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9262A - 개폐식 스윙 분수 - Google Patents

개폐식 스윙 분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9262A
KR20090129262A KR1020080055437A KR20080055437A KR20090129262A KR 20090129262 A KR20090129262 A KR 20090129262A KR 1020080055437 A KR1020080055437 A KR 1020080055437A KR 20080055437 A KR20080055437 A KR 20080055437A KR 20090129262 A KR20090129262 A KR 2009012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pen
nozzle
closing door
c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건수
이중재
Original Assignee
물춤워터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물춤워터아트(주) filed Critical 물춤워터아트(주)
Priority to KR102008005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9262A/ko
Publication of KR2009012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05B15/1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for preventing non-intended contact between spray heads or nozzles and foreign bodies, e.g. nozzl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05B15/656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whereby the flow conduit length is 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Landscapes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어 바닥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분수 작동시에는 개방되어 노즐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물을 분사하고 동시에 스윙할 수 있어 다양한 패턴의 물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개폐식 스윙 분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연결관에 연결되어 스윙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이 관통하는 케이스의 주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하여 상기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면서 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윙 분수, 지지부, 노즐, 개폐문, 회전 연결관, 고정관, 개폐체

Description

개폐식 스윙 분수{Opening and shutting type swing fountain}
본 발명은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어 바닥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분수 작동시에는 개방되어 노즐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물을 분사하고 동시에 스윙할 수 있어 다양한 패턴의 물줄기를 연출할 수 있는 개폐식 스윙 분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분수를 여러 개 설치하고 음악에 맞추어 각각의 분수가 음성신호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하여 마치 춤을 추는 듯한 광경을 연출하는 음악분수가 등장하여 각광을 받고 있으며, 바닥에 다양한 패턴으로 분수를 설치하여 어린이 또는 연인들에게 뛰놀면서 분수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물줄기를 직접 맞으면서 온몸으로 분수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그런 시도 중의 하나로서 개폐문이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로 개방되는 바닥 분수가 소개된 바 있었으나, 상기 종래기술의 노즐은 항상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노즐이 스윙하는 등의 다양한 패턴의 물줄기 형상을 연출되는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노즐을 회전 또는 스윙시키기 위하여 외륜 파이프와 내륜 파이프의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연결관을 회전시키거나 스윙시켰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외륜 파이프와 내륜 파이프에 베어링을 억지 끼움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수많은 부수적인 공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고가의 베어링으로 인해 분수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베어링 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이 마모 또는 파손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 외륜 파이프, 내륜 파이프 및 베어링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베어링 자체의 두께로 인해 내륜 파이프의 내경이 너무 작아지거나 외륜 파이프의 내경이 너무 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으며, 분수 작동시에는 개방되어 노즐이 외부로 노출되어 물을 분사하고 동시에 스윙할 수 있어 다양한 패턴의 물줄기를 연출하는 개폐식 스윙 분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회전 연결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가 감소하고 고장 발생시 분해 조립이 아주 간편하며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부드럽게 회전 또는 스윙시킬 수 있는 개폐식 스윙 분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는, 회전 연결관에 연결되어 스윙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이 관통하는 케이스의 주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하여 상기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면서 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는, 고정관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개폐체; 상기 개폐체가 관통하는 케이스의 주위 일측 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체가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 및 상기 개폐문의 개방된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고, 회전 연결관에 연결되어 스윙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체가 상승하여 상기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고, 상기 노즐이 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는, 고정관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개폐체; 상기 개폐체가 관통하는 케이스의 주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체가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 회전 연결관에 연결되어 스윙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문의 개방된 공간으로 상승하강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체가 상승하여 상기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하여 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소에는 폐쇄되어 있어 바닥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분수 작동시에는 개방되어 노즐이 외부로 노출되어 물을 분사하고 동시에 스윙할 수 있어 다양한 패턴의 물줄기를 연출하는 바닥 분수에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 연결관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조원가가 감소하고 고장 발생시 분해 조립이 아주 간편하며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부드럽게 회전 또는 스윙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베어링이 전혀 필요치 않으므로 파이프에 베어링을 억지 끼움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부수적인 공정이 필요 없어 회전 연결관의 치수 안정성과 자율성이 보장되고, 마모된 오링의 교체가 아주 편리하여 유지 보수 비용도 상당히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0), 노즐(20) 및 개폐문(3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물을 분사하는 노즐(20)이 개폐문(30)을 개방한 상태로 개폐문(30)을 지지하면서 스윙하므로 바닥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개폐문(30)은 노즐(20)이 관통하는 케이스(31)의 주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노즐(20)이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스(31)의 유출구(32)를 개폐한다. 이때, 개폐문(30)의 회전 중심인 일단은 케이스(31)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대(35)와 링크 또는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케이스(31)가 상부케이스(31a)와 하부케이스(31b)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부케이스(31b)의 상면에 노즐(2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33)을 형성하고, 관통 홀(33) 주위에 지지대(35)를 형성하며, 지지대(35)는 개폐문(30)의 일단과 링크 또는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31b)에 상부케이스(31a)를 끼운 후에 별도의 나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고, 케이스(31)는 바닥과 평평하게 설치되어 개폐식 스윙 분수의 프레임(미도시) 또는 바닥 등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개폐문(30)은 하나를 형성할 수 있으나, 좌우 대칭을 위해 마주보도록 한 쌍을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부(10)는 회전 연결관(60)에 연결되어 스윙하고, 지지부(10)를 스윙시키기는 구동수단은 구동바 또는 와이어 등을 이용하는 다양한 공지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회전연결관(60)은, 양단부의 내주연에 걸림턱(71a,71b)이 형성되는 외륜 파이프(70); 일단부의 외주연에 걸림돌기(81)가 형성되고, 일측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에 오링(82)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 파이프(70)에 삽입되는 내륜 파이프(80); 상기 내륜 파이프(80)의 타단부과 상기 외륜 파이프(70)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륜 파이프(80)에 체결되는 고정링(90); 및 상기 걸림턱(71a)과 걸림돌기(81)의 사이 및 상기 걸림턱(71b)과 고정링(90)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체(95)를 포함하거나, 일단부의 내주연에 걸림단(73)이 형성되는 외륜 파이프(70); 양단부의 외주연에 안착턱(83a,83b)이 형성되고, 일측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에 오링(82)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 파이프(70)에 삽입되는 내륜 파이프(80); 상기 내륜 파이프(80)의 타단부과 상기 외륜 파이프(70)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외륜 파이프(70)에 체결되는 고정링(90); 및 상기 걸림단(73)과 안착턱(83a)의 사이 및 상기 안착턱(83b)과 고정링(90)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체(95)를 포함한다. 이때, 회전체(95)로는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수의 볼, 롤러 또는 링 형상의 부시 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고, 고정링(90)의 내주연 중앙부에는 이격홈(91)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연결관(6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내륜 파이프(80)에 형성된 3개의 오링홈에 각각 오링(82)을 끼우고, 내륜 파이프(80)의 걸림돌기(81) 또는 안착턱(83a)에 그리스(grease)를 발라 상기 그리스에 다수의 볼을 위치시켜 내륜 파이프(80)를 외륜 파이프(7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볼은 걸림돌기(81)와 걸림턱(71a)의 사이 또는 안착턱(83a)과 걸림단(73)의 사이에 위치한다.
외륜 파이프(70)의 타단부와 내륜 파이프(80)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다수의 볼을 투입하여 외륜 파이프(70)의 걸림턱(71b) 또는 내륜 파이프(80)의 안착턱(83b)에 다수의 볼을 위치시키고, 고정링(90)을 삽입하여 내륜 파이프(80) 또는 외륜 파이프(70)에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다수의 볼은 걸림턱(71b)과 고정링(90)의 사이 또는 안착턱(83b)과 고정링(9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74는 관통공이고, 92는 결합공이다.
노즐(20)은 지지부(10)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여 물을 분사하고, 지지부(10)와 동시에 스윙하게 된다. 즉, 노즐(20)이 상승하여 개폐문(30)을 개방한 상태로 지지하고, 노즐(20)은 스윙하면서 물을 분사하여 아름다운 물줄기를 연출하는 바닥 분수를 형성하게 된다.
지지부(10)는, 제1걸림단(11)이 형성되는 결합체(12); 및 결합체(12)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노즐(20)이 위치하는 결합관(13)을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결합체(12)의 하단에 결합관(13)을 나사결합으로 연결하고, 결합관(13)의 내부에 제2걸림단(14)을 형성하여 돌기(21)가 형성된 노즐(20)이 제1 및 제2걸림단(11,14) 사이에서 상승하강하도록 한다.
지지부(10)는 결합체(12)와 결합관(13)을 포함하는데, 일체로 형성하거나 결합체(12)의 내면 하단에는 나사골을 형성하고 결합관(13)의 외면 상단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제1걸림단(11)이 형성된 지지부(10)에 돌기(21)가 형성된 노즐(20)을 삽입하고, 제2걸림단(14)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음관(미도시)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지지부(10)의 내면 하단에 나사골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체(12)와 결합관(13)이 나사결합된 경우에는 노즐(20)을 제2걸림단(14)이 형성된 결합관(13)에 먼저 삽입하고, 결합관(13)을 내면에 제1걸림단(11)이 형성된 결합체(12)에 끼우게 된다.
노즐(20)이 상승하면서 개폐문(30)의 일측을 밀어올려 링크 또는 힌지 결합된 개폐문(3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문(30)은 케이스(31)의 유출구(32)를 개방하게 되고 노즐(20)은 스윙하는 지지부(10)에 의해 함께 스윙하면서 물을 분사하며, 분수 작동이 중단되면 노즐(20)은 하강하게 되며 개폐문(30)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개폐문(30)의 무게중심을 노즐(20) 쪽으로 치우치게 하여 자중에 의해 개폐문(30)이 원위치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의 기능 및 작용을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는 평상시에는 케이스(31)의 유출구(32)가 개폐문(3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케이스(31)를 바닥면과 수평으로 설치하게 되면 모든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이러한 바닥에서 뛰거나 하여도 걸려 넘어지는 위험이 전혀 없다.
개폐식 스윙 분수가 작동될 때에는 먼저 지지부(10)를 통해 노즐(20)로 소정의 압력을 가진 물이 유입되고, 돌기(21)에 의해 제2걸림단(14)에 놓여져 있는 노즐(20)이 수압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노즐(20)이 개폐문(30)의 일측을 밀어올리게 된다. 이때, 개폐문(30)은 링크 또는 힌지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케이스(31)의 유출구(32)는 개방되기 시작한다.
돌기(21)가 제1걸림단(11)에 걸릴 때까지 노즐(20)은 상승하게 되고, 완전히 회전한 개폐문(30)의 타단은 노즐(20)에 의해 지지되며, 케이스(31)의 외부로 개폐문(30)이 열리게 되고, 노즐(20)은 개폐문(30)을 개방한 상태로 지지하여 지지부(10)에 의해 스윙하면서 물을 분사한다. 이때, 노즐(20)과 개폐문(30)이 케이스(31)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있더라도 분수이용자가 노즐(20) 또는 개폐문(30)를 밟게 되면, 분수이용자의 하중에 의해 노즐(20)과 개폐문(30)은 하강하게 되어 케이스(31)의 상면과 수평을 유지하게 되므로, 분수 작동시에 개폐식 스윙 분수가 설치된 바닥에서 어린이가 뛰놀더라도 안전사고의 염려가 없게 된다.
한편, 물 유입을 중단하게 되면, 노즐(20)에 가해진 수압이 해제되어 노 즐(20)이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고, 개폐문(30) 역시 자중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개폐문(30)은 유출구(32)를 닫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관(40)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개폐체(50); 개폐체(50)가 관통하는 케이스(31)의 주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개폐체(50)가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스(31)의 유출구(32)를 개폐하는 개폐문(30); 및 개폐문(30)의 개방된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고, 회전 연결관(60)에 연결되어 스윙하는 노즐(2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개폐체(50)가 상승하여 개폐문(30)을 개방한 상태로 개폐문(30)을 지지하고 노즐(20)이 스윙하면서 물을 분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관(40)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개폐체(50); 개폐체(50)가 관통하는 케이스(31)의 주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개폐체(50)가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스(31)의 유출구(32)를 개폐하는 개폐문(30); 회전 연결관(60)에 연결되어 스윙하는 지지부(10); 및 지지부(10)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개폐문(30)의 개방된 공간으로 상승하강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2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개폐체(50)가 상승하여 개폐문(30)을 개방한 상태로 개폐문(30)을 지지하고 노즐(20)이 상승하여 스윙하면서 물을 분사한다.
이때, 개폐체(50)는 상단 또는 하단이 폐쇄되어 물을 분사하지 않고 개폐문(30)을 개방하여 지지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고, 개폐체(50)는 상하로 관통되어 개폐문(30)을 개방하여 지지하는 동시에 노즐(20)과 같이 물을 분사할 수도 있다. 또한, 개폐체(50)의 외경을 노즐(20)의 외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승하여 스윙하는 노즐(20)이 개폐문(30)과 전혀 접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고정관(40)은 스윙하지 않는다는 것과 노즐(20)을 대신하여 개폐체(50)가 내부에 형성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지지부(1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식 스윙 분수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부 20: 노즐
30: 개폐문 31: 케이스
32: 유출구 40: 고정관
50: 개폐체 60: 회전 연결관
70: 외륜 파이프 71a, 71b: 걸림턱
73: 걸림단 74: 관통공
80: 내륜 파이프 81: 걸림돌기
82: 오링 83a, 83b: 안착턱
90: 고정링 91: 이격홈
92: 결합공 95: 회전체

Claims (5)

  1. 회전 연결관에 연결되어 스윙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이 관통하는 케이스의 주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하여 상기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면서 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윙 분수.
  2. 고정관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개폐체;
    상기 개폐체가 관통하는 케이스의 주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체가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 및
    상기 개폐문의 개방된 공간으로 물을 분사하고, 회전 연결관에 연결되어 스윙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체가 상승하여 상기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고, 상기 노즐이 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윙 분수.
  3. 고정관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승하강하는 개폐체;
    상기 개폐체가 관통하는 케이스의 주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개폐체가 상승할 때에 일측을 밀어올려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문;
    회전 연결관에 연결되어 스윙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서 물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문의 개방된 공간으로 상승하강하여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체가 상승하여 상기 개폐문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개폐문을 지지하고, 상기 노즐이 상승하여 스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윙 분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는 물을 분사하는 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윙 분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결관은,
    양단부의 내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외륜 파이프;
    일단부의 외주연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일측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오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링홈에 오링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 파이프에 삽입되는 내륜 파이프;
    상기 내륜 파이프의 타단부과 상기 외륜 파이프의 타단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상기 내륜 파이프에 체결되는 고정링; 및
    상기 걸림턱과 걸림돌기의 사이 및 상기 걸림턱과 고정링의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스윙 분수.
KR1020080055437A 2008-06-12 2008-06-12 개폐식 스윙 분수 KR20090129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437A KR20090129262A (ko) 2008-06-12 2008-06-12 개폐식 스윙 분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437A KR20090129262A (ko) 2008-06-12 2008-06-12 개폐식 스윙 분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262A true KR20090129262A (ko) 2009-12-16

Family

ID=4168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437A KR20090129262A (ko) 2008-06-12 2008-06-12 개폐식 스윙 분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92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34B1 (ko) * 2011-04-14 2012-03-20 아리울씨앤디 주식회사 분수대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셔팅시스템
KR20220153758A (ko) * 2021-05-12 2022-11-21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자동 셔터를 구비한 노즐 구동형 분수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34B1 (ko) * 2011-04-14 2012-03-20 아리울씨앤디 주식회사 분수대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셔팅시스템
KR20220153758A (ko) * 2021-05-12 2022-11-21 디자인그룹 빅 주식회사 자동 셔터를 구비한 노즐 구동형 분수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08133B2 (ja) 水洗式腰掛け便器およびその拡張型ポータブル便器
KR100832752B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20090129262A (ko) 개폐식 스윙 분수
KR100998629B1 (ko) 바닥분수용 노즐
JP2006084024A (ja) 物品洗浄装置用のアーム装着アセンブリ
CN108670154A (zh) 一种内置水管的抽屉式洗碗机
KR200263793Y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1180306B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101056411B1 (ko) 분수용 안전노즐
CN106320786A (zh) 一种电力铁塔防攀爬装置
KR100946781B1 (ko) 분수용 노즐
KR200440367Y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20050007211A (ko) 분수용 안전 노즐
KR100914014B1 (ko) 분수 노즐용 개폐장치
KR100708456B1 (ko) 분수용 안전노즐
KR200450165Y1 (ko) 분수용 안전노즐
CN107965004B (zh) 消防栓的收缩隐蔽以及自伸展喷射高压水的方法
CN107975104B (zh) 安装于市政道路或者建筑楼层的自伸缩隐蔽式消防栓
CN106000758A (zh) 一种可自动喷漆的电气元件承载柜
JP2011239908A (ja) サウナ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室
CN108824558A (zh) 基于助力推动的节水型消防栓
KR101121553B1 (ko) 분수 노즐용 개폐장치
CN203222876U (zh) 一种水冲座便池及其扩展便携式座便器
KR200248374Y1 (ko) 샤워헤드 걸이
CN105903131A (zh) 一种应急逃生设备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