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270B1 -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 Google Patents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270B1
KR100743270B1 KR1020070027198A KR20070027198A KR100743270B1 KR 100743270 B1 KR100743270 B1 KR 100743270B1 KR 1020070027198 A KR1020070027198 A KR 1020070027198A KR 20070027198 A KR20070027198 A KR 20070027198A KR 100743270 B1 KR100743270 B1 KR 100743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model
observed
plane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칠
이성록
최병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생
윤주칠
이성록
최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생, 윤주칠, 이성록, 최병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생
Priority to KR102007002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2Tellurions; Orre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6Celestial gl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 관한 것으로 금성과 화성의 위치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시운동 및 음영을 현실감 있게 관찰할 수 있는 교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축, 메인 축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슬리브, 제1 슬리브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슬리브, 제2 슬리브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 슬리브, 제1, 제2, 제3 슬리브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1, 제2, 제3 슬리브를 각각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제2, 제3 구동모터, 제1, 제2, 제3 슬리브의 상단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제1, 제2, 제3 회전부재, 제1 회전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장착되는 제1 피관찰 행성 모형, 제2 회전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장착되고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 궤도보다 바깥쪽에서 공전되는 관찰자 행성 모형, 제3 회전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장착되고 관찰자 행성 모형의 공전 궤도보다 바깥쪽에서 공전되는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관찰자 행성 모형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 또는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모형행성의 방향을 구속시키는 로드부재 및 제1, 제2, 제3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행성, 내행성, 외행성, 시운동, 음영, 관찰, 교구, 교재, 학습

Description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Planet displacement show teaching tool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 및 전체 단면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서 주 몸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서 구동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서 상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서 관찰자 행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서 피관찰 행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서 내행성의 시운동을 현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서 외행성의 시운동을 현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내행성의 시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외행성의 시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내행성의 관측될 때 음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외행성의 관측될 때 음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 몸체 2: 하체
3: 상체 4: 제어부
5: 전원연결부 6a, 6b: 통전 패턴
7a, 7b: 브러시 부재 8: 가이드 테
9: 분리 테 10: 상판
11: 장착 구멍 20: 메인 축
21, 22, 23: 제1, 제2, 제3 구동모터
24, 25, 26: 제1, 제2, 제3 슬리브
27, 28, 29: 제1, 제2, 제3 종동기어
30, 31, 32: 제1, 제2, 제3 원동기어
33, 34, 35: 제1, 제2, 제3 전동요소
36, 37, 38: 제1, 제2, 제3 회전부재
39: 걸림 턱 40: 논-슬립(non-slip) 부재
41, 42, 43: 제1, 제2, 제3 로드부재
44, 45, 46: 제1, 제2, 제3 받침부재
50: 플랜지 51: 고정 태양 모형
52: 태양 모형 53: 로드 부재
54: 헤드 55: 첨예부
60: 관찰자 행성 모형 61: 제1 넥(neck)부
62: 제1 행성모형 63: 몸체
64: 제1 장착부 65: 제1 부착수단
66: 무선 송신 모듈 67: 전원부
68: 카메라 모듈 69: 배선 구멍
70: 제1 슬라이드 구멍 71: 레이저 포인터 장착부
72: 레이저 포인터 73: 크램핑 부재
80, 90: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81, 91: 제2, 제3 넥(neck)부 82, 92: 제2, 제3 행성모형
83, 93: 제2, 제3 장착부 84. 94: 제2, 제3 부착수단
85. 95: 제2, 제3 슬라이드 구멍 100: 영상표시장치
본 발명은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행성 또는 외행성의 움직이는 동선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고, 행성의 위치에 따라 음양의 형태를 쉽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 관한 것이다.
태양계에서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
내행성(예 수성, 금성)과 외행성(화성, 목성, 토성 등)은 태양과 지구의 위치 변화에 따라 독특한 형태의 움직임이 관찰된다.
특히 특정한 구간에서는 순행과 역행으로 진행되고, 이러한 움직임을 행성의 시운동이라고 알려져 있다.
상술한 순행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됨을 의미하고, 상술한 역행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됨을 의미한다.
상술한 행성 시운동은 학교에서 보편적으로 지구과학 또는 우주에 관하여 학습할 때 배운다.
특히 시운동은 행성의 공전궤도의 반지름과 공전주기에 의해 나타는 현상인데 이러한 현상을 학생에게 이해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지구는 365일을 주기로 공전하지만, 금성의 공전주기는 대략 243일로 알려져 있고, 화성의 공전주기는 대략 687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지구의 궤도가 1AU일 때 금성의 궤도는 0.72AU이고, 화성의 궤도는 1.52AU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관찰하는 일자에 따라 관측되는 행성의 위치와 모양이 다르게 관찰 된다.
그러나 내행성 및 외행성의 위치, 모양 및 행성 시운동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또한, 이론을 바탕으로 그래픽 차트를 작성한다거나 동영상을 제작할 수도 있지만 실질 적으로 현실감 있게 교육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행성과 외행성의 시운동 및 위치변화에 따라 관찰되는 음양형상을 현실감 있고 쉽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축; 상기 메인 축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슬리브; 상기 제1 슬리브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슬리브; 상기 제2 슬리브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 슬리브; 상기 제1, 제2, 제3 슬리브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1, 제2, 제3 슬리브를 각각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제2, 제3 구동모터; 상기 제1, 제2, 제3 슬리브의 상단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제1, 제2, 제3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장착되는 제1 피관찰 행성 모형; 상기 제2 회전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 궤도보다 바깥쪽에서 공전되는 관찰자 행성 모형; 상기 제3 회전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관찰자 행성 모형의 공전 궤도보다 바깥쪽에서 공전되는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상기 관찰자 행성 모형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 또는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모형행성의 방향을 구속시키는 로드부재; 및 상기 제1, 제2, 제3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축은 상단에 전구 소켓이 배치되고, 상기 전구 소켓에 장착되어 전기의 인가에 의해 점광원으로 빛을 발광하는 태양 모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구동모터는 수치제어가 가능한 스테핑 모터 또는 DC 모터 중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구동모터에는 각각 제1, 제2, 제3 원동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슬리브의 하단에는 각각 제1, 제2, 제3 종동기어가 장착되며, 상기 제1, 제2, 제3 원동기어와 상기 제1, 제2, 제3 종동기어는 각각 제1, 제2, 제3 전동요소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원동기어와 상기 제1, 제2, 제3 종동기어는 타이밍 기어이고, 상기 제1, 제2, 제3 전동요소는 타이밍 밸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원동기어와 상기 제1, 제2, 제3 종동기어는 체인스프로 킷이고, 상기 제1, 제2, 제3 전동요소는 체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종동기어와 상기 제2 종동기어의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제2 종동기어와 상기 제3 종동기어의 사이에 다른 트러스트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종동기어의 저면에 또 다른 트러스트 베어링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회전부재의 내주연에는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턱의 저면에는 논-슬립(non-slip)부재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논-슬립 부재는 재질이 고무, 부직포 또는 가죽 중에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 로드부재; 상기 제2 회전부재의 외측에 상기 제1 로드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로드 부재; 상기 제3 회전부재의 외측에 상기 제2 로드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3 로드 부재; 및 상기 제1, 제2, 제3 로드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배치되고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재질인 제1, 제2, 제3 받침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찰자 행성 모형은, 지구 형상의 제1 행성 모형; 상기 제1 행성 모형의 중심에서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행성 모형의 한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구멍; 상기 제1 행성 모형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고 회전체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에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재질 중에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1 행성 모형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지는 영상데이터를 무선으로 외부에 송신하는 무선 송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은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멍의 중심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피관찰 행성 모형 또는 상기 제2 피관찰자 행성 모형은, 금성 또는 화성 형상의 제2, 제3 행성 모형; 상기 제2 행성 모형 또는 제3 행성 모형의 한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제3 슬라이드 구멍; 및 상기 제2 행성 모형 또는 제3 행성 모형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고 회전체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에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 재질 중에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제2, 제3 장착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행성 모형 또는 상기 제3 행성 모형은, 겉 표면이 육안으로 볼 때에 고저가 구분되는 정도의 표면거칠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피관찰자 행성모형의 공정궤도보다 큰 회전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축, 상기 제1, 제2, 제3 슬리브, 상기 제1, 제2, 제3 구동모터, 상기 제1, 제2, 제3 회전부재, 상기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관찰자 행성 모형, 상기 로드부재를 덮어씌우는 상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체는, 재질은 반투명의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상체는, 투명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이고, 내표면 또는 외표면 중 어느 한 쪽 표면에 반투명의 필름 또는 종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체는, 외주연에 각 행성의 공전주기와 공전궤도의 정보 등이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상기 상체는, 내면의 중앙에 소켓이 더 포함되고, 상기 소켓에 장착되어 전기의 인가에 의해 점광원으로 빛을 발산하는 고정 태양 모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체는, 외주연에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배치되고 탄성이 좋으며 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체와 대응되는 크기의 상판; 상기 상판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슬리브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 구멍; 및 상기 상판의 외주연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와 통전되는 복수개의 통전 패턴;이 포함되는 주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통전 패턴사이에는 분리 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통전 패턴은 링(ring)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찰자 행성 모형과 상기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위치를 정의하는 시점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MEM)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점의 정보는, 메인 축의 중심과 관찰자 행성 모형의 사이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메인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관찰자 행성 모형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순행이 시작되는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역행이 시작되는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1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2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 의 공전궤도를 4 내지 24분할한 각각의 지점, 메인 축의 중심과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사이에 관찰자 행성 모형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메인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관찰자 행성 모형과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순행이 시작되는 지점,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역행이 시작되는 지점,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1 지점,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2 지점 및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를 4 내지 24분할한 각각의 지점 중에 어느 한 지점을 정의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 행성 모형과 상기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중에 어느 하나의 행성 모형의 공전 속도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시점의 정보와 관련되는 일자를 더 표시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면 및 전체 단면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는 주 몸체(1)의 중심에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80)(9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주 몸체(1)의 외측에는 상체(3)가 씌워지며, 주 몸체(1)의 저면에는 하체(2)가 장착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영상표시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주 몸체(1)는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 몸체(1)의 상측 외주연에는 전원 연결부(5)가 배치되고, 상판(10)의 중앙에는 장착 구멍(11)이 형성된다.
상술한 전원 연결부(5)는 도 2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10)의 상면에 가이드 테(8)를 형성시키고, 그 가이드 테(8)의 바깥쪽에 복수개의 통전 패턴(6a)(6b)이 배치되며, 복수 개의 통전 패턴(6a)(6b)사이에는 분리 테(9)를 더 형성시켜 줄 수 있다.
특히 상술한 통전 패턴(6a)(6b)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몸체(1)의 상측 외주연의 링(ring)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통전패턴(6a)과 다른 하나의 통전 패턴(6b)은 폐곡선의 형태가 아닌 하나의 조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주 몸체(1)의 평면에서 볼 때 조각 형태의 통전패턴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전원 연결부(5)는 첨부도면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체(3)의 외주연에 플랜지(50)가 형성되고, 플랜지(50)에는 도체(導體)인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7a)(7b)가 배치된다.
상술한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7a)(7b)는 탄성을 갖는 것이 좋고, 그 이유는 상술한 복수 개의 통전패턴(6a)(6b)과 밀착력을 높여서 통전 율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술한 어느 하나의 브러시 부재(7a)와 다른 하나의 브러시 부재(7b)는 상술한 복수개의 통전 패턴(6a)(6b)중에 어느 하나와 통전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복수개의 통전패턴(6a)(6b)은 상체(3)의 플랜지(50)에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7a)(7b)는 주 몸체(1)의 상측 외주연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분리 테(9)는 복수 개의 통전 패턴(6a)(6b)또는 복수 개의 브러시 부재(7a)(7b)가 단락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 부재의 역할을 한다.
상술한 가이드 테(8)는 주 몸체(1)에 상체(3)를 씌울 때에 상체(3)를 정확한 위치에 쉽게 씌울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한다.
특히 상체(3)는 주 몸체(1)에 씌워질 때에 방향성을 갖지 않고 임의의 위치로 씌울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보장되고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체(3)의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을 돌려져 씌워져도 상술한 전원 연결부(5)에서는 극성이 정확하게 일치되어 통전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체(3)에는 상술한 전원 연결부(5)를 구성하지 않을 수 있고, 이때에는 상체(3)의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고, 배터리 전원에 의해 고정 태양 모형(51)을 밝힐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도면으로 나타내지 않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하체(2)는 첨부도면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체(2)는 한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메인 축(20)이 배치되고, 메인 축(20)은 상술한 주 몸체(1)의 상판(10)에 형성된 장착 구멍(11)을 관통한다.
또한, 하체(2)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가 배치되고, 배치되는 형태는 평면에서 볼 때에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하여도 되고, 등간격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메인 축(20)은 중공(中空)으로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메인 축(20)의 상단에는 전구 소켓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구 소켓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 모형(52)이 체결장착 될 수 있다.
상술한 복수 개의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는 수치제어 및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스테핑 모터 또는 DC 모터 일 수 있고, 회전속도 및 수치제어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술한 복수 개의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는 제어부(4)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는 각각 제1, 제2, 제3 원동기어(30)(31)(32)가 장착된다.
또한, 상술한 메인 축(20)의 외주연에 제1 슬리브(24)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제1 슬리브(24)의 외주연에 제2 슬리브(25)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제2 슬리브(25)의 외주연에 제3 슬리브(26)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상술한 제1 슬리브(24)의 하단에는 제1 종동기어(27)가 장착되고, 상술한 제2 슬리브(25)의 하단에는 제2 종동기어(28)가 장착되며, 상술한 제3 슬리브(26)의 하단에는 제3 종동기어(29)가 장착된다.
특히 상술한 제1 종동기어(27)와 제2 종동기어(28)의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이 더 장착될 수 있고, 제2 종동기어(28)와 제3 종동기어(29)의 사이에 다른 트러스트 베어링이 더 장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종동기어(27)의 저면에 또 다른 트러스트 베어링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개의 트러스트 베어링은 수직방향의 하중을 견디면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원동기어(30)와 제1 종동기어(27)에는 제1 전동요소(33)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고, 제2 원동기어(31)와 제2 종동기어(28)에는 제2 전동요소(34)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며, 제3 원동기어(32)와 제3 종동기어(29)에는 제3 전동요소(35)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특히 상술한 제1, 제2, 제3 원동기어(30)(31)(32)와 제1, 제2, 제3 종동기어(27)(28)(29)는 타이밍 기어일 수 있고, 상술한 제1, 제2, 제3 전동요소(33)(34)(35)는 타이밍 벨트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제3 원동기어(30)(31)(32)와 제1, 제2, 제3 종동기어(27)(28)(29)는 체인 스프로킷일 수 있고, 상술한 제1, 제2, 제3 전동요소(33)(34)(35)는 체인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정확한 회전비와 속도가 보장되어 제1, 제2, 제3 종동기어(27)(28)(29)를 회전시키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술한 제1, 제2, 제3 원동기어(30)(31)(32)와 제1, 제2, 제3 종동기어(27)(28)(29)를 일반 치차로 형성시켜 직접 맞물릴 수 있고, 이때에는 상술한 제1, 제2, 제3 전동요소(33)(34)(35)가 배제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술한 제1, 제2, 제3 원동기어(30)(31)(32)와 제1, 제2, 제3 종동기어(27)(28)(29)를 일반 치차로 형성시키고 아이들(idle)기어를 더 배치시켜 제1, 제2, 제3 종동기어(27)(28)(29)의 회전방향을 변경하거나 축간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술한 제1, 제2, 제3 전동요소(33)(34)(35)가 배제될 수도 있다.
상술한 상체(3)는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체(3)는 몸체가 대체로 원통형상을 이루고, 하단 외주연에는 플랜지(50)가 형성되며, 내측면 한 중앙에는 고정 태양 모형(51)이 장착된다.
또한, 상체(3)의 상면에 폐쇄된 형태일 수 있고, 상체(3)의 상면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특히 상체(3)의 상면이 개방된 형태일 때에는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한 중앙에 고정 태양 모형(51)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가늘고 긴 형태의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지지대는 십자가 형태 또는 삼각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고 상술한 고정 태양 모형(51)을 지탱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특히 상술한 플랜지(50)에는 상술한 전원 연결부(5)가 배치되고, 전원 연결부(5)는 상술한 고정 태양 모형(51)에 전기적으로 결선된다.
또한, 상술한 상체(3)의 재질은 반투명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어두운 계열의 색상으로 스모그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어두운 계열의 색상을 예로 들면, 파랑색, 검정색, 갈색, 청록색, 암갈색 등이 있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체(3)의 재질은 투명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에는 내표면 또는 외표면에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필름 등을 코팅 또는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빛이 투과될 수 있다는 의미는 빛의 투과율은 중요하지 않고, 상체(3)의 내부에서 조명을 밝혔을 때에 그 조명을 상체(3)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예컨대 상술한 필름대신 시트 또는 종이로 대체하여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시트 또는 종이에는 눈금을 인쇄할 수도 있고, 그 외 다른 유용한 정보 예컨대, 각 행성의 공전주기와 공전궤도의 정보 등이 기재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상체(3)의 표면에 직접 각 행성의 공전주기와 공전궤도의 정보 등이 기재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술한 고정 태양 모형(51)은 소켓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소켓은 상체(3)의 내면 중앙에 고정되고 상술한 전원연결부(5)에 전기적으로 결선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 태양 모형(51)은 일종의 전구로 대체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될 때에 빛을 발광하며 이때의 광원은 점광원(點光源)일 수 있고, 점광원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고정태양 모형(51)의 한쪽을 채색하거나 가려서 빛의 일부를 차폐할 수 있으며 반사경을 씌워 점광원을 면광원(面光源)으로 반사시킬 수도 있다.
이때 반사되는 면광원은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80)(90)을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체(3)의 외표면은 표면거칠기가 매끈하게 형성되어 상용제품인 화이트보드의 마커(maker)를 직접 칠하고 지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마커로 직접 상체(3)의 표면에 점을 찍거나 선을 그리고 지울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제어부(4)는 주 몸체(1)의 외부로 드러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여러 개의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를 제어하고 고정 태양 모형(51) 또는 태 양 모형(52)에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에 필요한 전기전자 제어회로, 중앙처리장치(CPU), 메모리(MEM), 인쇄회로기판 등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를 제어는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수치제어로서 특정한 위치에 각 행성을 위치시킬 수 있다.
예컨대, 태양과 지구와 금성이 일직선이 될 때, 또는 금성의 공전 궤도에서 금성의 최대 이각의 위치, 또는, 행성 시운동에서 역행이 시작되는 시점 또는 순행이 시작되는 시점을 사전에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정보에 의해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태양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메인 축(20), 고정 태양 모형(51) 및 태양 모형(52)과 상응하고, 상술한 지구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상응하며, 상술한 금성 또는 화성 등의 내행성 또는 외행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80)(90)에 상응하는 것이다.
제어부(4)에 저장될 시점의 정보를 상세하게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1. 태양과 지구의 사이에 금성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2. 태양을 기준으로 양쪽에 지구와 금성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3. 금성의 순행이 시작되는 지점.
4. 금성의 역행이 시작되는 지점.
5. 금성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1 지점.
6. 금성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2 지점.
상술한 최대 이각의 제2 지점은 태양과 지구를 잇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최대 이각 제1 지점과 대칭되는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지점이다.
7. 금성의 공전궤도를 4 내지 24분할한 각각의 지점.
상술한 4 내지 24 분할한 각각의 지점은 태양과 지구와 금성의 상호 위치에 따라 금성에서 태양의 빛을 받는 면과 받지 않는 면에 의해 음양이 구분되는데 이러한 음양에 따라 초승달 모양, 반달, 하현달 모양 등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지점이다.
8. 태양과 화성의 사이에 지구가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9. 태양을 기준으로 양쪽에 지구와 화성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10. 화성의 순행이 시작되는 지점.
11. 화성의 역행이 시작되는 지점.
12. 화성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1 지점.
13. 화성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2 지점.
상술한 최대 이각의 제2 지점은 태양과 지구를 잇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최대 이각 제1 지점과 대칭되는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지점이다.
14. 화성의 공전궤도를 4 내지 24분할한 각각의 지점.
상술한 4 내지 24 분할한 각각의 지점은 태양과 지구와 화성의 상호 위치에 따라 금성에서 태양의 빛을 받는 면과 받지 않는 면에 의해 음양이 구분되는데 이러한 음양에 따라 초승달 모양, 반달, 하현달 모양 등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한 지점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어부(4)에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부에는 가상의 일자를 표시할 수 있고, 상술한 메모리에 저장된 지점 중에 어느 하나를 설정하여 시뮬레이터하고, 가상의 일자로부터 며칠이 경과된 후에 설정된 지점까지 도달하는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산은 중앙처리장치(CPU) 등에 의해 연산하고 구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지점이 재현되었을 때에, 실제 현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날짜가 상술한 디스플레이 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동일한 현상(위치)이 언제쯤 다시 반복하여 재현되는 예상 날짜와 이전날짜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제3 슬리브(24)(25)(26)의 상단에는 첨부도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가 장착된다.
특히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의 내주연에는 걸림 턱(39)이 형성되고, 걸림 턱(39)의 저면에는 논-슬립(non-slip)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논-슬립 부재(40)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이 좋고, 예를 들어 고무 재질 또는 부직포 및 가죽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1, 제2, 제3 슬리브(24)(25)(26)가 회전하면 각각의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가 회전되고,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특히 교사)가 임의로 각각의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중에 어느 하나를 임의로 붙잡거나 임의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술한 논-슬립 부재(40)에서 슬 립(slip)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는 정상적인 회전구동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로 옮길 수도 있게 되며, 특히 임의의 위치로 옮긴 이후에 정상위치로 복원시킬 때에는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를 가지런한 방향으로 정렬시키며 여러 개의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를 현 위치를 기준위치로 초기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가지런한 방향이라 함은 첨부도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행성 모형이 태양과 지구가 일직선이 되는 선상에서 한쪽으로 몰려있는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준위치로 초기화라 함은 상술한 제어부(4)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지점을 재현하기 위한 기초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고, 예컨대, 모든 행성이 한쪽 방향에 일렬로 정렬된 상태에서 금성의 최대 이각 지점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지구 모형(관찰자 행성 모형:60)과 금성(제1 피관찰자 행성 모형:80)이 회전구동하면서 메모리에 저장된 최대 이각의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는 도 1 내지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한쪽에 각각 제1, 제2, 제3 로드 부재(41)(42)(43)가 배치되고, 각각의 제1, 제2, 제3 로드 부재(41)(42)(43)의 외측 끝부분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제1, 제2, 제3 받침 부재(44)(45)(46)가 배치된다.
특히 상술한 제1, 제2, 제3 로드 부재(41)(42)(43)는 제1, 제2, 제3 회전부 재(36)(37)(38)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첨부도면 도 5의 상세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구성 품으로 제조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각각 제1, 제2, 제3 받침 부재(44)(45)(46)는 첨부도면 도 3,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관찰자행성 모형(60)은 첨부도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관찰자 행성 모형(60)은 제1 행성모형(62)과 몸체(63)의 사이에 제1 넥부(61)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1 행성모형(62)은 제1 행성모형(62)의 중심에서 수평방향으로 카메라 모듈(68)이 장착되고, 또한, 제1 행성모형(62)의 상부에는 레이저 포인터 장착부(7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이저 포인터 장착부(71)는 방향성을 갖는 다각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이저 포인터 장착부(71)에는 레이저 포인터(72)가 장착되고 사용자가 임의로 레이저 포인터(72)를 탈부착할 수 있다.
특히 레이저 포인터(72)는 한쪽에 클램핑 부재(73)가 형성되고, 클림핑 부재(73)는 상술한 레이저 포인터 장착부(71)에 삽입 장착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레이저 포인터 장착부(71)와 클림핑 부재(73)는 서로 헛돌지 않도록 장착되어 레이저 포인터(72)의 빔이 조사되는 방향은 항상 특정한 방향을 가리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1 넥부(61)는 수평방향으로 제1 슬라이드 구멍(70)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배선 구멍(69)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1 슬라이드 구멍(70)은 제1 행성모형(62)을 평면에서 볼 때에 제1 행성모형(62)의 중심을 지나도록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배선 구멍(69)은 제1 행성모형(62)과 몸체(63)사이에 전선을 배선할 수 있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몸체(63)의 내부에는 배터리와 같은 전원부(67)가 탑재되고, 또한, 무선 송신 모듈(66)이 탑재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카메라 모듈(68)은 상술한 무선 송신 모듈(66)과 결선되어 카메라 모듈(68)에서 얻어지는 영상 데이터를 무선 송신 모듈(66)을 통하여 외부로 송신하게 된다.
상술한 카메라 모듈(68)과 무선 송신 모듈(66)은 상용제품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전원부(67)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68)과 무선 송신 모듈(66)에 전원을 인가하고, 몸체(63)의 외부에는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신 모듈(66)에서 송신되는 영상데이터는 첨부도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수신 모듈(미도시)에서 수신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CRT모니터, LCD모니터, 텔레비전 등이 있다.
또한, 상술한 몸체(63)의 저면에는 제1 장착부(64)가 배치된다.
제1 장착부(64)는 내부에 회전체 형상으로 공간이 마련되고, 그 공간에 제1 부착 수단(65)이 배치되며, 특히 제1 장착부(64)는 제1 행성모형(62)을 평면에서 볼 때에 제1 행성모형(62)의 중심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중심에서 과다하게 벗어나지 않으면 충분하다.
예컨대, 제1 장착부(64)는 제1 행성모형(62)을 평면에서 볼 때에 제1 행성모형(62)의 외형 윤곽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부착 수단(65)은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일 수 있고, 특히 제2 받침부재(45)의 물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받침부재(45)가 자성체일 때에 제1 부착 수단(65)은 자석에 붙는 금속일 수 있고, 제2 받침부재(45)가 자석에 붙는 금속일 때에 제1 부착 수단(65)은 자석일 수 있다.
상술한 제1, 제2 피관찰 행성모형(80)(90)은 첨부도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피관찰 행성모형(80)과 제2 피관찰 행성모형(90)은 동일한 구성이고 단지 내행성 또는 외행성의 모형으로 제시되는 것이며, 예컨대 내행성은 금성을 의미할 수 있고 외행성은 화성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인바 행성 모형의 크기에만 차이가 있는 것이다.
제1, 제2 피관찰 행성모형(80)(90)은 제2, 제3 행성모형(82)(92)과 제2, 제3 장착부(83)(93)의 사이에 제2, 제3 넥부(81)(91)를 포함한다.
상술한 제2, 제3 넥부(81)(91)는 수평방향으로 제2, 제3 슬라이드 구멍(85)(95)이 형성되고, 제2, 제3 행성모형(82)(92)을 평면에서 볼 때에 제2, 제3 슬라이드 구멍(85)(95)은 제2, 제3 행성모형(82)(92)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상술한 제2, 제3 장착부(83)(93)는 저면에 회전체 형상으로 공간이 마련되고, 그 공간에 제2, 제3 부착 수단(84)(94)이 배치된다.
상술한 제2, 제3 부착 수단(84)(94)은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일 수 있고, 특히 제1, 제3 받침부재(44)(46)의 물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3 받침부재(44)(46)가 자성체일 때에 제2, 제3 부착 수단(84)(94)은 자석에 붙는 금속일 수 있고, 제1, 제3 받침부재(44)(46)가 자석에 붙는 금속일 때에 제2, 제3 부착 수단(84)(94)은 자석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 또는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의 표면은 거칠게 가공될 수 있고, 실제 행성의 모형처럼 채색될 수도 있다.
특히 표면이 거칠게 가공되었을 때에는 각각의 행성 모형에 빛을 조사하면 행성 모형의 표면에 미세한 그림자가 형성되어 더욱 현실감 있는 음양의 명암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표면 거칠기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표면의 윤곽에서 고저를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상술한 관찰자 행성 모형(60)은 도 1 내지 도 4,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 또는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을 항상 주시할 수 있도록 로드 부재(53)에 의해 구속된다.
로드 부재(53)는 가늘고 기다란 형태로 형성되고, 어느 한쪽에는 상술한 제1, 제2, 제3 슬라이드 구멍(70)(85)(95)의 내경보다 크기가 큰 헤드(54)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한쪽에는 상술한 제1, 제2, 제3 슬라이드 구멍(70)(85)(95)에 쉽게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첨예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로드 부재(53)의 최소 길이는 관찰자 행성모형(60)과 내행성인 제1 피관찰 행성모형(80)과 메인 축(20)의 중심의 순서로 일직선 되는 위치에서 관찰자 행성모형(60)과 제1 피관찰 행성모형(80)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길이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술한 로드 부재(53)의 최대 길이는 관찰자 행성모형(60)과 메인 축(20)의 중심과 외행성인 제2 피관찰 행성모형(90)의 순서로 일직선 되는 위치에서 관찰자 행성모형(60)과 제2 피관찰 행성모형(90)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길이이면 충분하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로드 부재(53)는 첨예부(55)의 움직임이 행성의 시운 동과 무척 유사한 동선으로 이동됨으로서 차후에 설명되는 레이저 포인터(72)를 작동시키지 않고서도 행성 시운동을 설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로드 부재(53)에 2개의 행성 모형이 삽입될 때에 행성 모형은 각각의 제1, 제2, 제3 받침 부재(44)(45)(46)의 위에서 슬립(slip)현상이 일어나고 서로 임으로 분리되어 이탈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는 사용예를 첨부도면 도 1, 도 2,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는 내행성과 외행성의 시운동을 관찰할 수 있고, 내행성과 외행성의 위치 변화에 따라 육안으로 관찰되는 음양의 명암을 관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내행성의 시운동 관찰
먼저, 첨부도면 도 9, 도 11을 참조하여 내행성의 시운동관찰을 설명한다.
행성의 시운동을 관찰할 때에는 고정 태양 모형(51) 또는 태양 모형(52)을 분리/제거하고, 아울러 외행성의 모형인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을 분리/제거하며, 로드 부재(53)를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을 동시에 삽입한다.
특히 관찰자 행성 모형(60)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68)은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을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 부재(53)를 삽입한다.
이후 제어부(4)를 조작하면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가 구동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외행성의 구동에 해당되는 제3 구동모터(23)는 구동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은 메인 축(20)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특히 실제 지구와 금성이 공전할 때의 회전속도와 비례하는 속도로 공전하는 것이고 예컨대 관찰자 행성 모형(60)의 공전속도를 증가시키면 그 증가되는 속도에 비례하여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역시 공전속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가상의 날짜를 제어부(4)에서 조작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한 지점으로 이동할 것을 명령하면 비례되는 속도에 의거 현실감 있게 특정한 위치로 이동된다.
특히 로드 부재(53)는 관찰자 행성 모형(60)의 제1 슬라이드 구멍(70)과 제1 피관찰 행성모형(80)의 제2 슬라이드 구멍(85)을 항상 일직선으로 위치되도록 구속하고, 결국 관찰행성 모형(60)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68)은 항상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을 촬영하게 된다.
상술한 카메라 모듈(68)은 시운동을 관찰할 때에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72)는 평면에서 볼 때에 항상 제1 피관찰 행성모형(80)을 향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상체(3)를 주 몸체(1)에 씌우거나 제거할 수 있는데, 상체(3)를 주 몸체(1)에 씌웠을 때에는 레이저빔 포인트는 상체(3)의 외주연 벽체에 맺히게 된다.
이때 맺혀지는 레이저빔 포인트는 첨부도면 도 11에 나타낸 궤적처럼 이동되며, 교사는 상체(3)의 바깥표면에서 레이저빔 포인트에 필기구를 이용하여 점을 찍을 수 있고 찍힌 점을 순서에 따라 선으로 이으면 순행과 역행 및 순행의 곡선을 그릴 수 있다.
찍혀진 점은 필기구에 그려진 선을 지우는 지우개로 지울 수 있어 반복 학습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상체(3)를 주 몸체(1)에 씌우지 않는 상태에서 시운동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레이저빔 포인트가 교실 벽 또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실내의 벽에 맺히고 이때 레이저빔 포인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더욱 확대된 형태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확대된 형태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이저 포인터(72)는 직진하는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레이저빔 포인트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로부터 먼 거리에서 크게 그려지기 때문에 더 많은 학생들이 더욱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외행성의 시운동 관찰
먼저, 첨부도면 도 10, 도 12을 참조하여 외행성의 시운동관찰을 설명한다.
외행성의 시운동을 관찰할 때에는 실시예 1에서처럼 고정 태양 모형(51) 또는 태양 모형(52)을 분리/제거하고, 아울러 내행성의 모형인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을 분리/제거하며, 로드 부재(53)에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을 동시에 삽입한다.
특히 관찰자 행성 모형(60)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68)은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을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 부재(53)를 삽입한다.
이후 제어부(4)를 조작하면 제1, 제2, 제3 구동모터(21)(22)(23)가 구동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행성의 구동에 해당되는 제1 구동모터(21)는 구동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은 메인 축(20)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특히 실제 지구와 화성이 공전할 때의 회전속도와 비례하는 속도로 공전하는 것이고 예컨대 관찰자 행성 모형(60)의 공전속도를 증감시키면 그 증가되는 속도에 비례하여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 역시 공전속도가 증감된다.
따라서 가상의 날짜를 제어부(4)에서 조작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한 지점으로 이동할 것을 명령하면 비례되는 속도에 의거 현실감 있게 특정한 위치로 이동된다.
특히 로드 부재(53)는 관찰자 행성 모형(60)의 제1 슬라이드 구멍(70)과 제2 피관찰 행성모형(90)의 제3 슬라이드 구멍(95)을 항상 일직선으로 위치되도록 구속하고, 결국 관찰행성 모형(60)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68)은 항상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을 촬영하게 된다.
상술한 카메라 모듈(68)은 시운동을 관찰할 때에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72)는 평면에서 볼 때에 항상 제2 피관찰 행성모형(90)을 향하여 레이저빔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실시예 1에서처럼 상체(3)를 주 몸체(1)에 씌우거나 제거할 수 있는데, 상체(3)를 주 몸체(1)에 씌웠을 때에는 레이저빔 포인트는 상체(3)의 외주연 벽체에 맺히게 되고, 상체(3)를 주 몸체(1)에 씌우지 않는 상태에서 시운동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레이저빔 포인트가 교실 벽 또는 학습이 이루어지는 실내의 벽에 맺히게 된다.
이때 맺혀지는 레이저빔 포인트는 첨부도면 도 12에 나타낸 궤적처럼 이동되며, 교사는 상체(3)의 바깥표면에서 레이저빔 포인트에 필기구를 이용하여 점을 찍을 수 있고 찍힌 점을 순서에 따라 선으로 이으면 순행과 역행 및 순행의 곡선을 그릴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실내의 벽에 레이저빔 포인트가 맺힐 때에는 레이저빔 포인트가 움직이는 궤적을 더욱 확대된 형태로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내행성 또는 외행성의 음양 명암을 육안으로 직접 관찰
첨부도면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내행성 또는 외행성의 음양 명암관찰을 설명한다.
내행성 또는 외행성의 음양 명암을 육안으로 직접 관찰할 때에는 태양 모형(52)을 메인 축(20)에 장착하고, 태양 모형(52)에서 불을 밝히면 그 빛은 모든 행성 모형을 비추게 된다.
아울러 로드 부재(5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행성 모형에 설치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카메라 모듈(68)을 작동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레이저 포인터(72)를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상체(3)를 주 몸체(1)에 씌우거나 또는 씌우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제어부(4)를 조작하면 모든 행성 모형은 각각의 공전주기로 회전하고, 태양 모형(52)에서는 빛이 점광원으로서 모든 행성 모형에 비추게 된다.
이후 태양 모형(52)과 내행성과 외행성이 일직선이 되는 시점에서는 외행성에 내행성의 그림자가 생기게 되므로 일식 현상을 더욱 쉽게 설명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내행성의 음양 명암을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관찰
첨부도면 도 9,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여 내행성의 음양 명암관찰을 설명한다.
내행성의 음양 명암을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관찰할 때에는 상체(3)의 중심에 고정 태양 모형(51)을 장착하고, 아울러 로드 부재(5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에 끼운다.
또한, 카메라 모듈(68)을 작동시켜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을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영상데이터는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72)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사용하지 않고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체(3)를 주 몸체(1)에 씌워주면 주변의 빛에 의한 간섭 또는 방해를 받지 않고 고정 태양 모형(51)에서 조사되는 빛만으로 각 행성 모형을 빛출 수 있다.
이후 제어부(4)를 조작하면 모든 행성 모형은 각각의 공전주기로 회전하고, 고정 태양 모형(51)에서는 빛이 점광원으로서 모든 행성 모형에 비추게 된다.
특히 관찰자 행성 모형(60)은 계속하여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을 주시하게 되므로 결국 어느 위치에 있든지 카메라 모듈(68)은 항상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외부의 영상표시장치(100)에 나타내게 된다.
또한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 및 고정 태양 모형(51)의 상호 위치에 따라 다르게 관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고정 태양 모형(51)을 기준으로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1 피관찰 행성모형(80)이 90도 각도를 이룰 때에 반달 모양의 음영을 관찰할 수 있고, 고정 태양 모형(51)을 기준으로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1 피관찰 행성모형(80)이 일직선을 이루되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이 고정 태양 모형(51)과 관찰자 행성 모형(60)의 사이에 있느냐 혹은 바깥 쪽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어두운 음영으로만 관찰되거나 보름달 형태로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내행성과 지구 및 태양의 상호 위치에 따라 음영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르게 관찰됨을 현실감 있게 학습할 수 있다.
<실시예 5>
외행성의 음양 명암을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관찰
첨부도면 도 10,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여 외행성의 음양 명암관찰을 설명한다.
내행성의 음양 명암을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관찰할 때에는 상체(3)의 중심에 고정 태양 모형(51)을 장착하고, 아울러 로드 부재(53)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에 끼운다.
또한, 카메라 모듈(68)을 작동시켜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을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되는 영상데이터는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72)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사용하지 않고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피관찰 행성 모형(80)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체(3)를 주 몸체(1)에 씌워주면 주변의 빛에 의한 간섭 또는 방해를 받지 않고 고정 태양 모형(51)에서 조사되는 빛만으로 각 행성 모형을 비출 수 있다.
이후 제어부(4)를 조작하면 모든 행성 모형은 각각의 공전주기로 회전하고, 고정 태양 모형(51)에서는 빛이 점광원으로서 모든 행성 모형에 비추게 된다.
특히 관찰자 행성 모형(60)은 계속하여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을 주시하게 되므로 결국 어느 위치에 있든지 카메라 모듈(68)은 항상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외부의 영상표시장치(100)에 나타내게 된다.
또한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 및 고정 태양 모형(51)의 상호 위치에 따라 다르게 관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고정 태양 모형(51)을 기준으로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2 피관찰 행성모형(90)이 90도 각도를 이룰 때에 반달 모양의 음영을 관찰할 수 있고, 고정 태양 모형(51)을 기준으로 관찰자 행성 모형(60)과 제2 피관찰 행성모형(90)이 일직선을 이룰 때에 제2 피관찰 행성 모형(90)이 보름달 형태로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외행성과 지구 및 태양의 상호 위치에 따라 음영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르게 관찰됨을 현실감 있게 학습할 수 있다.
<실시예 6>
내행성 또는 외행성의 임의 위치에서의 음양 명암을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관찰
첨부도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행성 모형은 각각의 제1, 제2, 제3 슬리브(24)(25)(26)와 각각의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가 조합되어 상호 마찰력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지만 인위적으로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중에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면 논-슬립부재(40)의 마찰력보다 임의로 가한 외력이 더 클 때에는 외력이 가해지는 제1, 제2, 제3 회전부재(36)(37)(38)중에 어느 하나가 임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교사는 학생들에가 교육함에 있어서 특정한 위치 또는 특정한 현상이 발생되는 지점을 설명하기 위해 관찰자 행성 모형(60),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80)(90) 중에 어느 하나를 임의로 이동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는 내행성과 외행성의 시운동을 현실감있게 재현할 수 있고, 또한 각 행성간의 위치에 따라 관찰자 행성 모형은 지구의 관잘차시점으로서 내행성 또는 외행성의 음영 변화를 더욱 쉽게 이해시킬 수 있다.

Claims (28)

  1.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축;
    상기 메인 축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 슬리브;
    상기 제1 슬리브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 슬리브;
    상기 제2 슬리브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제3 슬리브;
    상기 제1, 제2, 제3 슬리브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제2, 제3 슬리브를 각각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제2, 제3 구동모터;
    상기 제1, 제2, 제3 슬리브의 상단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제1, 제2, 제3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장착되는 제1 피관찰 행성 모형;
    상기 제2 회전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 궤도보다 바깥쪽에서 공전되는 관찰자 행성 모형;
    상기 제3 회전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관찰자 행성 모형의 공전 궤도보다 바깥쪽에서 공전되는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상기 관찰자 행성 모형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 또는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모형행성의 방향을 구속시키는 로드부재; 및
    상기 제1, 제2, 제3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축은 상단에 전구 소켓이 배치되고,
    상기 전구 소켓에 장착되어 전기의 인가에 의해 점광원으로 빛을 발광하는 태양 모형;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구동모터는 수치제어가 가능한 스테핑 모터 또는 DC 모터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구동모터에는 각각 제1, 제2, 제3 원동기어가 장착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슬리브의 하단에는 각각 제1, 제2, 제3 종동기어가 장착되며,
    상기 제1, 제2, 제3 원동기어와 상기 제1, 제2, 제3 종동기어는 각각 제1, 제2, 제3 전동요소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원동기어와 상기 제1, 제2, 제3 종동기어는 타이밍 기어이고, 상기 제1, 제2, 제3 전동요소는 타이밍 밸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원동기어와 상기 제1, 제2, 제3 종동기어는 체인스프로킷이고, 상기 제1, 제2, 제3 전동요소는 체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동기어와 상기 제2 종동기어의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제2 종동기어와 상기 제3 종동기어의 사이에 다른 트러스트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종동기어의 저면에 또 다른 트러스트 베어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회전부재의 내주연에는 걸림 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턱의 저면에는 논-슬립(non-slip)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부재는 재질이 고무, 부직포 또는 가죽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는 제1 로드부재;
    상기 제2 회전부재의 외측에 상기 제1 로드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로드 부재;
    상기 제3 회전부재의 외측에 상기 제2 로드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3 로드 부재; 및
    상기 제1, 제2, 제3 로드부재의 외측 끝부분에 배치되고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재질인 제1, 제2, 제3 받침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자 행성 모형은,
    지구 형상의 제1 행성 모형;
    상기 제1 행성 모형의 중심에서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행성 모형의 한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슬라이드 구멍;
    상기 제1 행성 모형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고 회전체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에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재질 중에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1 행성 모형의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지는 영상데이터를 무선으로 외부에 송신하는 무선 송신 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은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멍의 중심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관찰 행성 모형 또는 상기 제2 피관찰자 행성 모형은,
    금성 또는 화성 형상의 제2, 제3 행성 모형;
    상기 제2 행성 모형 또는 제3 행성 모형의 한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제3 슬라이드 구멍; 및
    상기 제2 행성 모형 또는 제3 행성 모형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고 회전체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에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금속 재질 중에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제2, 제3 장착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행성 모형 또는 상기 제3 행성 모형은,
    겉 표면이 육안으로 볼 때에 고저가 구분되는 정도의 표면거칠기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관찰자 행성모형의 공정궤도보다 큰 회전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축, 상기 제1, 제2, 제3 슬리브, 상기 제1, 제2, 제3 구동모터, 상기 제1, 제2, 제3 회전부재, 상기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관찰자 행성 모형, 상기 로드부재를 덮어씌우는 상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는, 재질은 반투명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는,
    투명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중에 어느 하나의 재질이고,
    내표면 또는 외표면 중 어느 한 쪽 표면에 반투명의 필름 또는 종이가 배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는,
    외주연에 각 행성의 공전주기와 공전궤도의 정보 등이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는,
    내면의 중앙에 소켓이 더 포함되고, 상기 소켓에 장착되어 전기의 인가에 의해 점광원으로 빛을 발산하는 고정 태양 모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1. 제 16 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는,
    외주연에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 배치되고 탄성이 좋으며 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
    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와 대응되는 크기의 상판; 상기 상판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슬리브가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장착 구멍; 및 상기 상판의 외주연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브러시 부재와 통전되는 복수개의 통전 패턴;이 포함되는 주 몸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통전 패턴사이에는 분리 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통전 패턴은 링(ring)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찰자 행성 모형과 상기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위치를 정의하는 시점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MEM)가 포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의 정보는,
    메인 축의 중심과 관찰자 행성 모형의 사이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메인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관찰자 행성 모형과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순행이 시작되는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역행이 시작되는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1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2 지점,
    제1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를 4 내지 24분할한 각각의 지점,
    메인 축의 중심과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사이에 관찰자 행성 모형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메인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에 관찰자 행성 모형과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지점,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순행이 시작되는 지점,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역행이 시작되는 지점,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1 지점,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에서 최대 이각을 이루는 제2 지점 및
    제2 피관찰 행성 모형의 공전궤도를 4 내지 24분할한 각각의 지점 중에 어느 한 지점을 정의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찰자 행성 모형과 상기 제1, 제2 피관찰 행성 모형 중에 어느 하나의 행성 모형의 공전 속도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부는 상기 시점의 정보와 관련되는 일자를 더 표시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KR1020070027198A 2007-03-20 2007-03-20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KR100743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198A KR100743270B1 (ko) 2007-03-20 2007-03-20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198A KR100743270B1 (ko) 2007-03-20 2007-03-20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270B1 true KR100743270B1 (ko) 2007-07-27

Family

ID=38499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198A KR100743270B1 (ko) 2007-03-20 2007-03-20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2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57207A (zh) * 2014-08-08 2014-11-19 北京理工大学 太阳系八大行星演示仪
KR200475929Y1 (ko) 2014-01-17 2015-01-13 김승현 일식 시뮬레이션 장치
KR101516804B1 (ko) * 2013-12-05 2015-05-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운용 시뮬레이션 장치
KR20170002824U (ko) 2016-01-29 2017-08-09 주식회사 아스트로캠프 혜성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28707B1 (ko) 2016-09-22 2018-02-12 김문선 윈도우 토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314Y1 (ko) * 2002-09-12 2003-01-24 이송남 항성 또는 위성의 운행 모형장치
KR200322358Y1 (ko) * 2003-04-26 2003-08-06 주경진 시운동 학습장치
KR200323267Y1 (ko) * 2003-05-07 2003-08-14 구성완 금성의 시운동 학습장치
KR20040073065A (ko) * 2003-02-13 2004-08-19 윤준용 태양계 행성의 운행 천체모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314Y1 (ko) * 2002-09-12 2003-01-24 이송남 항성 또는 위성의 운행 모형장치
KR20040073065A (ko) * 2003-02-13 2004-08-19 윤준용 태양계 행성의 운행 천체모형
KR200322358Y1 (ko) * 2003-04-26 2003-08-06 주경진 시운동 학습장치
KR200323267Y1 (ko) * 2003-05-07 2003-08-14 구성완 금성의 시운동 학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804B1 (ko) * 2013-12-05 2015-05-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운용 시뮬레이션 장치
KR200475929Y1 (ko) 2014-01-17 2015-01-13 김승현 일식 시뮬레이션 장치
CN104157207A (zh) * 2014-08-08 2014-11-19 北京理工大学 太阳系八大行星演示仪
KR20170002824U (ko) 2016-01-29 2017-08-09 주식회사 아스트로캠프 혜성 시뮬레이션 장치
KR101828707B1 (ko) 2016-09-22 2018-02-12 김문선 윈도우 토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270B1 (ko) 행성 시운동 현시 교구
US5030100A (en) Environmental display system
CN108269426A (zh) 一种中文词汇讲解展示教具
US3387393A (en) Toy planetarium
US3520073A (en) Multifunction astronomical display planetarium
CN103714741A (zh) 一种新型月相形成探究仪
US3089259A (en) Miniature solar system displays
CN202258102U (zh) 一种日月食现象演示装置
KR101810333B1 (ko) 달 위상변화 교육기구
KR20090131557A (ko) 선 꼬임 방지기능을 갖는 달 위상 관측기
JP2005078031A (ja) 天球儀
CN106157796A (zh) 一种太阳系行星运转演示教具
KR100631334B1 (ko)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
CN107958619A (zh) 外摆线轨迹演示装置
CN203706585U (zh) 一种新型月相形成探究仪
KR100667672B1 (ko) 교습용 천체3구의
KR20170027968A (ko) 지구과학용 시뮬레이션 장치
CN209297581U (zh) 一种力学演示装置
CN110782773A (zh) 用于解惑观察的模拟四季星空
US3266176A (en) Orbital simulator
CN204010518U (zh) 一种无轨天体教学演示仪
CN219936595U (zh) 一种模拟地球自转方向和北方星空相对运动的实验装置
KR200402704Y1 (ko) 시뮬레이션 달 관측기
CN213277194U (zh) 电子浑天仪
JP2018109694A (ja) 天体模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