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832B1 -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832B1
KR102292832B1 KR1020200140139A KR20200140139A KR102292832B1 KR 102292832 B1 KR102292832 B1 KR 102292832B1 KR 1020200140139 A KR1020200140139 A KR 1020200140139A KR 20200140139 A KR20200140139 A KR 20200140139A KR 102292832 B1 KR102292832 B1 KR 102292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ervice provider
service
user terminal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무혁
Original Assignee
(주)인투월드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투월드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인투월드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0014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플랫폼사업자 서버 및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은 (a)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에 입력하거나 상기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기 설정된 조건이 구성된 제1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b)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조건의 성취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건의 성취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 접속을 허용하는 리다이렉션(redirection) 명령을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상기 리다이렉션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로 구성된 제2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플랫폼사업자는 웹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웹브라우저를 포함한 플랫폼을 서비스제공자에게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는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플랫폼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웹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웹페이지는 단일 또는 복수의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페이지는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복수의 메뉴가 있을 때, 각각의 메뉴의 클릭에 대응하는 다른 화면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QUENTIAL WEB PAGES BETWEEN PLATFORM BUSINESS OPERATORS AND SERVICE PROVIDERS}
본 발명은 플랫폼사업자 서버 및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프라인 활동이 주를 이루었던 1차 산업을 비롯한 모든 산업 영역에서 이제는 온라인을 통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시장이 형성되는 웹서비스 시대가 되었다. 이는 넓게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정의될 수 있는데, 웹서비스 제공자는 본인의 서버를 운용하여 리소스를 클라이언트에 출력하고, 다수의 인터넷 사용자들은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클라이언트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공유하는 형식이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 및 웹뷰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보통 웹서비스 제공자는 클라이언트를 제작, 배포하는 사업자에게 대가를 지불하고 서버 구축, 웹사이트 개설을 포함한 웹 서버를 운영하기 위한 전반적인 플랫폼을 제공받는다.
웹서비스 제공자들은 일반적으로, 플랫폼 제공 사업자에게 해당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을 요구할 수도 있고, 자체 담당자를 두거나 개발회사와 연계하여 원하는 웹 컨텐츠를 개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기존의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시작부터 종료까지 웹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만 이용 할 수 있고, 컨텐츠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 제공 사업자에 관한 컨텐츠는 노출되지 않는 실정이다.
인터넷 사용 초기에는 특정 웹브라우저가 독점하는 시장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접속이 증가함에 따라 수많은 웹브라우저들이 출현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경쟁 구도를 이루고 있다. 또한, 대용량 서버를 구축한 많은 업체들이 웹브라우저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배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쟁 구도에서, 특정 클라이언트로 웹서비스를 제공받는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해당 클라이언트를 운영하는 사업자로서의 권리와 의무가 직접 제공되고 제어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사용자 들이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웹서비스제공자의 컨텐츠를 이용하려는 경우, 먼저 웹브라우저 내 서비스제공자의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입력을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수신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특정 조건이 구성된 플랫폼사업자의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조건이 성취된 경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서비스제공자의 컨텐츠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 서버 및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은, (a)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에 입력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기 설정된 조건이 구성된 제1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b)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조건의 성취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건의 성취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 접속을 허용하는 리다이렉션 명령을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상기 리다이렉션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로 구성된 제2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플랫폼사업자는 웹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웹브라우저를 포함한 플랫폼을 서비스제공자에게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는 플랫폼사업자의 플랫폼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웹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웹페이지는 단일 또는 복수의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페이지는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복수의 메뉴가 있을 때, 각각의 메뉴의 클릭에 대응하는 다른 화면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은, 상기 (c)단계 후,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웹페이지 사용종료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로 구성된 제3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웹페이지 내지 제3웹페이지의 제공은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제1컨텐츠 내지 제3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공간적인 분리 제공의 개념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은,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조건의 불성취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 접속을 차단하고 기 설정된 차단메세지 또는 제3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은, 상기 (a)단계 전에,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플랫폼사업자와 플랫폼 사용에 관한 계약을 맺은 서비스제공자의 URL정보 및 상기 계약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웹페이지는 상기 조건과 함께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기 설정된 다른 컨텐츠가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은, 상기 조건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수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조건 성취에 관한 기준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은, 상기 조건이 상기 서비스제공자와 관련된 조건인 경우,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 상태의 점검을 수행하고, 상기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은, 상기 (a)단계는,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 접근 실태와 관련된 빅데이터를 각 사용자 단말 별로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빅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웹페이지는 상기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 컨텐츠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웹페이지와 제 2 웹페이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분할하며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장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URL을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에 입력하는 경우,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기 설정된 조건이 구성된 제1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조건의 성취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건의 성취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로 접속을 허용하는 리다이렉션 명령을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리다이렉션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로 구성된 제2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 서버 및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앱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에 있어서, (a)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앱페이지에 입력하거나 상기 앱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기 설정된 조건이 구성된 제1앱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b)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조건의 성취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건의 성취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 접속을 허용하는 리다이렉션(redirection) 명령을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상기 리다이렉션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로 구성된 제2앱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상기 플랫폼사업자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앱페이지를 포함한 플랫폼을 서비스제공자에게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는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플랫폼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앱페이지는 단일 또는 복수의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페이지는 하나의 앱페이지 내에 복수의 메뉴가 있을 때, 각각의 메뉴의 클릭에 대응하는 다른 화면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 시스템은, 인터넷 사용자에게 플랫폼사업자의 컨텐츠가 구성되어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플랫폼사업자의 권리나 의무를 행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계속적으로 사용자들에게 플랫폼사업자를 인식시킴으로써,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사업자는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 연결이 되기 전, 사용자에게 서비스에 대한 긴급한 정보를 알리거나, 서비스 연결의 동의를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도 확인 후 서비스 연결이 가능하므로, 예상치 못한 서비스 제공이나 긴급한 정보에 따라 서비스 연결을 원하지 않는 경우 거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사업자는 서비스제공자의 컨텐츠가 정당하지 못하거나, 서비스제공자와의 소정의 계약에 기초하여 정당한 대가가 지급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을 차단할 수 있어, 플랫폼사업자 및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제1웹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자와 관련된 조건이 성취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제1웹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제3웹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에서 단계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VR HMD(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GearVR, DayDream, PSVR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R HMD 는 PC용 (예를 들어, HTC VIVE, Oculus Rift, FOVE, Deepon 등)과 모바일용(예를 들어, GearVR, DayDream, 폭풍마경, 구글 카드보드 등) 그리고 콘솔용(PSVR)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Stand Alone 모델(예를 들어, Deepon, PICO 등) 등을 모두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NFC, RFID, 초음파(Ultrasonic), 적외선, 와이파이(WiFi), 라이파이(LiFi) 등의 통신 모듈을 탑재한 각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된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10), 플랫폼사업자 서버(200),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플랫폼사업자 서버(200)가 제공하는 제1웹페이지(110) 및 제3웹페이지(130)와 서비스제공자 서버(200)가 제공하는 제2웹페이지(120)는 본 시스템의 이해를 위하여 추가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는 웹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웹브라우저(10)를 포함한 플랫폼을 서비스제공자에게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한다. 플랫폼사업자는 서비스제공자에게 전체적인 웹서비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웹서버를 구축하게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10)로부터 HTTP와 같은 프로토콜(Protocol)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과 같은 웹언어로 이루어진 웹페이지를 반환하는 프로그램 및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고, 플랫폼사업자 서버(200)의 일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웹서비스의 바탕이 되는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줄 수 있으며, 웹사이트 각각의 웹페이지는 해당 웹브라우저(10)의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URL로 웹브라우저(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의 요청에 따라 각 웹페이지에 구성되는 컨텐츠의 개발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제공자와의 계약에 기초하여 해킹방지보안 기능이나 사용자 데이터 제공서비스 등의 비즈니스적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사업자는 특정 웹브라우저(10)를 개발 및 배포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서비스제공자는 상술한 플랫폼을 제공받아 웹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자로서, 플랫폼사용자와의 계약에 따른 소정의 대가를 지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웹페이지는 단일 또는 복수의 서브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페이지는 메인 웹페이지에 복수의 메뉴가 있는 경우, 각각의 메뉴에 대응하는 화면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메인 웹페이지의 URL에 종속하는 독자적인 URL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웹페이지는 플랫폼사업자 및 서비스제공자가 의도하는 컨텐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웹사이트와 같은 형식일 수 있으며 특히 서비스제공자가 제공하는 제2웹페이지(12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되는 과정만 다를 뿐, 종래의 웹사이트 형식과 완전히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을 수신하고 제1웹페이지(110)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웹페이지(110)에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조건(301)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조건(301)이 제1웹페이지(110)의 컨텐츠로 구성된 경우, 조건(301)의 성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여하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서비스제공자 서버(300) 접속을 허용하는 리다이렉션(redirection) 명령을 세비스제공자 서버(300)에 전송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의 서비스제공자 서버(300) 접속을 차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제공자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2웹페이지(120)에 대한 사용종료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3웹페이지(130)를 제공할 수 있다. 제3웹페이지(130)에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플랫폼사업자가 서비스제공자의 역할을 하여 원하는 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2웹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제1웹페이지 제공(110)을 생략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제1웹페이지(110) 또는 제3웹페이지(130)의 제공을 동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10)의 검색 인터페이스에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검색하는 경우,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플랫폼사업자가 운영하는 포털사이트를 제2웹페이지로 하여, 제1웹페이지(110)를 생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 검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플랫폼사업자와 계약을 맺은 서비스제공자 리스트와 해당 웹페이지(120)의 URL리스트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비스제공자와 맺은 계약과 관련된 정보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자에게 제공된 서버, 웹페이지의 정량적인 정보, 각 웹페이지에 구성된 컨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너, 그 밖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웹서비스 시스템 구축비용, 전체 또는 분기별 플랫폼 사용요금 등을 포함한 서비스제공자가 지급해야 하는 대가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의 상태 변화, 예를 들어, 서버의 일시적 다운여부, 해킹이 시도된 횟수 및 시간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플랫폼을 이용하여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도 저장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저장된 정보는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물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실행된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2웹페이지(120)를 제공한다. 플랫폼사업자 서버(100)가 먼저 제공한 제1웹페이지 내 설정된 조건(301)의 성취에 따른 리다이렉션 명령을 플랫폼사업자 서버(1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한 URL에 대응하는 웹페이지(120)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제2웹페이지(120)에 구성된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플랫폼사업자와의 계약에 기초하여 제공받은 온라인상의 재화를 통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에 제2웹페이지(120)를 제공하면서,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나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요청하는 메시지, 즐겨찾기 또는 바탕화면아이콘 등록을 요청하는 메시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2웹페이지(120)는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플랫폼사업자가 개발하여 서비스제공자에게 제공한 것이거나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 사이 소정의 계약에 기초하여 서비스제공자가 개발하고 운영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웹페이지 내 설정된 조건(301)이 성취되면, 사용자 단말(100) 상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로 실행되어 사용자는 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제 1웹페이지 내 설정된 조건(301)에 이를 설치하도록 요청하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고, 조건(301)과 별개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 정보가 제 1웹페이지의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운로드 정보는 단문메시지(SMS), 장문메시지(LMS), 푸쉬(Push)알림 등의 형태로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지속적으로 서버(300)의 상태 및 서버(300)가 제어하는 웹페이지(120)들의 정보, 예를 들어, 웹페이지의 정량적인 정보, 각 웹페이지에 구성된 컨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너, 그 밖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정보들을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상술한 계약정보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이와 같은 정보들을 플랫폼사업자 서버(200)에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물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공유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제2웹페이지(120)의 사용을 종료하는 입력이 웹브라우저(10)를 통하여 발생한 경우,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이를 수신하고, 플랫폼사업자 서버(200)에 사용종료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프로토콜을 통하여 웹브라우저(10)에 열람종료에 대한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고 웹페이지가 출력되는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10)는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쌍방향 통신의 GUI기반 응용 소프트웨어이거나, 웹 뷰 기능을 갖춘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웹 2.0(WEB 2.0) 기반의 서버 형식을 갖춘 것으로서, 동시에 웹브라우저(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의 제2웹페이지(120)는 개인 블로그, 채널 등의 서브페이지의 역할로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대용량 고성능 서버를 보유한 사업자가 구축한 어플리케이션(10)인 경우, 웹브라우저의 기능을 대부분 또는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제공에 대한 고유한 목적과 기능을 가진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고, 사용자 단말(100)상에 실행되어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비록 웹 뷰 기능을 갖추지 않았더라도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웹브라우저(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플랫폼사업자가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이거나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 사이 소정의 계약에 따라 서비스제공자가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웹페이지(110) 내지 제 3웹페이지(130)에 상응하여 제 1앱(App)페이지 내지 제 3앱페이지가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 과정을 설명한다. 생략된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상술한 내용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10)를 통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URL을 입력하거나 서비스제공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다. URL 입력은 웹브라우저(10)의 일 영역에 있는 입력 바에 직접 입력하거나 하이퍼링크(hyperlink)를 통한 GUI를 클릭하는 형식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내 설치된 웹브라우저(10)는 기 설정된 웹언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통화 관련 앱을 실행시키지 않고, 웹브라우저(10)에 관한 앱이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된 상태에서 바로 전화 콜(CALL) 요청을 전화망 네트워크에 전송하도록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는 발신 명령어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포그라운드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의 일정 용량을 차지하며 실행되는 앱실행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 상에 제공되어 있는 웹페이지의 일 영역에는 전화 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즉, 현재 웹브라우저(10)상에 출력된 웹페이지 상태에서 웹브라우저(10)의 발신 명령에 따라 통화서비스가 수행되는 것과 연계된 통화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웹페이지 일 영역에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제공자의 전화번호정보가 포함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 입력을 수행하면, 웹브라우저(10)는 전화 콜 요청을 전송하도록 하는 발신 명령을 사용자 단말(100)의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발신 명령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전화망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화 콜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서비스제공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웹브라우저(10)를 통한 전화걸기 이외에, 사용자 단말(100)은 일반적인 전화걸기를 통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서비스제공자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고, 이와 연계된 웹서비스를 요청하면, 해당 웹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정보를 SMS, LMS, 푸쉬알림 등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여 접속을 유도하는 종래의 푸쉬(push)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 상기 접속정보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이 발생하면,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10)가 사용자 단말(100) 상에 실행되고, 플랫폼사업자 서버(200)가 상기 입력을 수신하여 제 1웹페이지(110)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100)에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10)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웹서비스 제공이 불가한 경우,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다운로드정보를 상기 접속정보와 함께 또는 접속정보보다 먼저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단계 S210에서 수행된 사용자 단말(100)의 URL입력 및 전화 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을 수신하고 제1웹페이지(110)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웹페이지(11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URL에 대응하는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120)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기 설정된 조건 컨텐츠(301)가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기 설정된 조건(301)의 성취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수행이 요구되는 조건(301)이 구성된 제1웹페이지(110)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각 화면 상단에 도시된 것은, 제1웹페이지(110)에 대응하는 URL(302)이 표시된 예시이다. 제1웹페이지(110)에 구성된 조건(301)에 따라 URL(302)의 서브 주소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제1웹페이지(110)화면에는 서비스제공자 사이트에 대한 유해정보 포함 여부의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확인의 입력을 요청하는 조건(301)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가 무조건적으로 연결되기 전에, 상기 조건(301)에 따라 거부가 가능함으로써, 실수로 수행된 클릭이 있거나, 예상치 못한 정보의 수신이 예상되는 경우에 대한 사용자의 보호가 가능하다.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제1웹페이지(110)화면에는 소정의 광고 스트리밍 컨텐츠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일정시간 시청을 요청하는 조건(301)이 구성되어 있다. 해당 광고는 플랫폼사업자 자체에 대한 것이거나, 특정 서비스제공자의 후원에 따른 광고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가 무조건적으로 연결되기 전에, 플랫폼사업자에게 서비스를 홍보하거나 광고에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제1웹페이지(110)에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수행이 요구되는 조건(301)이 구성된 경우,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조건 성취에 관한 기준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을 수신한 후,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 이외에도,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와 관련된 기 설정된 응용프로그램이나 보안프로그램 설치 요청, 플랫폼사업자를 표상하는 로고가 수반된 인터페이스의 클릭 요청, 플랫폼사업자 웹사이트의 기본 홈페이지 설정 요청 등 구성에 한정 없이 서비스 연결에 연계된 조건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사업자 서버(200)가 제공하는 제1웹페이지(110)는 서비스 연결 전에 사용자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서비스와 관련된 부가적인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플랫폼사업자로서 자신의 웹브라우저(10)를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서비스제공자와 관련된 조건(301)이 구성된 제1웹페이지(110)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의 각 화면 상단에 도시된 것은, 제1웹페이지(110)에 대응하는 URL(302)이 표시된 예시이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웹페이지(110)에 구성된 조건(301)에 따라 URL(302)의 서브 주소가 달라질 수 있다.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제1웹페이지(110)화면은 플랫폼사업자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한 URL에 대응하는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의 상태를 점검한 후,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100)에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하는 조건(301)이 성취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출력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에 서비스가 연결되기 전에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에 해킹의 위험이 감지된 경우, 이를 긴급하게 알리고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물론, 서버의 일시적 점검, 네트워크 방화벽의 작동, 악성코드 및 바이러스의 위험성 등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의 상태에 관한 조건(301)의 구성은 다양할 수 있다.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제1웹페이지(110)화면은 서비스제공자와 플랫폼사업자의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제공자의 정당한 수행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100)에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하는 조건(301)이 성취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출력된 것이다. 정당한 수행에는, 웹서비스 시스템 구축비용, 전체 또는 분기별 플랫폼 사용요금 등 서비스제공자의 정상적인 대가 지급이 있었는지 여부, 유해하거나 선정적인 컨텐츠 등 기 설정된 계약에 위반된 컨텐츠 및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는지 여부 등이 해당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서비스제공자의 의무가 불이행되는 경우에 대해서 서비스의 차단 및 중단이 가능함으로써, 플랫폼사업자 및 사용자를 보호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조건(301)들은 서로 결합하여 제1웹페이지(110)에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사업자 서버(200)가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의 상태를 점검한 후, 해킹의 위험을 감지한 경우, 서비스 연결의 차단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사용자 단말(100)에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로 접속여부 확인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웹페이지(110)는 조건(301)과 함께 플랫폼사업자의 기 설정된 다른 컨텐츠(303)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자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 대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는, 플랫폼사업자의 최근 정보에 관한 컨텐츠를 제공하여 홍보 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플랫폼사업자를 대표하는 사이트의 메인페이지를 조건(301)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웹페이지(110)는 플랫폼사업자가 설정한 컨텐츠가 구성에 한정 없이 포함될 수 있어, 플랫폼사업자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제1웹페이지(110)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 별로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웹페이지(110)가 제공된 각 사용자 단말(100)의 IP(Internet Protocol)주소를 기억하여 각 사용자의 웹페이지 접근 실태를 수집하고, 자주 요청한 웹서비스의 종류 및 내용을 분석하여 추천 컨텐츠 및 웹사이트를 추출할 수 있다.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단계S231의 리다이렉션 명령과 함께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의 빅데이터를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제공자와의 계약에 따라 상기 빅데이터를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와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서비스제공자의 웹사이트에 가입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IP주소에 대응하는 빅데이터를 정기적으로 플랫폼제공자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제공받은 사용자의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맞춤 컨텐츠로 제2웹페이지(120)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의류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웹페이지(120)인 경우,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로부터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스타일에 대해 분석된 빅데이터를 제공받고 이에 해당하는 품목을 제2웹페이지(120)의 메인페이지에 게재함으로써,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제1웹페이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별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제공함으로써, 자체적으로 빅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려운 규모의 웹서버를 보유한 서비스제공자에게 비즈니스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플랫폼사업자 서버(200)가 제공하는 제1웹페이지(110) 및 제3웹페이지(130) 또한, 사용자 단말(100)별 빅데이터에 기초한 맞춤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232에서 플랫폼사업자 서버(200)가 기 설정된 조건(301)이 성취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URL에 대응하는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접속을 차단하고 기 설정된 차단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메시지는 도4에 구성된 화면이미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게 후속 조치를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플랫폼사업자의 전화번호정보가 포함된 전화 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웹브라우저(10) 상에서 플랫폼사업자와 사용자 사이의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조건(301)의 불성취가 판단된 경우, 제3웹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31에서 플랫폼사업자 서버(200)가 기 설정된 조건(301)이 성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웹브라우저(10)를 통하여 리다이렉션(redirection) 명령을 서비스제공자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이 URL을 재입력하지 않고, 방향 변경 명령어를 통하여 제1웹페이지(110) 제공 전 입력한 신호를 서비스제공자 서버(200)가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상기 리다이렉션 명령에 따라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 서비스제공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로 구성된 제2웹페이지(12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하여 제공받고자 했던 웹서비스를 즐길 수 있으며,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이 단계에서 발생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2웹페이지의 구성은 상술한 기재에 갈음하도록 한다.
단계 S250에서 사용자 단말(100)에 의한 제2웹페이지(120)의 사용을 종료하는 입력이 웹브라우저(10)를 통하여 발생한 경우, 서비스제공자 서버(300)는 이를 수신하고, 플랫폼사업자 서버(200)에 사용종료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프로토콜을 통하여 웹브라우저(10)에 열람종료에 대한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 플랫폼사업자 서버(200)는 상기 사용종료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00)에 제3웹페이지(13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제공하는 제3웹페이지(130)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웹페이지(130) 또한 고유의 URL(502)이 부여된 웹페이지로서, 플랫폼사업자가 설정한 다양한 컨텐츠(501)가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에 대해 설문하거나 평가하는 컨텐츠, 사용자의 제2웹페이지(120) 열람 로그 제공 컨텐츠, 사용자가 웹브라우저(10)를 통하여 접속한 웹사이트 및 전화를 건 서비스제공자의 통계제공 컨텐츠, 사용자 단말(100)별 수집된 빅데이터에 기초한 추천컨텐츠 및 추천웹사이트 제공 컨텐츠 등 구성에 한정없이 다양한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웹페이지(110)와 마찬가지로 플랫폼사업자 서버(100)의 빅데이터 수집에 대한 자료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웹페이지(130)를 통하여, 웹브라우저(10)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들에 대한 플랫폼사업자로서의 권리와 의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에서 단계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바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이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10)를 통하여 웹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제공자의 URL(402)을 입력하거나 서비스제공자에게 전화를 걸면, 서비스가 연결될 수 있는 조건(301) 및 플랫폼사업자가 기 설정한 컨텐츠(303)가 포함된 제1웹페이지(110)가 사용자 단말(100)에 먼저 제공되고, 조건이 성취된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웹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는 컨텐츠(401)가 포함된 서비스제공자의 제2웹페이지(120)가 제공되며, 웹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기 설정된 컨텐츠(501)가 포함된 플랫폼사업자의 제3웹페이지(130)가 순차적으로 분할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사용자와 서비스제공자 사이의 상호 교류만 이루어지던 웹서비스 시스템과 달리, 플랫폼사업자로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수집이나 광고가 이루어질 수 있고,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 분할 제공 서비스는 시간적으로 분할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되는 것 이외에 공간적 분할의 개념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 화면의 일 영역 내에 제 1웹페이지(110)가 구성되고 나머지 영역에 제 2웹페이지(12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 2웹페이지(120)와 제 3웹페이지(130) 또한 사용자 단말(100)화면 내 소정의 공간에 할당되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는 팝업(pop-up)창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간적인 분할이 이뤄지는 경우, 사용자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어 경제적이며,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가 연결될 수 있는 조건(301)의 성취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분할 제공 서비스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100)이 동일한 서비스제공자의 URL(402)을 재입력하거나 서비스제공자와 다시 통화를 하는 경우, 제1웹페이지(110) 및 제3웹페이지(130)의 제공이 생략되고 제2웹페이지(120)가 바로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랫폼사업자 서버 및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메모리와 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로도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 100: 사용자 단말
200: 플랫폼사업자 서버 300: 서비스제공자 서버
110: 제1웹페이지 120: 제2웹페이지
130: 제3웹페이지

Claims (11)

  1. 플랫폼사업자 서버 및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가 제공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웹브라우저에 입력하거나 상기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웹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기 설정된 조건이 구성된 제1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조건의 성취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건의 성취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 접속을 허용하는 리다이렉션(redirection) 명령을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리다이렉션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로 구성된 제2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플랫폼사업자는 웹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웹브라우저를 포함한 플랫폼을 서비스제공자에게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는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플랫폼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웹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웹페이지는 단일 또는 복수의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페이지는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복수의 메뉴가 있을 때, 각각의 메뉴의 클릭에 대응하는 다른 화면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제1웹페이지는 상기 조건과 함께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가 구성되는 것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d) 상기 (c)단계 후,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웹페이지 사용종료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로 구성된 제3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e) 상기 (b)단계에서,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조건의 불성취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 접속을 차단하고 기 설정된 차단메세지 또는 상기 제3웹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전에,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플랫폼사업자와 플랫폼 사용에 관한 계약을 맺은 서비스제공자의 URL정보 및 상기 계약의 계약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계약정보는 서비스제공자에게 제공된 서버정보, 웹페이지의 정량정보, 웹페이지에 구성된 컨텐츠, 사용자 인터페이스, 배너 및 부가서비스 정보와 웹서비스 시스템 구축비용, 전체 또는 분기별 플랫폼 사용요금을 포함하는 서비스제공자가 지급해야 하는 대가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과 관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특정 수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조건 성취에 관한 기준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이 상기 서비스제공자와 관련된 조건인 경우,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 상태의 점검을 수행하고, 상기 계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페이지 접근 실태와 관련된 빅데이터(big data)를 각 사용자 단말 별로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빅데이터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웹페이지는 상기 빅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 컨텐츠로 구성된 것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웹페이지와 제 2 웹페이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분할하며 동시에 표시되는 것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11. 플랫폼사업자 서버 및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앱페이지 분할 제공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이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앱페이지에 입력하거나 상기 앱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기 설정된 조건이 구성된 제1앱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플랫폼사업자 서버가 상기 조건의 성취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조건의 성취로 판단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 접속을 허용하는 리다이렉션(redirection) 명령을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리다이렉션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제공자 서버가 상기 서비스제공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로 구성된 제2앱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플랫폼사업자는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앱페이지를 포함한 플랫폼을 서비스제공자에게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서비스제공자는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플랫폼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자를 의미하고,
    상기 앱페이지는 단일 또는 복수의 서브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페이지는 하나의 앱페이지 내에 복수의 메뉴가 있을 때, 각각의 메뉴의 클릭에 대응하는 다른 화면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제1앱페이지는 상기 조건과 함께 상기 플랫폼사업자의 기 설정된 컨텐츠가 구성되는 것인,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앱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KR1020200140139A 2020-10-27 2020-10-27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2292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39A KR102292832B1 (ko) 2020-10-27 2020-10-27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139A KR102292832B1 (ko) 2020-10-27 2020-10-27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832B1 true KR102292832B1 (ko) 2021-08-26

Family

ID=7746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139A KR102292832B1 (ko) 2020-10-27 2020-10-27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8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038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3875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53080A (ko) * 2013-11-07 2015-05-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038A (ko) * 2008-06-26 2010-01-06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컨텐츠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3875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닉신디케이트 지도기반의 다층 구조를 갖는 웹페이지 메뉴 컨트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53080A (ko) * 2013-11-07 2015-05-1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6728B2 (ja) 動的コード管理
CN107368487B (zh) 一种页面组件动态布局方法、装置及客户端
US9898260B2 (en) Adaptive function-based dynamic application extension framework
TWI703463B (zh) 資訊顯示方法、裝置及智能終端
US20170371974A1 (en) Method for loading webpage, client and programmable device
CN105843815B (zh) 页面评论处理方法、装置和浏览器
CN103907112A (zh) 管理与网络资源相关的信息
US10057275B2 (en) Restricted content publishing with search engine registry
US9235693B2 (en) System and methods thereof for tracking and preventing execution of restricted applications
EP4022867A1 (en) Connecting web publisher inventory to programmatic exchanges without third-party cookies
CN106557584A (zh) 一种网址收藏方法及装置
KR102292832B1 (ko)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2310497B1 (ko)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웹브라우저 상에서 전화 콜 요청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874390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CN113220296B (zh) 安卓系统交互方法及装置
KR102565724B1 (ko) 패킷 분석 기반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속성 판단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프로그램
US201700762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device predictive response capabilities
CA3226177A1 (en) Publisher permissioned activation in cookieless authentication environment
KR20220055730A (ko)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된 웹브라우저 상에서 전화 콜 요청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CN113660166A (zh) 交易路由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714383A (zh) 一种资源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08520013A (zh) 图集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