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038A -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038A
KR20100001038A KR1020080060776A KR20080060776A KR20100001038A KR 20100001038 A KR20100001038 A KR 20100001038A KR 1020080060776 A KR1020080060776 A KR 1020080060776A KR 20080060776 A KR20080060776 A KR 20080060776A KR 20100001038 A KR20100001038 A KR 20100001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 data
url address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0436B1 (ko
Inventor
박훈규
김종흠
김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6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4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30Writer recognition; Reading and verifying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디지털 컨텐츠의 경로를 보호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을 위하여 가입자 단말에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경로의 직접 노출을 차단하고 재사용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주소를 생성하는 URL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URL 주소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 권한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로딩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보호, URL 주소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PATH OF DIGITAL CONTENTS}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경로를 보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을 위하여 가입자 단말에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경로의 직접 노출을 차단하고 재사용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고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컨텐츠의 제공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는 복사 및 변형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한 배포 및 공유가 용이하여 불법복제와 불법배포의 위험성이 있으며, 실제적으로 디지털 컨텐츠를 정당한 권한 없이 복제하고 제공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정당한 권한 없는 디지털 컨텐츠의 복제 및 제공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함)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종래에는 DRM 시스템을 구축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고, 해당 디 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라이센스를 취득하여야만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DRM 기술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컨텐츠에 적용되고 있다.
DRM 기술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통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자와 사용권한(횟수, 기간) 등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업자와 체결한 컨텐츠 사용권리 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DRM 기술은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배포하고 정당한 라이센스(license)를 획득한 사용자에게만 복호화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불법복제 및 불법전송 등의 저작권 침해 행위를 방지한다. 여기서, 라이센스는 컨텐츠에 대한 접근 또는 사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리객체(Right Object)를 의미하며, 컨텐츠와는 독립적으로 이동 및 복사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DRM 기술은 별도의 라이센스 비용이 요구되며, 시스템 구축 비용도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뿐만 아니라, DRM 기술의 적용을 위하여 사용자의 단말에 DRM 클라이언트 모듈을 탑재하여야 하며, DRM 기술 간의 호환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서비스 사업자들은 DRM 기술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서비스 제공에 사용되는 디지털 컨텐츠가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주소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경로가 노출될 수 있는 경우, 디지털 컨텐츠의 직접 노출 및 재사용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종래의 한국공개특허 제2005-0055109호는 디지털 방송 환경하에서 방송(On-air)되는 디지털 방송 스트림에 제어 정보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고 그 제어 정보를 처리하여 시청자가 저장한 이후 컨텐츠의 소비까지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제어 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컨텐츠에 제어 정보를 삽입하는 등의 컨텐츠 가공 과정이 필요하여, 기존의 컨텐츠를 그대로 사용할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 URL 주소로부터 컨텐츠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컨텐츠의 사용 횟수 또는 시간 제한 등을 통하여 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가입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주소를 생성하는 URL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URL 주소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 권한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로딩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a)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로딩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서비스 URL 주소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URL 주소를 이용한 컨텐츠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데이터 요청이 유효한 경우, 상기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가입자 단말은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 받으므로, 컨텐츠 데이터가 서비스 URL 주소로부터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서비스 URL 주소에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가 포함되고, 사용 권한 정보에 의해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 여부가 결정되어, 컨텐츠 데이터의 부당한 재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100), 서비스 플랫폼(200) 및 컨텐츠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
가입자 단말(100)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주소를 서비스 플랫폼(200)에 요청한다.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 주소는 컨텐츠 소스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가 아니라, 컨텐츠를 로딩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 정보 와 컨텐츠를 로딩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권한 정보를 포함하는 URL 주소이다.
가입자 단말(100)은 서비스 플랫폼(200)으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 주소를 수신하고, 수신한 서비스 URL 주소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요청하고, 요청한 컨텐츠 데이터를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플랫폼(200)은 URL 생성부(210) 및 컨텐츠 관리부(220)를 포함한다.
URL 생성부(210)는 가입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티켓 발행을 컨텐츠 관리부(220)로 요청한다.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요청은 컨텐츠에 대한 티켓의 요청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URL 생성부(210)는 컨텐츠 관리부(220)로부터 수신한 티켓 스트링(string)을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 주소를 생성한다. 티켓 스트링은 횟수 또는 시간 제한에 따른 컨텐츠 사용 권한 정보, 즉 티켓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횟수 또는 시간 제한에 따른 컨텐츠 사용 권한 정보는, 예를 들어, 5회까지 컨텐츠의 재생이 허용된다는 정보 또는 30분 이내에만 컨텐츠의 사용이 허용된다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RL 생성부(210)가 생성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 주소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한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정보 및 컨텐츠 데이터 관리를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비스 URL 주소는 컨텐츠를 로딩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위치 정보와 컨텐츠를 로딩하기 위한 식별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권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URL 주소는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http://192.168.0.1/DMSP/download.aspx?p=1f2e345a.....
여기서 "download.asp"는 컨텐츠를 로딩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이며, 가입자 단말 또는 서비스 플랫폼에서 구동되어, 컨텐츠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로 로딩한다.
기존의 서비스 URL 주소가 컨텐츠 데이터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여, 컨텐츠 소스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제공하였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 주소는 컨텐츠 데이터 파일의 정보 대신에 컨텐츠 로딩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며, 가입자 단말은 컨텐츠 로딩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컨텐츠 데이터 파일이 서비스 URL 주소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서비스 URL 주소에서 컨텐츠 로딩 어플리케이션 파일로서 확장명이 "asp"인 파일이 표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컨텐츠 로딩 어플리케이션 파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x?p=1f2e345a....."는 컨텐츠 데이터 관리를 위한 파라미터이며, 이러한 컨텐츠 관리용 파라미터는 컨텐츠 관리부(220)로부터 수신한 티켓 스트링, 가입자 인증을 위한 전자 서명 스트링, 가입자 단말(도시 생략)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자(ID) 스트링 등을 암호화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용 파라미터는 전자 서명 스트링을 포함하여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 관리용 파라미터는 티켓 스트링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대한 컨텐츠 사용의 허용 및 제한 등의 컨텐츠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티켓은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티켓 타입이 분류될 수 있으며, 티켓 타입에 따라 컨텐츠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 타입은 컨텐츠의 종류에 따 라 동영상, 음원, 이미지 타입을 분류될 수 있으며, 분류된 티켓에 따라 차별화된 컨텐츠 관리가 수행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220)는, 서비스 URL 주소를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100)이 컨텐츠를 로딩하고자 하는 경우, 가입자 단말(100) 또는 가입자 단말(100)의 가입자에게 컨텐츠에 대한 정당한 사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컨텐츠를 호출하여 가입자 단말(100)에 컨텐츠를 제공하며, 제공된 컨텐츠의 사용에 대응하는 가입자의 컨텐츠 사용 권한, 이른바 티켓을 소진시켜 그 기록을 저장한다.
이처럼 서비스 플랫폼(200)은 컨텐츠 제공에 필요한 서비스 URL을 가입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한편, 가입자의 컨텐츠 사용 권한 검증, 컨텐츠의 호출 및 컨텐츠 사용에 따른 티켓 소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가입자 단말(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 받고, 가입자 단말(100)의 요청에 대한 유효성 판단을 서비스 플랫폼(200)에 요청하며, 서비스 플랫폼(200)으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호출에 응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가입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부(220)는 정보 생성부(222), 사용 권한 판단부(224), 컨텐츠 호출부(226) 및 사용 권한 관리부(228)를 포함한다.
정보 생성부(222)는 URL 생성부(도시 생략)의 티켓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티켓 스트링을 생성하여 URL 생성부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티켓 스트링은 티켓 식별자(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티켓 식별자(ID)는 컨텐츠 재생 가능 횟수 또는 재생 가능 시간 등의 컨텐츠 사용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권한 판단부(224)는, 컨텐츠 로딩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통해 가입자 단말(도시 생략)로부터 컨텐츠의 로딩 요청이 있는 경우, 티켓 식별자(ID)에 포함된 컨텐츠 사용 권한 정보를 분석하여 가입자 단말 또는 가입자 단말의 가입자에게 컨텐츠에 대한 정당한 사용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컨텐츠 호출부(226)는, 컨텐츠의 로딩을 요청한 가입자에게 정당한 사용 권한이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도시 생략)로부터 컨텐츠를 호출하여 가입자 단말에 컨텐츠를 제공한다.
사용 권한 관리부(228)는 가입자 단말에 제공된 컨텐츠의 사용에 대응하는 가입자의 컨텐츠 사용 권한, 이른바 티켓을 소진시켜 컨텐츠 사용 권한의 변경에 대한 기록을 저장한다.
또한, 가입자로부터 티켓의 정당한 충전 요청이 있는 경우, 컨텐츠 관리부(220)는 그에 응답하여 가입자의 컨텐츠 사용 권한을 증가시키고 컨텐츠 사용 권한의 변경에 대한 기록을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단계(S105)에서, 가입자 단말(100)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 요청을 서비스 플랫폼(200)에 전송한다. 가입자 단말(100)이 사용 요청을 하는 컨 텐츠는 동영상, 음원,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0)에서, 가입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플랫폼(200)은 티켓 스트링(string)을 생성한다. 티켓 스트링은 티켓 식별자(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티켓 식별자(ID)는 컨텐츠 재생 가능 횟수 또는 재생 가능 시간 등의 컨텐츠 사용 권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 식별자(ID)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정보, 즉 티켓 스트링 생성시간을 포함하여 특정 시간, 예를 들어 30분 이후부터 컨텐츠 재생을 차단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티켓 식별자(ID)는 횟수를 기준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횟수를 기준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정보는 미리 설정된 횟수, 예를 들어 5회의 컨텐츠 재생 이후부터 컨텐츠의 재생을 차단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200)은 가입자 별로 티켓 식별자를 관리할 수 있으며, 컨텐츠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가입자 별 티켓 식별자를 포함하는 티켓 스트링을 생성한다.
단계(S115)에서, 서비스 플랫폼(200)은 단계(S110)에서 생성된 티켓 스트링을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 주소를 생성한다.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 주소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한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정보 및 컨텐츠 데이터 관리를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용 파라미터는 티켓 스트링, 가입자 인증을 위한 전자 서명 스트링, 가입자 단말(10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자 스트링 등을 암호화하여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서비스 플랫폼(200)은 단계(S115)에서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 주소를 가입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단계(S125)에서, 가입자 단말(100)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의 서비스 URL 주소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한다. 가입자 단말(100)이 수신한 서비스 URL 주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로딩 어플리케이션 파일의 정보, 특히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입자 단말(100)은 서비스 URL 주소를 이용해 컨텐츠 로딩 어플리케이션 파일을 로딩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300)에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단계(S125)에서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요청과 함께 수신한 서비스 URL 주소의 적합성 및 컨텐츠 데이터 요청의 유효성에 대한 판단을 서비스 플랫폼(200)에 요청한다.
단계(S135)에서, 서비스 플랫폼(200)은 단계(S130)에서 수신한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URL 주소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컨텐츠 데이터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서비스 URL 주소의 적합성은 시스템적으로 규정한 상호규약에 맞고, 임의의 수정이 가해지거나 통신상의 오류로 변형된 URL 주소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데이터 요청의 유효성은 서비스 URL 주소에 포함된 컨텐츠 데 이터 관리용 파라미터로부터 가입자에 대하여 컨텐츠 사용 요청 횟수 및 시간이 유효한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처럼 서비스 플랫폼(200)은 서비스 URL 주소의 적합성 및 컨텐츠 데이터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가입자의 컨텐츠에 대한 권한을 검증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단계(S135)에서 서비스 URL 주소가 적합하고 컨텐츠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비스 플랫폼(200)은 서비스 URL 주소의 적합성 및 컨텐츠 데이터 요청의 유효성에 대한 판단 결과 및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제공 요청을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서비스 플랫폼(200)은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의 사용에 대응하는 가입자 컨텐츠 사용 권한, 이른바 티켓을 소진시켜 그 기록을 저장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컨텐츠가 요청되기 이전의 가입자의 컨텐츠 사용 권한이 5회이었다면, 티켓의 소진으로 인하여 가입자의 컨텐츠 사용 권한은 4회로 감소되고, 변경된 컨텐츠 사용 권한이 서비스 플랫폼(200)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티켓의 소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가입자 단말(100)로 컨텐츠가 실제로 전송된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S145)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검색하여 가입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단계(S150)에서, 가입자 단말(100)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해 컨텐츠를 재생한다. 컨텐츠의 재생은 컨텐츠 데이터 파일 전체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한 재생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에서 서비스 URL 주소를 수신한 가입자 단말(100)은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지만, 이와 달리 가입자 단말(100)은 서비스 URL 주소를 이용하여 서비스 플랫폼(200)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플랫폼(200)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 URL 주소의 적합성 및 컨텐츠 데이터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서비스 URL 주소가 적합하고 컨텐츠 요청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비스 플랫폼(200)은 컨텐츠 제공 서버(300)로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제공을 요청하고,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의 사용에 대응하는 가입자 컨텐츠 사용 권한, 이른바 티켓을 소진시켜 그 기록을 저장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300)는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검색하여 가입자 단말(100)로 전송하며, 가입자 단말(100)은 수신한 컨텐츠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 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

Claims (10)

  1.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주소를 생성하는 URL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URL 주소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식별 정보, 상기 사용 권한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로딩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일은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 권한 정보를 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로딩을 수행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관리 부는 상기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되는 범위만큼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제공 가능 범위를 감소시키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가능 범위의 기준은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는 횟수인 것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가능 범위의 기준은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는 시간인 것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URL 주소는 가입자 인증을 위한 전자 서명 스트링을 더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7.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에 있어서,
    (a)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사용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 정보 및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로딩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서비스 URL 주소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URL 주소를 이용한 컨텐츠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데이터 요청이 유효한 경우, 상기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서비스 URL 주소에 포함된 사용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d2) 상기 요청된 컨텐츠 데이터가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에 대응되는 범위만큼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사용 권한의 범위를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URL 주소는 가입자 인증을 위한 전자 서명 스트링을 암호화하여 포함하는 것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가능 범위의 기준은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는 횟수 또는 시간인 것인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
KR1020080060776A 2008-06-26 2008-06-26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470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776A KR101470436B1 (ko) 2008-06-26 2008-06-26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776A KR101470436B1 (ko) 2008-06-26 2008-06-26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38A true KR20100001038A (ko) 2010-01-06
KR101470436B1 KR101470436B1 (ko) 2014-12-08

Family

ID=4181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776A KR101470436B1 (ko) 2008-06-26 2008-06-26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832B1 (ko) * 2020-10-27 2021-08-26 (주)인투월드테크놀러지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659B1 (ko) * 2019-06-12 2020-05-29 주식회사 마크로젠 보안성이 강화된 데이터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2984B2 (ja) * 1998-04-10 2003-11-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使用期限付き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832B1 (ko) * 2020-10-27 2021-08-26 (주)인투월드테크놀러지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436B1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8935B2 (ja) 長期にリニューアル可能なセキュリティを提供するコンテンツセキュリティ方法、その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記憶媒体
RU2375748C2 (ru) Представление защищенного цифрового контента в рамках сети вычисли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или т.п.
JP5200204B2 (ja) 高信頼性システムを含む連合型デジタル権限管理機構
EP1530885B1 (en) Robust and flexi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involving a tamper-resistant identity module
US7971261B2 (en) Domain management for digital media
JP5192556B2 (ja) 海賊行為を規制し、インタラクティブコンテンツを使用可能にするための再プログラマブルなセキュリティ
JP4861331B2 (ja) コンテンツ権利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権利管理方法
US20050268343A1 (en) Application management device and its method
US200602420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cense distribution
US200401483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 media content file over a network
KR100734033B1 (ko) 방송 콘텐츠 보호/관리 시스템
US200902824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ly Distributing Content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JP2004532495A5 (ko)
JP2004030326A (ja) コンテンツ利用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を利用し又は提供する情報処理装置又は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60126958A (ko) 콘텐츠 배신 방법 및 콘텐츠 서버
KR101470436B1 (ko)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
JP2005128960A (ja) 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及び方法
JP5022169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送信装置、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並びに、アプリケーション送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送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受信プログラム
KR100903107B1 (ko) 개인 drm이 적용된 개인 멀티캐스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JP2004110277A (ja) コンテンツ配信管理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504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ntents streamed through re-transmission
KR100708777B1 (ko)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방송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105179A (ko) 실행형 멀티미디어 매체 및 그 재생 방법, 실행형멀티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47470B1 (ko) 온라인 권한 객체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클라이언트
KR20090022831A (ko) 팩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