께(t)만큼 후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는 제1돌기부(22)가 고정부(30)의 홈(3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돌기부(22)와 몸체부(21)가 고정부(30)에 삽입된다. 제2돌기부(23)가 고정부(30)의 후면에 걸리게 되면 제1돌기부(22)는 고정 부(30)를 빠져나온 상태이고, 체결부재(20)는 고정부(30)에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위와 같이 체결부재(20)의 제1돌기부(22)와 몸체부(21)가 고정부(30)에 삽입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를 고정부(30)에 체결시키기 위해 체결부재(20)를 회전시킨다.
여기에서 체결부재(20)는 제1돌기부(22)가 고정부(30)의 홈(3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벗어나서 제1돌기부(22)가 고정부(30)의 전면에 걸리도록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나, 제1돌기부(22)가 홈(31)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도록 180ㅀ정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를 고정부(30)에 체결시키면 체결부재(20)의 제1돌기부(22)는 고정부(30)의 전면에 걸려서 몸체부(21)의 후퇴를 제한하고, 체결부재(20)의 제2돌기부(23)는 고정부(30)의 후면에 걸려서 몸체부(21)의 전진을 제한하며, 체결부재(20)의 몸체부(21)는 고정부(3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체결부재(20)는 고정부(30)에 안정적으로 체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 그릴(3)의 개방각도를 한정하는 와이어(W)를 쉽게 흡입 그릴(3)과 전면 패널(2)에 체결할 수 있고, 내부 점검시에는 흡입 그릴(3)과 전면 패널(2)이 와이어(W)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흡입 그릴(3)을 일정한 각도만큼 개방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수리나 서비스 작업시에는 전술한 체결 순서의 역순으로 체결부재(20)를 고정 부(30)에서 해체하여 간편하게 흡입 그릴(3)을 완전히 개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면 패널과 흡입 그릴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가 고정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가 고정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가 고정부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캐비닛, 2: 전면 패널,
3: 흡입 그릴, 4: 보강브라켓,
10: 클립, 20: 체결부재,
21: 몸체부, 22: 제1돌기부,
23: 제2돌기부, 30: 고정부,
31: 홈, W: 와이어

Claims (5)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흡입 그릴과, 상기 캐비닛과 상기 흡입 그릴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양단에 체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닛과 상기 흡입그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체결부재에 대응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홀에 삽입된 후에 회전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 중에서 상기 홀에 삽입된 후에 회전하여 체결되는 체결부재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부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돌기부의 끝단에서 상기 홀의 두께만큼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주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 패널의 하측에는 상기 전면 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을 형성하는 고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다수개 마련되어 상기 흡입 그릴과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80061744A 2008-06-27 2008-06-27 공기조화기 KR20100001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44A KR20100001722A (ko) 2008-06-27 2008-06-2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744A KR20100001722A (ko) 2008-06-27 2008-06-2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22A true KR20100001722A (ko) 2010-01-06

Family

ID=4181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744A KR20100001722A (ko) 2008-06-27 2008-06-2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7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9943A1 (en) * 2009-08-26 2011-03-03 Edward Liu Vehicle seat head rest with built-in electronic applian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9943A1 (en) * 2009-08-26 2011-03-03 Edward Liu Vehicle seat head rest with built-in electronic appliance
US8292364B2 (en) * 2009-08-26 2012-10-23 Edward Liu Vehicle seat head rest with built-in electronic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40533B2 (en) Air conditioner
EP1953461A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moving front panels to suck air from a front and discharge air vertically
KR20100001722A (ko) 공기조화기
KR101271057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66393A (ko)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하우징
KR101666222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2010175195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110027508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225294Y1 (ko) 공기조화기
KR1005090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집진기 장착구조
KR2010002534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47951B1 (ko) 공기 조화기용 콘덴서 취부 장치
KR200145368Y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장착구조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101381140B1 (ko) 공기조화기
KR100613503B1 (ko) 공기조화기의 프론트 패널 구조
KR10063361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0621526B1 (ko) 에어컨의 수직블레이드 조립구조
KR10067943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379795Y1 (ko) 룸 에어컨의 열교환기 배관 구조
KR1003479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구조
KR10039240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전방커버
KR19990018714U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착탈장치
KR200288378Y1 (ko) 팬코일의 케이싱 장착구조
JP2003106746A (ja) 冷却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