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980A -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애드혹모드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애드혹모드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980A
KR20100000980A KR1020080060682A KR20080060682A KR20100000980A KR 20100000980 A KR20100000980 A KR 20100000980A KR 1020080060682 A KR1020080060682 A KR 1020080060682A KR 20080060682 A KR20080060682 A KR 20080060682A KR 20100000980 A KR20100000980 A KR 20100000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ssid
connection
hoc mod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6076B1 (ko
Inventor
장징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076B1/ko
Priority to US12/479,443 priority patent/US8363609B2/en
Publication of KR2010000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 단말의 동작은, 셀룰러 망의 기지국으로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기지국에 의해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이 결정됨으로써, 이동 단말의 복잡도가 감소하고,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을 위한 이동 단말 사용자의 편의가 보장된다.
WiFi(Wireless Fidelity), Ad-hoc, SSID(Service Set IDentifier), IP(Internet Protocol) 주소.

Description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애드혹 모드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UP A AD HOC MODE CONNECTION USING CELLULAR NETWORK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ME}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간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WiFi(Wireless Fidelity)는 무선 랜(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 기술 중 하나를 뜻하는 것으로, IEEE 802.11 규격을 바탕으로 한다. WiFi를 이용하여 두 이동 단말들 간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두 가지 연결 모드들이 사용 가능하다. 첫째, 인프라 구조(infrastructure) 모드로서, 이동 단말들은 AP(Access Point) 또는 무선 라우터(wireless router)에 접속하고, 상기 AP 또는 무선 라우터를 통해 상대방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둘째, 애드혹(ad-hoc) 모드로서, 이동 단말들은 다른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무선 채널을 통해 연결을 구성하 고, 상대방과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프라 구조 모드에 따르는 경우, 이동 단말에게 있어서 연결 설정은 비교적 단순하고 간편하다. 즉, 이동 단말은 접속 가능한 AP로 연결을 요청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인프라 구조 모드에서의 WiFi에 따른 연결 설정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백본망과 연결된 AP, 즉, 기지국에 의해 망 설정을 위한 절차가 모두 처리된다. 반면, 애드혹 모드에 따르는 경우, 이동 단말은 AP 없이 망 설정을 위한 절차를 직접 처리하고, 망 구성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직접 구성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은 상대 단말과 형성되는 망을 구분하기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자신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스스로 설정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이동 단말은 적절한 무선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채널에서 사용되지 않는 SSID를 검색하고, IP 주소를 설정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 시, 두 이동 단말들은 연결 설정을 위한 모든 절차를 스스로 처리해야 한다. 다시 말해, 이동 단말은 애드혹 모드의 설정을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어야한다. 이에 따라, 애드혹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이동 단말의 연산 부하량이 증가하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애드혹(ad-hoc) 모드 연결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하여 애드혹 모드 연결 설정에 필요한 절차를 간소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하여 애드혹 모드 연결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은, 셀룰러 망의 기지국으로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은, 셀룰러 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상대 이동 단말과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의 수락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 가능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수락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 및 IP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고자하는 제1이동 단말 및 제2이동 단말의 요청 및 수락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위한 SSID 및 IP 주소들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로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장치는, 셀룰러 망의 기지국으로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 및 IP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셀룰러 통신부와,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장치는, 셀룰러 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상대 이동 단말과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의 수락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 가능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수락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 및 IP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셀룰러 통신부와,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고자하는 제1이동 단말 및 제2이동 단말의 요청 및 수락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위한 SSID 및 IP 주소들을 설정하는 관리부와,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로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에게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이 결정됨으로써, 이동 단말의 복잡도가 감소하고,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을 위한 이동 단말 사용자의 편의가 보장된다. 또한, 이동 단말들에 의한 무선 랜 망의 발생 및 소멸에 대한 이력의 수집이 용이해짐으로써, 사업자의 정확한 과금량 측정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셀룰러(cellular)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하여 애드혹(ad-hoc) 모드 연결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이동단말A(110-1) 및 이동단말B(110-2)는 기지국(120)의 셀 내에 존재하며, 기지국은 SSID(Service Set IDentifeir)/IP(Internet Protocol) DB(DataBase)(130)에 접근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A(110-1) 및 상기 이동단말B(110-2)는 셀룰러 망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무선 랜(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망에도 접속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단말A(110-1) 및 상기 이동단말B(110-2)는 무선 랜 접속 기능을 갖는 셀룰러 전화기(Celluar Phone), 개인 휴대 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 무선 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및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기지국(1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이며, 셀룰러 망의 규격에 따라 자신의 셀 내의 이동 단말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20)은 이동 단말들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또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따라 물리적 신호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120)은 상기 SSID/IP DB(130)에 저장된 정보를 참고하여 셀룰러 망에 속한 이동 단말들로 형성되는 무선 랜 망에 SSID를 할당하고, 각 이동 단말에게 IP 주소를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120)은 새로이 설정된 SSID 및 IP 주소들을 상기 SSID/IP DB(130)에 저장하고, 무선 랜 망 해제 시 상기 SSID/IP DB(130)에 저장된 SSID 및 IP 주소들을 삭제한다.
상기 SSID/IP DB(130)는 상기 셀룰러 망에 속한 이동 단말들로 형성되는 무선 랜 망에서 사용되는 SSID 및 IP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즉, 상기 SSID/IP DB(130)는 이동 단말들에 의한 SSID 및 IP 주소의 사용 현황을 저장한다. 따라서, 사업자는 상기 SSID/IP DB(130)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단말들의 무선 랜 망의 발생 이력(history)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과금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랜 망은 애드혹 모드에 따른 무선 랜 망을 의미한다. 하지만, 시스템 운영자의 의도에 따라 인프라 구조(infrastructure) 모드에 따른 무선 랜 망에서 사용되는 SSID 및 IP 주소도 상기 SSID/IP DB(130)에 저장될 수 있 다.
상기 도 1에서, 상기 SSID/IP DB(130)는 상기 기지국(120)과 별도의 객체(entity)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SSID/IP DB(130)는 상기 기지국(1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두 이동 단말들 간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들 간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 교환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이동단말A(210-1)는 이동단말B(210-2)와의 애드혹 모드 연결을 위해 기지국(220)으로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201단계). 예를 들어, 상기 이동단말A(210-1)는 셀룰러 망의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B(210-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단말B(210-2)의 식별 정보로서 상기 이동단말B(210-2)의 전화 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220)은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이동단말A(210-1)가 상기 이동단말B(210-2)와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요청함을 확인한 후, 상기 이동단말B(210-2)로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203단계). 즉, 상기 기지국(220)은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 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통해 애드혹 연결 요청의 상대 이동 노드가 상기 이동단말B(210-2)임을 확인한다.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B(210-2)는 애드혹 모드의 연결 요청을 수락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220)으로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205단계). 여기서, 애드혹 모드의 연결 수락을 위한 조건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애드혹 모드의 연결 수락은 사용자의 선택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이동 단말의 판단에 의해 수락될 수 있다.
상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기지국(220)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이동단말A(210-1) 및 상기 이동단말B(210-2)를 위한 SSID 및 IP 주소들을 설정한다(207단계).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220)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 중인 SSID 및 IP 주소들을 확인한 후, 새로운 SSID를 생성하고 및 사용되지 않는 IP 주소들을 상기 이동단말A(210-1) 및 상기 이동단말B(210-2)에게 할당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220)은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의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A(210-1) 및 상기 이동단말B(210-2)로 송신한다(209단계). 이로 인해, 상기 이동단말A(210-1) 및 상기 이동단말B(210-2)는 애드혹 모드 연결에 필요한 SSID 및 IP 주소를 획득한다.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을 수신한 상기 이동단말A(210-1) 및 상기 이동단말B(210-2)는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을 이용하여 연결을 설정한다(211단 계).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A(210-1) 및 상기 이동단말B(210-2)는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통해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통한 통신에서 물리 계층의 신호 처리 방식은 IR(InfraRed) 방식, FHSS(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방식,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방식, OFDM(Orthogonal Frequency Domain Multiplexing) 방식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 연결 요청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애드혹 연결의 지시가 인지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이동 단말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대 이동 단말과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지시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지시되면, 상기 이동 단말은 303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으로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상대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이며,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SMS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이동 단말은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 및 IP 주소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는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는 SMS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을 이용하여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 연결 수락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401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SMS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이 수락 가능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표시부를 통해 연결 요청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연결의 수락 여부를 확인한다. 또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이동 단말의 판단에 의해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은 수락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은 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되면, 상기 이동 단말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수락함을 알리는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는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는 SMS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상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이동 단말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 및 IP 주소 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는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는 SMS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을 이용하여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애드혹 모드 연결 제어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501단계에서 제1이동 단말로부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SMS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503단계로 진행하여 제2이동 단말로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수신된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애드혹 모드의 연결 요청의 대상이 상기 제2이동 단말임을 확인하고,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상기 제2이동 단말로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이며,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SMS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기지국은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이동 단말로부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는 상기 제2이동 단말의 연결 수락을 알리는 메시지로서,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는 SMS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507단계로 진행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 중인 SSID 및 IP 주소들을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셀룰러 망에 속한 이동 단말들로 형성되는 무선 랜 망에서 사용되는 SSID 및 IP 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기지국의 일부이거나 또는 별도의 객체로 존재한다.
상기 사용 중인 SSID 및 IP 주소들을 확인한 후, 상기 기지국은 509단계로 진행하여 두 이동 단말들을 위한 SSID 및 IP 주소들을 설정한 후, 상기 두 이동 단말들을 위한 SSID 및 IP 주소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시 말해, 상 기 기지국은 새로운 SSID를 생성하고, 사용되지 않는 IP 주소들을 상기 두 이동 단말들에게 할당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두 이동 단말들에게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는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는 SMS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은 표시부(602), 입력부(604), 코덱(CODEC : COder-DECoder)(606), 셀룰러통신부(608), 무선랜통신부(610), 제어부(6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60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숫자, 문자 및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입력부(60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612)로 제공한다. 상기 코덱(CODEC : COder-DeCoder)(606)은 상기 제어부(612)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음향 및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음향 및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612)로 제공한다.
상기 셀룰러통신부(608)는 셀룰러 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 공한다. 즉, 상기 셀룰러통신부(608)는 상기 제어부(612)로부터 제공되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셀룰러 망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RF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셀룰러통신부(608)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상기 셀룰러 망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망의 물리 계층 규격은 CDMA 방식, WCDMA 방식 중 하나에 따를 수 있다.
상기 무선랜통신부(610)는 무선 랜 망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셀룰러통신부(610)는 상기 제어부(612)로부터 제공되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무선 랜 망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RF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셀룰러통신부(6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상기 무선 랜 망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랜 망의 물리 계층 규격은 IR 방식, FHSS 방식, DSSS 방식, OFDM 방식 중 하나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12)는 상기 셀룰러통신부(608)를 이용한 음성 통화 및 SMS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무선랜통신부(610)를 이용한 무선 랜 통신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무선랜통신부(610)을 이용한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 시, 상기 제어부(612)는 셀룰러 망을 통해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에 필요한 파라미터들, 즉, SSID 및 IP 주소를 획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기능들을 연결 요청 시 및 연결 수락 시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어부(612)는 상기 입력부(604)로부터 제공되는 키 입력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애드혹 연결의 지시를 인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612)는 상대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룰러통신부(608)는 셀룰러 망의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SMS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그리고, 상기 셀룰러통신부(608)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 및 IP 주소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는 SMS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의 수신을 확인한 상기 제어부(612)는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을 이용하여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랜통신부(610)는 통해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어부(61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612)로 제공한다.
연결을 수락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으로부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612)는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이 수락 가능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는 SMS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이때, 수락의 판단 방식에 따라 상기 제어부(612)의 동작에 달라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12)는 표시부(602)를 통해 연결 요청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하 고, 상기 입력부(604)로부터 제공되는 키 입력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연결의 수락 여부를 확인한다. 반면, 사용자의 개입 없이 이동 단말의 판단에 의해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612)는 수락을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되면, 상기 제어부(612)는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셀룰러통신부(608)는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통신부(608)는 SMS 채널을 통해 상기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셀룰러통신부(608)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 및 IP 주소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는 SMS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의 수신을 확인한 상기 제어부(612)는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을 이용하여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랜통신부(610)는 통해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통해 상기 제어부(61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612)로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셀룰러통신부(702), SSID/IP관리부(704), 제어부(7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셀룰러통신부(702)는 이동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인 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셀룰러통신부(702)는 상기 제어부(706)로부터 제공되는 송신 데이터를 상기 셀룰러 망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RF 신호로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셀룰러통신부(70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상기 셀룰러 망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데이터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셀룰러 망의 물리 계층 규격은 CDMA 방식, WCDMA 방식 중 하나에 따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셀룰러통신부(702)는 이동 단말로부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 및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이동 단말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셀룰러통신부(702)는 상기 제어부(706)로부터 제공되는 SSID 및 IP 주소 정보를 이동 단말로 송신한다. 이때, 메시지 및 정보의 송수신은 SMS 채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SID/IP관리부(704)는 무선 랜 망에 접속 가능한 단말들에 의해 사용되는 SSID 및 IP 주소들을 관리한다. 이때,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의 사용 현황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SSID/IP관리부(704)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과는 별도의 객체로서 기지국 외부에 존재한다. 만일, 상기 데이터 베이스가 기지국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SSID/IP관리부(704)는 외부의 데이터 베이스와의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상기 SSID/IP관리부(704)는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들을 위해 SSID 및 IP 주소들을 설정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SSID/IP관리 부(704)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 중인 SSID 및 IP 주소들을 확인한 후, 새로운 SSID를 생성하고, 사용되지 않는 IP 주소들을 상기 이동 단말들에게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SSID/IP관리부(704)는 상기 이동 단말들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위해 설정된 SSID 및 IP 주소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즉, 상기 SSID/IP관리부(704)는 새로이 설정된 SSID 및 IP 주소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한다.
상기 제어부(706)는 상기 기지국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기 제어부(706)는 이동 단말들의 셀룰러 망 접속 절차를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706)는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에 대한 이동 단말들의 요청 및 수락을 확인한다. 즉, 상기 제어부(706)는 상기 셀룰러통신부(702)를 통해 수신되는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통해 애드혹 모드의 연결 요청을 확인하고, 상기 셀룰러통신부(702)를 통해 수신되는 애드혹 연결 확인 메시지를 통해 애드혹 모드의 연결 수락을 확인한다. 이때,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706)는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를 통해 상대 이동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상대 이동 단말로 상기 애드혹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가 될 수 있다.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 설정에 대한 이동 단말들의 요청 및 수락이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706)는 상기 SSID/IP관리부(704)로 SSID 및 IP 주소의 설정을 지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6)는 상기 SSID/IP관리부(704)로부터 제공되는 SSID 및 IP 주소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들로 송신하도록 상기 셀룰러통신부(702)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들 간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 교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 연결 요청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 연결 수락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애드혹 모드 연결 제어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Claims (24)

  1.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셀룰러 망의 기지국으로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로서 상기 상대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메시지 및 정보 교환은,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지시됨을 인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셀룰러 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상대 이동 단말과의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의 수락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 가능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수락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메시지 및 정보 교환은,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 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표시부를 통해 연결 요청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연결이 수락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고자하는 제1이동 단말 및 제2이동 단말의 요청 및 수락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들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로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제2이동 단말의 요청 및 수락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제1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이동 단말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수락하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과의 정보 교환은,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을 설정하는 과정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 중인 SSID 및 IP 주소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새로운 SSID를 생성하는 과정과,
    사용되지 않는 IP 주소들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위해 설정된 SSID 및 IP 주소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장치에 있어서,
    셀룰러 망의 기지국으로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을 요청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셀룰러 통신부와,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 이동 단말의 식별 정보로서 상기 상대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의 메시지 및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지시됨을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 장치에 있어서,
    셀룰러 망의 기지국으로부터 상대 이동 단말과의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의 수락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이 수락 가능한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수락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 정보를 수신하는 셀룰러 통신부와,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 이동 단말과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과의 메시지 및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표시부를 통해 연결 요청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연결이 수락되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애드혹(ad-hoc) 모드의 연결을 설정하고자하는 제1이동 단말 및 제2이동 단말의 요청 및 수락을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위한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IP(Internet Protocol) 주소들을 설정하는 관리부와,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로 상기 SSID 및 상기 IP 주소들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에게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2이동 단말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2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수락하는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채널을 통해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 중인 SSID 및 IP 주소들을 확인한 후, 새로운 SSID를 생성하고, 사용되지 않는 IP 주소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이동 단말 및 상기 제2이동 단말의 애드혹 모드의 연결을 위해 설정된 SSID 및 IP 주소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80060682A 2008-06-26 2008-06-26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애드혹모드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09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682A KR101096076B1 (ko) 2008-06-26 2008-06-26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애드혹모드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
US12/479,443 US8363609B2 (en) 2008-06-26 2009-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d-hoc mode connection using cellular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682A KR101096076B1 (ko) 2008-06-26 2008-06-26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애드혹모드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80A true KR20100000980A (ko) 2010-01-06
KR101096076B1 KR101096076B1 (ko) 2011-12-19

Family

ID=4144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682A KR101096076B1 (ko) 2008-06-26 2008-06-26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애드혹모드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63609B2 (ko)
KR (1) KR101096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94B1 (ko) * 2011-04-20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758B1 (ko) * 2009-01-14 2015-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818073B2 (en) 2009-07-17 2017-11-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US8891483B2 (en) * 2009-08-19 2014-11-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Wireless gateway supporting a plurality of networks
WO2011121807A1 (ja) * 2010-03-31 2011-10-06 株式会社 東芝 移動無線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探索方法
US8385269B2 (en) * 2010-04-23 2013-02-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nabling IPv6 mobility with sensing features for AD-HOC networks derived from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WO2011132818A1 (ko) * 2010-04-23 201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 및 장치
US9295082B2 (en) * 2011-04-27 2016-03-22 At&T Mobility Ii Llc Distributed machine-to-machine connectivity
KR101914117B1 (ko) * 2012-01-18 2018-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들 간에 무선 랜 링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13086B2 (en) * 2012-02-17 2016-04-12 Intel Corporation Creating packet flows to reduce redundancy
US9019921B2 (en) * 2012-02-22 2015-04-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wireless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55155B2 (en) * 2012-04-27 2017-05-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to-device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54657B1 (ko) * 2012-06-19 2019-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Wi-Fi P2P 네트워크에서 단말 간 연결 방법 및 그 단말
CN103634790A (zh) * 2012-08-24 2014-03-12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和无线网络连接方法
US9066323B2 (en) 2012-11-15 2015-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 Hoc network connection
US9749813B2 (en) * 2012-12-17 2017-08-29 Radius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a MAC address of a wireless station with personal identifying information of a user of the wireless station
CN103229463B (zh) * 2012-12-18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管理域的方法、网络设备及虚拟集群
US9134937B2 (en) 2013-04-01 2015-09-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ure printing
JP2015037200A (ja) * 2013-08-12 2015-02-23 ソニー株式会社 無線端末、無線端末の探索処理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277573B2 (en) 2013-11-21 2016-03-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ad hoc communication with an unknown contact
US9615254B2 (en) * 2014-03-21 2017-04-04 Intel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s, methods for signaling access inform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authoriz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US9665078B2 (en) 2014-03-25 2017-05-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propagating messages for purposes of demand response
KR102302686B1 (ko) * 2014-12-05 202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774990B2 (en) * 2015-04-21 2017-09-2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ximity-based verification of programming instructions
US10541556B2 (en) 2017-04-27 2020-01-2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approach to integrate and manage diverse demand response specifications for multi-site enterprises
US20230254764A1 (en) * 2022-01-27 2023-08-10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Content distribution in a multi-network environment
US20230292141A1 (en) * 2022-03-09 2023-09-14 Netgear, Inc. Repurposing consumer electronic devices as nodes in wireless mesh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3246A1 (de) 2003-03-01 2004-09-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Basisstation zur Übertragung von Informationen in einem mittels Ad Hoc Verbindungen erweiterten zellularen Funkkommunikationssystem
FI20030429A0 (fi) * 2003-03-24 2003-03-24 Nokia Corp Ryhmäliikennöinti matkaviestinverkossa
JP2005136591A (ja) * 2003-10-29 2005-05-26 Komatsu Ltd 通信環境設定方法および通信環境設定プログラム
JP4410070B2 (ja) * 2004-09-17 2010-02-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通信装置、無線端末、通信制御プログラム、端末制御プログラム
US8159999B2 (en) 2005-01-25 2012-04-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23643B2 (en) * 2005-07-26 2009-11-24 Microsoft Corporation Augmenting a call with context
KR100679009B1 (ko) * 2005-09-10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 동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7672248B2 (en) * 2006-06-13 2010-03-02 Scenera Technologies,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ally changing network communic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when a communication session is terminated
US20070294263A1 (en) * 2006-06-16 2007-12-20 Ericsson, Inc. Associating independent multimedia sources into a conference call
KR100713626B1 (ko) * 2006-06-19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애드-혹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를 이용한 애드-혹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20080022661A (ko) 2006-09-07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US20080107080A1 (en) * 2006-10-11 2008-05-08 Tsai Wei K System and method of fast channel scanning and ip address acquisition for fast handoff in ip networ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894B1 (ko) * 2011-04-20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53715B2 (en) 2011-04-20 2016-0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access point in a radio acces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23659A1 (en) 2009-12-31
KR101096076B1 (ko) 2011-12-19
US8363609B2 (en) 2013-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076B1 (ko) 셀룰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을 이용한 애드혹모드 연결 설정 장치 및 방법
JP6622428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間のハンドオーバのための方法、及び端末機器
KR1006592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장치 검색 방법
CN102308581B (zh) 用于供应无线联网连接的系统和方法
CA2483044C (en) Roaming method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CN102450056B (zh) 在使用radius兼容协议促进向移动终端传送相邻网络信息中使用的方法和装置
JP4892884B2 (ja) 無線lan内蔵型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システムおよびその個人情報保護方法
EP2723137B1 (en) Apparatus for setting up network for ip communication in mobile terminal
JP596931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クセスクラス制限リストを用いるサービス状態提供装置及び方法
TWI446767B (zh) 行動通訊裝置、行動網路分享方法以及電子裝置
JP2007189658A (ja) 無線セキュリティーの設定方法
KR10161317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2991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620639A (zh) 通信装置和网络连接方法
JP4483921B2 (ja) 通信システム
JP527283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WO2017128538A1 (zh) 一种网络搜索控制方法与设备
KR100722472B1 (ko) 엑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2005192163A (ja) 通信方法及び携帯電話機
EP256625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core network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US20030134659A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link establishment
KR101982199B1 (ko) 휴대단말기에서 WPS(Wi-Fi Protecte d Setup)을 이용한 와이파이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042243B1 (ko) Ptt 단말기
JP2017034690A (ja) ユーザ所有のアクセスポイントに第三者の無線端末を接続させる認証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7328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한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