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312U - 냉. 온풍 교차건조기 - Google Patents

냉. 온풍 교차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312U
KR20100000312U KR2020080011329U KR20080011329U KR20100000312U KR 20100000312 U KR20100000312 U KR 20100000312U KR 2020080011329 U KR2020080011329 U KR 2020080011329U KR 20080011329 U KR20080011329 U KR 20080011329U KR 20100000312 U KR20100000312 U KR 201000003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drying chamber
chamber
air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3902Y1 (ko
Inventor
진정홍
Original Assignee
진정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정홍 filed Critical 진정홍
Priority to KR2020080011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90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9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26B23/004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by compressing and condensing vapour in exhaust gases, i.e. using an open cycle heat pump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6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the products to be dried being disposed on one or more containers, which may have at least partly gas-previous walls, e.g. trays or shelves in a st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산물의 건조에 널리 쓰이는 냉풍 혹은 온풍 건조기에 있어서, 종래와 달리, 기존의 일반적인 냉동시스템 셋트의 증발기에 다습한 실내공기를 접촉시켜 제습을 하여 절대습도만 낮추어 건조하는 냉풍건조기를 대신하고, 화석 연료를 태우거나 전기발열기를 발열시켜 얻은 온풍으로 상대습도만 낮추어 건조하는 온풍건조기를 대신하여, 각각 분리된 두 칸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를 구비하고 각각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의 내부에 건조한 공기를 피 건조물에 접촉, 순환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건조휀을 구비하고, 역시 각각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 냉동시스템 셋트의 증발기와 응축기로 쓰이는 열교환기를 각각 분리 구비하여 냉동압축기를 가동할시, 분리 구비된 각각의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냉풍과 온풍을 이용하여 각각의 건조실에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동시에 시행함과 아울러,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의 건조실에서 온풍건조와 냉풍건조를 교차하여 시행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압축기 1대의 가동으로 건조실A(1)와 건조실B(2) 에서 동시에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수행함과 아울러, 건조실A(1)와 건조실B(2)의 외부에 냉동시스템 셋트의 응축기와 증발기가 배치될 단열되고, 분리된 응축실과 증발실을 구비하고 각각의 건조실내에 구비되는 써모스탓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의 작동으로 상기 응축실과 증발실의 출, 입구를 서로 교차하여 개폐하여 건조실A(1)와 건조실B(2)의 실내공기를 교차, 순환시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동시에 또한 교차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하거나, 역시 각각의 건조실내에 구비되는 써모스탓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는 4방향밸브에 의하여 냉매의 순환방향을 역으로 변환시켜 각각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 구비된 각각의 열교환기를 증발기와 응축기의 역할을 변환시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수행하거나, 또한, 각각의 건조실내에 구비되는 써모스탓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의 작동으로 독립된 2대의 냉동시스템 셋트를 교대로 가동시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를 제공하여 증발기의 열 흡수에 따른 냉풍건조와 아울러, 응축기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한 온풍건조를 동시에 시행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가 설정한 온도에서 건조실A(1)와 건조실B(2)의 내부에서 냉풍과 온풍이 역으로 발생되게 함에 따라, 절대습도 및 상대습도를 교차하여 하강시켜 건조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건조를 가능케 함을 기술적인 요지로 하고, 절대습도만 하강시켜 건조하는 기존방식의 냉풍 건조기 보다 건조시간이 훨씬 단축되고,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온풍 건조를 동시에 시행하여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과,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Figure P2020080011329
교환닥트. 가이드닥트. 상부닥트. 벽면닥트. 정,역 가변 배관부.

Description

냉. 온풍 교차건조기 { The Dryer Of Changing Cold And Warm Wind. }
도 1.-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냉. 온풍 교차건조기의 부품 배치의 평면계통도.
도 2.-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냉. 온풍 교차건조기의 부품 배치의 계통도.
도 3.-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냉. 온풍 교차건조기의 부품 배치의 계통도
도 4.-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냉. 온풍 교차건조기의 투시도.
도 5.-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 의한 교환닥트와 가이드 닥트의 투시도.
도 6.-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냉. 온풍 교차건조기의 건조실 내부 투시도.
도 7.- 본 고안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건조실 내부 전면에 입설되는 유니트의 투시도.
도 8.- 본 고안의 제 3실시 예에 의한 건조실 내부 전면에 입설되는 유니트의 투시도.
<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건조실A. 2 : 건조실B.
3 : 상단 순환구A 4 : 상단 순환구B.
5 : 하단 순환구A 6 : 하단 순환구B.
7 : 써모스탓A. 8 : 써모스탓B.
9 : 써모스탓C. 10: 교환닥트 .
11 : 응축실. 12; 증발실.
13 : 응축기. 14 : 증발기.
15; 압축기.
17 : 입구A. 18 : 유입문A.
19; 출구A. 20 : 유출문A.
21 : 입구B. 22 ; 유입문B.
23 : 출구B. 24 : 유출문B.
25 :외기 흡입문. 26; 다습공기 배출문.
30 : 전원. 31: 릴레이.
32 : 지연 타이머A. 33: 지연 타이머B.
34; 전자 접촉기A. 35: 전자 접촉기B.
36: 전자 접촉기
51 : 상부 닥트. 52 : 벽면 닥트.
53 : 유니트. 54 : 물받이.
55 : 건조휀 56 : 송풍기.
57 : 유 분리기. 58 : 전기 저항식 발열기.
59 : 액 분리기.
100: 4방향 밸브.
101: 열교환기A. 102 : 열교환기B.
103 : 배관A. 104 : 배관B.
105 : 체크 밸브A. 106 ; 수액기A.
107 : 팽창 밸브A. 108 : 체크 밸브B.
109 : 수액기B. 110 : 팽창 밸브B
111 : 압축기A. 112 : 압축기B.
113 : 응축기A. 114 : 응축기B.
115 : 증발기A 116 : 증발기B
본 고안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냉풍 건조기와 달리 건조 시, 보다 신속하게 건조되고, 에너지가 적게 소모 되도록 개량된 냉. 온풍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로서의 냉풍 건조기는 밀폐된 건조실 내에서 피 건조물 주위로 건조한 공기를 흘려 피 건조물로 부터 수분을 흡수한 저온 다습한 공기를 건조실 내에 위치한 증발기를 접촉케 하여 제습된 저온의 공기를 다시 피 건조물에 흘려보내 냉풍건조를 시행하거나, 다습한 공기를 건조실 내에 위치한 증발기를 접촉케 하여 제습한 저온의 공기를 건조실내부의 또 다른 일 측에 위치한 응축기를 접 촉케 하여 생성된 고온 저습한 공기를 피 건조물에 불어주어 건조하는 항온건조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냉풍 건조법은 건조실내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증발기의 제습 능력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여 건조가 매우 완만하게 진행되어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낮았으며, 상기 항온 건조법은 한 칸의 건조실에서만 건조를 하여 에너지 소요량 당 건조물 생산량이 많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온풍건조기는 별도의 에너지가 소요되고 고온의 다습한 실내공기를 외부로 지속하여 방출하여 에너지의 낭비가 많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각 분리된 두 칸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를 구비하고 각각의 건조실 내부에 건조한 공기를 피 건조물에 불어주기 위하여 건조휀(55)이 제공되고, 역시 각각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 냉동시스템 셋트의 증발기와 응축기로 쓰이는 열교환기를 각각 분리 구비하여 냉동압축기를 가동할시, 분리 구비된 각각의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냉풍과 온풍을 이용하여 각각의 건조실에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동시에 시행함과 아울러, 건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온풍건조와 냉풍건조를 교차하여 시행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압축기 1대의 가동으로 각각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서 동시에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수행함과 아울러,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건조실A(1)와 건조실B(2)의 외부에 냉동시스템 셋트의 응축기와 증발기가 배치될 각각 단열, 분리된 공간의 응축실과 증발실을 구비하고 각각의 건조실내에 구비되는 써모스탓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의 작동으로 상기 응축실과 증발실의 출, 입구를 서로 교차하여 개폐시켜. 건조실A(1)와 건조실B(2)의 실내공기를 교차, 순환시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동시에 또한 교차하여 수행할 수 있게 하거나, 각각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의 내부에 구비된 냉동시스템 셋트에서 증발기 혹은 응축기의 역할을 담당할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냉매가스의 순환방향을 역으로 변환시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수행하거나, 또한, 각각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의 외부에 냉매의 순환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인 독립된 2대의 냉동시스템 셋트를 제공하여 상기 냉동시스템 셋트 1대를 가동할 시, 각각의 증발기와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냉, 온풍으로 냉풍건조와 동시에 온풍건조를 시행하고, 작업자의 설정온도에서 상기 냉동시스템 셋트를 교대로 가동시켜 냉풍과 온풍이 역으로 발생되게 함에 따라, 절대습도 및 상대습도를 교차하여 하강시켜 건조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절대습도만 하강시켜 건조하는 방식의 기존의 냉풍 건조기 보다 건조시간이 훨씬 단축되고,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건조를 가능케 하고, 냉동기 1대의 가동만으로 냉풍 건조와 더불어,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온풍 건조를 동시에 또한, 교차하여 수행되게 하여 에너지 절감효과가 우수하고 생산성이 높은 냉. 온풍 교차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냉동 압축기(15) 한대의 가동으로 냉풍건조와 더불어, 온풍건조가 동시에 수행되게 하고 또한 건조 효율의 향 상을 위하여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서 냉풍건조와 온풍 건조를 교차하여 수행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단열, 밀폐된 동일한 구조와 설비를 갖춘 건조실A(1)와; 건조실B(2)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건조실A,B(1,2)내부의 일 측에는 피 건조물로 건조한 공기를 송풍할 건조휀(9)이 제공된다. 각각의 상기 건조실A,B(1,2) 상단 면과 좌우 측면에는 피 건조물로 상기 건조휀(9)이 지속적으로 건조한 공기를 순환. 공급할 수 있도록 상부닥트(51)와 벽면닥트(52)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실A,B(1.2)의 전면 혹은 측면의 일 측에, 전동 개폐장치가 구비되고 배풍기가 부착된 다습공기 배출문(26)이; 제공된다. 상기 다습공기 배출문(26)은 건조실A,B(1.2)내부에 공통으로 구비되고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써모스탓C(9)의 제어를 받아 작동된다.
추가하여, 상기 건조실A(1)에는 써모스탓A(7)가; 건조실B(2)에는 써모스탓B(8)가 각각 구비되어 제공된다.
이하, 제공되는 본 고안의 도1과 도2와 도3을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상기 냉. 온풍 건조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시되는 도면의 도1, 도2, 도3은 냉동 설비 및, 전자 설비의 각종 부분품을 기호로 도시하였으며, 쌍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냉매의 배관을 나타내며, 단선은 전선을 표시한다.
< 제 1 실시 예 >
제1 실시 예 에서는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 각각 냉풍과 온풍이 송풍 되고, 건조실A(1)나 건조실B(2)의 실내온도가 작업자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였을 시,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 냉풍과 온풍을 각각 전환시켜 송풍하여 냉풍 건조와 온풍 건조가 교대로 시행되는 경우로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서술토록 한다.
첨부되는 도 1은 본 고안의 냉. 온풍 교차건조기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략적인 평면계통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5)와; 응축기(13)와; 증발기(14)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독립된 폐쇄회로의 냉동시스템 셋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냉동시스템 셋트는 일반적인 냉동설비에서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유분리기; 수액기; 팽창밸브; 체크밸브; 및 안전성 강화 보조부품을 포함하여 조성된다.
또한, 도4와 도5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A,B(1.2)의 외부 전면에 교환닥트(10)가 제공된다.
상기 교환닥트(10)는 상기 냉동시스템 셋트의 응축기(13)와 증발기(14)를 각각 배치할 단열되고 분리된 공간의 응축실(11)과; 증발실(12)이; 밀착되어 구비된다.
상기 교환닥트(10) 좌측의 하단 면, 즉 상기 응축실(11)과 증발실(12)이 접합된 좌측 하단 면에는 건조실A(1)의 실내공기를 순환 소통시킬 입구A(17)가; 구비되고, 상기 교환닥트(10) 좌측의 상단 면, 즉 상기 응축실(11)과 증발실(12)이 접합된 좌측의 상단 면에는 건조실A(1)의 실내공기를 순환 소통시킬 출구A(19)가; 구비되며, 상기 교환닥트(10) 우측의 하단 면, 즉 상기 응축실(11)과 증발실(12)의 우측의 접합 하단 면에는 건조실B(2)의 실내공기를 순환 소통시킬 입구B(21)가; 구비되고 상기 교환닥트(10) 우측의 상단 면, 즉 상기 응축실(11)과 증발실(12)의 우측의 접합 상단 면에는 건조실B(2)의 실내공기를 순환 소통시킬 출구B(23)가; 조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교환닥트(10) 좌측의 접합 하단 면에 구비되는 상기 입구A(17)와;
상기 교환닥트(10) 좌측의 접합 상단 면에 구비되는 상기 출구A(19)에는 응축실(11) 혹은 증발실(12)을 선택하여 건조실A(1)의 실내공기를 순환 소통시키도록, 서로 연계하여 입, 출구A(17,19)를 동시에 개폐시킬 전동장치가 부착된 유입문A(18)와; 유출문A(20)가; 각각 제공된다
상기 교환닥트(10) 우측의 접합 하단 면에 구비되는 입구B(21)와;
상기 교환닥트(10) 우측의 접합 상단 면에 구비되는 출구B(23)에는 응축실(11) 혹은 증발실(12)을 선택하여 건조실B(2)의 실내공기를 순환 소통시키도록, 서로 연계하여 입, 출구B(21,23)를 동시에 개폐시킬 전동장치가 부착된 유입문B(22)와; 유출문B(24)가; 제공된다.
상기 교환닥트(10) 우측에 구비되는 유입문B(22); 유출문B(24)는; 상기 교환닥트(10) 좌측에 구비된 유입문A(18); 유출문A(20)와; 서로 교차하여 응축실(11)과 증발실(12)의 좌우측 출입구를 개폐하여 건조실A(1)와 건조실B(2)로 송풍되는 냉풍과 온풍을 교대로 순환 소통시킨다.
제시되는 도면의 도1과 도4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건조실A(1) 전면의 하단부에는 하단순환구A(5)가 제공되고, 상기 건조실A(1)의 상단부의 일 측에는 송풍기가 부착 구비되는 상단순환구A(3)가 제공되며, 건조실B(2) 전면의 하단부에는 하단순환구B(6)가 제공되고, 상기 건조실B(2)의 상단부의 일 측에는 송풍기가 부착 구비되는 상단순환구B(4)가 제공된다.
제시되는 도면의 도5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교환닥트(10)의 출구A(19)와 유출문A(20)는 외기와 분리, 단열된 가이드닥트에 포괄되어 건조실A(1)의 상단순환구A(3)와 연결되며 상기 상단순환구A(3)에는 건조실A(1)의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기가 부착, 제공된다.
상기 교환닥트(10)의 입구A(17)와 유입문A(18)는 외기와 분리, 단열된 가이드닥트에 포괄되어 건조실A(1)의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건조실A(1)의 하단순환구A(5)와 연결된다.
상기 교환닥트(10)의 출구B(23)와 유출문B(24)는 외기와 분리, 단열된 가이드닥트에 포괄되어 건조실B(2)의 상단순환구B(4)와 연결되며, 상기 상단순환구B(4)에는 건조실B(2)의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한 송풍기가 부착, 제공된다.
상기 교환닥트(10)의 입구B(21)와 유입문B(22)는 외기와 분리, 단열된 가이드닥트에 포괄되어 건조실B(2)의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건조실B(2)의 하단순환구B(6)와 연결된다.
상기 교환닥트(10)의 상기 증발실(12)의 바닥에는 건조실A,B(1,2)내부의 실내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채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위한 배수관이 연결된 물받이(54)가 제공된다.
상기 교환닥트(10)의 전면에 위치할 상기 응축실(11)의 전면 하단부에는 써 모스탓C(9)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전동개폐가 가능한 외기 흡입문(25)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먼저, 압축기(15)의 작동으로 상기 건조실A(1)에서 냉풍건조가 수행될 시, 상기 입구A(17)와 출구A(19)에 구비되는 상기 유입문A(18)와; 유출문A(20)는; 상기 교환닥트(10)의 응축실(11)쪽 입출구A를 각각 차단하고, 상기 입구B(21)와; 출구B(23)에; 구비되는 상기 유입문B(22)와; 유출문B(24)는; 상기 교환닥트(10)의 증발실(12)쪽 입출구B를 각각 차단하게 조성된다.
더하여, 상기 건조실A(1)의 실내공기는 상기 하단순환구A(5)를 경유하고 가이드닥트를 통과하여 상기 교환닥트(10)의 입구A(17)에서 개방된 증발실(12)로 유입되고 상기 증발실(12)에 배치된 증발기(14)를 경과하면서 상기 건조실A(1)의 실내공기에 함유된 습기가 제거된 후,
상기 교환닥트(10)의 출구A(19)를 경유하고 가이드닥트를 경유하여 상기 상단순환구A(3)에 부착, 제공되는 송풍기에 의하여 상기 건조실A(1) 내부로 순환케 되어. 냉풍건조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건조실B(2)의 실내공기는 상기 하단순환구B(6)를 경유하고 가이드닥트를 통과하여 상기 교환닥트(10)의 입구B(21)에서 개방된 응축실(11)로 유입되고, 상기 응축실(11)에 배치된 응축기(13)를 경과하면서 가열되어 상기 건조실B(2)의 실내공기의 상대습도를 낮춘 후, 상기 교환닥트(10)의 출구B(23)를 경유하고 가이드닥트를 경유하여 상기 상단순환구B(4)에 부착, 제공되는 송풍기에 의하여 상기 건조실B(2) 내부로 순환케 되어, 온풍건조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실A(1)에서 냉풍건조가, 건조실B(2)에서 온풍건조가 지속되면 상기 건조실B(2)의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는 계속 상승되어 건조효율이 하락함과 아울러 피 건조물에 줄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건조실B(2)의 실내온도가 상승하면 제공되는 써모스탓C(9)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는 배풍기가 부착된 다습공기 배출문(26)이; 개방되어 건조실B(2)내부의 고온다습한 실내공기가 배출되고, 상기 교환닥트(10)의 전면 즉, 응축기(13)가 배치되는 응축실(11)전면의 하단부에 구비, 제공되며, 역시 상기 써모스탓C(9)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는 외기 흡입문(25)이; 동시에 개방되어 외기가 유입되고 응축실(11)의 응축기(13)를 통과하여 가열되어 상대습도가 낮아진 보다 저온의 공기가 건조실B(2)로 유입되어, 건조실B(2)내부의 고온다습한 실내공기는 보다 저온의 저습한 외기와 교환되어 건조실B(2)내부온도의 과도한 상승을 억지하고 지속적인 온풍건조를 수행할 수 있게 하며, 다시 작업자가 설정한 온도 이하로 건조실B(2)의 실내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써모스탓C(9)의 제어를 받아 외기 흡입문(25)과; 다습공기 배출문(26)이; 동시에 닫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실A(1)에서 실내온도가 계속 하강함에 따라 건조효율이 낮아지게 됨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설정한 온도 이하로 상기 건조실A(1)의 실내온도가 하강하면 제공되는 상기 써모스탓A(7)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31)의; 작동으로 전류의 흐름이 전자 접촉기A(34)에서 전자 접촉기B(35)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흐름이 변경된 전류는 전자 접촉기A(34)의 전류를 차단하여 압축기(15)의 가동이 중단되고, 제공되는 지연타이머B(33)에; 의하여 일정시간 전류의 흐 름이 정지되고, 건조실A,B(1,2) 내부에 구비되는 건조휀(55)과 건조실A,B의 상단순환구A,B(3,4)에 구비되는 송풍기만 가동되어 건조한 실내공기가 피 건조물로부터 원만히 수분을 흡수할 시간을 제공한 후, 작업자가 설정한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지연 타이머B(33)의 단자가 접촉되어 전자 접촉기B(35)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교환닥트(10)의 입구A(17)와 출구A(19)의 응축실(11)쪽을 차단하는 유출문A(20)와; 유입문A(18)는; 증발실(12)쪽의 입구A(17)와; 출구A(19)를; 상기 교환닥트(10)의 입구B(21)와 출구B(23)의 증발실(12)쪽을 차단하는 유출문B(23)와; 유입문B(22)는; 응축실(11)쪽의 입구B(21)와; 출구B(23)를; 각각 차단함과 동시에 압축기(15)를 재가동시킨다.
상술한 바는, 상기 외기 흡입문(25)과; 다습공기 배출문(26); 유출문A(20)와; 유입문A(18); 유출문B(23)와; 유입문B(22)를; 개폐하는 장치를 각각 독립된 전동개폐장치를 구비하여 작동하는 방식을 언급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압 혹은 공압을 동력으로 사용한 개폐장치를 채택함이 설비비 절감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교환닥트(10)의 응축실(11)과 증발실(12)에 건조실A,B(1,2)의 실내공기를 교차하여 순환시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수행하고 또한, 동시에 수행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 제 2 실시 예 >
제2 실시 예 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두 칸의 건조실A와B(1,2)를 구비하고, 건조실A(1)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A(101)와 건조실B(2)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B(102)로 냉매의 유출방향을 역으로 변환시켜 냉풍 건조와 온풍 건조가 교차하여 시행되게 하는 경우로서, 이하 제시되는 도면의 도2, 도6, 도7을 참조하면서 서술토록 한다.
제2 실시 예에서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건조실A,B(1,2)내부의 천정에 상부닥트(51)를, 좌우 벽면에 벽면닥트(52)를 설치하여 건조실내부공기를 순환, 소통시키기로 한다.
건조실A,B의 내부에 입설되는 유니트(53)에는 전면과 좌, 우면의 상단 부는 밀폐되고, 하단 부는 개통되어 상단 면에 구비된 송풍기(56)로 실내공기가 상부닥트(51)를 경유하여 건조실A,B 내부를 순환, 소통되게 된다.
상기 상부닥트(51)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건조한 공기는 건조휀(55)을 가동함에 따라 상기 건조실A,B(1,2)내부의 좌우 벽면에 설치되는 상기 벽면닥트(52)경유하여 순환되어 지속적으로 피 건조물로 불어주어 원활한 건조가 수행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실A,B(1,2)에는 다습공기 배출 문(26)이 구비되고, 각각의 건조실A,B(1,2)의 전면에 입설되는 유니트(5)에는 전기 저항식 발열기(58)와; 열교환기A 혹은 B(101 혹은 102)가; 각각 내설되며, 하부 바닥면에는 물받이(54)가 구비된다
상기 유니트(53)전면의 하단부에는 상기 외기 흡입문(25)이 구비되어 외부공기가 상기 유니트(53)로 유입되어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건조실A,B(1,2)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더하여, 건조실A,B(1,2)의 내부에 구비되는 써모스탓A(7)와 써모스탓B(8)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31)의 제어를 받아 작동하는 4방향 밸브(100)가; 제공된다.
첨부하여, 액체 냉매 가스의 유출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교대로 변환시키기 위해 정,역 가변배관부;가 제공된다.
상기 정,역 가변배관부;는 냉매가 열교환기A(101)에서 열교환기B(102) 방향으로 유출되게 체크밸브A(105)와; 수액기A(106)와; 팽창밸브A(107)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상기 배관A(103)와; 열교환기B(102)에서 열교환기A(101) 방향으로 냉매가 유출되도록 체크밸브B(108)와; 수액기B(109)와; 팽창밸브B(11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상기배관B(104)로 분류 후, 접합 조성된다.
이렇게 조성되어 먼저, 압축기(15)를 가동할시 냉매로 사용되는 고온의 고압가스가 4방향 밸브(100)를; 경과하여 상기 건조실A(1)내부의 전면에 입설되는 유니트(53)에 내장되어, 응축기 역할을 수행할 열교환기A(101)를; 경유하면서 응축이 진행되고 이 과정 에서 응축열이 방출되어, 상기 유니트(53)의 상단부에 제공된 송풍기(56)를; 가동함에 따라 상기 건조실A(1)내부의 실내공기가 열교환기A(101)와 접촉하여 온도가 상승하여 상대습도가 떨어진 건조한 공기는 건조실A(1)내의 상부닥트(51)를 경유하여 상기 건조휀(55)을; 가동함에 따라 피 건조물로 불어준 후, 상기 건조실A(1)내의 벽면닥트(52)를 경유하여 순환되어 지속적이고 원활한 온풍건조가 수행되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A(101)를 통과한 저온의 액체 냉매 가스는 제공되는 상기 정,역 가변배관부;의 상기 배관A(103)를; 따라 체크 밸브A(105); 수액기A(106); 팽창 밸브A(107)를; 경유한 후, 건조실B(2)의 내부에 입설된 유니트(53)에; 내장되어, 증발기 역할을 수행할 열교환기B(102)를; 통과하면서 액화된 냉매가스의 증발 작용으로 인한 열 흡수가 진행되고, 상기 유니트(53)의 상단 면에 제공된 송풍기(56)를 가동함에 따라 건조실B(2)내의 실내 공기가 순환 되면서 열교환기B(102)의 표면과 접촉하여 실내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은 열교환기B(102)의 표면에 응축된 후, 물받이(54)에 집합되어 건조실B(2)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된 실내공기는 건조실B(2)내에서 상기 건조휀(9)의; 가동에 따라 피 건조물로 불어주고 다시 벽면닥트(52)를 경유하여 순환되어 냉풍건조가 수행된다.
이렇게 상기 건조실A(1)에서 온풍건조가, 건조실B(2)에서 냉풍건조가 지속되어 상기 건조실A(1)의 실내온도가 작업자가 설정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피 건조물에 줄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써모스탓C(9)의 제어를 받는 상기 외기 흡입문(25)과 다습공기 배출 문(26)이 동시에 개방되어 외기와 실내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져 온도의 과도한 상승을 억지할 수 있으며, 다시 온도가 하강하면 상기 써모스탓C(9)의 제어를 받아 상기 외기 흡입문(25)과 다습공기 배출 문(26)이 동시에 닫히게 된다.
또한, 상기 건조실B(2)에서는 실내온도가 계속 하강함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B(102)의 제습 능력이 떨어져 건조효율이 낮아지게 됨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설정한 온도 이하로 상기 건조실B(2)의 실내온도가 하강하면 제공되는 상기 써모스탓B(8)의 제어를 받아 제공되는 릴레이(31); 내부의 전류의 흐름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흐름이 변경된 전류는 제공되는 지연타이머A(32); 에서 흐름이 일시 중단되어 압축기(15)의 가동이 중단되고 건조휀(55)만 가동되어 건조한 실내공기가 피 건조물로부터 원만히 수분을 흡수한 후, 작업자가 설정한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지연 타이머A(32)의 단자가 접촉되어 전류가 흘러서 제공된 4방향 밸브(100)에 내장되는 마그넷에 의해 상기 4방향 밸브(100)내의 냉매가스 입출구의 방향이 전환되며, 동시에 전자 접촉기(36)를 작동시켜 압축기(15)가 재가동 된다.
이렇게 재가동된 압축기(15)는 냉매가스를 역방향으로 송출하여, 건조실B(2)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열교환기B(102)에서 응축 작용이 진행되어 온풍건조가 수행되고, 제공되는 상기 정,역 가변배관부;의 배관B(104)를; 따라 냉매가스가, 제공되는 체크 밸브B(108); 수액기B(109); 팽창 밸브B(110);를 경유하여 건조실A(1) 내부의 상기 열교환기A(101)에서 증발 작용이 진행되어 냉풍건조가 수행되며,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냉매 가스의 유출방향이 다시 반복하여 변경 된다
더하여, 상기 유니트(53)에 내설되는 전기 저항식 발열기(58)는; 추운 동절기에 외기의 영향으로 건조실A,B(1,2)내의 온도가 건조 설정온도 보다 낮을 경우, 실내온도를 일시 상승시킨 후, 압축기(15)를 가동하여 건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렇게 하여, 냉매의 유출 방향을 변경함에 따라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동시에 수행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 제 3 실시 예 >
이하로 부터는 본 고안에 의한 냉. 온풍 교차건조기의 제 3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는 제 1, 제2 실시 형태와 달리, 제공되는 2대의 압축기를 교대로 가동시켜 건조를 수행케 함을 특징으로 하며, 첨부되는 도3, 도6, 도8을 참조 하면서 서술토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2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와 설비를 구비한 건조실A(1)와,B(2)가 제공되고, 건조실의 내부전면에 입설되는 유니트(53)에는 제 2 실시 예와 같이, 전면과 좌, 우면의 상단 부는 밀폐되고, 하단 부는 개통되어 상단 면에 구비된 송풍기(56)의 송풍구로 실내공기가 순환, 소통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제 2실시 예와 동일하게 외기 흡입문(25)과 다습공기 배출 문(26)이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건조실A(1)에 입설되는 유니트(5)에는 전기 저항식 발열기(58)와; 응축기A(113)와; 증발기B(116)가; 복합하여 내설되며, 하부바닥면에는 물받이(54)가 구비된다,
건조실B(2)의 내부에 입설 되는 유니트(53)에는 전기 저항식 발열기(58)와; 응축기B(114)와; 증발기A(115)가; 복합하여 내설되며, 하부바닥면에는 물받이(54)가 구비된다.
건조실A,B(1,2)외부의 일 측에는 압축기A(111)와; 압축기B(112)가;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압축기A(111)는; 상기 건조실A(1)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A(113)와; 상기 건조실B(2)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A(115)를; 포함하여 독립된 폐쇄회로를 구비한 냉동시스템 A셋트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B(112)는 상기 건조실B(2)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B(114)와; 상기 건조실A(1)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B(116)를 포함하여 독립된 폐쇄회로를 구비한 냉동시스템 B셋트가; 제공된다.
상기 냉동시스템 A,B셋트는 일반적인 냉동설비에서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유분리기(57); 수액기(106,109); 팽창밸브(107,110); 체크밸브; 및 안전성 강화 보조부품을 포함하여 조성함이 바람직하다
먼저, 압축기A(111)의 가동으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가 건조실A(1)내의 응축기A(113)에서 발열한 후 응축되고, 상기 건조실A(1)에 입설된 유니트(53)의 상단 면에 구비된 송풍기(56)에 의해 건조실 내부공기의 순환과 더불어 실내온도의 상승에 따른 상대습도의 하락이 진행되고, 건조실 내부에 구비된 건조휀(55)에 의해 피 건조물로 상대습도가 하락한 실내공기를 불어주어 온풍건조가 수행된다.
상기 응축기A(113)를 경과한 저온의 액화된 냉매 가스는 배관을 따라 수액기A(106); 팽창밸브A(107);를 경유하여 상기 건조실B(2)에 입설된 유니트(53)에 내설되는 증발기A(115)에서 기화 되고, 상기 유니트(53)의 상단 면에 제공된 송풍기(56)를 가동함에 따라 건조실B(2)내의 실내공기가 순환되어 증발기A(115)의 표면과 접촉하여 실내공기 중에 함유된 수분은 응축되어 흡착된 후, 물받이(54)에 집합되어 건조실B(2)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절대습도의 하락이 진행되는 건조실B(2)의 내부에는 구비된 건조휀(55)에 의해 피 건조물에 제습된 저온의 실내공기를 불어주어 냉풍건조가 수행된다.
상기 건조실A(1)에서 온풍건조가, 건조실B(2)에서 냉풍건조가 지속되면 상기 건조실A(1)의 실내공기의 온도는 계속 상승되며, 실내온도의 과다 상승으로 인한, 피 건조물에 줄 수 있는 악영향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2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공되는 써모스탓C(9)의 제어를 받아 외기 흡입문(25)과 다습공기 배출 문(26)이 동시에 개방된다. ,
또한, 상기 건조실B(2)에서는 실내온도가 계속 하강함에 따라 상기 증발기A(115)의 제습 능력이 떨어져 건조효율이 낮아지게 됨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설정한 온도 이하로 실내온도가 하강하면 제공되는 상기 써모스탓B(8)의 제어를 받아 제공되는 릴레이(31);에서 전류의 흐름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어, 전자접촉기A(34)에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압축기A(111)의 가동을 중지케 하고, 전자접촉기B(35)의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렇게 흐름이 변경된 전류는 작업자가 건조실내의 건조한 실내공기로 피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주기위해, 제공되는 지연타이머A(32); 에서 전류의 흐름이 일시 중단되어 압축기A,B(111,112) 모두 가동이 일시 중단되고 건조실A,B(1,2)내부의 건조휀(55)만 가동되어 건조한 실내공기가 피 건조물로부터 원만히 수분을 흡수한 후, 작업자가 설정한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지연타이머A(32)의 단자가 접촉되고 다시 전자 접촉기B(35)를 작동시켜 압축기B(112)가 가동 된다.
이렇게 가동된 압축기B(112)는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를 송출하여, 건조실B(2)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응축기B(114)에서 응축작용이 진행되어 온풍건조가 수 행되고, 응축된 저온의 액체 냉매는 배관을 경유하여 건조실A(1) 내부의 상기 증발기B(116)에서 증발작용이 진행되어 냉풍건조가 수행되며.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압축기A(111)와 압축기B(112)가 반복하여 교대로 가동케 되어 냉,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역시 상기 건조실A,B(1,2)내부에 입설된 유니트(53)에 내설되는 상기 전기 저항식 발열기(58)는; 추운 동절기에 외기 온도의 영향으로 건조실A,B(1,2)내의 온도가 건조 설정온도 보다 낮을 경우, 실내온도를 일시 상승시킨 후, 압축기를 가동하여 건조 목적을 원활히 수행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렇게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A(111)와, 압축기B(112)의 가동을 교대로 변경함에 따라 냉풍 건조와 온풍 건조를 교차하여 동시에 수행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냉동압축기 1대의 가동으로 제공되는 두 칸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서 증발기의 제습기능을 이용한 냉풍 건조를 ,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한 온풍건조를 동시에 수행함과 아울러,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각각의 건조실에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수행되게 하여 에너지 절감효과가 우수하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제품의 생산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냉동 압축기 1대의 가동으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동시에 수행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에 있어서,
    건조실 내부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채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기위한 배수관이 연결된 물받이(54)와;
    써모스탓C(37)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는 외기 흡입문(25)과;
    다습공기 배출 문(26)을;
    구비하고, 건조실내부에 설치되는 건조휀(55)을;
    각각 구비하여 제공되는 두 칸의 건조실A(1)와; 건조실B(2)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실A(1)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기A(101)와;
    상기 건조실B(2)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교환기B(102)를;
    배관으로 연결하는 압축기(15)로;
    구성되어 제공되는 독립된 폐쇄회로의 냉동시스템 셋트를: 포함하여 압축기 1대의 가동으로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냉동시스템 셋트의 응축기(13)로 사용되는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응축실(11)과;
    증발기(14)로 사용될 열교환기가 배치되는 증발실(12)이;
    서로 단열되고 접합되어 제공되는 교환닥트(10)를: 포함하고
    건조실A(1)의 실내공기를 순환 소통시키기 위해 상기 교환닥트(10) 좌측의 하단 면과 상단 면에 각각 조성되는 입구A(17)와; 출구A(19)를; 서로 연계하여 동시에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유입문A(18); 유출문A(20)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문A(18); 유출문A(20)와; 서로 교차하여 작동되며,
    건조실B(2)의 실내공기를 순환 소통시키기 위해 상기 교환닥트(10) 우측의 하단 면과 상단 면에 각각 조성되는 입구B(21)와; 출구B(23)를; 서로 연계하여 동시에 개폐하도록 제공되는 유입문B(22)와; 유출문B(24)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실A(1)내부에 구비되는 써모스탓A(7)와;
    상기 건조실B(2)내부에 구비되는 써모스탓B(8)의; 제어를 받아, 상기 유입문A(18); 유출문A(20)와; 상기 유입문B(22); 유출문B(24)를; 교대로 가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릴레이(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압축기 1대의 가동으로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냉, 온풍 교차건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A(101)에서 열교환기B(102) 방향으로 체크밸브A(105)와; 수액기A(106)와;
    팽창밸브A(107)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배관A(103)와; 열교환기B(102)에서 열 교환기A(101) 방향으로 체크밸브B(108)와; 수액기B(109)와;
    팽창밸브B(110)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배관B(104)로; 분류된 후, 접합된 2중 복합구조로 조성되어, 냉매의 유출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정, 역 가변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실A(1)내부에 구비되는 써모스탓A(7)와;
    상기 건조실B(2)내부에 구비되는 써모스탓B(8)의;
    제어를 받는 릴레이(31)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냉매의 유출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4방향밸브(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압축기 1대의 가동으로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냉, 온풍 건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A,B(1,2)외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압축기A(111)와;
    상기 건조실A(1)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A(113)와;
    상기 건조실B(2)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A(115)로;
    구성되며, 독립된 폐쇄회로를 구비한 냉동시스템 A셋트와;
    상기 .건조실A,B(1,2)외부의 일 측에 구비되는 압축기B(112)와;
    상기 건조실B(2)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B(114)와;
    상기 건조실A(1)내부에 구비되는 증발기B(116)로;
    구성되며, 독립된 폐쇄회로를 구비한 냉동시스템 B셋트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실A(1)내부에 구비되는 써모스탓A(7)와;
    상기 건조실B(2)내부에 구비되는 써모스탓B(8)의; 제어를 받아 작동되며,
    상기 압축기A(111)와; 압축기B(112)를; 교대로 가동시키기 위하여 제공되는,
    릴레이(3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압축기 1대의 가동으로 건조실A(1)와 건조실B(2)에서 냉풍건조와 온풍건조를 교차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냉, 온풍 건조기.
KR2020080011329U 2008-07-01 2008-08-22 냉. 온풍 교차건조기 KR200453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329U KR200453902Y1 (ko) 2008-07-01 2008-08-22 냉. 온풍 교차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874 2008-07-01
KR2020080011329U KR200453902Y1 (ko) 2008-07-01 2008-08-22 냉. 온풍 교차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12U true KR20100000312U (ko) 2010-01-11
KR200453902Y1 KR200453902Y1 (ko) 2011-06-02

Family

ID=44194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329U KR200453902Y1 (ko) 2008-07-01 2008-08-22 냉. 온풍 교차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9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78489A (ja) * 2019-11-21 2021-05-27 胡金霞 骨強化に役立つプロテインパウダーの製造装置
CN114353474A (zh) * 2021-12-22 2022-04-15 上海迅美工业设备有限公司 汽车内饰毛毡烘干专用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454B1 (ko) * 2012-05-15 2013-01-28 (주)거성에너지 냉온풍을 이용한 농수산물의 건조, 큐어링 및 저온저장용 다기능 냉동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9843A (ja) * 1996-09-12 1998-04-10 Hitachi Shimizu Eng Kk 真空乾燥装置の冷凍サイクルの制御方法
KR100304458B1 (ko) 1999-09-18 2001-10-29 진금수 건조겸 냉장창고
KR100415684B1 (ko) * 2001-09-24 2004-01-24 쥴히터(주) 히트 펌프식 건조기겸 냉장창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78489A (ja) * 2019-11-21 2021-05-27 胡金霞 骨強化に役立つプロテインパウダーの製造装置
CN114353474A (zh) * 2021-12-22 2022-04-15 上海迅美工业设备有限公司 汽车内饰毛毡烘干专用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902Y1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62851B (zh) 空调系统及其除湿方法
CN101490483B (zh) 换气空调装置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1702884B1 (ko) 히트 펌프형 냉난방 시스템
CN109539440A (zh) 新风再热型热泵热回收空调机组
CN205957367U (zh) 除湿机系统
CN105222566A (zh) 一种带抽湿和废热利用的热泵烘干系统
KR200453902Y1 (ko) 냉. 온풍 교차건조기
EP3256790B1 (en) Air conditioner
KR20180067069A (ko) 냉온풍 제습 건조기
CN103115407A (zh) 烘干空调除湿一体机
US9951963B2 (en) Hybrid heat pump apparatus
CN108168225B (zh) 一种分流型热泵干燥系统
CN207422852U (zh) 加热和除湿一体化的热泵烘干机
CN213273672U (zh) 一种多功能热泵除湿烘干系统
KR20160098755A (ko) 송풍기 모듈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및 그 제습시스템의 작동방법
CN208762378U (zh) 污泥除湿干化机
CN207299324U (zh) 再热型热泵热回收空调机组
KR101053659B1 (ko) 4웨이밸브에 의한 히트펌프식 이동형 냉각제습기의 동작방법
KR102007302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840770B1 (ko) 서버실 냉각 장치, 서버실 냉각 장치용 냉각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센터의 운영 방법
CN218764276U (zh) 一种双系统烘干房
CN219347227U (zh) 一种半嵌入式空气能烘干机及烘干房
CN219050856U (zh) 一种低温空气除湿装置
CN218219068U (zh) 烟叶烤房的除湿及热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