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336A - 압연 이송코일의 적치장치 - Google Patents

압연 이송코일의 적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336A
KR20100001336A KR1020080061198A KR20080061198A KR20100001336A KR 20100001336 A KR20100001336 A KR 20100001336A KR 1020080061198 A KR1020080061198 A KR 1020080061198A KR 20080061198 A KR20080061198 A KR 20080061198A KR 20100001336 A KR20100001336 A KR 20100001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veyor
rolling
rolled coil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흥
서영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336A/ko
Publication of KR2010000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66C5/04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with runways or tracks supported for movements relative to bridge or gan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코일의 적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야드에 설치되는 압연코일의 적치장치에 있어서, 압연코일(C)이 로딩되는 로딩 콘베이어에 이어진 제1방향 콘베이어(20)과,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20)의 단부에 제2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압연코일을 적치하는 적치수단(100)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코일야드에서 압연코일의 적치효율을 높이고, 설치비와 압연코일을 이동하는 이동운전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연코일의 적치장치{a piling apparatus of mill coil}
본 발명은 압연 코일의 적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야드에서 압연코일의 적치효율을 높이고, 설치비와 압연코일을 이동하는 이동운전비를 절감하는 압연코일의 적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 압연공정은 제강공정의 연속 주조기로부터 공급받은 슬라브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압연에 적당한 온도로 재가열(1200 ~ 1300 ℃)하여 추출한 후, 조압연기를 통해 폭압연 및 두께 압연을 실시하고, 이어 사상압연기에서 수요자가 원하는 두께를 갖는 제품으로 최종압연을 실시하여서 된 스트립을 권취기로 감아 두루마리 형태의 압연코일로 권취하는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연코일은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콘베이어를 통해 압연공장의 적치장소에 적치하게 되는데, 도1은 종래 압연코일의 적치장치가 설치된 압연공장의 코일야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기에서 권취된 압연코일(C)은, 로딩 콘베어(1)에 로딩되어 다수의 제1방향 콘베이어(2)를 통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2)의 최종단에 설치된 제1터닝 테이블(3 : Turning Table)에서 방향을 전환 하여 다수의 제2방향 콘베이어(4)를 통해 종방향으로 이동된 후, 상기 제2방향 콘베이어(4)의 중간에 설치된 다수의 제2터닝 테이블(5)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각 제2터닝 테이블(5)에 이어진 적치 콘베이어 또는 셔틀 카(Shuttle Car)로 된 다수의 적치수단(6)에 의해 적치된다.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2)의 중간에는 압연코일(C)을 검사 또는 평량하기 위한 코일 리프터(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터닝 케이블(3)에는 상기 또 하나의 적치수단(6')이 이어져 압연코일(C)이 적치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적치수단(6, 6')에 의해 적치된 압연코일(C)은, 코일야드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코일전달 카(8)에 의해 리프팅되어 원하는 장소(P) 또는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코일야드에 설치된 적치장치는, 압연코일(C)을 제2방향 콘베이어(4)에서 다시 다수의 터닝 테이블(3)(5)에 이어진 다수의 콘베이어 또는 셔틀 카로 된 적치수단(6)(6')에 로딩하여 적치하여야 하므로, 설비가 복잡하고 설치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4) 외에 다수의 적치수단(6)(6')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인해 적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야드에서 압연코일의 적치효율을 높이고 설치비와 압연코일을 이동하는 이동운전비를 절감하는 압연코일의 적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코일야드에 설치되는 압연코일의 적치장치에 있어서, 압연코일이 로딩되는 로딩 콘베이어에 이어진 제1방향 콘베이어과,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의 단부에 제2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압연코일을 적치하는 적치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치수단은,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의 단부에 이어져 제2방향으로 설치된 제2방향 콘베이어와; 상기 제2방향 콘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이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한편 이 프레임에 설치된 크레인 본체가 상기 제2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겐츄리 크레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방향 콘베이어의 양측에는 상기 크레인 본체에 의해 이동되는 압연 코일이 안치되도록 다수의 스키드대가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연코일의 적치장치에 의하면, 코일야드에서 압연코일의 적치효율을 높이고 설치비와 압연코일을 이동하는 이동운전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압연코일의 적치장치가 설치된 코일야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3은 압연코일의 적치장치의 겐츄리 크레인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4는 도3의 입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야드에는 권취기에서 권취된 압연코일(C)이 로딩되는 로딩 콘베어(10)가 설치되고, 상기 로딩 콘베이어(10)에 이어져 상기 압연코일(C)을 제1방향(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방향 콘베이어(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20)의 단부에는 압연코일(C)의 방향을 바꾸는 스키드대 등의 터닝 테이블(30)이 설치되어 있고, 이 터닝 테이블(30)을 매개로 제2방향(종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압연코일(C)을 적치하는 적치수단(1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20)의 중간에는 압연코일(C)를 검사 또는 평량하기 위한 코일 리프터(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야드에는 상기 적치수단(100)에 의해 적치된 압연코일(C)을 리프팅하여 원하는 장소(P) 또는 다음 공정으로 코일야드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전달 카(50)가 설치되어 있 다. 상기 코일전달 카(50)는 코일야드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로딩 콘베이어(10)와, 제1방향 콘베이어(20)와, 터닝 테이블(30)과, 코일 리프터(40)와 코일전달카(50)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공지의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적치수단(100)은, 상기 터닝 테이블(30)에서 제2방향(종방향)으로 이어져 설치된 제2방향 콘베이어(110)와, 상기 제2방향 콘베이어(110)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 겐츄리 크레인(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방향 콘베이어(110)의 양측에는 상기 겐츄리 크레인(120)이 타고 이동하는 레일(130)이 제2방향(종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겐츄리 크레인(120)은, 상기 레일(130)으로 따라 이동하는 프레임(122)과, 상기 프레임(122)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크레인 본체(124)를 구비한다.
상기 양측의 레일(130) 사이에는 상기 제2방향 콘베이어(110)의 양측에 상기 크레인 본체(124)에 의해 이동되는 압연코일(C)이 안치되도록 다수의 스키드대(140)가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레인 본체(124)에는 그 하측에 위치한 고리(124a)를 가진 아암(124b)이 설치되어, 상기 압연코일(C)을 걸어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되어 있다.
상기 겐츄리 크레인(120)은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 구조는 대동 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은 도3에서 화살표 A-A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로서, 압연코일(C)과 스키드대(140)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6은 상기 겐츄리 크레인(120)의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코일야드에 설치된 압연코일의 적치장치는,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20)의 단부에 설치된 터닝 테이블(30)에 이송된 압연코일(C)을 겐츄리 크레인(120)이 바로 리프팅하여 제2방향(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크레인 본체(124)가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키드대(140)에 안치하거나, 터닝 테이블(30)에 이송된 압연코일(C)이 제2방향 콘베이어(110)을 타고 이동된 후 소정의 지점에서 겐츄리 크레인(120)이 압연코일(C)을 리프팅하여 제2방향(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크레인 본체(124)가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키드대(140)에 안치하게 된다.
상기 적치수단(100)에 의해 적치된 스키드대(140)에 적치된 압연코일(C)은, 코일야드의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코일전달 카(50)에 의해 리프팅되어 원하는 장소(P) 또는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압연코일의 적치장치는, 적치수단(100) 양측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종래 별도의 콘베이어 또는 셔틀 카(Shuttle Car) 보다 설치비 및 이동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압연코일의 적치장치가 설치된 코일야드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압연코일의 적치장치가 설치된 코일야드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압연코일의 적치장치의 겐튜리 크레인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4는 도3의 입면도,
도5는 도3에서 화살표 A-A방향으로 바라 본 단면도,
도6은 도4의 겐츄리 크레인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딩 콘베이어 20 : 제1방향 콘베이어
30 : 터닝 테이블 100 : 적치수단
110 : 제2방향 콘베이어 120 : 겐츄리 크레인
122 : 프레임 124 : 크레인 본체
130 : 레일 140 : 스키드대

Claims (3)

  1. 코일야드에 설치되는 압연코일의 적치장치에 있어서,
    압연코일이 로딩되는 로딩 콘베이어에 이어진 제1방향 콘베이어과,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의 단부에 제2방향으로 이어져 상기 압연코일을 적치하는 적치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의 적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치수단은,
    상기 제1방향 콘베이어의 단부에 이어져 제2방향으로 설치된 제2방향 콘베이어와;
    상기 제2방향 콘베이어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이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한편 이 프레임에 설치된 크레인 본체가 상기 제2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된 겐츄리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의 적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 콘베이어의 양측에는 상기 크레인 본체에 의해 이동되는 압연코일이 안치되도록 다수의 스키드대가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코일의 적치장치.
KR1020080061198A 2008-06-26 2008-06-26 압연 이송코일의 적치장치 KR20100001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198A KR20100001336A (ko) 2008-06-26 2008-06-26 압연 이송코일의 적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198A KR20100001336A (ko) 2008-06-26 2008-06-26 압연 이송코일의 적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36A true KR20100001336A (ko) 2010-01-06

Family

ID=41811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198A KR20100001336A (ko) 2008-06-26 2008-06-26 압연 이송코일의 적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3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0879B2 (en) Apparatus for moving slabs and storage with such apparatus
CN105253512B (zh) 一种带移载小车的立体仓库
RU200813286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абочих валков и/или опорных валков
CN207890448U (zh) 具有用于将仓储货物储存及出仓或转仓而设置的储存及出仓单元的高架储存设备
US20050036861A1 (en) Battery changing system for an industrial truck
CN105151374A (zh) 砖料打包系统
JP5399858B2 (ja) 重量物の搬送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重量物の搬送方法
JPS6071402A (ja) 箱型定形貨物格納設備
CN107500188A (zh) 一种仓储存取料装置的导向机构
RU106626U1 (ru) Рельсопогрузочный поезд
KR20100001336A (ko) 압연 이송코일의 적치장치
US7198452B2 (en) Bar stock loading table and apparatus
KR101225766B1 (ko) 슬라브 운송 제어 방법
CN102435072A (zh) 步进梁式加热炉和推钢式加热炉共用板坯运输设备
US3345014A (en) Coil handling apparatus
RU2534087C2 (ru) Способ укладки рельсовых путей на балласте без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пути
CN201660293U (zh) 窑炉砖坯自动上下架机
CN104294763A (zh) 一种移动模架钢筋网片转运装置
CN105540266B (zh) 翻转横移一体式码垛机
KR20110000410A (ko) 스트립 코일용 이송 장치
CN207468115U (zh) 一种随行夹具转移台装置
KR100590316B1 (ko) 적재물 분배 공급장치
CN204139067U (zh) 一种移动模架钢筋网片转运装置
CN202784807U (zh) 一种立式钢卷搬运用鞍座
CN110861872A (zh) 一种双工位卷材转运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