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302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3023A
KR20090133023A KR1020080059261A KR20080059261A KR20090133023A KR 20090133023 A KR20090133023 A KR 20090133023A KR 1020080059261 A KR1020080059261 A KR 1020080059261A KR 20080059261 A KR20080059261 A KR 20080059261A KR 20090133023 A KR20090133023 A KR 20090133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refrigerator
door
home ba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0184B1 (ko
Inventor
안종욱
강병규
이재열
박상호
김명환
방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5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184B1/ko
Publication of KR2009013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3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홈바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와 상기 홈바 도어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홈바 도어를 상기 냉장고 도어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제1자석부와, 상기 홈바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와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록킹 유닛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홈바 도어를 냉장고 도어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 유닛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냉동 또는 냉장하여 보관하게 된다.
냉장고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며,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Cycle)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지속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최근 들어, 냉장고는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냉장고 도어에 보조 저장실, 소위 홈바(home bar)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어 인기를 끌고 있다. 홈바는 냉장고 도어에 설치되어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자주 인출하는 저장물(예를 들어, 음료수, 간단한 음식물 등)을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홈바는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개폐하는 홈바 도어를 포함하며, 냉장고 도어와 홈바 도어의 사이에는 홈바 도어를 냉장고 도어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이 장착된다.
록킹 유닛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로 결합 도는 분리 가능한 한 쌍의 록킹 구조, 예를 들어 걸림홈과 걸림 돌기, 및 이들을 상호 동작시키기 위한 스프링들로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록킹 구조는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변형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등 신뢰성 확보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록킹 유닛은 홈바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를 당기거나, 누름 동작시킴에 의해 작동되며, 이에 따라 홈바 도어가 냉장고 도어에 록킹되거나 록킹 해제된다. 이러한 구조는 홈바 도어의 개폐시 사용자의 별도 조작이 필요하므로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홈바 도어를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 유닛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홈바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와 상기 홈바 도어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홈바 도어를 상기 냉장고 도어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제1자석부와, 상기 홈바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와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상기 제1자석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형성된 자석 장착부 상에 배치되는 제1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석부는, 상기 홈바 도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홈바 도어를 상기 냉장고 도어에 록킹시키도록 상기 제1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자석의 마주하는 면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는 제1 및 제2상태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자석 은 상기 제1상태에서 제1자석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자석으로부터 떨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석부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3자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3자석의 마주하는 면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자석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고정되며 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들이 번갈아 형성되는 제1원형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석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원형자석과 마주하는 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들이 번갈아 형성되어 상기 제1원형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원형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석부는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제2원형자석을 회전시키는 가동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록킹 유닛을 상대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자석부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록킹 유닛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홈바 도어를 닫을 때, 사용자가 홈바 도어를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홈바 도어를 록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바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홈바 도어를 누름 동작시킴에 의해 홈바 도어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100)는 내부에 냉각실(111,112)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110)와, 냉각실(111,112)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21,122)를 구비한다.
냉각실(111,112)은 냉장실(111)과 냉동실(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냉장실(111)과 냉동실(112)은 냉장고 본체(110)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121,122)는 냉장실(111)과 냉동실(112)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21)와 냉동실 도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12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냉장실 도어(121) 중 어느 하나에는 냉장실 도어(121)를 개방하지 않고 물 또는 얼음을 인츨할 수 있도록 디스펜서(123)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121) 중 다른 하나에는 냉장실 도어(121)를 개방하지 않고도 자주 인출하는 저장물(예를 들어, 음료수, 간단한 음식물 등)을 외부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홈바(13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바(130)가 냉장실 도어(121)에 마련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나, 그 밖의 다른 위치, 예를 들어 냉동실 도어(122)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냉동실 도어(122)는 냉장고 본체(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 능하게 설치되며, 냉동실 도어(122)의 후면에는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용기(124)가 구비된다. 수납 용기(124)는 냉동실 도어(122)와 일체로 전후로 슬라이딩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홈바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홈바(130)는 냉장실 도어(121)에 구비되는 저장실(131)과, 저장실(131)을 개폐하는 홈바 도어(132)를 포함한다.
저장실(131)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홈바 도어(132)는 저장실(131)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냉장실 도어(121)에 결합된다. 홈바 도어(132)의 일단은 냉장실 도어(121)의 일측과 힌지 연결되어 회전 이동에 의해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홈바 도어(132)는 저장실(131)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와 같이 저장실(131)의 개구부가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홈바 도어(132)의 일 영역에는 손잡이(133)가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121)에는 저장실(131)의 개구부를 한정하는 프레임(133)이 장착된다. 프레임(133)은 냉장실 도어(121)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거나, 냉장실 도어(1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121)와 홈바 도어(132)의 사이에는 홈바 도어(132)를 냉장실 도어(121)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140)이 구비된다. 이하, 록킹 유닛(14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을 나타내는 홈바의 단면도이다.
냉장실 도어(121)의 내측으로 저장실 본체(134)가 구비되며, 그 둘레에는 프레임(133)이 설치된다.
록킹 유닛(140)은 냉장실 도어(121)에 장착되는 제1자석부(141)와, 홈바 도어(13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자석부(142)를 포함한다.
프레임(133)에는 함몰된 형태의 제1자석 장착부(135)가 구비되고, 제1자석부(141)는 제1자석 장착부(135) 상에 장착되는 제1자석(141)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자석부(142)는 제1자석부(141)와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켜 홈바 도어(132)를 냉장실 도어(121)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홈바 도어(13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자석부(142)는 홈바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제1자석부(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홈바 도어(132)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자석부(142)는 홈바 도어(13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재(143)와, 조작부재(143)에 설치되어 제1자석(141)과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석(144)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재(143)는 레버 형태로 형성되며, 제1상태와 제2상태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홈바 도어(132)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홈바 도어(132)에는 조작부재 장착홈(136)이 형성되며, 조작부재(14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부재 장착홈(136) 상을 이동한다. 도 3a는 조작부재(143)가 제1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 며, 도 3b는 조작부재(143)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제2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조작부재(143)의 후면에는 제2자석 장착부(145)가 형성된다. 조작부재(143)와 홈바 도어(132)의 사이에는 스프링(146)이 장착되며, 스프링(146)은 조작부재(143)의 슬라이드 이동시 조작부재(143)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제2자석(144)은 제2자석 장착부(145) 상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자석(144)의 서로 마주하는 면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자석(141)이 N극, 제2자석(144)이 S극을 가지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2자석(144)은 도 3a와 같이 제1상태에서 제1자석(141)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도 3b와 같이 제2상태에서 제1자석(141)으로부터 떨어지게 배치된다.
이하, 상기 록킹 유닛(14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기초로 록킹 유닛(140)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와 같이, 제1상태에서는 제1자석(141)과 제2자석(144)이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자석(141)과 제2자석(144)의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홈바 도어(132)는 냉장실 도어(121)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b와 같이, 제1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재(143)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작부재(143)을 제2상태에 위치시키면, 제2자석(144)도 조작부재(143)와 함께 이동하게 되어 제1자석(141)의 위치로부터 일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자석(144)의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홈바 도어(132)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도 3c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33) 등을 이용하여 홈바 도 어(132)를 회전시킴으로써 저장실(131)을 개방시킨다. 이 때 조작부재(143)는 스프링(14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홈바 도어(13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실(131)의 개구부를 닫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홈바 도어(132)를 냉장실 도어(121)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홈바 도어(132)가 냉장고 도어(121,122)에 근접하면, 제1자석(141)과 제2자석(144)의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며, 도 3a와 같이 홈바 도어(132)가 냉장실 도어(121)에 록킹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바 도어(132)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홈바 도어(132)를 냉장실 도어(121)에 록킹시킬 수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을 나타내는 홈바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선 도면과 유사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240)의 제2자석부(242)는 제2상태에서 제1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3자석(247)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240)은 제3자석(247)을 제외하고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조작부재(243)에 형성된 제2자석 장착부(245)의 상측에는 제3자석 장착부(248)가 구비되며, 제3자석(247)은 제3자석 장착부(248) 상에 고정된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상태(도 4a 참조)에서는 제1 및 제2자석(241,244)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도 4b와 같이 제2자석(244)은 제2상태에서 제1자석(241)의 위치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떨어지게 배치되며, 제1자석(241)과 제3 자석(247)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및 제3자석(241,247)의 서로 마주하는 면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3자석(241,247)의 마주하는 면이 N극을 갖는 것을 예로 들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24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와 같이 제1상태에서는 제1자석(241)과 제2자석(244)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의해 홈바 도어(232)가 냉장실 도어(221)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b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재(243)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제2자석(244)은 제1자석(241)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제3자석(247)이 제1자석(241)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상태에서 제1자석(241)과 제2자석(244)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제1자석(241)과 제3자석(247)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홈바 도어(232)에는 저장실(231)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자력이 작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조작부재(243)를 놓으면, 조작 부재(243)는 스프링(246)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에 따라 홈바 도어(232)가 닫힐 때, 제1 및 제2자석(241,244) 사이에 인력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을 나타내는 홈바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1 및 제2자석부(341,342)는 냉장실 도어(321)와 홈바 도어(332)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으로서 각각 구현된다.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에는 그 일면에 서로 다른 극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된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에는 N극과 S극이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된다.
제1원형자석(341a)은 프레임(333) 상에 고정되며, 제2원형자석(342a)은 홈바 도어(33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2원형자석(342a)은 홈바 도어(3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재(343)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조작부재(343)가 회전 조작됨에 따라 조작부재(343)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은 홈바 도어(332)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1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면에 서로 다른 극들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원형자석(341a)의 N극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원형자석(342a)의 S극이 배치되며, 제1원형자석(341a)의 S극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원형자석(342a)의 N극이 배치된다.
제2원형자석(342a)이 일정 각도 회전되어 제2상태가 되었을 때,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의 서로 마주하는 극들은 서로 동일한 극을 가진다. 여기서, 조작부재(143)는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의 서로 마주하는 극들이 서로 동일한 상태까지만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재(343)은 45도까지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이 제한된다. 이를 위하여 조작부재(343)와 홈바 도어(332) 사이에는 조작부재(14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조작부재(343)와 홈바 도어(332) 사이에는 조작부재(343)의 회전시 조작부재(34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복귀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34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제1상태에서는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의 서로 마주하는 면이 서로 다른 극을 가지므로,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 사이에는 인력이 발생하여 홈바 도어(332)가 냉장실 도어(321)에 록킹된다.
제1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재(343)을 회전시키면, 조작부재(343)가 미리 설정된 각도(45도)만큼 회전 후 그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의 서로 마주하는 면은 다른 극성을 가지며,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 사이에는 척력이 발생하게 된다. 제1 및 제2원형자석(341a,342a) 사이의 척력에 의해 홈바 도어(132)의 록킹이 해제됨과 동시에 홈바 도어(132)에는 개방 방향으로 자력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조작부재(343)를 놓으면, 조작부재(343)와 제2원형자석(342a)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홈바 도어(332)를 닫을 때 홈바 도어(332)가 냉장실 도어(321)에 일정 간격 이하로 근접하면, 제2원형자석(342a)에 제1원형자석(341a)으로부터 인력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홈바 도어(332)를 일정 각도 이상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홈바 도어(332)를 록킹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을 나타내는 홈바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록킹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440)은 제1 및 제2자석부(441,442)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자석부(441,442)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대 회전 가능한 제1 및 제2원형자석(441a,442a)을 각각 구비한다. 제1 및 제2원형자석(441a,442a)은 제3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한다.
프레임(433) 상에는 하우징(443)이 설치되며, 하우징(443)은 일측이 개구된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43)의 내부에는 제1원형자석(341a)이 고정된다.
홈바 도어(432)는 록킹 상태에서 누름 동작에 의하여 저장실(431) 측을 향하여 일정 간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홈바 도어(432)에는 홈바 도어(432)의 누름 동작에 의해 하우징(443)의 내부를 이동하는 가동부재(444)가 설치되며, 가동부재(444)는 일측이 개구된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부재(444)는 홈바 도어(432)의 후면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제2원형자석(342a)이 설치된다. 가동부재(444)는 홈바 도어(432)가 누름 동작됨에 따라 제2원형자석(442a)의 외주면을 이동함과 아울러 하우징(443)의 내부를 일정 간격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443)과 가동부재(444)의 사이에는 가동부재(44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는 하우징(443)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443a)과, 가동부재(44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444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44a)가 가이드 슬롯(443a)에 삽입되어 이동됨에 따라, 가동부재(444)는 직선 운동만을 수행하게 된다.
하우징(443)의 내부에는 제2원형자석(342a)을 지지하는 지지리브(445)가 형성되며, 지지리브(445)는 제1원형자석(34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동부재(444)와 제2원형자석(342a) 사이에는 스프링(446)이 장착되 며, 스프링(446)은 일단이 가동부재(444)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제2원형자석(342a)을 가압한다.
가동부재(444)와 제2원형자석(342a)의 사이에는 홈바 도어(132)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제2원형자석(442a)을 회전시키는 가동유닛(447)이 구비된다. 이하, 가동유닛(447)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a 및 8b는 도 7에 도시된 록킹 유닛의 단면도들이다.
도 7과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가동유닛(447)은 제2원형자석(442a)의 외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경사면(447a)과, 가동부재(44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동 돌기(447b)를 포함한다. 도 8a 및 8b에서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가동 돌기(447b)를 경사면(447a) 상에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경사면(447a)은 제2원형자석(442a)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일정 간격 함몰되어 형성되며, 제2원형자석(442a)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경사면(447a)은 제2원형자석(342a)의 외주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경사면(447a)은 제2원형자석(442a)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나, 제2원형자석(442a)의 외주면에 별도로 장착되는 부재 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동 돌기(447b)는 가동부재(444)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일정 간격 돌출되게 형성되며, 경사면(447a)들에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된다. 가동 돌기(447b)는 가동부재(444)가 이동함에 따라 경사면(447a)을 가압하게 되며, 제2원형자석(442a)은 경사면(447a)에 작용하는 반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가동부재(444)와 제2원형자석(442a) 사이에는 제2원형자석(442a)의 회전시 제2원형자석(442a)을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록킹 유닛/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와 같이, 홈바 도어(432)의 록킹 상태에서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원형자석(441a,442a)이 마주하는 면은 서로 다른 극을 가지며, 제1 및 제2원형자석(441a,442a)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홈바 도어(432)를 일정 거리 누름 동작시키면, 홈바 도어(432)에 고정된 가동부재(444)가 일정 간격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가동부재(444)의 가동 돌기(447b) 또한 직선 이동하게 되며, 가동 돌기(447b)는 제2원형자석(442a)의 경사면(447a)을 따라 이동하며 경사면(447a)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b와 같이 제2원형자석(442a)은 일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제1 및 제2원형자석(441a,442a)이 서로 마주하는 면은 동일한 극성을 갖게 된다. 제1 및 제2원형자석(441a,442a) 사이에 척력이 발생함에 따라 홈바 도어(432)는 냉장실 도어(421)로부터 록킹이 해제됨과 아울러 열리는 방향으로 자력을 받게 된다.
홈바 도어(432)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2원형자석(442a)은 스프링(446)에 의하여 원위치로 직선 이동하며, 복귀 스프링에 의하여 원위치로 회전 이동된다. 홈바 도어(432)의 록킹 동작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경사면(447a)이 제2원형자석(442a)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가동 돌기(447b)가 가동부재(444)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련된 록킹 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540)은 가동 유닛(547)을 제외하고 제4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가동유닛(547)은 제2원형자석(542a)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동 슬롯(547a)과, 가동부재(544)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동 돌기(547b)를 포함한다. 가동 돌기(547b)는 가동부재(544)가 직선 이동함에 따라 가동 슬롯(547a)에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제2원형자석(542a)에 회전력을 가한다.
가동 유닛(544)의 작동은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루어지므로 작동 상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홈바 도어가 열릴 때 제2원형자석(542a)이 스프링(546)에 의해 원위치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가동 슬롯(547a) 또한 가동 돌기(547b)를 따라 원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원형자석(542a)은 가동 돌기(547b)와 가동 슬롯(547a)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가동 유닛(540)은 복귀 스프링을 장착하지 않고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홈바 도어의 록킹 유닛을 구비하는 냉장고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냉장고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홈바의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을 나타내는 홈바의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을 나타내는 홈바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을 나타내는 홈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록킹 유닛을 나타내는 홈바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록킹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a 및 8b는 도 7에 도시된 록킹 유닛의 단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련된 록킹 유닛의 단면도.

Claims (17)

  1. 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홈바 도어; 및
    상기 냉장고 도어와 상기 홈바 도어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홈바 도어를 상기 냉장고 도어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키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 장착되는 제1자석부; 및
    상기 홈바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제1자석부와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 도어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자석부는 상기 홈바 도어의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형성된 자석 장착부 상에 배치되는 제1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장착부는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 주변에 설치되는 저장실 프레임 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부는,
    상기 홈바 도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홈바 도어를 상기 냉장고 도어에 록킹시키도록 상기 제1자석과 인력을 발생시키는 제2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자석의 마주하는 면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제1 및 제2상태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자석은 상기 제1상태에서 제1자석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자석의 위치로부터 일방향을 향해 떨어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부는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3자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3자석의 마주하는 면은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고정되며, 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들이 번갈아 형성되는 제1원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부는,
    상기 냉장고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원형자석과 마주하는 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들이 번갈아 형성되어 상기 제1원형자석과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원형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형자석은 상기 냉장고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 부재 상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석부는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제2원형자석을 회전시키는 가동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바 도어에는 상기 제2원형자석을 수용하며 상기 제2원형자석의 외주면을 이동하는 가동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가동유닛은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제2원형자석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유닛은,
    상기 제2원형자석의 외주면과 상기 가동부재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경사면; 및
    상기 제2원형자석의 외주면과 상기 가동부재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 상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원형자석을 회전시키는 가동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유닛은,
    상기 제2원형자석의 외주면과 상기 가동부재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동 슬롯; 및
    상기 제2원형자석의 외주면과 상기 가동부재의 내주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동 슬롯에 삽입되며, 상기 가동 슬롯 상을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원형자석을 회전시키는 가동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자석은 일측이 개구된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홈바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홈바 도어가 누름 동작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가동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 및
    상기 가동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080059261A 2008-06-23 2008-06-23 냉장고 KR101490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9261A KR101490184B1 (ko) 2008-06-23 2008-06-2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9261A KR101490184B1 (ko) 2008-06-23 2008-06-2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3023A true KR20090133023A (ko) 2009-12-31
KR101490184B1 KR101490184B1 (ko) 2015-02-05

Family

ID=4169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9261A KR101490184B1 (ko) 2008-06-23 2008-06-2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18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4955A1 (en) * 2013-06-06 2014-12-11 Arcelik Anonim Sirketi Door opening-closing assembly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ame
CN104296467A (zh) * 2013-07-17 2015-01-21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冰箱门中门结构
US20150061484A1 (en) * 2013-08-27 2015-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50026694A (ko) * 2013-08-27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4896866A (zh) * 2015-05-29 2015-09-09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冷藏装置风门的检测限位结构、冰箱及冷藏装置
CN104896867A (zh) * 2015-05-29 2015-09-09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冷藏装置风门的检测限位结构、冷藏装置及控制方法
CN105783372A (zh) * 2015-01-08 2016-07-20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KR20170072750A (ko) * 2015-12-17 201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982936B2 (en) 2014-01-07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9989643A (zh) * 2017-12-29 2019-07-0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蒸箱门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088B1 (ko) 2015-03-02 2021-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856B1 (ko) * 2005-11-15 2007-07-16 김금례 출입공 개폐수단을 갖는 다용도 케이스
KR100745818B1 (ko) * 2005-12-22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공간을 구비한 냉장고용 홈바도어
KR101269270B1 (ko) * 2006-09-28 2013-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홈바도어 개폐구조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4955A1 (en) * 2013-06-06 2014-12-11 Arcelik Anonim Sirketi Door opening-closing assembly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ame
CN104296467A (zh) * 2013-07-17 2015-01-21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冰箱门中门结构
US9865384B2 (en) * 2013-08-27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20150061484A1 (en) * 2013-08-27 2015-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150026694A (ko) * 2013-08-27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4422229A (zh) * 2013-08-27 2015-03-18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EP2843326A3 (en) * 2013-08-27 2015-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337785B2 (en) 2014-01-07 2019-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9982936B2 (en) 2014-01-07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690394B2 (en) 2014-01-07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226151B2 (en) 2014-01-07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808513B2 (en) 2014-01-07 2023-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5783372A (zh) * 2015-01-08 2016-07-20 三星电子株式会社 冰箱
US10502473B2 (en) 2015-01-08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4896867A (zh) * 2015-05-29 2015-09-09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冷藏装置风门的检测限位结构、冷藏装置及控制方法
CN104896866A (zh) * 2015-05-29 2015-09-09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冷藏装置风门的检测限位结构、冰箱及冷藏装置
KR20170072750A (ko) * 2015-12-17 201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989643A (zh) * 2017-12-29 2019-07-09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蒸箱门锁
CN109989643B (zh) * 2017-12-29 2023-11-1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电蒸箱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184B1 (ko)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33023A (ko) 냉장고
KR102267944B1 (ko) 냉장고
KR102118047B1 (ko) 냉장고
KR102567530B1 (ko) 냉장고
KR20050072617A (ko) 냉장고
KR20110064720A (ko) 냉장고
US11499771B2 (en) Refrigerator
KR102229980B1 (ko) 냉장고
KR101645539B1 (ko) 냉장고
KR102183870B1 (ko) 냉장고
KR102227959B1 (ko) 냉장고
KR101952679B1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179342B1 (ko) 냉장고
KR101929776B1 (ko) 래치장치 및 래치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KR20110103522A (ko) 냉장고
KR100534136B1 (ko) 냉장고
KR101952680B1 (ko) 냉장고
KR102206239B1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56034B1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70012870A (ko) 냉장고
KR101952678B1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2681B1 (ko) 냉장고
KR20200132793A (ko) 냉장고
KR101988307B1 (ko) 냉장고
KR20130087316A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