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557A - 선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달 위상 관측기 - Google Patents

선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달 위상 관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557A
KR20090131557A KR1020080057490A KR20080057490A KR20090131557A KR 20090131557 A KR20090131557 A KR 20090131557A KR 1020080057490 A KR1020080057490 A KR 1020080057490A KR 20080057490 A KR20080057490 A KR 20080057490A KR 20090131557 A KR20090131557 A KR 2009013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n
guide
main body
model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응칠
Original Assignee
권응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응칠 filed Critical 권응칠
Priority to KR1020080057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557A/ko
Publication of KR2009013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2Tellurions; Orre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 위상 관측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덮개로 개폐되는 내부가 빈 구조의 팔각 정다면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덮개 중앙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되는 회전가능한 노브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분면에 각각 형성된 LED부와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하여 지지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노브와 연통하는 중간에 모형지구가 조립된 제1가이드와 상기 모형지구에 장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모니터로 전송하는 소형카메라와 상기 제1가이드의 상부에 교차 형성되어, 모형 달이 좌우 양측 끝단부에 결합된 'ㄷ'자 형의 제2가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하부에 지지되어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 부재와 상기 소형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는 휴대가 간편하고, 학습방법이 비교적 단순하여 초등학습들의 과학교육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어서 과학교육의 목표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
관측기, 본체, 노브, 받침부, 지구, 달

Description

선 꼬임 방지장치가 적용된 달 위상 관측기{The Moon phase Observation Apparatus applied line tangling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달 위상 관측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달의 공전운동에 의한 달의 모양 변화 및 일식 월식등과 관련된 달의 천체현상을 학습자가 직접 관찰하는 것처럼 연계된 모니터를 통해서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서 학생들에게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관찰과 탐구가 가능하여 천체현상에 대한 원리와 개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장치로서 달 위상 관측기에 관한 것이다.
초등학습의 과학 교육학습과정에는 실험이나 관찰을 필요로 하지만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는 부분이 많다. 따라서, 실험이나 관찰보다는 시간이나 공간적으로 제약이 많다는 점이 문제로 있었다. 그러한 문제점으로 실험이나 관찰보다 설명위주의 교수, 학습 활동이 많아서 초등학교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특히, 초등학생들의 과학교육 과정 중에 천체와 관련된 단원은 이러한 어려움을 많이 체험하게 된다. 초등학생들이 하루나 여러 날 동안, 달과 별자리의 움직 임 및 모양 변화를 직접 관찰하게 되어 있으나 실제로 이것은 매우 어렵고, 달 관찰을 위하여 늦은 밤에 등교하게 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것이다. 그 밖에도 기상 조건의 악화등 여러가지로 고려해야할 사항이 너무 많아 정상적인 교육과정의 운용이 어렵다. 이런 사정으로 학교에서 천체와 관련된 단원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자료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관찰을 성실하게 수행한 경우라 할지라도 관찰 사실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교수나 학습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설명위주의 교수 활동은 재미가 있어야 할 과학시간을 오히려 흥미와 관심을 잃게 하고 구체적인 현상은 알지 못한 채 암기하는 수준에 그치는 주입식 교육으로 변질 될 가능성도 있고, 관찰과 탐구를 중시하는 교육과정의 목표에도 벗어나게 된다. 이렇듯이 천체 단원은 충분히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이 지도하기에도 쉽지 않고, 학생들이 이해하기를 매우 어려워하는 현실이다. 또한, 효과적으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미흡하여 교사, 학생 모두가 기피하거나, 어려워 하고, 그로 인해 초등에서 중등까지 교육과정이 연계되어 있음에도 대부분 학생이 진급해도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하여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렇듯 지구, 달과 같은 천체활동은 시간적인 제약과 공간적인 규모의 방대함으로 인하여 초등학생들에겐 단순한 관찰활동을 통해 그 개념 형성이 어렵고 그 원리의 이해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관찰 위주의 학습방법으로는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 신장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상존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에 등록된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에서 는 달의 위상변화를 관찰하게 하기 위한 학습도구를 게시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는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고, 그러다 보니 공간적 제약이 따르는 특수성 때문에 초등학생들의 학습도구로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컴퓨터와 조명장치등의 장비가 필요하여 조작과 운용이 간단하지 않고, 많은 수의 초등학생들이 일시에 실험등을 수행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구, 달, 태양과의 위치와 그에 따른 달의 모양 변화 및 그 현상 및 원리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구체적인 학습장치를 통해 학습, 관찰자가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학습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실이나 과학실등에서 시간, 공간적인 제약 및 자료부족으로 지도하기에 어려웠던 내용을 심플한 학습장치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하여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하고, 달 모양 변화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천체현상에도 응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에서도 쉽게 과학실험이나 실습등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사용이 간편한 학습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덮개로 개폐되는 내부가 빈 구조의 팔각 정다면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덮개 중앙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되는 회전가능한 노브와 상기 본체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분면에 각각 형성된 LED부와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하여 지지 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노브와 연통하는 중간에 모형지구가 조립된 제1가이드와 상기 모형지구에 장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모니터로 전송하는 소형카메라와 상기 제1가이드의 상부에 교차 형성되어, 모형 달이 좌우 양측 끝단부에 결합된 'ㄷ'자 형의 제2가이드와 상기 제1가이드 하부에 형성되어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 부재와 상기 소형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브를 회전함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 또는 상기 제2가이드가 연동하여, 상기 모형지구 또는 상기 모형달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덮개는 반투명성 아크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받침부에는 LED부 위치에 따라 조명의 각도 조절이 되도록 하는 스위치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본체의 상층의 일측은 모형달의 높이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정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 관측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꼬임 방지 부재는 내부 배선은 제1가이드 내부에 접하도록 연결되고, 외부 배선은 상기 꼬임 방지 부재에 고정되도록 하여 제1가이드가 회전해도 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크기가 비교적 작아 휴대가 간편하고, 초등학생들의 조별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2. 학습방법이 비교적 단순하여 초등학습들의 과학교육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어서 과학교육의 목표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
3. 어느 장소에서도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다.
4.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함으로 전기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하고, 학습장치의 보관이 용이하며, 동시에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의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덮개를 제거하였을 때, 내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한 달의 위치와 위상변화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의 꼬임방지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3에서 도시한 데로, 내부는 덮개(20)로 개폐되는 내부가 빈 구조 의 팔각 정다면체 형상의 본체(10)로서 전체가 3층으로 구분된다. 상기 본체(10)의 중층(12)은 8각형의 형태를 이루지만, 상층(11)과 하층(13)은 경사를 두어 전체적으로 우주선 형상이 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체의 본체(10) 모양을 8각형으로 한 것은 달의 위상 작도가 대개 8방위로서 이뤄진 것을 이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도면에서 도시한 데로, 8각형의 형태는 유지하되 상층(11)과 하층(13)은 동일한 경사를 두어 우주선 모양이 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의 상층(11)을 차폐하여 본체(10) 내부를 밀폐하는 덮개(20) 중앙에는 회전가능한 노브(30)가 고정,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20)는 반투명 아크릴로 하였는데, 이것은 외부의 빛이 쉽게 침투하지 않게 하고, LED 조명이 켜졌을 때, 본체(10) 내부의 모습을 쉽게 관찰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본체(10) 각층(11,12,13)에 각각 형성된 LED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LED(40)는 본 장치에 있어서 태양의 역할을 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10) 하부에 받침부(50)가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받침부(50)의 내부에는 전원장치(미도시)가 제1가이드(7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받침부(50)의 내부장치의 전원(미도시)을 통해서 모니터나 프로젝션 TV등의 시청각 수단에 전원을 공급시켜주어 모니터등의 화면상에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내부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니터가 온, 오프되는 기술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상기 받침부(5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노브(30)와 연통하여 중간에 모형지구(60)가 조립, 설치된 제1가이드(70)가 있다. 또한, 상기 모형지구(60)에는 촬영된 달의 이미지를 모니터(100)로 전송하는 소형카메라(6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장착된 소형카메라(65)에 관해 설명하면, 달의 위상변화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 또는 관측자의 관측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소형카메라(65)가 지구에서 달을 바라보는 관측자의 눈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형카메라(65)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100)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장치를 연결하여 소형카메라로부터 모니터로 전송하는 기술도 역시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70)의 상부에 교차 형성되어, 모형 달(80)이 좌우 양측 끝단부에 결합된 'ㄷ'자 형의 제2가이드(9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브(30)를 회전함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70) 또는 상기 제2가이드(90)가 연동하여, 상기 모형지구(60) 또는 상기 모형달(80)이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모형달(80)은 모형지구(60)의 1/4정도 크기로 하여 달의 모형을 만들고, LED부(40)의 빛을 이용하여 모형지구(60)를 비추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모형달(80)의 위치는 모형지구(60)에 형성된 카메라(65)가 약간 상방향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의 높이가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덮개(20)는 반투명성 아크릴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의 빛이 쉽게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조명이 켜졌을 때 본체(10) 내부모습을 관찰하기 쉽도록 한 다.
도 1과 도 3을 보면, 상기 받침부(50)에는 LED부(40) 위치에 따라 조명의 각도 조절이 되도록 하는 스위치(110)가 더 형성되어 있는 데, 이것은 각각의 LED부(40)에 조명의 온 오프의 조절을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110)를 작동시켜 상기 LED부(40)에서 빛이 비추어짐에 따라 달 모양이 모니터(100)에 영상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층(11) 일측면은 제2가이드(90)를 조절하여 모형달(80)의 높이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정창(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조정창(120)의 개폐로 이러한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는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자전운동을 하는 것에 비유하여 모형지구(60)가 노브(30)의 회전으로 자전운동을 하게 되고, 모형지구(60)를 중심으로 서서히 회전운동(공전)시킬 때, 모형달(80)에 LED부(40)를 비추면 모형지구(60)에 장착된 소형카메라(65)는 모형달(80)의 이미지(LED부(40)의 조명에 의하여 모형달(80)이 밝게 비추는 부분과 그림자 부분의 영상)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모니터(100)로 전송하면 관찰자는 모형지구(60)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모형달(80)의 위치와 위상 변화(달이 차고 기울어지는 현상)를 모니터(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찰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카메라가 찍은 이미지를 모니터에 전송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관한 설명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위치(110)가 설치되어 있는 데, 본체(10) 상층(11)에 있는 LED부(40)에만 불이 들어오도록 스위치(110)를 작동시켜서 조명을 들어오게 하면 보름달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고, 본체(10) 중층(12)에 있는 LED부(40)에만 불이 들어오도록 스위치(110)를 작동해서 조명을 들어오도록 하여 월식이나 일식을 구현하도록 하며 또한, 본체(10) 하층(13)으로 불이 들어오도록 조명을 선택하면 그믐달, 초승달이 모니터(100)에 구현되어 형상화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1에 스위치(110)를 보면 3개가 있는데, 이는 각각 상층, 중층, 하층의 조명에 해당하는 스위치인 것이다.)
또한, 상기 노브(30)는 도면에도 나왔듯이 2중으로 되어 있어서, 노브(30)를 회전하면, 지구자전에 의한 달의 위치변화를 볼 때는 지구만 자전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모형지구(60)만 움직이고, 달의 공전에 의한 달의 위상변화는 달도 움직여서 관측자(카메라(65))가 보아야 하므로 모형지구(60)와 모형달(80)이 함께 연동하도록 하여 움직임이 가능한 것임을 밝혀둔다.
도 3에 보면, 제1가이드(70) 하부에는 절연체로 구성된 선 꼬임 방지를 위한 꼬임 방지 부재(75)가 지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측정기의 꼬임 방지 부재(75)를 나타내는 도면인데 상기 꼬임방지부재(75)는 제1가이드(70)가 회전할 때, 내부 배선(77)은 제1가이드(70) 내부에 접하도록 연결되어 즉,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고정된 채 함께 회전을 하게 되므로 선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외부 배선(78)은 제1가이드(7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이 아니고 꼬임방지부재(75)에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제1가이드(70)의 회전이 있다 할지라도 외부 배선(78) 역시 선의 꼬임이 일어나지를 않는 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70)가 회전을 하여도 제1가이드(70)는 전선(미도시)과 연결되므로 내부배선(77)과 외부배선(78)에 전류는 계속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70)의 회전으로 인한 내부에 배열된 선의 꼬임이 방지된다. 따라서, 선의 꼬임이 방지되고 지속적인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여러 날 동안의 달의 위치와 모양 변화 과정을 교실등에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어도 간단한 장치의 조작으로 쉽고 단순하게 지도 학습이 가능하여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가 있고, 달의 모양 변화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천체 현상에도 두루 활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달 모양을 직접 관찰하지 못한 학생들도 실제 밤에 달의 모양을 변화를 관찰하는 것과 같은 대체 관찰효과를 얻을 수가 있어 학습 목표도달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보면, 도 4는 달의 위치와 위상변화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인데, 본 발명에 의한 학습장치를 덮개(20)를 개방하고 내부를 평면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달의 위치를 학습하게 된다면, 그 위치에 왔을 때 달의 위상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학습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모니터(100)에 보름달이 나타났다면, 달의 위치는 ㉣에 있음을 알 것이고, 하현달이라고 하면 달의 위치는 ㉥의 위치에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역으로, 모니터(100)를 끄고 달의 위치가 ㉡에 왔을 때의 달의 모양을 그리게 하고, 모니터(100)를 켜면 상현달의 모양임을 알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덮개(20)를 통하여 모니터(100)에 나타난 달의 모양을 보고 달의 위치를 사고하는 훈 련도 역시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응용된 학습장치로의 기능을 가질 수가 있도록, 모니터에 나타난 달의 모양을 보고 달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를 사고하도록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변화 학습장치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실물 교육자료가 없어서 '지구와 달의 운동' 분야에서 학습지도의 어려움을 상당부분 해소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개별적, 소그룹으로 직접 장치를 조작하여 달의 위상변화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학생들이 구체적인 체험과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우수한 기능을 가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학습장치는 학생들의 호기심을 충족할 수 있도록 창안되었다. 반투명 덮개(20)를 덮고 모니터(100)에 나타나는 모형달(80)의 위상을 보면서 달의 위치와 지구와 태양의 관계를 알아보게 하는 과정에서 먼저 생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므로 자연스럽게 탐구과정요소인 예상, 추리등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력 발달증진과 이해를 통한 흥미의 유발에 보탬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변화 학습장치는 초등학생들의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외부 모양과 심플한 구조로 인해 성취동기를 부여하여 최종적으로는 과학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덮개를 제거하였을 때, 내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달 위상 관측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한 달의 위치와 위상변화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꼬임 방지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본체 11: 본체 상층
12: 본체 중층 13: 본체 하층
20: 덮개 30: 노브
40: LED 부 50: 받침부
60: 모형지구 65: 소형카메라
70: 제1가이드 75: 꼬임방지부재
77: 내부배선 78: 외부배선
80: 모형달 90: 제2가이드
100: 모니터 110: 스위치
120: 조정창

Claims (6)

  1. 달 위상변화를 관찰하는 달 위상 관측기에 있어서,
    덮개(20)로 개폐되는 내부가 빈 구조의 팔각 정다면체 형상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기 덮개(20) 중앙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되는 회전가능한 노브(30);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분면에 각각 형성된 LED부(40);
    상기 본체(10) 하부에 결합하여 지지되는 받침부(50);
    상기 받침부(50) 중앙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노브(30)와 연통하는 중간에 모형지구(60)가 조립된 제1가이드(70);
    상기 모형지구(60)에 장착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모니터(100)로 전송하는 소형카메라(65);
    상기 제1가이드(70)의 상부에 교차 형성되어, 모형 달(80)이 좌우 양측 끝단부에 결합된 'ㄷ'자 형의 제2가이드(90);
    상기 제1가이드(70) 하부에 지지되어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꼬임 방지부재(75);
    상기 소형카메라(65)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 관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30)를 회전함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70) 또는 상기 제2가이드(90)가 연동하여, 상기 모형지구(60) 또는 상기 모형달(80)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 관측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덮개(20)는 반투명성 아크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 관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50)에는 LED부(40) 위치에 따라 조명의 각도 조절이 되도록 하는 스위치(11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 관측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 방지 부재(75)는 내부 배선(77)은 제1가이드(70)내부에 접하도록 연결되고, 외부 배선(78)은 상기 꼬임 방지 부재(75)에 고정되도록 하여 제1가이드(70)를 회전해도 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 관측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층(11)의 일측은 모형달(80)의 높이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정창(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 위상 관측기.
KR1020080057490A 2008-06-18 2008-06-18 선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달 위상 관측기 KR20090131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90A KR20090131557A (ko) 2008-06-18 2008-06-18 선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달 위상 관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490A KR20090131557A (ko) 2008-06-18 2008-06-18 선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달 위상 관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557A true KR20090131557A (ko) 2009-12-29

Family

ID=4169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490A KR20090131557A (ko) 2008-06-18 2008-06-18 선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달 위상 관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5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4798A (zh) * 2013-10-11 2014-01-15 王岩泽 月相仪
CN105590543A (zh) * 2016-03-16 2016-05-18 陈伟杰 月相仪
CN106297535A (zh) * 2016-10-24 2017-01-04 深圳市思佛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系模型
KR20180000288U (ko) * 2016-07-19 2018-01-29 박진 달의 위상변화모델 교육 기구
CN111798706A (zh) * 2020-07-15 2020-10-20 西藏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地理野外教学用多功能教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4798A (zh) * 2013-10-11 2014-01-15 王岩泽 月相仪
CN105590543A (zh) * 2016-03-16 2016-05-18 陈伟杰 月相仪
KR20180000288U (ko) * 2016-07-19 2018-01-29 박진 달의 위상변화모델 교육 기구
CN106297535A (zh) * 2016-10-24 2017-01-04 深圳市思佛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系模型
CN111798706A (zh) * 2020-07-15 2020-10-20 西藏大学 一种基于物联网的地理野外教学用多功能教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501B1 (ko) 천구의 및 지구본 자동 구동장치
KR20090131557A (ko) 선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달 위상 관측기
KR100743270B1 (ko)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KR101450473B1 (ko) 달 운동 관측용 학습도구
US4714351A (en) Globe maps and derived products
KR100631334B1 (ko)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
CN101853602B (zh) 激光星象仪
CN201838251U (zh) 激光星象仪
JP2005078031A (ja) 天球儀
CN101515417B (zh) 显示昼夜的地球仪
CN201993990U (zh) 直观地球运动演示仪
CN203503235U (zh) 一种月相变化演示教具
KR101150998B1 (ko) 달 일주운동판
RU1770977C (ru) Планетарий
KR200402704Y1 (ko)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
CN2831308Y (zh) 针孔式天象仪及天幕
CN212181796U (zh) 一种地理学习用多用途地球仪
US2140326A (en) Cosmosarium
KR100354505B1 (ko) 별자리학습용 지구본
CN215007215U (zh) 昼夜长短变化演示仪
KR101450671B1 (ko) 반사경을 이용한 달 위상변화 관측기
JPS5865468A (ja) 宇宙天体表示具
CN202855183U (zh) 一种新型多功能三球仪
JPH03631B2 (ko)
US20230267855A1 (en) Educational celestial glo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