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341U - 컵 받침대 - Google Patents

컵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341U
KR20100000341U KR2020080008848U KR20080008848U KR20100000341U KR 20100000341 U KR20100000341 U KR 20100000341U KR 2020080008848 U KR2020080008848 U KR 2020080008848U KR 20080008848 U KR20080008848 U KR 20080008848U KR 20100000341 U KR20100000341 U KR 201000003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neck
mounting portion
present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상
Original Assignee
이인상
이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상, 이형국 filed Critical 이인상
Priority to KR2020080008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341U/ko
Publication of KR20100000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A47G23/0225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attachable to a plate, tabl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 A47G23/0316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suppo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Abstract

본 고안은 컵이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테이블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컵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는 한편 그 컵이 놓이는 테이블에 대하여는 더욱 안정된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한 컵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컵의 높이 전체 또는 그 일정 부분을 수용하는 높이를 가지며 컵의 둘레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되 그 원통의 둘레 상에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바디; 바디의 바닥면 상에 장착되어 컵이 놓이는 테이블에 대하여 흡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외경이 가늘게 형성된 목부를 기준으로 목부의 하측에는 하면이 오목한 형태의 흡착부가 형성되는 한편 목부의 상측에는 목부보다 넓은 폭의 장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흡착판; 및 흡착판의 장착부 및 목부가 끼워지되 장착부는 걸림턱에 걸려 수직 하측으로 빠지지 않게 바디의 바닥면 상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컵, 컵 받침대, 흡착판, 끼움홈, 절개부

Description

컵 받침대{Cup holder}
본 고안은 컵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이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테이블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컵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는 한편 그 컵이 놓이는 테이블에 대하여는 더욱 안정된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한 컵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컵은 물 등 음료를 따라 마시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컵은 그 내부에 소정 량의 액체를 담을 수 있도록 일정 용적을 갖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컵은 유리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재질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크기나 형상 측면에서도 실로 다양하게 제작 및 사용되고 있다.
또한, 컵이 사용되는 과정에서는 접시 형태로 이루어진 별도의 컵 받침 등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컵 받침이 없이 식탁 위에 컵을 직접 올려놓는 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테이블 위에 놓인 컵이 미끄러져 바닥으로 떨어지게 됨에 따라 안전 사고가 발생하거 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곤 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컵이 미끄러져 넘어지거나 테이블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컵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는 한편 그 컵이 놓이는 테이블에 대하여는 더욱 안정된 상태에 있도록 한 컵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컵 받침대에 있어서, 컵의 높이 전체 또는 그 일정 부분을 수용하는 높이를 가지며 컵의 둘레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되 그 원통의 둘레 상에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바디; 바디의 바닥면 상에 장착되어 컵이 놓이는 테이블에 대하여 흡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외경이 가늘게 형성된 목부를 기준으로 목부의 하측에는 하면이 오목한 형태의 흡착부가 형성되는 한편 목부의 상측에는 목부보다 넓은 폭의 장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흡착판; 및 흡착판의 장착부 및 목부가 끼워지되 장착부는 그 일측에 마련된 걸림턱에 걸려 수직 하측으로 빠지지 않게 바디의 바닥면 상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에서 끼움홈의 일측에는 상기 장착부가 헐겁게 끼워지는 크기의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에 의하면 테이블 상에 컵이 더욱 안정된 상태로 세워질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컵이 넘어 쓰러지게 되는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에 의하면 흡착판을 쉽게 갈아 끼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의 구성 및 사용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에 흡착판이 미장착된 상태의 저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에 흡착판이 장착된 상태의 저면도, 도 4 는 도 3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컵 받침대(100)는 컵(200)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가진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바디(110)의 둘레에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다수의 절개부(114)가 형성된다. 즉, 바디(110)의 둘레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지지부(112)와 절개부(114)가 차례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절개부(114)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100)에 컵(200)을 넣는 과정에서 컵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컵 받침대(100)의 바디(110)는 그 내부에 수용될 컵(200)의 둘레보다 큰 안지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컵 받침대(100)의 바닥면(116)에는 1개 이상의 흡착판(120)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인데, 흡착판(120)은 통상적인 공산품에 흔히 적용되고 있는 형태의 것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등에서는 4개의 흡착판(120)이 적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흡착판(120)은 외경이 가장 가는 목부(122)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흡착부(124)가 형성되는 한편 그 목부(122)의 상부에는 목부(12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장착부(12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장착부(126)와 목부(122) 사이의 관계는 그 측단면 형상으로 표현하면 대략 'T'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특히, 흡착판(120)의 장착을 위해서 바디(110)의 바닥면(116)에 구성되는 끼움홈(1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32)를 통해서 흡착판(120)의 장착부(126)가 끼워진 후 일정 구간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게 되면 도 2 에 파선으로 표현된 안치부(134) 하측에 마련된 걸림턱(136)에 흡착판(120)의 장착부(126)가 걸려 수직 상의 하측 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삽입부(132)는 장착부(126)가 상하방향을 향해 헐거운 끼움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한편 안치부(134) 하측의 걸림턱(136) 사이의 간격은 흡착판(120)의 목부(122)는 통과되되 장착부(126)는 통과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흡착판(120)을 장착시키는 과정에서는 흡착판(120)의 장착부(126)를 끼움홈(130)의 삽입부(132)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먼저 상향으로 끼우고, 그 후 그 장 착부(126)가 안치부(134)를 향하도록 밀게 되면, 안치부(134) 하측에 마련된 걸림턱(136)에 안치부(126)가 걸리게 됨에 따라서 흡착판(120)은 하측으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흡착판(120)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는 안치부(134)의 위치에 있던 장착부(126)를 삽입부(132) 방향으로 밀게 되면, 흡착판(120)의 목부(122)가 걸림턱(136) 사이의 간격을 통해서 삽입부(13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서 걸림턱(136)에 대한 장착부(126)의 구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컵 받침대(100)가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10)에는 컵(20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된다. 이 과정에서 컵(200)에 손잡이가 달린 경우에는 절개부(114)를 통해서 컵의 손잡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컵(200)이 수용된 컵 받침대(100)를 테이블 상에 올려놓게 되면 컵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 및 컵 받침대(100) 자체의 하중에 의해서 흡착판(120)의 흡착부(124)는 테이블의 상면에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하의 흔들림 등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컵 받침대(100)는 테이블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에 흡착판이 미장착된 상태의 저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에 흡착판이 장착된 상태의 저면도.
도 4 는 도 3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받침대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컵 받침대 110. 바디.
112. 지지부 114. 절개부
116. 바닥면 120. 흡착판
122. 목부 124. 흡착부
126. 장착부 130. 끼움홈
132. 삽입부 134. 안치부
136. 걸림턱 200. 컵

Claims (2)

  1. 컵의 높이 전체 또는 그 일정 부분을 수용하는 높이를 가지며 컵의 둘레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되 그 원통의 둘레 상에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바닥면 상에 장착되어 컵이 놓이는 테이블에 대하여 흡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외경이 가늘게 형성된 목부를 기준으로 목부의 하측에는 하면이 오목한 형태의 흡착부가 형성되는 한편 목부의 상측에는 상기 목부보다 넓은 폭의 장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흡착판; 및
    상기 흡착판의 장착부 및 목부가 끼워지되 상기 장착부는 그 일측에 마련된 걸림턱에 걸려 수직 하측으로 빠지지 않게 바디의 바닥면 상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끼움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의 일측에는 상기 장착부가 헐겁게 끼워지는 크기의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받침대.
KR2020080008848U 2008-07-02 2008-07-02 컵 받침대 KR201000003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48U KR20100000341U (ko) 2008-07-02 2008-07-02 컵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48U KR20100000341U (ko) 2008-07-02 2008-07-02 컵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41U true KR20100000341U (ko) 2010-01-12

Family

ID=4419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848U KR20100000341U (ko) 2008-07-02 2008-07-02 컵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34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46B1 (ko) * 2013-07-24 2014-11-12 (주)미주경영지원시스템 컵홀더 겸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CN107550179A (zh) * 2017-09-25 2018-01-09 徐州宏华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吸盘玻璃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646B1 (ko) * 2013-07-24 2014-11-12 (주)미주경영지원시스템 컵홀더 겸용 휴대형 단말기 거치대
CN107550179A (zh) * 2017-09-25 2018-01-09 徐州宏华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吸盘玻璃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977B2 (ja) 閉鎖可能な注ぎ開口部を備えたティー・メーカー
US6979031B2 (en)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 liquid container
US4898297A (en) Detachable handle and coaster for a beverage container
CA2602986C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device
KR101815866B1 (ko) 스마트폰 거치대 겸용 컵
US8708203B2 (en) Screw-on throat plug assembly
CA2624862A1 (en) Drinking container
KR20100000341U (ko) 컵 받침대
RU2015131111A (ru) Комбинация ем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170053845A (ko) 오뚜기텀블러
EP2626307B1 (en) Canning funnel
US7090087B1 (en) Apparatus for holding an inverted container
US10687619B2 (en) System for holding a container
JP5308793B2 (ja) 計量キャップ付容器
KR101850856B1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CN103832685A (zh) 瓶子干燥支架
US20060231698A1 (en) Drink holder receptacle
US11317765B2 (en) Work base and system
KR101318304B1 (ko) 내용물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기
CA2794451A1 (en) Dual-purpose beverage cup apparatus: combination cup lid and cup holder
EP1836937A1 (en) Bottle Holder
KR101446092B1 (ko) 자동차 콘솔의 물병 고정 구조
WO2017195188A1 (en) Drinking vessel with a spillage receptacle
JP2005192513A (ja) 植木鉢固定受け皿
KR20160002035U (ko) 흡착이 용이한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