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616A -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616A
KR20090129616A KR1020080055632A KR20080055632A KR20090129616A KR 20090129616 A KR20090129616 A KR 20090129616A KR 1020080055632 A KR1020080055632 A KR 1020080055632A KR 20080055632 A KR20080055632 A KR 20080055632A KR 20090129616 A KR20090129616 A KR 2009012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ding
vehicle
sale
information
bi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헌석
이형민
신배식
김장홍
김홍길
최돈주
Original Assignee
동부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9616A/ko
Publication of KR2009012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험가입 자동차에 의한 피해물의 매각을 위한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에서 공개 입찰이 가능하여 잔존물의 매각 시간을 줄이고 그 가치를 증대시킴은 물론, 입찰자에게는 잔존물의 정확한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객관적인 매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은 보험가입 자동차에 의한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및 표시하는 잔존물 처리 서버와,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에 입력된 상기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며 입찰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입찰 단말기와,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피해물의 입찰에 참가한 입찰자 중 낙찰자를 선택하는 중계 서버 및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선택된 낙찰자의 낙찰가에 기초하여 상기 피해물의 보상 업무를 처리하는 보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험, 차량, 사고, 잔존물, 매각, 온라인, 템플릿

Description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Sale system for total loss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험가입 자동차에 의한 피해물의 매각을 위한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상에서 공개 입찰이 가능하여 잔존물의 매각 시간을 줄이고 그 가치를 증대시킴은 물론, 입찰자에게는 잔존물의 정확한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객관적인 매각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험가입 차량에 사고가 발생하여 차주가 보험사에 사고 발생을 신고하면, 해당 신고를 접수한 보험사에서는 보상 담당자를 사고 현장으로 파견하여 보험처리와 관련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보상 담장자의 업무에는 보험가입 차량에 의한 피해물의 보상업무가 포함된다.
한편, 보상 담당자는 상기 피해물이 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여 전손 차량(total loss vehicle)인지를 판단하고, 만약 전손 차량인 경우에는 보상업무의 일환으로써 매각을 통해 피해 차량을 매각하고, 그 매각 대금의 환입을 통해 피해자에게 지급될 보상금에 충당하고 있다.
즉, 사고로 인해 파손이 발생한 피해 차량의 수리비 견적이 보험사가 산정한 차량 가액보다 높을 경우 그 차량을 전손 차량이라 하며, 보상 담당자는 피해 차량의 상태를 확인하여, 전손 차량을 수리하는 것보다 매각을 통해 보험금 지급에 충당하는 것이 유리한지를 판단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그리고, 보험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험가입 차량에 상응하는 차량가액을 보험금으로 지급함으로써 대위권을 획득하고, 피해 차량의 차주를 대위하여 해당 전손 차량의 매각 및 폐차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보험가입 차량에 의한 피해물이 차량 이외의 일반대물인 경우에는 보상업무의 일환으로 기 계약된 수리업체에 해당 일반대물의 수리를 의뢰하거나, 매각을 의뢰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상과 같은 전손 차량 또는 일반대물의 매각이나 또는 일반대물의 수리를 위해, 수의계약(private contract) 방식으로 체결된 특정의 자동차 공업사나, 폐차업체 또는 각종 수리업체 등에 매각, 폐차 또는 수리를 의뢰하여 잔존물(즉, 피해물)의 가치를 평가받고, 그에 따른 매각 대금을 받거나 수리를 위한 견적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매각(또는, 수리의뢰)과정에서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못하여 실제보다 낮은 평가액으로 산정되는 경우가 발생함은 물론, 수의계약 방식으로 잔존물의 가치를 평가받기 때문에 잔존물의 가치 증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잔존물 매각 등의 처리를 위한 각 단계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보험료부담을 증가시킴은 물론, 보상 담당자의 업무량을 증가시킨다 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이상과 같은 수의계약 방식을 배제하기 위해 입찰을 통하여 잔존물을 처리한다 하더라도, 응찰자에게 잔존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고 있지 않아서 입찰을 통한 잔존물의 처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잔존물의 매각을 진행함에 있어서, 온라인 상에서 공개 입찰이 가능하여 잔존물의 매각 시간을 줄이고 그 가치를 증대시킴은 물론, 입찰자에게는 잔존물의 정확한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객관적인 매각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은, 보험가입 자동차에 의한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및 표시하는 잔존물 처리 서버와;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에 입력된 상기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며 입찰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입찰 단말기와;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피해물의 입찰에 참가한 입찰자 중 낙찰자를 선택하는 중계 서버; 및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선택된 낙찰자의 낙찰가에 기초하여 상기 피해물의 보상 업무를 처리하는 보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피해물은 전손 차량인 경우,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과 동일한 차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현재 유통중인 각 차량의 차종 정보가 저장된 차종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차종 DB에서 선택한 차량의 모형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현재 유통중인 각 차량의 모형 템플릿이 저장된 템플릿 DB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선택된 모형 템플릿의 각 부품에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텍스트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로 실제 촬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현장조사를 통한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 잔존가치 등급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등급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등급 DB에 저장된 상기 등급정보에 따라 최저 매각가를 산출하는 최저 매각가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의 처리에 지출된 비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비용 데이터를 상기 입찰자에게 제공하는 비용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을 매각하기로 결정한 경우, 기 계약된 입찰 업체의 단말기에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매각개시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기 계약된 입찰 업체들 중 낙찰된 전손 차량을 특별한 이유없이 인수 거부한 입찰 업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입찰 제한 업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각개시 통지부는 상기 입찰 제한 업체를 제외한 그 외 입찰 업체에만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의 응찰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매각 금액을 제시한 입찰자를 낙찰자로 결정하는 매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매각 제어부로부터 낙찰결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에게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낙찰결과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상 서버는, 상기 보험자로부터 사고발생 신고를 접수하면, 보상 담당자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보상 담당자에게 통보해주는 담당자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의 매각이 완료되면, 상기 전손 차량의 사고 접수번호, 낙찰가 및 낙찰자를 포함한 매각 결과를 저장하는 매각 결과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피해물은 자동차를 제외한 그 외 일반대물인 경우,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분별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텍스트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분별로 실제 촬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현장조사를 통한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품별 잔존가치 등급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등급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등급 DB에 저장된 상기 등급정보에 따라 최저 매각가를 산출하는 최저 매각가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일반대물의 수리 또는 매각 업체를 입찰에 의해 선정하기로 결정한 경우, 기 계약된 입찰 업체의 단말기에 입찰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매각개시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기 계약된 입찰 업체들 중 낙찰된 일반대물을 특별한 이유없이 수리 거부한 입찰 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입찰 제한 업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각개시 통지부는 상기 입찰 제한 업체를 제외한 그 외 입찰 업체에만 입찰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의 수리 견적서 또는 매각금액을 비교하여 낙찰자를 결정하는 매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매각 제어부로부터 낙찰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에게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낙찰결과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상 서버는, 상기 보험자로부터 사고발생 신고를 접수하면, 보상 담당자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보상 담당자에게 통보해주는 담당자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일반대물의 입찰이 완료되면, 상기 일반대물의 사고 접수번호, 낙찰가 및 낙찰자를 포함한 입찰 결과를 저장하는 매각 결과 D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은, 보험가입 자동차에 의한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잔존물 처리 서버에 저장하는 제1단계와; 입찰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에 입력된 상기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며 입찰에 참가하는 제2단계와; 중계 서버에서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피해물의 입찰에 참가한 입찰자 중 낙찰자를 선택하는 제3단계; 및 보상 서버에서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선택된 낙찰자의 낙찰가에 기초하여 상기 피해물의 보상 업무를 처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입찰을 통해 매각되는 피해물이 전손 차량인 경우, 상기 제1단계는, 현재 유통중인 각 차량의 차종 정보가 저장된 차종 DB에서 전손 차량과 동일한 차종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차종에 대응하는 모형 템플릿을 제공하며,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상기 모형 템플릿의 각 부품에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로 실제 촬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이미지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현장조사를 통한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 잔존가 치 등급정보를 입력받아 등급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최저 매각가 산출부에서 상기 등급 DB에 저장된 상기 등급정보에 따라 최저 매각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전손 차량의 처리에 지출된 비용 데이터를 비용 DB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비용 데이터를 상기 입찰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전손 차량을 매각하기로 결정한 경우, 매각개시 통지부를 통해 기 계약된 입찰 업체의 단말기에 자동으로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기 계약된 입찰 업체들 중 낙찰된 피해물을 특별한 이유없이 인수 거부한 입찰 업체에 대한 정보를 입찰 제한 업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매각개시 통지부는 상기 입찰 제한 업체에 해당하지 않는 입찰 업체에만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매각 제어부에서,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의 응찰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매각 금액을 제시한 낙찰자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낙찰결과 통지부에서 상기 매각 제어부로부터 낙찰결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에게 상기 결정된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단계는, 상기 보험자로부터 사고발생 신고를 접수하면, 담당자 선택부에서 보상 담당자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보상 담당자에게 통보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전손 차량의 매각이 완료되면, 상기 전손 차량의 사고 접수번호, 낙찰가 및 낙찰자를 포함한 매각 결과를 매각 결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입찰을 통해 수리되는 피해물은 자동차를 제외한 그 외 일반대물인 경우,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분별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텍스트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분별로 실제 촬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이미지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현장조사를 통한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품별 잔존가치 등급정보를 입력받아 등급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최저 매각가 산출부에서, 상기 등급 DB에 저장된 상기 등급정보에 따라 최저 매각가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일반대물의 수리 또는 매각 업체를 입찰에 의해 선정하기로 결정한 경우, 매각개시 통지부에서 기 계약된 입찰 업체의 단말기에 입찰개시 결정을 자동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기 계약된 입찰 업체들 중 낙찰된 일반대물을 특별한 이유없이 수리 거부한 입찰 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입찰 제한 업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매각개시 통지부는 상기 입찰 제한 업체에 해당하지 않는 입찰 업체에만 상기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매각 제어부에서,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의 수리 견적서 또는 매각 금액을 비교하여 낙찰자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입찰제어부로부터 낙찰결과를 입력받은 낙찰결과 통지부에서 상기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에게 낙찰결과를 자동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보험자로부터 사고발생 신고를 접수하면, 담당자 선택부에서 보상 담당자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보상 담당자에게 통보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일반대물의 입찰이 완료되면, 낙찰가를 포함한 입찰 결과를 입찰 결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잔존물의 매각을 진행함에 있어서, 온라인 상에서 공개 입찰이 가능하여 잔존물의 매각 시간을 줄이고 그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입찰자에게는 잔존물의 정확한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객관적인 매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 이하에서는 보험가입 차량의 사고에 의해 피해가 발생한 피해물을 잔존물이라 정의하도록 한다. 따라서, 일 예로 보험가입 차량과의 접촉 사고에 의해 피해를 입은 타 차량이 전손 차량인 경우는 물론, 보험가입 차량과의 접촉 사고에 의해 피해을 입은 그 외 일반대물도 잔존물에 포함될 것이다.
먼저,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100)은 보험가입 차량의 사고에 의해 발생한 피해물(즉, 잔존물)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및 표시하는 잔존물 처리 서버(120)와,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120)에 등록된 잔존물의 상태를 확인하며 매각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입찰 단말기(150)와, 상기 입찰 단말기(150)를 통해 입찰이 이루어진 잔존물의 매각을 중계하는 중계 서버(130) 및 상기 중계 서버(130)를 통해 매각된 잔존물의 보상 업무를 처리하는 보상 서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잔존물 처리 서버(120)와, 입찰 단말기(150)와, 중계 서버(130) 및 보상 서버(140)는 서로 간에 잔존물의 상태정보 및 그 외 최저 매각 금액 등의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망(11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피해물이 전손 차량이거나 수리를 요하는 일반 대물인 경우, 그 전손물을 온라인 상에서 공개 입찰함으로써 해당 잔존물의 매각 시간을 줄이고 그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응찰자는 입찰 단말기(150)를 통해 잔존물 처리 서버(120)에 접속하여 차량 잔존물의 정확한 상태정보를 확인하며 입찰에 참가할 수 있어서 객관적인 매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잔존물 처리 서버(120)는,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종 DB(Data Base)(122)와, 템플릿 DB(123)와, 텍스트 DB(124)와, 이미지 DB(125)와, 등급 DB(126)와, 입력부(129a)와, 모니터(129b)와, 최저 매각가 산출부(127)와, 비용 DB(미도시)와, 유/무선 인터페이스(128) 및 잔존물 처리 제어부(121)를 포함하여 보상 담당자가 잔존물의 상태정보를 등록하면, 입찰자(즉, 매각업체 등)가 그 등록된 잔존물의 상태정보를 확인한 다음 입찰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차종 DB(122)는, 상기 잔존물이 전손 차량인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각종의 다양한 차종 정보를 저장 및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차종 DB(122)는 도 3의 차종선택 페이지(12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국산 차량과 외제 차량을 구분한 국가별 분류와 상기 국가별 분류를 기업별로 세부 분류한 기업별 분류 및 상기 기업별 분류를 차종별로 세부 분류한 차종 분류를 포함하며, 그 분류에 따라 각각의 차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보험사의 보상 담당자가 사고 현장에 도착하여 전손 차량의 차종을 확인한 다음, 잔존물 처리 서버(120)에 접속하여 상기 전손 차량과 동일한 차종을 선택하거나, 또는 해당 보상 담당자가 소지한 이동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잔존물 처리 서버(120)에 접속하여, 전손 차량의 차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템플릿 DB(123)는 현재 유통중인 각 차량의 모형 템플릿(template, 도 5의 123' 참조)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차종 DB(122)에 저장된 차종 정보와 각각 대응하는 다양한 차종의 모델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차종 DB(122)에 저장된 차종 정보는 템플릿 DB(123)에 저장된 모형 템플릿과 각각 링크되어 있다.
따라서, 보상 담당자가 전손 차량의 차종을 확인한 다음 상기 차종 DB(122)에 저장된 각종의 차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차종의 모형 템플릿(123') 역시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함으로써, 보상 담당자 및 입찰자에게 적절한 모형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단, 이러한 차종 DB(122)와 템플릿 DB(123)는 저장된 차종 정보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다시 쓰기(rewrite) 가능한 타입의 메모리로 구성되어, 새로이 출시된 차종에 대한 정보도 실시간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모형 템플릿(123')을 사용하는 이유는, 매각의 대상이 되는 전송 차량은 그 파손이 매우 심각하여 차량 형체를 파악하기 힘드므로, 이러한 전손 차량의 실제 사진 등을 통해 각 부품의 상태정보를 정확히 표시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일 예로, 사고로 인해 엔진 룸(engine room)이 완전히 일그러진 경우라면, 해당 부분은 이미 형체를 상실하여 그 부분을 정확히 가리킬 수 없고, 상태를 설명하기도 어려우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모형 템플릿(123')을 통해서 상태정보를 좀더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
텍스트 DB(124)는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로 입력한 텍스트 타입 상태정보(124')를 저장하고, 입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텍스트 타입 상태정보(124')는 보상 담당자 또는 정비업체 담당자 등이 전손 차량의 각 부품을 정밀 조사한 다음,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정보 입력 페이지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당해 텍스트 DB(124)에 저장된다.
또한, 텍스트 DB(124)에 저장된 보험가입 사고차량의 텍스트 타입 상태정보(124')는 잔존물 처리 제어부(121)의 제어하에 템플릿 DB(123)에서 제공하는 해당 차량의 모형 템플릿(123')과 매칭되어, 도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형 템플릿(123')과 함께 보험가입 사고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엔진 부품의 상태정보 입력란에 '완전파손, 수리불가능'이라는 텍스트를 기입하면 모형 템플릿(123')의 엔진을 가리키는 지시선과 함께 해당 엔진은 완전 파손되었고 그 수리가 불가능하다는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고현장에서 벗어남에 따라 잔존하는 기억에 의해 보험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보상 담당자에게는 현장감 있고 편리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하고,입찰자에게는 객관적이면서 정확한 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미지 DB(125)는, 피해물이 전손 차량인 경우는 물론 일반대물인 경우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보상 담당자가 현장에서 카메라 등을 이용해 촬상한 전손 차량 또는 일반대물의 각 부품(또는, 부분)의 이미지 타입 상태정보(125')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있어서, 입찰자가 매각 대상이 되는 전손 차량의 실제 상태 또는 수리가 필요한 일반대물의 실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러한 이미지 타입 상태정보(125')는 전손 차량이나 일반대물의 각 부품을 정밀 조사하는 과정에서 촬영한 사진을 상태정보 입력 페이지의 파일 첨부란을 통해 저장함에 따라 이미지 DB(125)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미지 DB(125)에 저장된 전손 차량의 이미지 타입 상태정보(125')는 잔존물 처리 제어부(121)의 제어하에 템플릿 DB(123)에서 제공하는 해당 차량의 모형 템플릿(123')과 매칭되어, 상기 데이터 타입 상태정보(124')와 마찬가지로 모형 템플릿(123')과 함께 보험가입 사고차량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와 같이 모형 템플릿(123')과 매칭된 이미지는 모형 템플릿(123')의 각 부품을 가리키면서 각각 썸네일(Thumb-Nail)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미지 데이터가 썸네일 형태로 표시되면 텍스트 타입 정보(124')와 함께 좀더 정확한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보상 담당자에게는 더욱 현장감 있고 편리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하고, 입찰자에게는 더욱 객관적이면서 정확한 차량 상태정보의 확인 가능하게 한다.
물론, 이미지 DB(125)에 저장된 전손 차량의 이미지 타입 상태정보(125')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모형 템플릿(123')과는 별도로 단독으로도 입찰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미지 DB(125)에 저장된 일반대물에 대한 이미지 타입 상태정보는 전손 차량과 같이 모형 템플릿(123')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단독으로만 입찰자에게 제공될 것이다.
등급 DB(126)는 잔존 차량 또는 일반대물의 각 부품별 잔존가치 등급정보(126')를 입력받아 저장함으로써 최저 매각가 산출에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보상 담당자 또는 정비업체 담당자 등이 전손 차량 또는 일반대물의 각 부품을 정밀 조사한 다음, 각각의 부품에 대한 잔존 평가액을 산정하여 그에 대응하는 등급 결정하고, 그 결과를 상태정보 입력 페이지의 등급란에 입력함으로써 등급정보(126')가 등급 DB(126)에 저장된다.
예컨대, 잔존 차량 각 부품의 등급을 각각 1등급부터 10등급으로 분류하고, 1등급은 원가의 10%, 2등급은 20% 및 3등급은 30% 등으로 정의함으로써, 이와 같이 등급 분류되어 저장된 보험가입 사고차량의 각 부품별 평가액을 이용해 최저 매각가를 산출할 수 있게 한다.
최저 매각가 산출부(127)는 상기 등급 DB(126)에 저장된 등급정보(126')에 따라 최저 매각가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것으로, 보험가입 사고차량의 각 부품별 등급정보(126')에 기초하여 각 부품들의 평가액을 합산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그에 더해 소정의 할증율을 부가하는 방식을 사용해 최저 매각가를 자동 산출한다.
비용 DB(미도시)는 전손 차량 및 일반대물을 포함한 잔존물의 초동조사에 지출된 비용 및 그 외 다양한 지출 비용을 저장하는 것으로, 전손 차량의 경우라면 차량 입고 및 보관에 따른 비용이나 압류 금액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일반대물의 경우라면 그 외 발생 가능한 다양한 지출 비용이 저장될 수 있으며, 보험사의 보상 담당자에 의해 조사된 비용은 입찰자에게 제공되어, 응찰시 응찰가를 결정하는데에 참조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을 생략한 입력부(129a)는 보상 담당자가 유/무선 네트워크 망(110)을 통하지 않고 직접 전손 차량 또는 일반대물의 상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모니터(129b)는 상태정보 입력 페이지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유/무선 인터페이스(128)는 보상 담당자 또는 정비업체 담당자가 외부에서 각종의 상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잔존물 처리 제어부(121)는 차종 DB(122)와, 템플릿 DB(123)와, 텍스트 DB(124)와, 이미지 DB(125)와, 등급 DB(126)와, 입력부(129a)와, 모니터(129b)와, 최저 매각가 산출부(127)와, 비용 DB 및 유/무선 인터페이스(128) 등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기 위한 것이다.
보험사가 자체로 구축하고 있거나, 또는 별도의 중계업체가 구축하고 있는 중계 서버(130)는, 도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입찰업체 정보 DB(131a)와,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와, 매각정보 DB(135)와, 매각개시 통지부(132)와, 낙찰정보 DB(134)와, 매각결과 통지부(133) 및 매각 제어부(136)를 포함하여, 전손 차량이나 일반대물의 매각 또는 일반대물의 수리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을 중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입찰업체 정보 DB(131a)는 기 체결된 계약에 의해 입찰 참가가 허락된 복수의 업체나 개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저장된 업체나 개인 정보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다시 쓰기 가능한 타입의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어서, 변경된 계약 내용이 실시간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는 기 체결된 계약에 의해 입찰 참가가 허락 되었던 업체나 개인 중, 응찰을 통해 전손 차량이나 일반대물을 낙찰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보험사에서 납득할만한 정당한 이유 없이 낙찰대금을 입금하지 아니하거나 인수를 거절함으로써, 이미 낙찰이 이루어진 입찰을 유찰시키고 재입찰이 발생하도록 한 업체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에 저장된 입찰제한업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후 있을 입찰에 대한 입찰개시 통보를 받지 못하거나, 입찰에 참가가 거부되는 등의 제재를 받게 된다.
매각정보 DB(135)는 매각시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최저 매각가 산출부(127)를 통해 산출된 잔존물의 최저 매각가와, 비용정보와, 모델 템플릿(123')과 텍스트 타입 상태정보(124') 및 이미지 타입 상태정보(125')로 이루어진 상태정보 페이지 및 잔존물의 전체 실물사진 등을 저장 및 제공하는 것으로, 입찰자가 잔존물의 최저 매각가 및 상태정보를 확인하면서 입찰에 참가할 수 있게 한다.
매각개시 통지부(132)는, 잔존물의 입찰이 발생한 경우, 매각 제어부(136)의 제어에 따라 입찰업체 정보 DB(131a)에 저장된 모든 업체나 개인에게 입찰이 개시되었음을 알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매각개시 통보시 매각정보 DB(135)에 저장된 최저 매각가 및 보험가입 사고차량의 상태정보 페이지를 전송한다.
단, 매각개시를 통보시에는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를 참조하여, 당해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에 등록된 업체에는 입찰개시 통보를 하지 않음으로써, 입찰제한 업체가 입찰에 참가하지 못하도록 1차적으로 방지한다.
한편, 매각개시의 통보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 message service), 음성 또는 텍스트 E-메일 및 모바일 음성사서함 서비스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낙찰정보 DB(134)는, 입찰 단말기(150)를 통해 매각에 참가한 각 응찰자의 응찰 결과를 매각 제어부(136)에서 비교함으로써 결정된 낙찰자의 정보 및 낙찰가를 저장하는 것으로, 이러한 낙찰자 및 낙찰가는 보상 담당자는 물론 그 외 응찰자에게 공개되어 매각의 투명성을 보장한다.
매각결과 통지부(133)는 상기 낙찰정보 DB(134)에 저장된 낙찰자 정보 및 낙찰가를 해당 낙찰자는 물론 그 외 매각에 참가한 응찰자에게, SMS, MMS, E-메일 및 음성사서함 서비스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동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매각 제어부(136)는 입찰 단말기(150)를 통해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의 응찰 결과를 비교하여 낙찰자를 결정함은 물론, 그 외 입찰업체 정보 DB(131a)와,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와, 매각정보 DB(135)와, 매각개시 통지부(132)와, 낙찰정보 DB(134) 및 매각결과 통지부(133)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또한, 매각 제어부(136)는 중계 서버(130)에 접근시 사용된 로그인 정보를 판별하여 당해 로그인 정보에 해당하는 업체는 자신의 응찰정보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타 업체의 응찰 정보는 확인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타이머(미도시)를 참조하여 입찰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입찰자가 자신의 응찰 내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입찰시간 경과후에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응찰 내용을 변경할 수 없도록 한다.
특히, 입찰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보상 담당자를 포함한 보험사 직원은 중계 서버(130)에의 로그 인 권한을 부여하지 않거나, 로그 인이 가능하더라도 입 찰 업체의 응찰 결과를 확인할 수는 없도록 제한한다.
한편, 보험사 자체에 구비된 보상 서버(140)는 보험가입 사고차량의 사고발생 신고를 접수하면, 보상 담당자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해당 보상 담당자에게 통보해주는 담당자 선택부(미도시) 및 보험가입 사고차량의 매각가 완료되면, 매각 낙찰가를 포함한 그 외 다양한 매각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전손 차량의 매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보험가입 고객이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해당 보험사의 콜센터에 통보하면, 콜센터에서는 사고를 접수하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된 사고의 접수번호를 자동으로 생성시키며, 피해 차량이 입고되었는지를 판별 후 만약 입고되지 않았다면 입고를 지원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한편, 콜센터에 사고가 접수됨과 동시에, 보상서버(140)는 소정 절차에 따라 선택된 보상 담당자에게 SMS 방식 등으로 업무 처리를 통보한다.
그러면, 도 8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업무 처리를 통보받은 보상 담당자는 통보받은 사고접수내용을 조회하여 피해차량이 현재 위치한 장소로 이동하 여, 해당 피해물(즉, 차량)을 확인(S101)한다.
피해물의 확인은 차량이 전손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전손 여부판단(S102) 및 차량이 폐차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폐차여부 판단(S103)을 포함하고, 만약 전손 차량 및 폐차 차량에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자동차 정비 업체 등에 수리를 의뢰(S104)하고, 그 수리에 따른 수리비를 보험금에서 지급(S105)한 다음, 보상을 종결(S106)한다.
반면, 차량이 전손 또는 폐차 대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피해 차량을 전손 차량으로 취급하고, 도 8b와 같이 잔존물 처리 서버(120)의 잔존물 입력 페이지를 통해 입찰 대상으로써 등록한다.
또한, 보상 담당자는 피해물인 전손 차량의 각 부분(또는, 부품)을 카메라로 촬상하여 해당 이미지를 잔존물 처리서버(120) 전송하고, 잔존물 처리서버(120)는 이미지 DB(125)에 해당 이미지를 저장(S107)한다.
또한, 보상 담당자는 텍스트 DB(124)에 피해물인 전손 차량의 상태정보를 입력(S108)하는데, 이때 차종 DB(122)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차종 중 전손 차량과 동일한 어느 하나의 차종 정보(112')를 선택함으로써, 템플릿 DB(123)에 저장되어 있는 모형 템플릿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그 선택된 모형 템플릿의 각 부품에 대한 상태정보를 각각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필요하다면 보상 담당자 또는 정비 담당자가 등급 DB(126)에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 등급을 입력하고, 그 입력된 등급에 따라 최저 매각가 산출부(127)에서 최저 매각가를 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피해물인 전손 차량의 정보 입력(S108)을 마치면, 해당 전손 차량에 대한 입찰이 개시(S109)되고, 입찰이 개시되면 입찰업체 정보 DB(131a)에 저장되어 있는 각 입찰업체에 SMS 등을 이용해 입찰물이 발생하여 입찰이 개시되었음을 통보(S110)한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에 저장된 입찰제한업체에는 이러한 입찰개시를 통보하지 않는다.
입찰 개시가 통보(S110)되면, 입찰업체는 도 8c와 같이 중계 서버(130)의 해당 페이지에 접속하여 입찰 내역을 확인(S111)하고, 또한 상기 이미지 및 텍스트 타입 등으로 저장된 전손 차량의 상태를 확인(S112)한다. 아울러, 비용 DB(미도시)에 저장된 전손 차량에 지출된 비용을 확인(S113)한 다음 응찰(S114)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양한 입찰자들의 응찰이 이루어지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매각 제어부(136)에서 응찰 금액을 비교하여 최고액을 제시한 입찰자를 낙찰자로 선정(S115)한다.
그러면, 보험사에서는 낙찰금액을 확인(S117)한 다음 먼저 전손 차량의 차주에게 보험금을 지급(S118)하고, 아울러 소정 시간 이내에 낙찰자가 낙찰금액을 보험사로 입금(S116)하면, 입금된 낙찰금액 즉, 매각금액을 확인(S119)한 다음 보상을 종결(S106)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험차량에 의한 피해물이 일반대물인 경우의 매각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피해물이 일반대물인 경우의 매 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보험가입 고객이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해당 보험사의 콜센터에 통보하면, 콜센터에서는 사고를 접수하고, 접수번호를 자동으로 생성시키며, 보상 담당자에게 업무 처리를 통보한다.
그러면, 보상 담당자는 통보된 내용에 따라 사고현장으로 파견되어 일반대물의 피해 정도 및 사고 경위를 조사하는 등 사고조사를 수행(S201)한다.
사고조사 후, 해당 일반대물을 입찰할 것인지 판단(S202)하여, 만약 수리 정도가 경미하여 입찰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 경우라면, 일반대물을 수리할 수 있는 수리처에 연락(S203)하여 수리를 의뢰하고, 수리를 의뢰받은 수리처는 일반대물을 수리하여 복구(S204)시키고, 수리에 든 비용에 대한 견적서를 보험사에 청구(S205)한다.
그러면, 보상 담당자는 수리가 적절히 이루어졌는지를 확인(S206)한 다음, 상기 보험금으로써 수리처에 수리비를 지급(S207)한다.
반면, 일반대물의 수리를 입찰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라면, 보상 담당자는 피해를 입은 일반대물의 각 부분(또는, 부품)을 카메라로 촬상하여 해당 이미지를 잔존물 처리서버(120)로 전송(S208)하고, 잔존물 처리서버(120)는 이미지 DB(125)에 해당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텍스트 DB(124)에 피해물인 일반대물의 상태정보를 입력(S209)한다.
한편, 피해물의 정보 입력을 통해 입찰을 개시(S210)할 준비가 완료되면, 입찰업체 정보 DB(131a)를 참조하여 각 입찰업체에 입찰물이 발생하여 입찰이 개시되 었음을 통보한다.
입찰업체에 입찰 개시 통보가 수신(S211)되면, 입찰업체는 중계 서버(130)의 해당 페이지에 접속하여 입찰 내역을 확인(S212)하고, 또한 이미지 및 텍스트 타입 등으로 저장된 일반대물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현장에 직접 가서 일반대물의 상태를 확인(S213)함으로써, 수리에 필요한 견적을 확인(S214)하고 응찰(S215)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양한 입찰자들의 응찰이 이루어지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매각 제어부(136)에서 견적서를 비교하여 최저액을 제시한 입찰자를 낙찰자로 선정(S216)한다.
그러면, 낙찰자는 해당 일반대물을 수리하고 비용을 위한 정식 견적서(S205)를 청구하며, 보상 담당자는 수리가 적절히 이루어졌는지 확인(S206) 한 다음, 보험금을 수리비로써 지급(S207)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입찰업체의 입찰 과정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입찰업체의 입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과 같이, 보상 담당자가 해당 잔존물(전손차량 또는 일반대물)을 입찰하기로 결정하고, 중계 서버(130)에 잔존물의 입찰을 등록(S301)하면, 중계 서버(130)는 입찰업체 정보 DB(131a)를 참조하여 각 입찰업체에게 입찰이 개시되었음 을 통보한다.
그러면, 입찰 개시 통보를 수신(S302)받은 각 입찰업체는 중계 서버(130)에 접속(S303)하여 입찰대상건을 확인(S304)하고, 피해 잔존물의 상태를 확인(S305)한다. 나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좀더 적확한 수리 견적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 피해물을 확인(S306)한다.
피해물의 확인을 마치면, 입찰업체는 응찰(S307)을 하게 되는데, 응찰 가능한 시간은 신속한 입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24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기간 동안 입찰업체는 자신의 응찰 가액이나 내용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반면 이 기간이 경과한 경우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응찰 가액이나 내용을 절대 변경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손 차량의 비용 확인 절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전손 차량의 비용 확인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과 같이, 보상 담당자는 전손 차량의 파손부위 및 예상 견적을 확인(S401)한다. 이 과정에서, 보상 담당자는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차량 정비사 등과 상의할 수 있다.
예상 견적이 확인되면, 다음으로 전손 차량을 사고장소로부터 정비공장 등으로 견인하는데 지출된 비용 및 기타 보관소에 보관하는데 지출된 비용 등을 확 인(S402)한다.
또한, 전손 차량의 차주에게 문의하여 해당 차량에 압류 등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압류 등이 설정되어 있다면 그 가액은 얼마인지를 확인(S403)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확인된 비용은 전손 차량의 입찰시, 중계 서버(130)의 비용 DB(미도시)에 등록(S404)시킨다.
한편, 입찰개시 통보를 받은 입찰업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찰 대상건을 조회(S405)하여 입찰 정보를 확인(S406)한 다음, 비용 DB에 저장된 소용 비용을 확인(S407)하여 입찰(S409)시 이를 감안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구청 또는 경찰청에 문의하여 차량의 압류 금액 등을 확인(S408)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입찰제한업체 등록 및 재입찰 절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입찰제한업체 등록 및 재입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와 같이, 입찰자의 응찰 결과를 비교하여 낙찰 처리(S501)가 이루어지면, 보험사는 해당 낙찰자가 전손 차량을 인수하였는지 확인하거나, 일반대물의 수리를 이행하였는지 확인(S502)한다.
그 결과, 만약 낙찰자가 전손 차량을 인수하거나, 일반대물의 수리가 이행된 것으로 확인되면, 낙찰가액이 보험사에 입금되었거나 현장에서 일반대물의 수리가 적절히 이루어졌는지 확인(S503)한다.
반면, 낙찰자가 전손 차량의 인수를 거부하거나 인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또는 일반대물을 수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그에 대한 정당한 사용가 있는지 파악(S504)하고, 보험사가 납득할 만한 정당한 사유가 없다면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에 해당 업체를 등록(S505)한다.
그리고, 해당 전손 차량이나 일반대물의 재입찰을 결정(S506)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입찰(S507)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매각개시 통지부(132)는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에 등록된 상기 입찰제한업체에는 입찰개시를 통보하지 않고, 그 외 다른 입찰업체에만 입찰개시를 통보(S508)한다.
또한, 입찰제한업체는 중계 서버(130)에 로그인이 불가능하게 하는 등 입찰제한업체의 입찰 대상 건 조회를 제한(S509)한다. 다만, 이러한 제재는 인수를 거부한 사유에 따라 영구 제재나 일시 제재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입찰을 통해 매각이 완료된 전손 차량의 폐차 및 말소등록 처리 절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폐차 및 말소등록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입찰업체 중 낙찰자로 선정되어 낙찰을 통보(S601)받은 입찰업체는 보험사에 일정 시간 내에 낙찰대금을 입금(S602)하고, 아울러 차량 보관처에는 보관비용을 지불(S603)한 다음 전손 차량을 인수(S604)한다.
차량을 인수한 낙찰자는 중계 서버(130)에서 전손 차량의 차주를 확인(S605)하여, 해당 차주에게 폐차 및 말소등록을 위한 관련서류를 청구(S608)한다.
한편, 이 과정 이후에도 낙찰자가 폐차 및 말소등록 이행을 거절하는 등 인수를 거절하는지 확인(S609)하여, 만약 인수를 거절하지 않고 폐차 및 말소처리(S610)를 한 다음 이를 해당 규정에 맞게 서류를 등록(S611)하면, 그 결과는 낙찰정보 DB(134)에 저장되고, 사건이 종료된다.
따라서, 보상 담당자가 이행하여야 할 폐차 및 말소처리를 입찰업체에서 이행하게 되므로, 보상 담당자의 업무 로드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반면, 낙찰자가 폐차 및 말소등록 이행을 거절하는 등 인수를 거절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찰제한업체 정보 DB(131b)에 등록(S612)하고 재입찰(S613)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은 잔존물의 매각을 진행함에 있어서 온라인 상에서 공개 입찰이 가능하여 차량 잔존물의 매각 시간을 줄이고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입찰자에게는 잔존물의 정확한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서 객관적인 매각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의 잔존물 처리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의 차종 선택 페이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의 상태정보 입력 페이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의 상태정보 페이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의 이미지 상태정보 표시 페이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시스템의 중계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전손 차량의 매각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을 위한 사고접수 페이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을 위한 잔존물 입력 페이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을 위한 잔존물 명세 페이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피해물이 일반대물인 경우의 매각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입찰업체의 입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전손 차량의 비용 확인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입찰제한업체 등록 및 재입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존물 매각 방법 중 폐차 및 말소등록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유무선 네트워크 망 120: 잔존물 처리 서버
122: 차종 DB 123: 템플릿 DB
124: 텍스트 DB 125: 이미지 DB
126: 등급 DB 127: 최저 매각가 산출부
130: 중계 서버 131a: 입찰업체 정보 DB
131b: 입찰제한업체 정보 DB 132: 매각개시 통지부
133: 매각결과 통지부 134: 낙찰정보 DB
135: 매각정보 DB 140: 보상 서버
150: 입찰 단말기

Claims (50)

  1. 보험가입 자동차에 의한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등록 및 표시하는 잔존물 처리 서버와;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에 입력된 상기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며 입찰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는 입찰 단말기와;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피해물의 입찰에 참가한 입찰자 중 낙찰자를 선택하는 중계 서버; 및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선택된 낙찰자의 낙찰가에 기초하여 상기 피해물의 보상 업무를 처리하는 보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물은 전손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과 동일한 차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현재 유통중인 각 차량 의 차종 정보가 저장된 차종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차종 DB에서 선택한 차량의 모형 템플릿(template)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현재 유통중인 각 차량의 모형 템플릿이 저장된 템플릿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선택된 모형 템플릿의 각 부품에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텍스트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로 실제 촬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현장조사를 통한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 잔존가치 등급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등급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등급 DB에 저장된 상기 등급정보에 따라 최저 매각가를 산출하는 최저 매각가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의 처리에 지출된 비용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비용 데이터를 상기 입찰자에게 제공하는 비용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을 매각하기로 결정한 경우, 기 계약된 입찰 업체의 단말기에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매각개시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기 계약된 입찰 업체들 중 낙찰된 전손 차량을 특별한 이유없이 인수 거부한 입찰 업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입찰 제한 업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각개시 통지부는 상기 입찰 제한 업체를 제외한 그 외 입찰 업체에만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의 응찰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매각 금액을 제시한 입찰자를 낙찰자로 결정하는 매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매각 제어부로부터 낙찰결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에게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낙찰결과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서버는,
    상기 보험자로부터 사고발생 신고를 접수하면, 보상 담당자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보상 담당자에게 통보해주는 담당자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전손 차량의 매각이 완료되면, 상기 전손 차량의 사고 접수번호, 낙찰가 및 낙찰자를 포함한 매각 결과를 저장하는 매각 결과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물은 자동차를 제외한 그 외 일반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분별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텍스트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분별로 실제 촬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현장조사를 통한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품별 잔존가치 등급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등급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는,
    상기 등급 DB에 저장된 상기 등급정보에 따라 최저 매각가를 산출하는 최저 매각가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일반대물의 수리 또는 매각 업체를 입찰에 의해 선정하기로 결정한 경우, 기 계약된 입찰 업체의 단말기에 입찰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매각개시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기 계약된 입찰 업체들 중 낙찰된 일반대물을 특별한 이유없이 수리 거부한 입찰 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입찰 제한 업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각개시 통지부는 상기 입찰 제한 업체를 제외한 그 외 입찰 업체에만 입찰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의 수리 견적서 또는 매각금액을 비교하여 낙찰자를 결정하는 매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매각 제어부로부터 낙찰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에게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낙찰결과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서버는,
    상기 보험자로부터 사고발생 신고를 접수하면, 보상 담당자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보상 담당자에게 통보해주는 담당자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일반대물의 입찰이 완료되면, 상기 일반대물의 사고 접수번호, 낙찰가 및 낙찰자를 포함한 입찰 결과를 저장하는 입찰 결과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시스템.
  27. 보험가입 자동차에 의한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잔존물 처리 서버에 저장하는 제1단계와;
    입찰 단말기를 이용해 상기 잔존물 처리 서버에 입력된 상기 피해물의 상태정보를 확인하며 입찰에 참가하는 제2단계와;
    중계 서버에서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피해물의 입찰에 참가한 입찰자 중 낙찰자를 선택하는 제3단계; 및
    보상 서버에서 상기 중계 서버를 통해 선택된 낙찰자의 낙찰가에 기초하여 상기 피해물의 보상 업무를 처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을 통해 매각되는 피해물은 전손 차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현재 유통중인 각 차량의 차종 정보가 저장된 차종 DB에서 전손 차량과 동일 한 차종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차종에 대응하는 모형 템플릿을 제공하며,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상기 모형 템플릿의 각 부품에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로 실제 촬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이미지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현장조사를 통한 상기 전손 차량의 각 부품별 잔존가치 등급정보를 입력받아 등급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최저 매각가 산출부에서 상기 등급 DB에 저장된 상기 등급정보에 따라 최저 매각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전손 차량의 처리에 지출된 비용 데이터를 비용 DB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비용 데이터를 상기 입찰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전손 차량을 매각하기로 결정한 경우, 매각개시 통지부를 통해 기 계약된 입찰 업체의 단말기에 자동으로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기 계약된 입찰 업체들 중 낙찰된 피해물을 특별한 이유없이 인수 거부한 입찰 업체에 대한 정보를 입찰 제한 업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매각개시 통지부는 상기 입찰 제한 업체에 해당하지 않는 입찰 업체에만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매각 제어부에서,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의 응찰 결과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매각 금액을 제시한 낙찰자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낙찰결과 통지부에서 상기 매각 제어부로부터 낙찰결과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에게 상기 결정된 낙찰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보험자로부터 사고발생 신고를 접수하면, 담당자 선택부에서 보상 담당자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보상 담당자에게 통보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3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전손 차량의 매각이 완료되면, 상기 전손 차량의 사고 접수번호, 낙찰가 및 낙찰자를 포함한 매각 결과를 매각 결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을 통해 수리되는 피해물은 자동차를 제외한 그 외 일반대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분별로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텍스트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텍스트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분별로 실제 촬상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 타입의 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이미지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현장조사를 통한 상기 일반대물의 각 부품별 잔존가치 등급정보를 입력받아 등급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최저 매각가 산출부에서, 상기 등급 DB에 저장된 상기 등급정보에 따라 최저 매각가를 자동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일반대물의 수리 또는 매각 업체를 입찰에 의해 선정하기로 결정한 경우, 매각개시 통지부에서 기 계약된 입찰 업체의 단말기에 입찰개시 결정을 자동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기 계약된 입찰 업체들 중 낙찰된 일반대물을 특별한 이유없이 수리 거부한 입찰 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입찰 제한 업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매각개시 통지부는 상기 입찰 제한 업체에 해당하지 않는 입찰 업체에만 상기 매각개시 결정을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7.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매각 제어부에서, 상기 입찰 단말기를 통해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의 수리 견적서 또는 매각 금액을 비교하여 낙찰자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입찰제어부로부터 낙찰결과를 입력받은 낙찰결과 통지부에서 상기 입찰에 참가한 각 입찰자에게 낙찰결과를 자동으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49.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보험자로부터 사고발생 신고를 접수하면, 담당자 선택부에서 보상 담당자를 자동으로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보상 담당자에게 통보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50.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일반대물의 입찰이 완료되면, 낙찰가를 포함한 입찰 결과를 매각 결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존물 매각 방법.
KR1020080055632A 2008-06-13 2008-06-13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29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632A KR20090129616A (ko) 2008-06-13 2008-06-13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632A KR20090129616A (ko) 2008-06-13 2008-06-13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616A true KR20090129616A (ko) 2009-12-17

Family

ID=4168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632A KR20090129616A (ko) 2008-06-13 2008-06-13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96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12A1 (ko) * 2016-08-25 2018-03-01 (주)리카온 보험 보상 처리된 유체동산에 대한 현금 회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12A1 (ko) * 2016-08-25 2018-03-01 (주)리카온 보험 보상 처리된 유체동산에 대한 현금 회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4951B2 (en) Method of processing vehicle damage claims
JP6534043B2 (ja) 個人間カーレンタル支援システム
US20040128262A1 (en)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s
KR101185968B1 (ko) 차량 대여를 수반하는 중고차 거래 시스템 및 중고차 거래 방법
WO2006078686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siness performance
KR101640568B1 (ko) 물품 대여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17946A (ko) 중고 자동차 원스톱 매매 시스템
US20170132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vehicle servicing, repairs and parts pricing.
JP2007334873A (ja) 中古自動車売買支援装置
JP6774802B2 (ja) 共有に係る産業財産権を維持するために必要な費用支払いを管理する管理方法、管理装置、および管理装置で実行されるプログラム
KR20090129616A (ko) 잔존물 매각 시스템 및 방법
KR102603986B1 (ko) 부동산 관리 시스템
KR102175454B1 (ko)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ompetition et al. Cartels: deterrence and detection-a guide for government procurement professionals
JP2008027018A (ja) 車輌委託売却システム
KR102645725B1 (ko) 스마트 애프터서비스 보증금 예치를 활용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KR102645724B1 (ko) 구매거래지수를 이용한 렌탈 서비스 시스템
KR102471638B1 (ko) 공인한국중고자동차 진단평가사에 의해 보증된 중고차의 모바일경매 서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JP2007219910A (ja) 中古車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
Ameer Irregularities, Frauds and the Necessity of Technical Auditing in Construction Industry
Korobeynikov Consumer Online Dispute Resolution
Agent et al. INVITATION TO BID (ITB) NO. 21-101328 FOR CRANE & HOIST INSPECTION AND REPAIR SERVICES (THREE (3) YEAR MULTIYEAR CONTRACT) DEKALB COUNTY, GEORGIA
Agent et al. INVITATION TO BID (ITB) NO. 20-101307 FOR HYDROFLUOSILICIC ACID (MULTIYEAR CONTRACT) DEKALB COUNTY, GEORGIA
Evrard et al. Hong Kong's Competition Ordinance: Successes and Challenges Six Years on
TANK et al. OPEN TE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