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055A -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 - Google Patents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055A
KR20100000055A KR1020080059396A KR20080059396A KR20100000055A KR 20100000055 A KR20100000055 A KR 20100000055A KR 1020080059396 A KR1020080059396 A KR 1020080059396A KR 20080059396 A KR20080059396 A KR 20080059396A KR 20100000055 A KR20100000055 A KR 2010000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fixed
water supply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678B1 (ko
Inventor
김성완
박준영
김신
한남수
권문희
서영주
류동수
손원득
박경순
이명광
양승근
Original Assignee
대한주택공사
삼신설계(주)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주택공사, 삼신설계(주),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대한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08005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6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의 활용을 위해 싱크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하여 제자리에서 싱크를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며, 서랍과 도어가 전후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단부(26)가 형성되며, 몸체를 이루는 바닥판(24)에 개방단부(26)를 향하여 개방된 이동홈부(25)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 싱크대상판(21)이 고정되며, 싱크대상판(21)의 일측에 개방단부(26)를 향하여 개방된 홈부(22)가 형성되고, 홈부(22)의 내측단에 안착단부(23)가 형성되는 본체(20); 측판(31)의 상단에 연결판(32)이 고정되고, 고정브라켓(27)으로 본체(20)의 개방단부(26)에 볼팅되어 고정되는 측면판체(30); 바닥에 형성된 급수배수홈부(70)를 둘러싸도록 원통관(41)의 하단이 위치하고, 원통관(41)의 하단 둘레에 받침부(43)가 형성되어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며, 원통관(41)의 일측에 도어(42)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원통관(41)의 상단에 연결부(44)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베어링(45)이 고정되는 기초원통부(40); 상부에 안착부(5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원통부(52)가 형성되며, 상부원통부(52)는 기초원통부(40)의 연결부(4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대(50); 판체(61)에 형성된 싱크(62)가 받침대(50)의 안착부(51)에 놓여져 고정되고, 싱크(62) 중앙에 배수전(63)이 형성되며, 싱크(62)가 형성되지 않은 판체(61)의 나머지 부분에 급수전(64)이 고정되고, 판체(61)가 본체(20)의 홈부(22)에 삽입되어 안착단부(23)에 놓여져 고정되는 싱크분리판(60); 싱크대가 설치될 수 있는 가능지역 바닥에 다수 개가 미리 형성되고, 입구에 단턱(75)이 형성되어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안착되며, 내부에 배수관(71)과 급수밸브(72)가 형성되고, 급수밸브(72)는 플렉시블한 급수관(74)에 의해 급수전(64)에 연결되며, 배수관(71)에는 배수전(63)에 연결된 배수주름관(73)이 고정되는 급수배수홈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싱크대, 싱크분리판, 받침대, 급수배수홈부

Description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A sink can be movable}
본 발명은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의 활용을 위해 싱크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구성하여 제자리에서 싱크를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서구식 부엌이 도입된 뒤로 싱크대는 모든 주택이나 사무실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싱크대는 우선 생활방식과 주택 평형에 맞춰 기본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계획을 세워야 하고, 작은 평수에는 '-자형'과 중급자재, 씽크대와 후드를 기본으로 씽크대에 식탁 부착, 키큰장설치, 플랩장설치, 소형 가전제품 중에서 필요한 기능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싱크대는 타가구와 달리 일단 설치되면 배수관, 온수관, 냉수관과의 연결로 인하여 이동이 불가능하였다.
싱크대는 수납장 뒤편의 벽체를 뚫고 온수와 냉수를 공급하는 배관이 연결되어 싱크대 급수전과 연결된다. 그리고 싱크대의 싱크에는 물이 수용되는데, 싱크의 하단 중심측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일측 측면부 상단에는 오버플로우 배출공이 형성되며, 배수구에는 오버플로우 유도관이 측벽에 형성된 배수전이 고정결합된다.
배수전 측면의 오버플로우 유도관은 싱크의 오버플로우 배출공과 주름관으로 연결되고, 배수전 하단에는 배수호스가 결합되어 싱크대 내부의 오수를 하수관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급수전과 배수전의 배관 연결 구조로 인하여 싱크대를 옮기거나 방향을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벽체와 바닥을 뜯어내는 공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현재에는 공동주택을 포함한 거주공간 및 사무실을 건축할 때 공간의 활용을 위하여 벽체의 이동이 가능하고 공간의 변경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경향으로 건축물이 축조되고 있다.
그러나 부엌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문제로 인하여 싱크대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아 항상 싱크대는 고정된 상태로만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지만 공간의 활용을 위해 싱크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싱크대를 회전하거나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하여 부엌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싱크대의 방향을 회전하여 변경할 때 급수전과 배수전을 분리하지 않아도 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싱크대를 회전시켜 방향을 바꾸어 사용하고자 할 때, 싱크대 본체를 받침대에 의해 안착된 싱크분리판으로 부터 분리하여 회전시킨 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급수전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놓기 위해 싱크분리판도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랍과 도어가 전후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단부가 형성되며, 몸체를 이루는 바닥판에 개방단부를 향하여 개방된 이동홈부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 싱크대상판이 고정되며, 싱크대상판의 일측에 개방단부를 향하여 개방된 홈부가 형성되고, 홈부의 내측단에 안착단부가 형성되는 본체; 측판의 상단에 연결판이 고정되고, 고정브라켓으로 본체의 개방단부에 볼팅되어 고정되는 측면판체; 바닥에 형성된 급수배수홈부를 둘러싸도록 원통관의 하단이 위치하고, 원통관의 하단 둘레에 받침부가 형성되어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며, 원통관의 일측에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원통관의 상단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베어링이 고정되는 기초원통부; 상부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원통부가 형성되며, 상부원통부는 기초원통부의 연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대; 판체에 형성된 싱크가 받침대의 안착부에 놓여져 고정되고, 싱크 중앙에 배수전이 형성되며, 싱크가 형성되지 않은 판체의 나머지 부분에 급수전이 고정되고, 판체가 본체의 홈부에 삽입되어 안착단부에 놓여져 고정되는 싱크분리판; 싱크대가 설치될 수 있는 가능지역 바닥에 다수개가 미리 형성되고, 입구에 단턱이 형성되어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안착되며, 내부에 배수관과 급수밸브가 형성되고, 급수밸브는 플렉시블한 급수관에 의해 급수전에 연결되며, 배수관에는 배수전에 연결된 배수주름관이 고정되는 급수배수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급수배수홈부가 바닥에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급수배수홈부가 형성된 곳을 중심으로 싱크대를 다양한 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현재 위치한 싱크대를 90도 180도 회전시켜 싱크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시켰을 때 온수, 냉수의 급수배관 뿐만 아니라 배수배관을 따라 분리하지 않고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싱크분리판을 회전시켜 본체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급수전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유사시에 필요에 의하여 싱크분리판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싱크대(10)의 본체(20)와 싱크(62)가 형성된 싱크분리판(60)을 분리할 수 있게 형성하고, 싱크분리판(60)은 기초원통부(40)와 받침대(5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싱크대(10)의 본체(20)와 같이 회전하거나 본체(20)가 분리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20)는 서랍과 도어가 전후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단부(26)가 형성된다. 서랍과 수납을 위한 도어는 싱크대(10)가 회전할 때 배면이 앞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배면에도 도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체(20)의 몸체를 이루는 바닥판(24)에 개방단부(26)를 향하여 개방된 이동홈부(25)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 싱크대상판(21)이 고정된다. 싱크대상판(21)의 일측에 개방단부(26)를 향하여 개방된 ㄷ자형의 홈부(22)가 형성되고, 홈부(22)의 내측단에 안착단부(23)가 형성된다. 안착단부(23)는 싱크대상판(21)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본체(20) 상단에 판체를 대어 형성할 수 있다.
측면판체(30)는 측판(31)의 상단에 연결판(32)이 고정되고, 고정브라켓(27)으로 본체(20)의 개방단부(26)에 볼팅되어 고정된다. 연결판(32)은 싱크분리판(60)이 홈부(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된 부분을 막아주도록 형성되고, 수밀을 위해 하부에 고무판을 부착하여 물이 틈을 통해 흐르지 않게 한다.
그리고 측면판체(30)의 하단에 저판(미도시)을 수평되도록 고정하여 본체의 이동홈부(25)위에 놓여져 이동홈부(25)를 막아주어 물건의 수납을 용이하게 한다.
기초원통부(40)는 바닥에 형성된 급수배수홈부(70)를 둘러싸도록 원통관(41)의 하단이 놓여져 위치하고, 원통관(41)의 하단 둘레에 받침부(43)가 형성되어 바닥면에 밀착 지지된다. 받침부(43)는 바닥면에 양면테이프 등으로 가볍게 고정하여 이동시 탈착이 용이하게 한다.
기초원통부(40)는 본체(20)와 결합될 때, 이동홈부(25)를 통해 삽입되거나 이탈된다.
기초원통부(40)의 원통관(41) 일측에 도어(42)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원통관(41)의 상단에 연결부(44)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베어링(45)이 고정된다. 도어(42)는 내부의 배수주름관(73)과 급수관(74)의 연결과 분리를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받침대(50)는 싱크분리판(60)을 회전 가능하게 안착시키는 구성으로, 상부에 안착부(5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원통부(52)가 형성된다. 안착부(51)는 싱크분리판(60)에서 하향 돌출 형성되는 싱크(62)가 놓여지게 되나, 싱크(62)보다 크게 형성되어 급수전(64)과 연결되는 급수관(74)이 상부원통부(52)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상부원통부(52)는 기초원통부(40)의 연결부(4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베어링(45)의 내측면에 끼워져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싱크분리판(60)은 판체(61)에 싱크(62)가 형성되고, 싱크(62)의 중앙에 배수전(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싱크(62)가 형성되지 않은 판체(61)의 나머지 부분에 급수전(64)이 고정된다.
판체(61)에 형성된 싱크(62)가 받침대(50)의 안착부(51)에 놓여져 고정되고, 판체(61)가 본체(20)의 홈부(22)에 삽입되어 안착단부(23)에 놓여져 고정된다.
급수배수홈부(70)는 싱크대가 설치될 수 있는 가능지역 바닥에 다수개가 미리 형성되고, 입구에 단턱(75)이 형성되어 커버(미도시)가 개폐가능하게 안착되어 고정된다.
급수배수홈부(70)의 내부에 배수관(71)과 급수밸브(72)가 형성되고, 급수밸브(72)는 플렉시블한 급수관(74)에 의해 급수전(64)에 연결되며, 배수관(71)에는 배수전(63)에 연결된 배수주름관(73)이 고정된다.
제자리에서 싱크대(10)를 회전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우선 싱크대(10)의 배면이 벽체에 붙어있지 않을 경우에는 싱크대가 회전할 수 있는 반경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그냥 약간 들어서 회전시키면 돌아간다. 이때 각종 배관은 그대로 있고 외부 구조물만 돌아가게 된다.
이 경우에 급수전(64)은 싱크대(10)의 회전에 따라 같이 돌아가므로 때에 따라 사용하기 불편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급수전(64)을 원하는 위치에 두거나, 싱크대(10)가 벽체에 붙어서 회전이 가능하기 않을 경우에, 본체(20)를 싱크분리판(60)으로 부터 분리한 다음 싱크분리판(60)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시 본체(20)를 결합한다.
싱크대를 부엌의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고 싶을 경우, 원위치에서 측면판체(30)를 분리하여 본체(20)를 기초원통부(40), 받침대(50), 싱크분리판(60)으로 부터 분리시킨 후, 급수관(74)과 배수주름관(73)을 현재 설치된 급수배수홈부(70)의 급수밸브(72)와 배수관(71)으로 부터 분리한다.
분리된 싱크분리판(60), 기초원통부(40), 받침대(50)를 원하는 위치의 급수배수홈부(70)로 가져가 커버를 열고 배관을 연결한 후 급수밸브(72)를 열고, 다시 본체(20)를 끼운다음 측면판체(30)를 볼팅하여 이동을 마무리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를 다른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가 설치 가능한 위치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싱크대 20 : 싱크대본체
21 : 싱크대상판 22 : 홈부
23 : 안착단부 24 : 바닥판
25 : 이동홈부 26 : 개방단부
27 : 고정브라켓 30 : 측면판체
31 : 측판 32 : 연결판
40 : 기초원통부 41 : 원통관
42 : 도어 43 : 받침부
44 : 연결부 45 : 베어링
50 : 받침대 51 : 안착부
52 : 상부원통부 60 : 싱크분리판
61 : 판체 62 : 싱크
63 : 배수전 64 : 급수전
70 : 급수배수홈부 71 : 배수관
72 : 급수밸브 73 : 배수주름관
74 : 급수관 75 : 단턱

Claims (1)

  1. 서랍과 도어가 전후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단부(26)가 형성되며, 몸체를 이루는 바닥판(24)에 개방단부(26)를 향하여 개방된 이동홈부(25)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에 싱크대상판(21)이 고정되며, 싱크대상판(21)의 일측에 개방단부(26)를 향하여 개방된 홈부(22)가 형성되고, 홈부(22)의 내측단에 안착단부(23)가 형성되는 본체(20);
    측판(31)의 상단에 연결판(32)이 고정되고, 고정브라켓(27)으로 본체(20)의 개방단부(26)에 볼팅되어 고정되는 측면판체(30);
    바닥에 형성된 급수배수홈부(70)를 둘러싸도록 원통관(41)의 하단이 위치하고, 원통관(41)의 하단 둘레에 받침부(43)가 형성되어 바닥면에 밀착 지지되며, 원통관(41)의 일측에 도어(42)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고, 원통관(41)의 상단에 연결부(44)가 형성되어 내측으로 베어링(45)이 고정되는 기초원통부(40);
    상부에 안착부(5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원통부(52)가 형성되며, 상부원통부(52)는 기초원통부(40)의 연결부(4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받침대(50);
    판체(61)에 형성된 싱크(62)가 받침대(50)의 안착부(51)에 놓여져 고정되고, 싱크(62) 중앙에 배수전(63)이 형성되며, 싱크(62)가 형성되지 않은 판체(61)의 나머지 부분에 급수전(64)이 고정되고, 판체(61)가 본체(20)의 홈부(22)에 삽입되어 안착단부(23)에 놓여져 고정되는 싱크분리판(60);
    싱크대가 설치될 수 있는 가능지역 바닥에 다수개가 미리 형성되고, 입구에 단턱(75)이 형성되어 커버가 개폐가능하게 안착되며, 내부에 배수관(71)과 급수밸브(72)가 형성되고, 급수밸브(72)는 플렉시블한 급수관(74)에 의해 급수전(64)에 연결되며, 배수관(71)에는 배수전(63)에 연결된 배수주름관(73)이 고정되는 급수배수홈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
KR1020080059396A 2008-06-24 2008-06-24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 KR10097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396A KR100971678B1 (ko) 2008-06-24 2008-06-24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396A KR100971678B1 (ko) 2008-06-24 2008-06-24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055A true KR20100000055A (ko) 2010-01-06
KR100971678B1 KR100971678B1 (ko) 2010-07-22

Family

ID=4181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396A KR100971678B1 (ko) 2008-06-24 2008-06-24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6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1713B2 (ja) * 1993-11-12 1998-01-21 三協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流し台とその組立方法
JPH11229457A (ja) 1997-09-24 1999-08-24 Toto Ltd 給水装置
JP2007289631A (ja) 2006-03-27 2007-11-08 Eidai Co Ltd 水槽付きキャビネ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678B1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1441A (en) Prefabricated kitchen-bath utility system
EP2321475B1 (en) A plumbing connection hub
EP3516125B1 (en) Deployable mounting system for plumbed equipment
EP1589154A2 (en) Multifunction unit for sanitary fittings
KR100971678B1 (ko) 장소 이동이 가능한 싱크대
CA3038418C (en) Arrangement for the installation and wall mounting of a washbasin or the like
WO2020264231A1 (en) Bathroom module
AU2015255193B2 (en) An encasement
JP6525429B2 (ja) 衛生設備付き多機能家具
US2557470A (en) Unitary bathroom structure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JP2018017007A (ja) 集約設備及びこれを備えた設備ユニット
KR200369576Y1 (ko) 테이블용 싱크대
EP3399113A1 (en) Plumbing unit
JP2005164077A (ja) 貯湯式電気温水器及びその設置方法
King The bathroom in a box
RU2675981C1 (ru) Способ реализации стационарного слива в ванной комнате и/или кухне многоэтажного дома с раздельным размещением санузлов
WO2007038809A1 (en) A plumbing connection hub
JP5041274B2 (ja) 貯湯式給湯装置
JP3180792U (ja) 組立てハウス用多目的ライニングボックス
KR101404936B1 (ko) 욕실 통합 배수 연결 장치
JP2000130679A (ja) 配管継ぎ手構造
EP2365142B1 (en) Siphon with double mounting
CZ309674B6 (cs) Sprchový kout, zejména pro dočasné instalace s frekventovaným provozem
JP2005023652A (ja) 宅内排水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