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222U -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222U
KR20100000222U KR2020080008685U KR20080008685U KR20100000222U KR 20100000222 U KR20100000222 U KR 20100000222U KR 2020080008685 U KR2020080008685 U KR 2020080008685U KR 20080008685 U KR20080008685 U KR 20080008685U KR 20100000222 U KR20100000222 U KR 201000002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ug
ear
case body
ea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2020080008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222U/ko
Publication of KR201000002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2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10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inflatable or expand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2013/1015Arrangement of fasteners of hook and loop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를 개시한다. 상기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두 개의 이어 플러그를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플러그 고정수단을 구비한 케이스 본체부; 이 케이스 본체부의 일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커버부; 및 이 케이스 커버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케이스 커버부 중 하나에 형성되는 잠금부 및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대응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케이스 본체부의 플러그 고정수단을 통해 이어 플러그를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게 하고, 그 케이스 본체부로부터 이어 플러그를 꺼낼 때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며, 케이스 커버부를 하부로 위치시켜 케이스 본체부를 개방시켜도 이어 플러그가 그 케이스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어, 플러그, 케이스

Description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Case for Ear plugs}
본 고안은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부나 여행할 때, 수면을 취할 때, 소음의 발생이 큰 작업장에서 일할 때 등의 경우에, 귀에 착용하는 이어 플러그를 보관하는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로, 종래 기술에 따른 봉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이어 플러그(2)를 길이를 따라 수용 가능한 내부공간(3a)을 갖는 케이스 본체부(3)와, 이 케이스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커버부(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부(3)의 내부에 보관된 두 이어 플러그(2) 중 바깥측의 것은 하부부분이 상기 케이스 본체부(3)에 수용되고 상부부분이 상기 케이스 커버부(4)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본체부(3)의 외측 일부분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벨트나 상의의 주머니 등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케이스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걸이부재(3b)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커버부(4)의 일단부의 외측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부(3)의 내벽과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그 일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돌기(4a)가 형성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의 봉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1)는 상기 두 이어 플러그(2) 중 외측 것이 상기 케이스 본체부(3)의 외부로 돌출되게 수용되는 데다, 상기 두 이어 플러그(2)를 안정되게 잡아주는 플러그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이어 플러그(2)를 꺼내 쓰기 위해 케이스 본체부(3)로부터 케이스 커버부(4)를 분리시킬 때 그 케이스 본체부(3)로부터 이어 플러그(2)가 갑작스럽게 외부로 튀어나와 바닥으로 떨어지는 불편을 수반하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상기 케이스 커버부(4)를 지면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케이스 커버부를 상기 케이스 본체부(3)로부터 분리시킬 시 이어 플러그(2)가 모두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다른 예로, 종래 기술에 따른 초승달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5)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이어 플러그(2)를 좌우로 나란히 수용 가능한 내부공간(6a)을 갖는 케이스 본체부(6)와, 이 케이스 본체부에 회전(또는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커버부(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부(6)의 내부에 보관된 두 이어 플러그(2)는 그 케이스 본체부(6)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본체부(6)의 외측 일부분에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된 벨트 등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그 케이스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걸이부재(6b)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부(7)의 자유단의 하부 두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 본체부(6)의 대응내벽에 형성된 요부(6c)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고정돌기(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조의 초승달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5)는 상기 두 이어 플러그(2)가 상기 케이스 본체부(6)의 내부에 깊숙이 수용되는 데다, 상기 이어 플러그(2)를 안정되게 잡아주는 플러그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 본체부(6)로부터 이어 플러그(2)를 꺼내기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케이스 커버부(7)를 지면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케이스 커버부를 상기 케이스 본체부(6)로부터 개방할 시 이어 플러그(2)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어 플러그를 안정되게 보관하고, 편리하게 꺼내쓸 수 있게 하며, 아울러 휴대하고 다니기에도 편리할 수 있게 하는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두 개의 이어 플러그를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플러그 고정수단을 구비한 케이스 본체부; 이 케이스 본체부의 일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커버부; 및 이 케이스 커버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케이스 커버부 중 하나에 형성되는 잠금부 및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대응 잠금부;를 포함하는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위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한 예로,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로 구성되고, 이 지지리브는 상기 두 이어 플러그의 몸체부를 수평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를 따라 두 개의 요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예로,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두 개의 지지부로 구성되고, 이 각 지지부는 해당 이어 플러그의 선단부를 수직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해당 지지부의 중앙을 향해 뻗는 적어도 3개의 지지리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잠금부와 대응 잠금부는 탄성후크부와 걸림돌기부, 또는 탄성돌기부와 단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케이스 커버부가 닫혀진 상태의 케이스는 사각박스, 또는 하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는 목 줄 또는 휴대폰 줄의 걸이부재를 끼울 수 있도록 고정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케이스 커버부의 외면 은 금속질감을 나타내도록 광택코팅(Gloss coating)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케이스 본체부의 플러그 고정수단을 통해 이어 플러그를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게 하고, 그 케이스 본체부로부터 이어 플러그를 꺼낼 때 실수로 바닥에 떨어뜨리는 것을 방지하며, 케이스 커버부를 하부로 위치시켜 케이스 본체부를 개방시켜도 이어 플러그가 그 케이스 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가 여성 사용자를 위한 하트 형태, 또는 남성 사용자를 위한 사각박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물건 선택의 폭을 높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목 줄 또는 휴대폰 줄을 위한 고정링이 제공되어 있어 휴대하고 다니기에도 편리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트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하트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이실시예에 따른 사각박스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사각박스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1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부(11), 케이스 커버부(12), 잠금부(13) 및 대응 잠금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본체부(11)는 내부공간(11a)이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두 개의 이어 플러그(2)를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플러그 고정수단(15)을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15)은 사용자의 양쪽 귀를 기본으로 하여 두 개의 이어 플러그(2)를 수용하는 것으로 언급되었지만 하나의 이어 플러그(2)만을 수용하는 구조도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케이스 커버부(12)는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의 일부분에 대해 회전(또는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공간(12a)을 갖는다.
상기 잠금부(13)는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와 케이스 커버부(12) 중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대응 잠금부(14)는 그 케이스 본체부(11)와 케이스 커버부(12)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된다. 상기 잠금부(13)와 대응 잠금부(14)는 상기 케이스 커버부(12)가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1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16)로 구성되고, 이 지지리브는 상기 두 이어 플러그(2)의 몸체부를 수평상태 로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를 따라 두 개의 요부(16a)를 갖는다.
상기 지지리브가 하나인 경우, 상기 지지리브(16)는 이어 플러그(2)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도의 폭을 갖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리브가 두 개 또는 세 개인 경우, 상기 각 지지리브(16) 간의 간격은 이어 플러그(2)의 안정된 지지 및 재료의 효율적인 사용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13)와 대응 잠금부(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돌기부(13a)와 단턱부(14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돌기부(13a)는 상기 케이스 커버부(12)의 선단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턱부(14a)는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의 대응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13)와 대응 잠금부(14)의 결합부분과 상기 케이스 커버부(12)와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의 회전 연결부분은 상기 케이스 커버부(12)가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에 대해 틈새 없이 균일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해당 케이스(10)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와 케이스 커버부(12)가 닫혀진 상태의 케이스(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형태를 이룬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1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두 개의 지지부(17)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지지부(17)는 해당 이 어 플러그(2)의 선단부를 수직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해당 지지부의 중앙을 향해 뻗는 3개 또는 4개의 지지리브(17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13)와 대응 잠금부(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후크부(13b)와 걸림돌기부(1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와 케이스 커버부(12)가 닫혀진 상태의 케이스(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박스 형태를 이룬다.
다른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하트 또는 사각박스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는 목 줄 또는 휴대폰 줄의 걸이부재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일부분에 고정링(18)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링(18)은 별도로 제공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일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되거나, 또는 그 케이스(10)의 일부분에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와 케이스 커버부(12)의 외면은 금속질감을 나타내도록 광택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광택코팅은 공지의 증착공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택코팅은 또한 다양한 색채의 재료들로부터 선택되어 행해질 수 있으며, 통상 크롬코팅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광택코팅이 이루어진 상기 케이스 본체부(11)와 케이스 커버부(12)의 외면에는 꽃, 별, 만화 캐릭터 등의 무늬가 추가로 인쇄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하트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작동(또는 사용방법)을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케이스 본체부(11)와 케이스 커버부(12)의 잠금부(13)와 대응 잠금부(14) 간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케이스 커버부(12)를 케이스 본체부(11)로부터 개방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부(11) 내의 플러그 고정수단(15)을 이루는 지지리브(16)의 두 요부(16a)에 각각 끼워진 이어 플러그(2)는 상기 케이스(10)를 뒤집거나 흔들어도 그 케이스 본체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상기 케이스 본체부(11) 내의 지지리브(16)의 두 요부(16a)에 수평상태로 끼워진 이어 플러그(2)를 차례로 꺼내어, 그 이어 플러그의 선단부분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귀에 끼운다. 그러면, 상기 각 이어 플러그(2)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주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귓속에 밀착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상기 이어 플러그(2)를 귓속에 끼운 후, 상기 케이스 커버부(12)와 케이스 본체부(11)를 상호 밀착되게 눌러, 상기 케이스 커버부(12)와 상기 케이스 본체부(11)를 상기 잠금부(13)와 대응 잠금부(14)를 통해 고정한다.
한편,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사각박스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작동(또는 사용방법)을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케이스 본체부(11)와 케이스 커버부(12)의 잠금부(13)와 대응 잠금부(14) 간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케이스 커버부(12)를 케이스 본체부(11)로부터 개방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부(11) 내의 두 지지부(17)의 해당 지지리브(17a)에 각각 끼워진 이어 플러그(2)는 상기 케이스(10)를 뒤집거나 흔들어도 그 케이스 본체부(1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상기 케이스 본체부(11) 내의 두 지지부(17)의 해당 지지리 브(17a)에 각각 수직상태로 끼워진 이어 플러그(2)를 차례로 꺼내어, 그 이어 플러그의 선단부분을 압축시킨 상태에서 귀에 끼운다. 그러면, 상기 각 이어 플러그(2)는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주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귓속에 밀착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상기 이어 플러그(2)를 귓속에 끼운 후, 상기 케이스 커버부(12)와 케이스 본체부(11)를 상호 밀착되게 눌러, 상기 케이스 커버부(12)와 상기 케이스 본체부(11)를 상기 잠금부(13)와 대응 잠금부(14)를 통해 고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례에 따른 봉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초승달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트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하트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이실시예에 따른 사각박스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사각박스 형태의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의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이어 플러그 10: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또는 케이스
11: 케이스 본체부 11a,12a: 내부공간
12: 케이스 커버부 13: 잠금부
13a: 탄성돌기부 13b: 탄성후크부
14: 대응 잠금부 14a: 단턱부
14b: 걸림돌기부 15: 플러그 고정수단
16,17a: 지지리브 16a: 요부
17: 지지부 18: 고정링

Claims (7)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두 개의 이어 플러그를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플러그 고정수단을 구비한 케이스 본체부;
    이 케이스 본체부의 일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커버부; 및
    이 케이스 커버부가 상기 케이스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케이스 커버부 중 하나에 형성되는 잠금부 및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는 대응 잠금부;
    를 포함하는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리브로 구성되고, 이 지지리브는 상기 두 이어 플러그의 몸체부를 수평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를 따라 두 개의 요부를 갖는 것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두 개의 지지부로 구성되고, 이 각 지지부는 해당 이어 플러그의 선단부를 수직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해당 지지부의 중앙을 향해 뻗는 적어도 3개의 지지리브로 이루어진 것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와 대응 잠금부는 탄성후크부와 걸림돌기부, 또는 탄성돌기부와 단턱부로 이루어진 것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케이스 커버부가 닫혀진 상태의 케이스는 사각박스, 또는 하트 형태인 것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는 목 줄 또는 휴대폰 줄의 걸이부재를 끼울 수 있도록 고정링이 구비된 것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부와 케이스 커버부의 외면은 금속질감을 나타내도록 광택코팅된 것인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KR2020080008685U 2008-06-30 2008-06-30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KR201000002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685U KR20100000222U (ko) 2008-06-30 2008-06-30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685U KR20100000222U (ko) 2008-06-30 2008-06-30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222U true KR20100000222U (ko) 2010-01-07

Family

ID=4419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685U KR20100000222U (ko) 2008-06-30 2008-06-30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2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76B1 (ko) 2020-05-12 2020-12-07 (주)부광티피티 침수시 누전방지장치가 부설된 이동형 전선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76B1 (ko) 2020-05-12 2020-12-07 (주)부광티피티 침수시 누전방지장치가 부설된 이동형 전선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0222U (ko) 이어 플러그용 케이스
JP3211659U (ja) 喫煙具用ケース装置
KR200438388Y1 (ko) 슬라이드유도부가 구비된 담배케이스
WO2002049468A1 (fr) Bande permettant l&#39;installation d&#39;un telephone cellulaire
CN114259741B (zh) 饰品玩具和涂布材料收容体
KR200461710Y1 (ko) 다용도 걸이용 캡
JP3212212U (ja) 電子煙草用ケース
JP3086326U (ja) ライターケース
KR200445502Y1 (ko) 벽걸이형 액세서리 보관함
KR100998249B1 (ko) 고리걸이형 고리캐리어가 구비된 용기
KR200447278Y1 (ko) 이동기기용 고리
CN208782878U (zh) 一种可盛放钥匙的手机壳
KR200341436Y1 (ko) 착탈식 열쇠
US20130313157A1 (en) Portable cable carrier system and method
KR200446993Y1 (ko) 화장품 용기
KR200410104Y1 (ko) 걸고리에 매달리는 휴대용 수납용기
KR20180096036A (ko) 액세서리 보관용 손지갑
KR200369786Y1 (ko) 목걸이줄 연결구
KR200374254Y1 (ko) 휴대용 붓 케이스
KR200327598Y1 (ko) 골프공 용기
JP3134288U (ja) 小物を収容可能な瓢箪形お守り
KR200311770Y1 (ko) 탈,부착식 걸이끈을 갖는 장지갑
KR200210251Y1 (ko) 목걸이
KR200325078Y1 (ko) 수납실이 구비된 핸드폰 악세사리
KR200367092Y1 (ko) 걸이용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