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057A - 나노섬유 벽지 - Google Patents

나노섬유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057A
KR20100001057A KR1020080060808A KR20080060808A KR20100001057A KR 20100001057 A KR20100001057 A KR 20100001057A KR 1020080060808 A KR1020080060808 A KR 1020080060808A KR 20080060808 A KR20080060808 A KR 20080060808A KR 20100001057 A KR20100001057 A KR 20100001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wallpaper
layer
nanofiber
nanofi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026B1 (ko
Inventor
박종철
송기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북
Priority to KR102008006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0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38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 D21H19/40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22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disinfecting, antiseptic, or corrosion-inhibiting paper antistatic, antioxygenic pa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섬유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표면지 위에 탈취, 항균, 독성물질 제거 등의 기능을 하는 기능성 물질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나노섬유층이 형성된다. 이때 나노섬유층은 수증기나 휘발성 유기물질은 통과시키고 액체 상태의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는 표면지; 표면지 위에 형성된 기능성 물질층; 및 기능성 물질층 위에 형성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층은 직경 0.1~100㎛의 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능성 벽지, 나노섬유, 전기방사, 기능성 물질

Description

나노섬유 벽지{Nano-fiber wallpaper}
본 발명은 나노섬유층와 기능성 물질층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벽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표면지 위에 기능성 물질층이 형성되어 있고, 기능성 물질층 위에 나노섬유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노섬유층은 투습성질과 방수성질을 동시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지는 주거공간의 미관을 위한 디자인적인 일차적 기능과 이에 부가된 항균, 탈취, 공기정화, 전자파 방지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하는 생활 자재이다.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을 수반한 벽지를 일반적으로 기능성 벽지라고 부르고,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이 개발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건축자재로 휘발성 유기물질(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포함하는 자재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물질은 주거공간에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아토피나 피부병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관련된 질병을 새집증후군이라 부른다. 최근에는 새집증후군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는데, 원인물질인 휘발성 유기물질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법과 더불어 이미 발생한 휘발성 유기물질의 제거 방법에 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휘발성 유기물질을 포함한 독성물질들을 제거하는 방법은 기체상태의 독성물질들을 쉽게 흡착시키거나 빛에 의한 촉매반응으로 독성물질을 분해시키는 물질을 벽지 표면에 코팅하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307520호는 표면에 맥섬석분말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코팅한 기능성 벽지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발명은 섬유재질로 된 벽지원단의 이면에 맥섬석분말, 게르마늄분말, 황토분말, 숯 분말이 아크릴바인더와 혼합된 코팅층이 형성된 기능성 벽지의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제안된 선행발명에 의하면 맥섬석분말 등의 기능성 물질이 벽지 표면에 드러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의 문지름이나 충격에 의하여 상기 기능성 물질이 쉽게 떨어지거나 또는 코팅과정에서 사용된 바인더가 기능성 물질의 표면을 덮어 기능성 물질의 작용효과가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하여는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나노섬유는 섬유 직경의 평균 직경이 50 내지 1,000 ㎚가 되는 섬유를 의미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거나 또는 제조될 수 있는 나노섬유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나노섬유는 고분자를 포함하는 방사 용액 또는 방사 용융물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될 수 있다. 현재까지 나노섬유의 생산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크게 분류하면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한 경우와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전기방사란 방사노즐을 통하여 방사용액을 공급하고 대향하는 방향으로 컬렉터를 설치하고 그 사이의 방사공간에 수십 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사용액이 방사공간에서 신장되어 나노섬유가 만들어지는 제조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일정 범위의 직경을 가지는 나노섬 유를 제조하게 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는 방사노즐이 위쪽에 위치하고 컬렉터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향식 전기방사장치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는, 방사용액을 보관하는 방사용액 탱크(미도시)와 방사용액의 일정한 공급을 위한 계량펌퍼(미도시)와 방사용액을 토출하는 다수개의 방사노즐(101)이 배열된 노즐블록(102)과 상기 노즐 아래에 위치하여 방사되는 섬유들을 집적하는 컬렉터(103) 및 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압발생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방사노즐(101)을 통한 정략적인 방사용액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방사용액은 고전압이 인가된 컬렉터(103) 방향으로 방사되어 기재(104) 위에 나노섬유(105)가 제조된다. 전기방사 장치는 노즐의 구조, 방사용액의 공급방법, 방사공간의 구성 및 인가된 고전압의 범위 등과 같은 다양한 공정 인자를 조절하여 원하는 나노섬유의 물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b에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는 하향식 전기방사장치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방사용액이 물방울 형태로 낙하하는 드롭넷(droplet) 현상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기술이다.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의 구조적인 특징은 하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수직방향으로 반대로 배치한 구조와 대체로 일치한다.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의 구조와 작동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전기방사장치로 제조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벽지를 제안한다. 이는 기능성 물질에 의한 다양한 기능을 유지하고, 벽지 표면은 방수성질을 가져 쉽게 벽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나노섬유층이 코팅된 기능성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과제는 기능성 물질의 다양한 기능을 유지하도록 유해물질 등이 자유롭게 나노섬유층을 통과할 수 있고, 방수성질을 가져 벽지 표면은 물에 젖지 않으며, 기능성 물질이 외부의 문지름과 같은 충격에 훼손되지 않는 기능성 벽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표면지; 표면지 위에 형성된 기능성 물질층; 및 기능성 물질층 위에 형성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층은 직경 0.1~100㎛의 기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의 나노섬유층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의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섬유는 불소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표면지와 기능성 물질층 사이에 제1 접착층이 추가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는 기능성 물질층과 나노섬유층 사이에 제2 접착층이 추가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의 기능성 물질층은 광촉매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의 기능성 물질층은 황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의 기능성 물질층은 숯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의 기능성 물질층은 Ag, Cu, 또는 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능성 벽지의 제2 접착층은 나노섬유층 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는 항균, 탈취, 독성물질 분해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이러한 기능을 감소시키지 않고 물 세척이 가능하다는 유리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벽지는 나노섬유층을 포함하고, 이러한 나노섬유층은 미세한 나노섬유의 불규칙한 배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벽지의 또 다른 효과는 벽지 내에 미생물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표면지란 흡음, 항균, 탈취와 같은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형성될 수 있는 벽지의 기재를 의미한다. 표면지는 건물의 벽에 직접 접착되거나 초배지 위에 접착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초배지와 결합한 형태의 다층 구조일 수도 있다. 표면지는 종이, 섬유, 고분자 수지와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문언적 의미로서의 종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노섬유란 통상적 의미로서 나노미터 단위의 직경을 가지는 섬유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섬유의 직경이 50 내지 1000㎚인 섬유를 의미한다. 나노섬유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글리콜라이드/L-락티드)공중합체, 폴리(L-락티드) 수지, 폴리비닐알콜 수지,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경우에 따라 불소와 같은 소수성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벽지에 특정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나노섬유에 광촉매물질, 도전성 물질, 항균성 물질을 결합시킬 수 있고, 추가적인 표면적의 증가를 위하여 나노섬유는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벽지에 포함되는 나노섬유층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표시되어 있지는 아니하지만 나노섬유층(201)은 섬유의 조직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 섬유의 엉킴 사이로 기공(미도시)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기공의 크기에 따라 나노섬유층(201)의 물질 투과 특성이 결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상태의 수증기(202)는 나노섬유층(201)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지만, 액체 상태의 물(203)은 나노섬유층(201)을 통과하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기체 상태의 분자나 수증기는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지는 입자로 취급할 수 있다. 단원자 분자인 경우에는 수 옴스트롱의 크기를 가지고, 여러 개의 원자가 화학결합하여 이루어진 휘발성 유기물질인 경우에도 그 크기의 단위에는 큰 변화가 없다. 수증기는 분자 간 수소결합이 가능하여 수증기의 직경이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에 이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나노섬유층에 형성된 평균적인 기공의 크기는 이보다 커서 휘발성 유기물질이나 수증기는 자유롭게 나노섬유층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액체상태의 물방울은 통상 수백 미크론에 이르는 직경을 가지고 있고, 본 발명의 나노섬유층에 형성된 평균적인 기공의 크기는 이보다 작아서 액체상태의 물은 나노섬유층을 통과하지 못한다. 물론 본 발명의 나노섬유층도 외부에서 높은 수압이 주어지면 방수 성질을 잃을 수 있지만, 통상적인 벽지의 사용 태양은 이러한 압력 범위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증기는 통과시키고 액체상태의 물은 통과시키지 않는 성질을 투습방수성이라 부른다.
투습방수성 나노섬유층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용융점이 다른 두 가지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용매에 녹여 방사용액을 만든다. 이어서, 상기 방사용액을 방사공간에 전기방사하여 기재 위에 나노섬유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나노섬유층을 열처리하게 되는데 이 때 열처리 온도는 적어도 한 종류의 고분자 수지가 완전히 용융되는 온도 이상의 온도를 선택한다. 열처리 온도의 선택에 의하여 나노섬유층의 기공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나노섬유층의 기공 크기를 0.1~100㎛로 조절하면, 수증기나 휘발성 유기물질은 통과시키고 물에는 젖지 않는 특성을 보이는 나노섬유층을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나노섬유층을 구성하는 나노섬유는 불소수지와 같은 소수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나노 섬유의 방수성질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소수성 재료를 구성하는 불소 원자는 원자들 중 가장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로서, 물과 같이 편극도가 큰 분자와 접촉한 경우에도 둘 간의 반데르발스 결합이 매우 약하여 소수성 성질을 증가시킨다. 나노섬유가 불소와 같은 소수성 재료로 이루어지더라도 나노섬유층의 기공을 기체 상태로 통과하는 휘발성 유기물질의 통과는 억제되지 않는다.
도 3a와 도 3b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벽지의 단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예의 기능성 벽지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지(301), 제1 접착층(302), 기능성 물질층(303) 및 나노섬유층(304)으로 이루어진다. 표면지(301)는 종이, 섬유, 고분자 수지와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접착층(302)은 기능성 물질층(303)을 표면지(301)와 결합시키는 수단이며, 물에 녹인 녹말풀, 가솔린에 녹인 고무풀, 시너에 녹인 플라스틱계 접착제 또는 아크릴 접착제 등이 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층(303)은 벽지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물질층으로서 항균, 탈취, 광촉매에 의한 유해물질의 분해, 독성제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의 구체적 예는, 빛에 의한 촉매작용으로 독성물질을 분해할 수 있는 TiO2,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황토, 다기공성 구조로 인하여 유해물질을 높은 효율로 흡착시킬 수 있는 숯, 항균 및 살균 특성을 가지는 Ag, Cu, Al 등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능성 물질층(303)과 나노섬유층(304)은 일정한 결합력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는 투습방수성 나노섬유층의 제조과정에서 완전용융된 나노섬유에 의한 결합력이다. 나노섬유층(304)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습방수성을 보인다. 나노섬유층(304)의 투습성질은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물질을 자유롭게 통과시켜, 기능성 물질층(303)을 구성하는 기능성 물질인 숯에 물리적으로 흡착시키거나 TiO2에 의한 광촉매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노섬유층(304)은 그 두께가 수백 미크론을 넘지 않으므로 광촉매 반응을 위한 빛의 통과를 허용한다. 나노섬유층(304)의 방수성질은 나노섬유층(304)이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하여 손때 등으로 벽지가 오염된 경우 물 세척이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나노섬유층(304)은 기능성 물질층(303)을 문지름과 같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나노섬유층(304)은 벽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직경이 매우 작은 섬유들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흡음과 차음 특성을 가진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의 제2 실시 예의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기능성 벽지는 표면지(301), 제1 접착층(302), 기능성 물질층(303), 제2 접착층(305) 및 나노섬유층(304)을 포함한다. 제2 접착층(305)은 기능성 물질층(303)과 나노섬유층(304)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수단이다. 제2 접착층(305)은 기능성 물질층(303)의 전면에 형성되어서는 안되고, 기능성 물질층(303)과 나노섬유층(304)의 부착력은 유지하되 휘발성 유기물질 등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메쉬(mesh) 형태 이거나 연속된 도트(dot)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방사장치는 방사노즐(401), 컬렉터(402) 및 방사공간(403)을 포함하고, 상기 컬렉터(402) 면을 따라 기능성 물질층(405)이 형성된 표면지(404)가 공급된다. 상기 표면지(404)가 전기방사장치의 방사공간을 통과하며 전기방사에 의하여 기능성 물질층(405) 위에 나노섬유(406)가 코팅된다. 나노섬유층(406) 형성을 위한 전기방사 조건은 방사액의 성분, 방사공간의 구성, 인가 전압, 표면지의 이동속도와 같은 다양한 공정변수에 의하여 결정이 된다. 공정변수들에 의해 결정되는 전기방사 조건은 형성되는 섬유의 직경이 나노섬유의 범위를 만족시키고, 투습방수성 나노섬유층을 형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이어야 한다. 전기방사에 의하여 나노섬유가 형성된 벽지는 열압착기(408)를 통과한다. 열압착기(408)는 압착을 통하여 나노섬유층의 조직을 조밀하게 만들고, 가열을 통하여 나노섬유층을 이루는 일부 섬유들을 완전 용융시켜 투습방수성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선택적으로 열압착기 대신 열만을 전달하는 가열로를 통과시키는 방법으로도 투습방수성 나노섬유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압착 또는 가열공정은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한 나노섬유 코팅에 이은 연속공정이 아닌 비연속적인 공정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기재(501)에 나노섬유층(502)을 형성시킨 후, 기재(501)와 나노섬유층(502)을 분리시킨다. 전기 방사에 의하여 기재(501) 위에 형성된 나노섬유(502)는 기재(501)와 약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권취장치(503)에 의한 물리적 힘으로 분리가 가능하고, 분리된 나노섬유는 권취장치(503)에 의해 권취된 형태로 준비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노섬유를 기능성 물질(504)이 코팅된 표면지(505)와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은 접착제(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열압착기(507)로 열압착 또는 열처리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와 도 5b에서는 기재(501)와 나노섬유층(502)의 분리, 및 기능성 물질(504)이 형성된 표면지(505)와의 결합을 연속적인 공정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5a의 권취장치(503)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도 5b의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면지에 기능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TiO2 광촉매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비닐클로라이드와 같은 공중합체 복합물에 입자 형태의 TiO2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그라비아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스폰지롤 코팅, 또는 리버스롤 코팅과 같은 다양한 코팅 방법으로 표면지에 코팅한 다음 가열하여 겔화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벽지의 또 다른 효과는 벽지 내에 미생물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벽지의 내부 구성물이나 벽과 벽지 사이의 공간에 미생물이나 곰팡이의 먹이가 될 만한 영양분이 존재하면 일정정도의 습기의 도움으로 미생물이 서식하거나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수십에서 수백 미크론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곰팡이의 포자 또한 수십 미크론 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나노섬유층의 기공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벽지 내부로의 미생물이나 곰팡이 포자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다.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도 1a는 하향식 전기방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상향식 전기방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벽지를 구성하는 나노섬유층의 투습방수성질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벽지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10)

  1. 표면지;
    표면지 위에 형성된 기능성 물질층; 및
    기능성 물질층 위에 형성된 나노섬유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층은 직경 0.1~100㎛의 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층을 형성하는 섬유는 불소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지와 기능성 물질층 사이에 제1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층과 나노섬유층 사이에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층은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층은 황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층은 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층은 Ag, Cu 또는 A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나노섬유층 위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벽지.
KR1020080060808A 2008-06-26 2008-06-26 나노섬유 벽지 KR10097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808A KR100974026B1 (ko) 2008-06-26 2008-06-26 나노섬유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808A KR100974026B1 (ko) 2008-06-26 2008-06-26 나노섬유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57A true KR20100001057A (ko) 2010-01-06
KR100974026B1 KR100974026B1 (ko) 2010-08-04

Family

ID=4181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808A KR100974026B1 (ko) 2008-06-26 2008-06-26 나노섬유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735A1 (ko) * 2012-02-28 2013-09-06 Park Haeng-Su 기능성 참숯 분말 함유 코팅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807B1 (ko) * 2001-10-09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촉매를 함유하는 기능성 벽지
KR100541716B1 (ko) * 2004-01-30 2006-01-11 디에스지대동월페이퍼 주식회사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벽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735A1 (ko) * 2012-02-28 2013-09-06 Park Haeng-Su 기능성 참숯 분말 함유 코팅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4026B1 (ko)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Hierarchical porous poly (l-lactic acid) nanofibrous membrane for ultrafine particulate aerosol filtration
US8303693B2 (en) Nanofiber filter facemasks and cabin filters
KR100928232B1 (ko)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방진, 방취 및 항균용 필터
JP5006346B2 (ja) ファインファイバーと反応性、吸着性または吸収性微粒子とを含むウェブ
US20110192789A1 (en) Metal or metal oxide deposited fibrous materials
EP2801400B1 (en) Biocide-loaded electrospun nanofibers supported by adhesive-free thin fabric for pathogen removal filtration
JP2009034677A (ja) 触媒担持繊維構造体の製造方法
Amid et al. Hybrid adsorbent nonwoven structures: a review of current technologies
JP2008036880A (ja) 積層不織布、ゲル化シート及びフィラー固着シート
KR100974026B1 (ko) 나노섬유 벽지
JP2014032066A (ja) 放射性物質吸着材
KR102563110B1 (ko) 나노 섬유 필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9080A (ko) 미세먼지 차단을 위한 탄소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방진망
KR20100024123A (ko) 수분흡착성능이 우수한 벽지
JP5946894B2 (ja) ナノファイバーを用いたフィルター
KR100987136B1 (ko)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나노섬유 벽지
JP5910399B2 (ja) 環境汚染物質の除去方法
KR100987134B1 (ko)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나노섬유 벽지
KR101386391B1 (ko) 백혈구 제거용 필터 및 그의 제조방법
JP6633832B2 (ja) ナノファイバー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2002317399A (ja) 壁 紙
JP2016168592A (ja) 接着剤吹き付け装置
KR100987138B1 (ko) 광촉매 물질이 포함된 나노섬유 벽지
US20230233967A1 (en) Air filtration material, filter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27877A (ko) 다층 에어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