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080A -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080A
KR20150053080A KR1020130134827A KR20130134827A KR20150053080A KR 20150053080 A KR20150053080 A KR 20150053080A KR 1020130134827 A KR1020130134827 A KR 1020130134827A KR 20130134827 A KR20130134827 A KR 20130134827A KR 20150053080 A KR20150053080 A KR 2015005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locking
harmful
harmful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2467B1 (ko
Inventor
배재환
강민성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케이에스인터렉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케이에스인터렉티브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4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41Countermeasures against malicious 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플랫폼 기반의 다수의 사용자단말에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중 유해정보를 확인하여 차단하도록 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 플랫폼을 포함하는 다수의 사용자단말에서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유해정보차단서버에 접속하고 유해정보의 차단을 요청하고, 다수의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되,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정보를 감시하여 상기 정보 중 유해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유해정보가 있으면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유해정보의 제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HARMFUL INFORMATION BASED ON MULTI PLATFORMS}
본 발명은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플랫폼을 포함하는 다수의 사용자단말에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중 유해정보를 확인하여 차단하도록 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화 사회로 진행해 나감에 따라 사회, 문화 및 경제 등 전 분야에서 인터넷이 중요하고도 필수적인 매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통신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서 인터넷에 수시로 접속할 수 있게 되고 인터넷을 사용하는 연령층도 점차 내려가고 있다. 이에 지각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어린이들은 스마트폰 등을 통한 유해정보에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유해정보 차단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인터넷상에 유포되어 있는 유해물 파일로부터 해쉬값을 추출하여 DB를 구축하고 접속하고자 하는 파일의 해쉬값을 비교하여 유해정보인지를 판단하거나 디지털 콘텐츠의 패킷내에 포함된 콘텐츠 정보와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기준인 시청제한 정보를 비교하여 디지털 콘텐츠의 차단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디지털 콘텐츠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유해한 컨텐츠로 판단되면 해당 컨텐츠에 유해등급을 기록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유해등급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유해정보 차단 시스템은 인터넷 상에 표시될 정보가 기존의 DB에 기저장된 유해정보인지를 확인하고 유해정보이면 차단하는 기술로서 그 많은 유해정보를 완벽히 차단하기 어려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은 독자적인 플랫폼별로 개발되어 이들의 통합적인 관리 및 운용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멀티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유해정보에 접속한 이후의 사후관리에 필요한 기술에 대한 요구도 계속 있어왔다.
공개특허공보 제2009-0003574호 (공개일: 2009.01.12) 등록특허공보 제10-0725544호 (등록일 : 2007.05.30) 등록특허공보 제10-0517645호 (등록일 : 2005.09.2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플랫폼에서 구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멀티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그 차단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플랫폼을 포함하며 각각 유해정보차단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웹 상에서 제공되는 정보 중 유해정보의 차단을 요청하는 다수의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웹 상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웹서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실행되는 유해정보 차단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유해정보 차단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의 단말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유해정보를 차단하는 유해정보차단서버; 및 웹상에서 제공되는 유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는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유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가 유해정보이면 상기 정보의 제공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및 휴대형 스마트기기가 공동작업을 수행가능한 멀티플랫폼 기반의 온라인 응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유해정보의 종류별, 웹서버별 유해정보, 사용자단말별 유해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유해정보의 차단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웹서버로의 접속차단, 상기 유해정보의 다운로드 차단,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유해정보의 삭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정보 중 유해정보에 마킹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마킹이 표시된 정보를 유해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유해정보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은, 멀티 플랫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 사용자로부터 상기 유해정보 차단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포함한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유해정보의 차단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 및 유해정보차단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유해정보의 차단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실행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로 상기 유해정보의 차단을 요청하는 프로그램실행부; 및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의 유해정보 차단에 따라 상기 유해정보를 차단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부; 및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하여 유해정보인지를 확인하고 유해정보이면 정보제공을 차단하는 유해정보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정보차단부는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보 제공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가 유해정보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유해정보를 자동갱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유해정보차단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실행이 시도되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가 유해정보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단방법은,
멀티 플랫폼을 포함하는 다수의 사용자단말에서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유해정보차단서버에 접속하고 유해정보의 차단을 요청하는 요청단계; 다수의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단계;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정보를 감시하여 상기 정보 중 유해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유해정보가 있으면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유해정보의 제공을 차단하는 차단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중 유해정보가 있다면 그 유해정보에 별도의 마킹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정보 중 마킹이 있는 정보를 유해정보라 판단하여 그 유해정보를 삭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을 자주 이용하는 어린이들이 유해정보(유해사이트, 유해동영상, 유해검색어, 유해 애플리케이션 등)에 접속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건전한 인터넷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상에서의 유해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플랫폼 상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에 따른 위험알림 과정을 보이는 흐름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100)은 멀티플랫폼 기반의 다수의 사용자단말(110), 인터넷망(120), 유해정보차단서버(130), 웹서버(140), 유해정보 데이터베이스(DB)(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단말(110)은 인터넷망(120)을 통해 다양한 웹서버(140)에 접속이 가능하고 이들 웹서버(140)에 접속하여 각종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10)은 컴퓨터장치로서, 예컨대 컴퓨터, 노트북, 개인용PC 등을 비롯하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PC가 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PC는 인터넷을 통해 가상화 기술과 지능형 관리기술을 기반으로 PC 안에 가상 데스크탑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사용자단말(110)은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유해정보차단서버(130)로 접속되며, 이러한 유해정보차단서버(130)에 의해 웹서버(14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중 유해정보를 차단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은 기존의 PC뿐만 아니라 휴대형 스마트기기 등이 공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플랫폼 기반의 온라인 응용 프로그램이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단말(110)을 구성하는 다양한 장치들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플랫폼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각기 다른 플랫폼 사용자단말 간의 통신이 요구되므로 상호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 전송방식에 대하여 적절한 변환모듈이 요구된다.
인터넷망(120)은 사용자단말(110)이 웹서버(140) 및 유해정보차단서버(130)에 접속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러한 인터넷망(120)은 유선망, 무선망 또는 이들의 융합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해정보차단서버(130)는 인터넷망(120)을 통해 사용자단말(110)과 연결되며 사용자단말(110)이 인터넷망(120)을 통해 각종 웹서버(140)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때, 이러한 정보 중 유해정보 여부를 판단하고 유해정보이면 해당 유해정보를 차단하여 웹서버(140)로부터 사용자단말(110)로 제공되지 않도록 한다.
웹서버(140)는 웹(web) 상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는 다수의 사용자단말(110)이 인터넷망(120)을 통해 웹서버(14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웹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한다. 물론 웹서버(140)에서 멀티플랫폼 기반의 사용자단말(110)로 각종 정보들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멀티플랫폼 기반의 온라인 응용을 위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다수의 유해정보를 저장한다. 이는 종류별, 웹서버별, 시간별, 사용자단말별 등과 같이 각각의 분야별로 구분하여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유해정보차단서버(130)는 웹서버(140)에서 사용자단말(110)로 제공되는 정보를 체크하고, 그 해당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유해정보를 비교하여, 그 해당 정보가 유해정보이면 사용자단말(110)로 제공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차단에는 사용자단말(110)에서 웹서버(140)로의 접속을 차단하거나 특정 파일의 다운로드를 차단하거나 사용자단말(110)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단말(110)은 입력부(111), 표시부(112), 저장부(113), 통신부(114), 프로그램실행부(115) 및 단말제어부(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1)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컨대 이러한 입력부(111)는 웹서버(140)의 접속, 유해정보차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인터넷망(120)으로의 접속 등에 대한 각종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표시부(112)는 유해정보 차단과정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표시부(112)는 예컨대 액정표시장치(LCD),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입력부(111)와 표시부(112)는 터치패널,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13)는 유해정보 차단을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저장부(113)는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공지의 앱마켓이나 유해정보차단서버(130) 등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통신부(114)는 인터넷망(120)을 통해 유해정보차단서버(130)를 비롯하여 다양한 웹서버(140)와 통신을 담당한다. 특히 초기 로그인 과정, 다른 다수의 사용자단말(110)과의 동시성 제어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114)는 다른 사용자단말(110)과의 통신도 수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실행부(115)는 저장부(113)에 저장된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는 입력부(1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113)에 저장된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사용자단말(110)에서 실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유해정보 차단 애플케이션 프로그램은 멀티플랫폼(예:PC, PDA, Phone 등) 온라인 응용프로그램으로서 각 사용자단말(1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6)는 사용자단말(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단말제어부(116)는 사용자단말(110)의 위치정보를 기설정된 다른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프로그램실행부(115)를 구동하도록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해정보차단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해정보차단서버(130)는 데이터송수신부(131), 사용자인증부(132), 유해정보차단부(133), 애플리케이션 연동부(134) 및 서버제어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송수신부(131)는 사용자단말(110)과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한다. 특히 사용자단말(110)로부터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단말(110)로 다운로드되도록 한다.
사용자인증부(132)는 사용자단말(11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사용자인증부(132)는 사용자에 대한 기초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유해정보를 차단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정립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은 예컨대 사용자단말(110)에 내장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로그인 창을 통해 입력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로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증결과는 유해정보차단부(133)으로 전달된다.
유해정보차단부(133)는 웹서버(130)에서 사용자단말(110)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하여 유해정보인지를 확인하고 유해정보이면 해당 정보의 제공을 차단하도록 한다. 유해정보의 판단은 유해정보 DB(160)에 기저장된 유해정보와 비교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유해정보차단부(133)는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각종 정보들을 수집하고 이러한 정보들이 유해정보인지이면 유해정보 DB(160)에 저장한다. 이러한 유해정보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갱신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유해정보차단부(133)는 사용자단말(110)에서 실행, 저장이 시도되는 정보와 유해정보 DB(160)에 저장된 유해정보를 실시간으로 1:1 비교를 통해 그 해당 정보가 유해정보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만약 그 해당 정보가 유해정보이면 그 정보에 별도의 마킹을 표시함으로써 해당 정보가 유해정보임을 알리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단말(110)은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웹서버(140)로부터 제공받는 정보 중 마킹이 표시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정보를 유해정보라 판단하여 삭제, 실행취소, 저장불가 등과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유해정보차단서버(130)가 웹서버(140)에서 사용자단말(110)로 유해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초기부터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연동부(134)는 사용자단말(11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유해정보 차단요청의 수신 및 그에 대한 응답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10)에 설치되어 있는 유해정보 차단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유해정보차단서버(130)의 애플리케이션 연동부(134)가 동작하여 해당 사용자단말(110)에 대한 유해정보 차단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연동부(134)는 사용자단말(110)에서 요청하거나 등록한 유해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맞는 유해정보가 유해정보차단부(133)에서 차단되도록 한다.
서버제어부(135)는 유해정보차단서버(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방법은 사용자단말(110)에서 설치된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01). 이러한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유해정보차단서버(130)에 접속하여 유해정보의 차단을 요청한다(S103). 이로써 유해정보차단서버(130)는 사용자단말(110)로 유해정보가 제공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 계속하여, 사용자단말(110)에서 인터넷망(120)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서버(14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한다(S105). 이에 웹서버(140)는 사용자단말(110)에서 요청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한다(S107).
이때, 유해정보차단서버(130)는 웹서버(140)에서 해당 사용자단말(110)로 제공되는 정보 중 유해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S109), 유해정보가 있으면(S111) 해당 유해정보가 사용자단말(110)로 제공되는 것을 차단하고(S113), 없으면(S111) 그 정보를 사용자단말(110)로 제공한다(S115). 물론, 유해정보차단서버(130)는 사용자단말(110)에 대한 단말 및 사용자정보를 이미 확인한 상태이다. 여기서, 유해정보의 차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10)에서 웹서버(140)로의 접속을 차단하거나 특정 파일의 다운로드를 차단하거나 사용자단말(110)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유해정보차단서버(130)는 웹서버(140)에서 사용자단말(110)로 제공하는 정보 중 유해정보가 있다면 그 유해정보에 별도의 마킹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단말(110)의 단말제어부(116)에서 웹서버(140)로부터 제공받는 정보 중 마킹이 있는 정보를 유해정보라 판단하여 그 유해정보를 삭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사용자단말 111 : 입력부
112 : 표시부 113 : 저장부
114 : 통신부 115 : 프로그램실행부
116 : 단말제어부 120 : 인터넷망
130 : 유해정보차단서버 131 : 데이터송수신부
132 : 사용자인증부 133 : 유채정보차단부
134 : 애플리케이션 연동부 135 : 서버제어부
140 : 웹서버 150 : 유해정보 데이터베이스(DB)

Claims (10)

  1.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플랫폼을 포함하며 각각 유해정보차단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웹 상에서 제공되는 정보 중 유해정보의 차단을 요청하는 다수의 사용자단말;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요청되는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해 웹 상에서 제공하는 다수의 웹서버;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실행되는 유해정보 차단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유해정보 차단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의 단말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유해정보를 차단하는 유해정보차단서버; 및
    웹상에서 제공되는 유해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는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유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가 유해정보이면 상기 정보의 제공을 차단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 및 휴대형 스마트기기가 공동작업을 수행가능한 멀티플랫폼 기반의 온라인 응용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유해정보의 종류별, 웹서버별 유해정보, 사용자단말별 유해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정보의 차단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웹서버로의 접속차단, 상기 유해정보의 다운로드 차단,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유해정보의 삭제를 포함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정보 중 유해정보에 마킹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마킹이 표시된 정보를 유해정보로 판단하여 상기 유해정보를 삭제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사용자단말은,
    멀티 플랫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
    사용자로부터 상기 유해정보 차단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포함한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유해정보의 차단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 및 유해정보차단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유해정보의 차단을 위한 데이터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실행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로 상기 유해정보의 차단을 요청하는 프로그램실행부; 및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의 유해정보 차단에 따라 상기 유해정보를 차단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는,
    상기 사용자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는 데이터송수신부;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부; 및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하여 유해정보인지를 확인하고 유해정보이면 정보제공을 차단하는 유해정보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정보차단부는 상기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보 제공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가 유해정보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상기 유해정보를 자동갱신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정보차단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실행이 시도되는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유해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정보가 유해정보인지를 판단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9. 멀티 플랫폼을 포함하는 다수의 사용자단말에서 유해정보 차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유해정보차단서버에 접속하고 유해정보의 차단을 요청하는 요청단계;
    다수의 웹서버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단계;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정보를 감시하여 상기 정보 중 유해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유해정보가 있으면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유해정보의 제공을 차단하는 차단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정보차단서버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중 유해정보가 있다면 그 유해정보에 별도의 마킹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정보 중 마킹이 있는 정보를 유해정보라 판단하여 그 유해정보를 삭제하는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방법.
KR1020130134827A 2013-11-07 2013-11-07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KR10154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27A KR101542467B1 (ko) 2013-11-07 2013-11-07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27A KR101542467B1 (ko) 2013-11-07 2013-11-07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080A true KR20150053080A (ko) 2015-05-15
KR101542467B1 KR101542467B1 (ko) 2015-08-11

Family

ID=5338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827A KR101542467B1 (ko) 2013-11-07 2013-11-07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4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181A (ko) * 2018-02-23 2019-09-16 주식회사 넥스트키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동영상 제공 방법
KR102095303B1 (ko) * 2019-08-27 2020-03-31 (주)벨루트 전화번호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158747B1 (ko) * 2019-10-30 2020-09-22 김민석 유해 콘텐츠 게시 방지 및 차단 장치
KR102292832B1 (ko) * 2020-10-27 2021-08-26 (주)인투월드테크놀러지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CN114461025A (zh) * 2021-12-28 2022-05-10 中科信息安全共性技术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能够进行拦截的网络违法信息识别服务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181A (ko) * 2018-02-23 2019-09-16 주식회사 넥스트키 어린이 대상 콘텐츠를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동영상 제공 방법
KR102095303B1 (ko) * 2019-08-27 2020-03-31 (주)벨루트 전화번호 위변조 방지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158747B1 (ko) * 2019-10-30 2020-09-22 김민석 유해 콘텐츠 게시 방지 및 차단 장치
WO2021085718A1 (ko) * 2019-10-30 2021-05-06 김민석 유해 콘텐츠 게시 방지 및 차단 장치
KR102292832B1 (ko) * 2020-10-27 2021-08-26 (주)인투월드테크놀러지 플랫폼사업자와 서비스제공자의 웹페이지 분할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CN114461025A (zh) * 2021-12-28 2022-05-10 中科信息安全共性技术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能够进行拦截的网络违法信息识别服务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467B1 (ko)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432B1 (en) Remote management of application settings
US10635793B2 (en) Restricted accounts on a mobile platform
US883923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1522595B (zh) 短暂应用
JP5019653B2 (ja) インターネットコンテンツの配信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756651B2 (en) Policy compliance-based secure data access
US201401366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parent control on mobile device
KR101542467B1 (ko) 멀티 플랫폼 기반의 유해정보 차단시스템
US8935357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1382421A (zh) 一种业务访问控制方法、系统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20089974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30105627A (ko) 획득된 파일의 평판 검사
US20140365668A1 (en) Using a template to update a stack of resources
WO2017185696A1 (zh) 防沉迷方法及系统
EP3491808B1 (en) Interchangeable retrieval of content
CN102136049B (zh) 一种终端应用的安全管理方法及系统
CN1973255A (zh) 管理和传递软件更新的系统和方法
CN108135026B (zh) Wi-Fi连接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6357807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和系统
US20120084848A1 (en)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0457612B (zh) 一种终端页面访问方法及系统
CN103716295A (zh) 网络系统和非暂态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11875A (zh) 拨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350738B2 (en) Template representation of security resources
KR101666064B1 (ko)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 url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