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112A -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 Google Patents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112A
KR20090131112A KR1020080056908A KR20080056908A KR20090131112A KR 20090131112 A KR20090131112 A KR 20090131112A KR 1020080056908 A KR1020080056908 A KR 1020080056908A KR 20080056908 A KR20080056908 A KR 20080056908A KR 20090131112 A KR20090131112 A KR 20090131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una
main body
dryer
combined
expanded per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최갑용
Original Assignee
이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준 filed Critical 이병준
Priority to KR102008005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112A/ko
Publication of KR20090131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4Filtering, e.g. control of lint remov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측이 다수의 기공을 갖는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져서 이불 건조와 동시에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을 통해서 공기를 정화하여 탈취까지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측이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본체부의 노출된 일측에 장착되어, 본체부의 일측을 덮도록 형성된 도어부 및 본체부에 장착되어, 본체부의 내부 온도를 높이는 히터를 포함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개시한다.
사우나, 이불 건조기, 팽창 퍼라이트, 공기 정화

Description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SAUNA COMBINED WITH SHEET DRYER}
본 발명은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측이 다수의 기공을 갖는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져서 이불 건조와 동시에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을 통해서 공기를 정화하여 탈취까지 할 수 있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보나 침대보는 이불 및 침대의 청결을 위해 일반 가정 및 숙박 시설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불보 및 침대보는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여, 곰팡이 냄새, 진드기 및 그밖에 해충으로 인해 발생되는 피부병 및 전염성 질병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를 위해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회전식 세탁물 건조기는 비록 상당히 양호한 건조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불보와 침대보와 같은 대형 세탁물은 롤러의 체적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건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이불보와 침대보는 실외건조를 이용할 수 있으나, 건조 시간 및 건조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숙박시설과 같이 다량으로 사용되는 이불보와 침대보를 실외 건조 및 세탁물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기 위해서 건조 공간 과 시간 확보가 되지 않아서, 이불보와 침대보의 구김이 생기게 되고,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곰팡이 냄새가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이 다수의 기공을 갖는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져서 이불 건조와 동시에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을 통해서 공기를 정화하여 탈취까지 할 수 있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중의 수분을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에 흡수 할 수 있으므로 사우나 시에 내부 공기가 건조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호르몬 및 아토피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태워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환경호르몬 및 아토피를 개선할 수 있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측이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노출된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덮도록 형성된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온도를 높이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의 내측은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의 외측에는 내측에 형성된 상기 팽창 퍼라이트의 강도를 향상시 키기 위해 외측의 일부를 덮도록 도어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팽창 퍼라이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는 내측에 형성된 상기 팽창 퍼라이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외측을 덮도록 본체 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온풍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온열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히터의 동작 시간 및 동작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우나 중 앉을 수 있는 의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일측에 탄성부재를 통해서 장착되어, 이불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는 내측이 다수의 기공을 갖는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져서 이불 건조와 동시에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을 통해서 공기를 정화하여 탈취까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는 공기중의 수분을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에 흡수 할 수 있으므로 사우나 시에 내부 공기가 건조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는 환경호르몬 및 아토피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태워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환경호르몬 및 아토피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도 1a에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도시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c에는 도 1b의 1c-1c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d에는 도 1b의 히터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는 본체부(110), 도어부(120), 히터(130) 및 제어장치(14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다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10)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을 모두 덮도록 상기 도어부(120)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도어부(120)가 장착된 부스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상기 본체부(110)는 다면체 또는 원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11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본체부(110)는 내측이 팽창 퍼라이트(1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팽창 퍼라이트(112)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본체부(110)의 구조물이 되도록 외측이 본체 프레임(111)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부(110)는 전면이 상기 본체 프레임(111)과 상기 팽창 퍼라이트(112)가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 프레임(111)은 상기 팽창 퍼라이트(112)의 외측을 모두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팽창 퍼라이트(11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도 있다. 즉, 상기 본체 프레임(111)은 상기 팽창 퍼라이트(112)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의 일측에는 이불을 건조하기 위한 고정핀(113)이 더 형성될 수 도 있다. 이러한 고정핀(113)은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탄성부재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 부재는 고무줄, 스프링 및 이의 등가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고정핀(113)은 탄성 부재를 통해 탄성력이 작용하여 상기 이불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도 완전히 펴지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113)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된 이불의 모서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핀(113)이 형성되는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본체 프레임(111)은 샌드위치 판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샌드위치 판넬은 무게가 가볍고, 방음과 단열의 효과가 좋기 때문에, 일반 건축자재 보다 우수하고, 부피가 커서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 기간이 짧아 금전적인 면과 시간적인 면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샌드위치 판넬은 가격 또한 저렴하기 때문에 다 방면에서 사용될 수 있고, 일정한 형상과 강도를 유지하고, 방음재, 단열보온재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 프레임(111)은 샌드위치 판넬(즉, 다수개의 판넬)이 연속되게 인접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111)의 재질을 샌드위치 판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팽창 퍼라이트(112)는 퍼라이트라 불리는 흑요석, 진주암, 송지암 및 이에 등가하는 광물을 가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퍼라이트 광물을 정석 가공한 후에, 대략 870℃이상의 고온에서 급격히 가열하면 내부의 결정수가 기화되면서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팽창 퍼라이트가 형성된다. 상기 팽창 퍼라이트(112)는 입자 속에 수많은 미세 기공을 포함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가벼운 특성을 갖는다. 상기 팽창 퍼라이트(112)는 대략 표 1과 같은 화학적 성분을 갖지만, 이러한 화학적 성분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성분 SiO2 Al2O3 K2O Na2O Fe2O3 CaO MgO
함유율(%) 72~78% 10~15% 2.5~4.5 2.5~4.5 0.2~1.2 0.1~0.5 0.1~0.3
또한, 상기 팽창 퍼라이트는 대략 표 2와 같은 물리적 성질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 성질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밀도(g/㎤) pH 열전도율 (kcal/mh℃) 사용가능온도 (℃) 색상
0.03~0.025 6.5~7.5 0.03~0.05 -250~1000 백색 회백색
상기 팽창 퍼라이트(112)는 많은 기공에 의해 팽창 퍼라이트 분체 사이가 점접촉으로 연결되어 팽창 퍼라이트 자체의 고체 전도는 매우 적으며, 팽창 퍼라이트 입자간의 공극에 미립자가 충진되기 때문에 대류가 방지되고, 입자가 백색을 띄므로 복사에 의한 단열성이 좋은 특성이 있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팽창 퍼라이트는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보온 및 보냉재로 사용가능하다.
표 1과 표 2를 참조하면, 팽창 퍼라이트(112)는 화학적 중성물질로 열전도율이 낮으므로 팽창 퍼라이트(112)로 이루어진 본체부(110)는 히터(130)에서 열이 발생되어 이불 건조 및 사우나 기능을 할 때, 외부로 열손실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 퍼라이트(112)는 무기질 재료로만 구성된 천연 광물질로, 히터(130)에서 온풍이 발생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에 형성된 팽창 퍼라이트(112)에 열이 가해질때,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팽창 퍼라이트(112)는 수많은 미세 기공을 포함하고, 이불을 건조할 때 미세 기공을 통해서 수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사우나 기능을 할 때 팽창 퍼라이트(112)의 기공에 흡수된 수분이 방출되어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팽창 퍼라이트(112)는 수많은 미세 기공을 통해서 본체부(110)의 내부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외부로 노출된 일측을 모두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120)는 도 1a 내지 도 1b에서 여닫이형의 양문으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부(120)는 열림 방식과 문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어부(120)는 내측이 팽창 퍼라이트(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팽창 퍼라이트(122)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도어부(120)의 구조물이 되도록 외측의 일부에 형성된 도어 프레임(121)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어부(120)는 상기 팽창 퍼라이트(122)가 형성된 외측의 일부를 덮도록 도어 프레임(121)이 형성되므로 상기 도어 프레임(12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의 상기 팽창 퍼라이트(122)는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121)은 바람직하게는 사각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121)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팽창 퍼라이트(122)는 점점촉의 팽창 퍼라이트 분체로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공기와 서서히 순환될 수 있다. 즉, 상기 팽창 퍼라이트(12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히터(130)에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 내부로 열을 가할 때, 노출된 팽창 퍼라이트(122)를 통해서 공기가 서서히 순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120)에는 상기 외부로 노출된 팽창 퍼라이트(122)를 지지하는 지지부(1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23)는 상기 도어 프레임(121)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팽창 퍼라이트(12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123)는 상기 팽창 퍼라이트(122)를 가로질러 상기 도어 프레임(121)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123)의 형성 방향을 도 1a에 도시된 횡 또는 종 방향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어부(120)에는 상기 도어부(120)를 열고 닫는데 사용되는 손잡이(12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121)은 샌드위치 판넬, 목재 및 이의 등가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121)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터(130)는 온풍을 생성하여 상기 본체부(110)와 상기 도어부(120)사이의 공간에 온풍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히터(130)는 공기흡입수단(131)을 통해서 공기를 흡입하고, 내측에는 상기 공기흡입수단(131)을 통해서 전달되는 공기를 온풍으로 변환하는 발열코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며, 생성된 온풍은 온풍 배출구(132)를 통해 상기 본체부(110) 내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히터(130)의 케이스는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130)의 공기흡입수단(131)은 상기 본체부(1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부 내부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40)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장치(140)는 상기 히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히터(130)의 동작 시간 및 온풍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140)에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의 내부 온도, 온풍 설정 온도 및 시간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판(1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는 본체부(110)와 도어부(120)의 내측과 히터(130)가 무기질 재료로만 구성된 천연 광물질인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진다. 그러므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는 건조기 동작 시에 이불 건조와 동시에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을 통해서 공기를 정화하여 탈취 까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는 화학적 중성물질인 열전도율이 낮은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의 내부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200)는 본체부(110), 도어부(120), 히터(130), 제어장치(140) 및 의자(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200)는 의자(250)를 제외하면 상술한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상기 의자(250)는 상기 본체부(110)에서 내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200)를 사우나로 이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앉아서 사우나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의자(250)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탈착이 가능하여, 이불 건조 시에는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200)의 외부으로 이동시켜 보다 용이하게 이불을 건조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의자(250)는 열전도율이 낮은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200)는 공기중의 수분을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에 흡수 할 수 있으므로 온풍기를 이용하여 사우나로 사용할 경우에도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200)의 내부 공기가 건조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200)는 팽창 퍼라이트에 고온으로 가열하여 환경호르몬 및 아토피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태워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환경호르몬 및 아토피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에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3a의 히터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는 본체부(110), 도어부(120), 히터(330) 및 제어장치(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는 히터(330)를 제외하면 상술한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1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상기 히터(330)는 발열코일(231), 고정부(232) 및 보호막(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히터(330)는 온열기로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코일(231)을 통해서 발생되는 열로 상기 본체부(11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한다. 이러한 발열코일(231)은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고정부(231)를 통해서 고정될 수 있으나, 상기 발열코일(231)이 고정되는 위치를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보호막(233)은 사우나 사용자 및 이불이 발열코일(23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의 본체부(110) 내측에는 사우나 사용자를 위한 의자(미도시)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는 본체부(110)와 도어부(120)가 무기질 재료로만 구성된 천연 광물질인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진다. 그러므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는 건조기 동작 시에 이불 건조와 동시에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을 통해서 공기를 정화하여 탈취 까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는 화학적 중성물질인 열전도율이 낮은 팽창 퍼라이트를 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의 내부에서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는 공기중의 수분을 팽창 퍼라이트의 기공에 흡수 할 수 있으므로 가열코일로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사우나로 사용할 경우에도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의 내부 공기가 건조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300)는 팽창 퍼라이트에 고온으로 가열하여 환경호르몬 및 아토피의 원인이 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태워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환경호르몬 및 아토피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도시한 정면도, 사시도 ,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110; 본체부 111; 본체 프레임
112, 122; 팽창 퍼라이트 120; 도어부
121; 도어 프레임 130, 230; 히터
140; 제어장치 150; 의자

Claims (10)

  1.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측이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진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노출된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을 덮도록 형성된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온도를 높이는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내측은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외측에는 내측에 형성된 상기 팽창 퍼라이트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외측의 일부를 덮도록 도어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팽창 퍼라이트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는 내측에 형성된 상기 팽창 퍼라이트의 강도를 향상시 키기 위해 외측을 덮도록 본체 프레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온풍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며, 팽창 퍼라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온열기로 상기 본체부의 내부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히터의 동작 시간 및 동작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어, 사우나 중 앉을 수 있는 의자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일측에 탄성부재를 통해서 장착되어, 이불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KR1020080056908A 2008-06-17 2008-06-17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KR20090131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908A KR20090131112A (ko) 2008-06-17 2008-06-17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908A KR20090131112A (ko) 2008-06-17 2008-06-17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112A true KR20090131112A (ko) 2009-12-28

Family

ID=4169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908A KR20090131112A (ko) 2008-06-17 2008-06-17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1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8448B2 (ja) 室内環境調整システム及び方法
GB2028644A (en) Bedsteads, mattresses
KR200467271Y1 (ko) 온풍장치가 장착된 침대용 매트리스
KR101331254B1 (ko) 항균성 나노소자 자연석재 패널을 이용한 난방 장치 및 이를 갖는 사우나 장치
KR20090131112A (ko) 사우나 겸용 이불 건조기
CN107136814B (zh) 通过气体调温的床垫加热层
TWM621358U (zh) 冷暖床墊
KR100424914B1 (ko) 이글루형 건강침대
JP3301749B2 (ja) ベッド装置
KR101049967B1 (ko) 황토 침대
KR200242857Y1 (ko) 램프와 송풍기를 부착한 발열,발풍겸용침대
KR20140088405A (ko)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KR101218669B1 (ko)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CN210611654U (zh) 通过气体调温的床垫加热层
KR102308114B1 (ko) 사랑채 온돌침대
JPH0458996A (ja) ふとん乾燥器
JP2007275523A (ja) ヒーターを内蔵した掛け布団と敷き布団
CN217078112U (zh) 多功能被褥暖干机
KR20020054287A (ko)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난방용 매트리스를 갖는 찜질용 침대
KR102418748B1 (ko) 온열 침대
KR200438934Y1 (ko) 원적외선방사매트 겸용 이불
KR960000126Y1 (ko) 바이오 세라믹스, 돌 및 흙을 이용한 조립식 전기 온돌판
KR20090097315A (ko) 온풍기
KR200392261Y1 (ko) 찜질용 침대
KR20160004185U (ko) 건조기구가 내장된 발열파티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