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405A -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 Google Patents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405A
KR20140088405A KR1020130000246A KR20130000246A KR20140088405A KR 20140088405 A KR20140088405 A KR 20140088405A KR 1020130000246 A KR1020130000246 A KR 1020130000246A KR 20130000246 A KR20130000246 A KR 20130000246A KR 20140088405 A KR20140088405 A KR 20140088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air
air circulation
suction pipe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229B1 (ko
Inventor
손동일
Original Assignee
손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일 filed Critical 손동일
Priority to KR1020130000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22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15Blankets; Duvet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에 의해 냉/온풍을 배출과 동시에 흡입에 의한 순환으로 사용자의 쾌적한 취침환경 조성 및 땀배출에 의한 위생상 청결성을 제공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절감을 제공하는 것을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에 충전된 상, 하부층 단열재와, 상기 상,하부층 단열재 사이에 배치된 냉/온풍순환배출관과, 상기 하부층 단열재 하측에 배치된 냉/온풍순환흡입관과, 상기 온풍순환흡입관의 하부에 충전된 보온재 및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 및 냉/온풍순환흡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커버의 외측에 구성된 냉/온풍발생제어기를 포함하는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INSULATION AND COOLING/HEATING AIR CYCLING BEDCLOTHES}
본 발명은 냉/온풍이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효과를 극대화에 의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에 따른 효과적인 보온범위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제어해서 사용이 가능함으로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온풍이불의 종류나 그 용도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이불은 보온성과 신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충전된 솜과 같은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의 외부를 감싸 씌워지는 외부커버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불은 하절기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 사람의 몸으로부터 배출되는 땀과 공기중의 수증기등으로 인하여 취침자는 이불이 몸에 붙어 불쾌감에 의한 숙면조건을 저해한다.
주지된 이부자리 보온온도는 여러논문을 통해 알려진바와 같이, 33℃와 습도 50% 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온온도의 조절은 매우 어렵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이불자리 속의 온도제어가 가능한 냉/온풍이불이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불은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보온재의 내부에 냉풍이나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냉풍 또는 온풍공급호스를 배설하고 상기 냉풍 또는 온풍공급호스는 외부에 연장된 연결호스에 온도조절이 가능한 냉/온풍히터와 연결되고, 상기 냉/온풍히터의 순환팬에 의해 냉/온풍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구조의 냉/온풍이불이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이불에 탄성재질의 송풍관을 배열시키고, 상기 송풍관에 의해 더운공기를 강제송풍하여 인체와 접하는 이불의 하측면으로 방출되도록 구성하여 취침자가 여름 또는 장마철과 같은 습한 환경에 불쾌감을 해소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8715호 (등록일자 : 2006. 06. 07)
상기한 특허문헌 1은 동절기에 보온 기능을 높이고 있으나, 사용과정에서 사람의 몸으로부터 배출되는 땀과 공기 중의 습기로 인하여 담요의 외피 또는 침대매트에 땀이 배게되어 취침시에 끈적거림에 의한 숙면 환경이 제공되지 못하고 냄새에 의한 불쾌감과, 사용에 따른 잦은 세탁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여, 특허문헌 1은 사용자에 의해 송풍기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취침중에 온풍 또는 냉풍을 제어할 수 없어 최초 사용시에 온도제어에 의해 온풍 또는 냉풍을 송풍하여단순히 설정온도에 의한 온도조절이 제공됨으로 효과적으로 땀의 배출은 물론 에너지 절감이 제공되지 못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최소 에너지로 효율적인 온도조절에 의한 사용목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단열층에 의한 냉풍 또는 온풍의 배출과 동시에 인체에 접촉한 온풍 또는 냉풍을 다시 흡입하여 순환함으로서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의한 손실되는 양의 최소화)의 온도제어에 의한 온풍 또는 냉풍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은,
외부커버;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에 충전된 상, 하부층 단열재;
상기 상,하부층 단열재 사이에 배치된 냉/온풍순환배출관;
상기 하부층 단열재 하측에 배치된 냉/온풍순환흡입관;
상기 온풍순환흡입관의 하부에 충전된 보온재; 및,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 및 냉/온풍순환흡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커버의 외측에 구성된 냉/온풍발생제어기;
를 포함하는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은 하방으로 상기 하부단열재 및 보온재를 관통하여 배출 가능한 분기배출관이 구성되고,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은 상기 보온재를 관통하여 분기흡입관으로 구성되되, 상호 간은 교번적 배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과 냉/온풍순환흡입관에는 과열방지 및 온도유지 확인용 온도감지센서가 설비되어 상기 냉/온풍발생제어기의 콘트롤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온풍발생제어기는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의 입력단부와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이 출력단부에는 교체가능한 필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풍 또는 냉풍순환배출관을 상, 하부층 단열재에 의해 효과적인 단열 제공으로 내부에 공급되는 온풍 또는 냉풍을 동시에 배출과 흡입에 의한 순환으로 열손실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는 물론 사용과정에서 취침자의 땀배출이 효과적으로 제공되어 취침에 따른 상쾌한 환경에 의한 숙면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기적인 필터청소에 의한 쾌적한 냉풍/온풍의 순환으로 위생성이 보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에서 내부 냉,온라인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단면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일부 발췌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단열에 의해 냉/온풍을 배출과 동시에 흡입에 의한 순환으로 사용자의 쾌적한 취침환경 조성 및 땀배출에 의한 위생상 청결성을 제공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절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대해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단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함으로 해석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도면에 제시된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단순화나 과장 또는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에서 내부 냉,온라인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단면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소정크기의 장방형 이불(100)의 내부에 냉/온풍순환배출관(110)과 냉/온풍순환흡입관(120)이 배치된다.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110)은 냉풍 또는 온풍의 공급에 따른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 하부층 단열재(130,14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층 단열재(140)의 하부에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120)이 배치되고,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120)의 하부에는 보온재(150)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상부층 단열재(130)와 하부의 보온재(150)는 외부에 덮혀지는 외부커버(160)에 의해 보호된다.
즉,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불(100)은
외부커버(160)와, 상기 외부커버(160)의 내부에 충전된 상, 하부층 단열재(130,140)와, 상기 상,하부층 단열재(130,140) 사이에 배치된 냉/온풍순환배출관(110)와, 상기 하부층 단열재(140) 하측에 배치된 냉/온풍순환흡입관(120)과,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120)의 하부에 충전된 보온재(150)로 구성된다.
상기 이불(100)을 구성하는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110)과 냉/온풍순환흡입관(120)은 상기 외부커버(160)의 외측에 연장되어 냉/온풍발생제어기(200)과 연결 구성된다.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110)과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120)은 상기 이불(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에서 상기 이불(100)의 폭방향으로 분기된 다수의 지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110)의 지관과 지관 사이에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120)의 지관이 배치되는 교번적 배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110)은 하방으로 상기 하부층 단열재(130) 및 보온재(150)를 관통하여 배출 가능한 분기배출관(111)이 구성되고,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120)은 상기 보온재(150)를 관통하여 분기흡입관(1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층 단열재(130)(140)는 유연성이 있는 자연소재의 섬유사로 직포된 단열천이나 인공섬유사로 직포된 단열 합성섬유,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단열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온풍순환배출관(110)과 냉/온풍순환흡입관(120)에는 과열방지 및 온도유지 확인용 온도감지센서(115)(125)가 설비되어 상기 냉/온풍발생제어기(200)의 컨트롤보드(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보드는 냉풍과 온풍으로 선택되는 콘트롤스위치와 상기 콘트롤스위치에 의해 단계별 온도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냉/온풍발생제어기(200)는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110)의 입력단부와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120)이 출력단부에는 배출 및 흡입에 따른 내,외부 공기를 정화해서 공급하도록 필터(220)(230)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220,230)는 분리해서 세척후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온풍발생제어기(200)의 후방의 상기 필터(230)측에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110)에 냉/온풍을 순환 공급하는 배출팬(240)과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120)에서 흡입하여 냉/온풍을 순환 흡입하는 흡입팬(250)이 구성된다.
상기 배출팬(240)과 흡입팬(250)의 팬속도 및 송풍량 역시 상기 컨트롤보드(210)의 제어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냉/온풍발생제어기(200)의 콘트롤보드(210)의 제어에 의해 온풍온도를 제어하여 단열 겸용 냉/온풍순환 배출관(110)을 통해 온풍을 공급한다.
이러한 온풍의 배출과 동시에 냉/온풍순환 흡입관(120)에 의해 이불(100)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게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외부에서 이불(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필터(220)에 의해 정화되어 콘트롤보드(210)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히팅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온풍의 공급에 의해 이불(100)의 내부 공기는 다시 상기 냉/온풍순환 흡입관(120)에 의해 흡입하여 이불(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냉/온풍순환 배출관(110)에 의해 이불(100)의 내부에 공급되는 온풍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배출팬(240)은 그 회전속도의 제어에 의해 온풍공급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냉/온풍순환 흡입관(120)에 의해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50)은 그 회전속도의 제어에 의해 공기흐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부층 단열재(130)(140)에 의해 단열된 상태에서 이불(100)의 내부에 세팅온도의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함과 동시에 다시 흡입하여 배출함으로 에너지 절감효과는 물론 공기정화를 통한 외기의 순환이 제공되어 땀배출이 효과적으로 배출되어 쾌적한 취침조건의 설정에 의한 숙면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하고 이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이불이외에도 침낭이나 담요, 실외 작업현장의 방한복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불이나 담요, 공기매트, 침낭이나 담요, 실외 작업현장의 방한복, 오토바이 헬멧, 비닐 하우스 및 양식장(투명 커버), 창문 및 내외 단열 장치 등등에 적용하여 효과적인 에너지절감을 통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0 : 이불
110 : 상부층 단열재
120 : 하부층 단열재
130 : 냉/온풍순환배출관
140 : 냉/온풍순환흡입관
150 : 보온재
160 : 외부커버
200 : 냉/온풍발생제어기
210 : 콘트롤보드
220,230 : 필터
240 : 배출팬
250 : 흡입팬

Claims (4)

  1. 외부커버;
    상기 외부커버의 내부에 충전된 상, 하부층 단열재;
    상기 상,하부층 단열재 사이에 배치된 냉/온풍순환배출관;
    상기 하부층 단열재 하측에 배치된 냉/온풍순환흡입관;
    상기 온풍순환흡입관의 하부에 충전된 보온재; 및,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 및 냉/온풍순환흡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커버의 외측에 구성된 냉/온풍발생제어기;
    를 포함하는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순환배출관은 하방으로 상기 하부단열재 및 보온재를 관통하여 배출 가능한 분기배출관이 구성되고,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은 상기 보온재를 관통하여 분기흡입관으로 구성되되, 상호 간은 교번적 배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순환배입관과 냉/온풍순환흡입관에는 과열방지 및 온도유지 확인용 온도감지센서가 설비되어 상기 냉/온풍발생제어기의 콘트롤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냉/온풍의 순환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발생제어기는 상기 냉/온풍순환배입관의 입력단부와 상기 냉/온풍순환흡입관이 출력단부에는 교체가능한 필터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KR1020130000246A 2013-01-02 2013-01-02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KR10144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246A KR101441229B1 (ko) 2013-01-02 2013-01-02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246A KR101441229B1 (ko) 2013-01-02 2013-01-02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405A true KR20140088405A (ko) 2014-07-10
KR101441229B1 KR101441229B1 (ko) 2014-11-03

Family

ID=5173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246A KR101441229B1 (ko) 2013-01-02 2013-01-02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52U (ko) 2015-05-18 2016-11-28 정권진 숨쉬기 편한 수면 이불
CN107319861A (zh) * 2016-04-28 2017-11-07 张弘毅 智能温控被
KR102625437B1 (ko) * 2023-04-19 2024-01-15 정동훈 기능성 이불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6524A (en) * 1996-04-18 1999-12-28 Ace Bed Co., Ltd. Temperature controller for bedding
KR100726095B1 (ko) * 2005-03-14 2007-06-12 차찬열 온풍, 냉풍 또는 자연풍을 선택적으로 송풍하는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052U (ko) 2015-05-18 2016-11-28 정권진 숨쉬기 편한 수면 이불
CN107319861A (zh) * 2016-04-28 2017-11-07 张弘毅 智能温控被
KR102625437B1 (ko) * 2023-04-19 2024-01-15 정동훈 기능성 이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229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7062B2 (en) Spring bed device with heating function
US100456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rmoelectric personal comfort controlled bedding
KR100249352B1 (ko) 침구의 온도조절장치
RU2268633C2 (ru) Кровать
KR101441229B1 (ko) 단열 겸용 냉/온풍 순환이불
TWM616975U (zh) 可調節溫度的通風床墊
KR200467271Y1 (ko) 온풍장치가 장착된 침대용 매트리스
US20060198617A1 (en) Portable bed warmer
KR200422541Y1 (ko) 온풍, 냉풍, 자연풍 송풍 기능 및 온열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CN208176408U (zh) 一种蓄热枕装置
CN107136814A (zh) 通过气体调温的床垫加热层
CN108294545A (zh) 一种基于计算机控制的多功能床垫
KR200418715Y1 (ko) 냉난방 송풍 이불
CN206565652U (zh) 一种新型电暖床
CN112369860A (zh) 一种内部带有环境监测的保健空调垫子
KR101218669B1 (ko) 히트파이프가 장착된 매트리스 난방장치
JP4688743B2 (ja) 布団用送風機
JP2007275523A (ja) ヒーターを内蔵した掛け布団と敷き布団
CN214386899U (zh) 一种内部带有环境监测的保健空调垫子
JP2005204853A (ja) 温熱治療器
CN216832579U (zh) 一种石墨烯导热膜织物
JP2006255354A (ja) 寝具用暖房装置
JP2005204852A (ja) 温熱治療器
CN107334310A (zh) 一种蓄热枕装置
KR200319025Y1 (ko) 건강 4계절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