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123A -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28123A KR20090128123A KR1020080054148A KR20080054148A KR20090128123A KR 20090128123 A KR20090128123 A KR 20090128123A KR 1020080054148 A KR1020080054148 A KR 1020080054148A KR 20080054148 A KR20080054148 A KR 20080054148A KR 20090128123 A KR20090128123 A KR 200901281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suction pipe
- connection
- suction
- discharge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14—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 B21K1/16—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parts of pipe or hose coupl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5—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 F25B2400/052—Compression system with heat exchange between particular parts of the system between the capillary tube and another part of the refrigeration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식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는 배출관, 연결파이프 그리고 석션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출관은 압축기와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냉매가 순환함에 따라 냉방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증발기와 연결되어 증발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한다. 연결파이프는 배출관에 이웃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석션파이프는 일단부가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연결파이프를 관통하여 배출관에 삽입되어 배출관을 통해 이동하는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며, 배출관과 연결파이프의 사이에는 배출관과 연결파이프 및 석션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용접이 이루어진다.
석션파이프, 용접, 냉매, 누출, 내식성
Description
본 발명은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식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기기는 음식물 및 물품의 저장기구로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냉매가 기계적인 방법으로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의 냉장사이클 과정을 연속적으로 거치도록 하면서 해당 저장품목을 냉장상태로 저장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10)를 거치면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는 냉매는 상기 압축기(10)에 연결되는 냉매관(15)을 통해 응축기(20)로 전달되어 포화액으로 액화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는 상기 응축기(20)에 연결되는 모세관(40)을 통과하면서 팽창되어 습포화증기 상태로 되고, 증발기(30)에 유입되어 외부 공기의 증발 잠열 을 흡수하여 기화되면서 주변공기가 냉각되도록 하여 냉장실 또는 냉동실을 냉각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증발기(30)와 연결되는 배출관(135)을 통해 배출되는 저온 기상 상태의 냉매는 상기 배출관(135)과 연결된 조인트(170)와, 상기 조인트(170)에 연결되는 석션파이프(150)를 통해 이동하고, 상기 석션파이프(150)와 용접(180)된 유입관(152)을 통해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10)에서 고온·고압의 증기가 되는 순환 사이클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135)과 상기 석션파이프(150)는 상기 조인트(170)의 양측에 각각 용접(180)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용접(180)은 주로 브레이징(brazing) 또는 솔더링(soldering)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솔더링은 주석(Sn)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상기 석션파이프(150)와 상기 조인트(170)는 열교환성 및 내식성이 향상되도록 대부분 동(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135)은 주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증발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로부가 배출관, 조인트, 석션파이프 그리고 유입관과 같이 다수개의 관 연결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연결부에 용접이 이루어짐으로써 용접 포인트가 증가하여 제조공정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용접 포인트를 통해 냉매가 누출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이 항상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조인트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고, 배출관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이러한 이(異)형의 재질에 대한 용접성의 저하로 인하여 작업효율이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된 부분을 통하여 냉매가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배출관과 조인트가 각각 구리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전위차 부식이 발생하여 균열 등이 발생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균열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냉매가 누출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식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기와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냉매가 순환함에 따라 냉방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연결파이프; 그리고 일단부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관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이동하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석션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사이에는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연결파이프 및 상기 석션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용접이 이루어지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배출관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배출관과의 용접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용접도 알루미늄 용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가 상기 배출관과 걸림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배출관의 원 주방향을 따라 더 제1압착부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가 상기 연결파이프와 걸림 결합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파이프에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압착부가 더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가 함께 밴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부에는 주름진 밴딩부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석션파이프가 연결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단계; 상기 연결파이프를 관통한 상기 석션파이프의 일단부가 배출관에 삽입 결합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 및 상기 배출관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용접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와 상기 배출관이 걸림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관의 일부분을 압착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가 함께 밴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부분에 주름진 밴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파이프를 관통한 석션파이프의 일단부가 상기 연결파이프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배출관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 그리고 상기 배출관이 하나의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용접 포인트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용접 포인트가 최소화됨으로써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부분을 통해 냉매가 누출될 수 있는 위험성을 구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연결파이프와 배출관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석션파이프의 표면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식성 도금이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파이프와 배출관 및 석션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적용되는 용접 또한 알루미늄 용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용접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용접부분을 통해 냉매가 누출될 수 있는 위험성도 감소될 수 있다.
셋째, 연결파이프와 석션파이프 그리고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에서 동 재질의 구성요소가 제거될 수 있어 전위차 부식이 해소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식된 부분을 통해 냉매가 누출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는 배출관(35), 연결파이프(70) 그리고 석션파이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35)은 증발기(30)와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3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석션파이프(50)는 일단부가 압축기(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배출관(35)의 내측으로 삽입결합되어 상기 배출관(35)을 통해 이동하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되도록 안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석션파이프(50)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파이프(70)가 끼워져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연결파이프(70)는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일단부가 상기 배출관(35)의 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일단부에 대향되는 상기 배출관(35)의 단부의 사이에는 상기 배출관(35)과 상기 연결파이프(70) 그리고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용접(80)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35)과 상기 연결파이프(70)는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80)도 상기 배출관(35)과 상기 연결파이프(70)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는 용접임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상기 배출관(35)과 상기 연결파이프(70) 간의 용접성이 향상될 수 있어 냉매의 누출 발생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용접(80)에 의해 상기 배출관(35), 상기 연결파이프(70) 그리고 상기 석션파이프(50)가 모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어 용접 포인트가 최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 공정이 간략화될 수 있어 생산성도 향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는, 압축기(10)와 응축기(20) 그리고 증발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냉매가 순환함에 따라 냉방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상기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압축기(10)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30)로부터 배출되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는 배출관(35), 연결파이프(70) 그리고 석션파이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압축기(10)에서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10)와 상기 응축기(20)를 연결하는 냉매관(15)을 통해 상기 응축기(20)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20)로 이동된 냉매는 열이 방출되어 중온·고압의 액체 상태로 되고, 상기 응축기(20)에 연결된 모세관(40)을 통해 상기 증발기(30)로 이동되어 진다.
또한, 상기 증발기(30)로 이동한 냉매는 외부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되어 기화되면서 저온·저압의 기체상태로 되어 상기 증발기(30)로부터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냉매가 배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30)에는 상기 배출관(35)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35)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35)의 단부에는 상기 압축기(10)와 연결된 상기 석션파 이프(5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석션파이프(50)는 일단부가 상기 압축기(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배출관(3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배출관(35)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는 상기 석션파이프(50)를 통해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석션파이프(50)는 외주면이 상기 배출관(35)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석션파이프(50)는 상기 배출관(35)의 내측에 억지 끼움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상기 배출관(35)의 내측에서 이동하는 냉매가 상기 석션파이프(50)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배출관(35)의 밖으로 누출되는 것은 어느 정도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션파이프(50)는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가공성 및 굽힘성 등의 향상으로 인한 밴딩 등의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석션파이프의 재질로 사용되던 구리 재질보다 가격이 낮아 생산 경제성도 향상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석션파이프(50)의 표면에는 내부식성 합금이 더 도금됨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내부식성 합금이 더 도금됨으로써, 부식에 취약할 수 있는 스틸 재질의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식성 합금 도금은 용융아연 도금 또는 세아륨 합금 도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세아륨 합금 도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아륨 합금 도금은 55중량%의 알루미늄과 43.4~44.9 중량%의 아연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합금으로써, 0.1~1.6 중량%의 실리콘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관(35)에 이웃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석션파이프(50)의 외측에는 상기 연결파이프(70)가 끼워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파이프(70)는,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일단부가 상기 배출관(35)의 단부와 소정의 간격(D)을 유지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간격(D)은 3~10mm의 범위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7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석션파이프(50)는, 상기 석션파이프(50)의 타단부가 상기 배출관(35)으로 삽입되기 전에, 먼저 상기 연결파이프(70)의 내측을 관통한 후, 소정의 길이(L)만큼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70)를 관통한 후에 상기 길이(L)만큼 외부로 노출된 상기 석션파이프(50)의 타단부는 상기 배출관(35)에 삽입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파이프(70)를 관통한 후에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석션파이프(50)의 타단부의 길이(L)는 20~60mm 정도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파이프(70)를 관통한 상기 석션파이프(50)의 타단부가 상기 배출관(3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파이프(70)는 상기 배출관(35)의 단부와 상기 간격(D)을 유지하도록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 연결파이프(70)와 상기 배출관(35)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간격(D)에는 용접(80)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접(80)은 알루미늄 용접임이 바람직한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솔더링(soldering) 또는 알루미늄 브레이징(brazing)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관(35)과 상기 연결파이프(70)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35)과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사이에 알루미늄 용접이 이루어짐으로써, 동(同)형의 재질 간에 용접이 이루어지게 되어 용접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상기 용접(80)이 이루어진 부분을 통해 냉매가 누출되는 위험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상기 용접(80)이 이루어진 곳에 대한 신뢰성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석션파이프(50)의 표면에 이루어진 상기 내식성 합금 도금이 알루미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세아륨 합금 도금일 수 있으므로, 상기 석션파이프(50)와 상기 배출관(35) 사이에 이루어지는 용접(80)과, 상기 석션파이프(50)와 상기 연결파이프(70) 사이에 이루어지는 용접(80)에 대한 용접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는 한 지점에 이루어지는 용접(80)에 의해, 상기 배출관(35)과 상기 연결파이프(70) 그리고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용접이 이루어지는 포인트 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략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매가 누출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는 용접 포인트를 구조적으로 최소화함으로써, 냉매의 누출 위험성이 더욱 감소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에서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가 제거됨으로써, 전위차에 의한 부식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부식된 부분을 통하여 냉매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이끌어내는 것도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결로(結露) 및 수분 잔재가 존재하는 상기 증발기(30)의 주위 환경에도 불구하고, 상기 배출관(35)의 근처에 위치되는 상기 석션파이프(50)는 상기 내식성 도금에 의해 10 사이클(cycle) 이상의 내식성을 가지게 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10 사이클 이상의 내식성을 가진다고 하는 말은, 8시간 분무 후 16시간 휴지를 1 사이클로 하여 적청(붉은 녹) 유무를 확인하는 내식성을 적용하였을 때, 10 사이클 후 즉, 240시간 이전에는 적청이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석션파이프(50)의 외측면에 상기 모세관(40)의 외측면이 접촉되도록 결합거나, 상기 석션파이프(50)의 내측으로 상기 모세관(40)이 부분 삽입 결합됨으로써 석션파이프 어셈블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석션파이프 어셈블리는 성형재(60)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10 사이클(cycle) 이상의 내식성을 가지게 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성형재(60)는 발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0)에 연결되는 상기 석션파이프(50)의 일단부에는 수지 도료가 더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도료는 무색의 나노 수지로 이루어진 형태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는 주로 나일론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지도료는 상기 내식성 합금 도금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석션파이프(50)의 내식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압축기(10)에 결합되는 상기 석션파이프(50)의 일단부가 상술한 10 사이클(cycle) 이상의 내식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관(35)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상기 배출관(35)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출관(35)에는 제1압착부(37)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압착부(37)는 상기 배출관(35)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션파이프(50)에도 상기 제1압착부(37)에 대응되도록 제1걸림부(5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압착부(37)와 걸림 결합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상기 배출관(35)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압착부(37)는 상기 배출관(35)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環形)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배출관(35)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스폿(spot) 형상 등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52)는 상기 제1압착부(37)가 생성될 때 함께 형성되거 나, 상기 제1압착부(37)와는 개별적으로 미리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상기 배출관(35)에 삽입될 때 상기 제1압착부(37)에 상기 제1걸림부(52)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일부는 상기 석션파이프(50)와 함께 밴딩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상기 연결파이프(70)로부터 빠지거나 하여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70)의 밴딩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도록, 밴딩이 이루어질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일부에는 주름진 형상의 밴딩부(75)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름진 형상(또는 밸로우즈(bellows) 형상)은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외측면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외·내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로우즈 형상이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외측면에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밴딩부(75)는 상기 연결파이프(70)의 내측으로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삽입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로우즈 형상이 상기 연결파이프(70)의 내·외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밴딩부(75)는 상기 연결파이프(70)의 내측으로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삽입된 후에 별도의 가압장치(예를 들면, 프레스 장치 또는 롤링 장치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파이프(70)의 내측으로 상기 석션파이프(50) 가 삽입된 후에 상기 가압장치에 의해 상기 밴딩부(75)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석션파이프(50)의 일부에도 상기 밴딩부(75)에 대응되는 밸로우즈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70)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상기 연결파이프(7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파이프(70)에는 제2압착부(72)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압착부(72)는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션파이프(50)에도 상기 제2압착부(72)에 대응되도록 제2걸림부(53)가 형성되어 상기 제2압착부(72)와 걸림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압착부(72)는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環形)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연결파이프(7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스폿(spot) 형상으로 다수 개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53)는 상기 제2압착부(72)가 생성될 때 함께 형성되거나, 상기 제2압착부(72)와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석션파이프(50)가 상기 연결파이프(70)에 삽입될 때, 상기 제2걸림부(53)가 상기 제2압착부(72)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인데, 상기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석션파이프의 일단부가 연결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단계(S11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파이프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파이프를 관통한 후,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20~60mm)만큼 외부로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를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된 상기 석션파이프의 일단부가 배출관에 삽입 결합되는 단계(S120)가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석션파이프는, 상기 석션파이프가 상기 배출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소정의 간격(예를 들면, 3~10mm)이 형성될 만큼 상기 배출관에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배출관 사이에 형성된 간격에 용접이 이루어지는 단계(S130)가 이루어짐이 바람직한데, 상기 용접을 통해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 및 상기 배출관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와 상기 배출관이 걸림 결합되어 상기 석션파이프가 상기 배출관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관의 일부분을 압착하는 단계(S140)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부분에 주름진 밴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S150)가 더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가 함께 밴딩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측으로 상기 석션파이프가 삽입되기 전에 미리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가 상기 연결파이프와 걸림 결합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부분을 압착하는 단계(S160)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열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를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압축기 20: 응축기
30: 증발기 35,135: 배출관
37: 제1압착부 40: 모세관
50,150: 석션파이프 52: 제1걸림부
53: 제2걸림부 70: 연결파이프
72: 제2압착부 75: 밴딩부
80: 용접 152: 유입관
170: 조인트
Claims (8)
- 압축기와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냉매가 순환함에 따라 냉방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증발기와 연결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배출관;상기 배출관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연결파이프; 그리고일단부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결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관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이동하는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석션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상기 배출관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사이에는 상기 배출관과 상기 연결파이프 및 상기 석션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용접이 이루어지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배출관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배출관과의 용접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용접도 알루미늄 용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가 상기 배출관과 걸림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 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출관에는 상기 배출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더 제1압착부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가 상기 연결파이프와 걸림 결합되어 상기 연결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파이프에는 상기 연결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압착부가 더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가 함께 밴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파이의 일부에는 주름진 밴딩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 석션파이프가 연결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단계;상기 연결파이프를 관통한 상기 석션파이프의 일단부가 배출관에 삽입 결합되는 단계; 그리고상기 연결파이프와 상기 석션파이프 및 상기 배출관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용접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와 상기 배출관이 걸림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배출관의 일부분을 압착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제조방법.
- 제6항에 있어서,내측에 삽입된 상기 석션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가 함께 밴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부분에 주름진 밴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가 더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54148A KR101002027B1 (ko) | 2008-06-10 | 2008-06-10 |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54148A KR101002027B1 (ko) | 2008-06-10 | 2008-06-10 |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8123A true KR20090128123A (ko) | 2009-12-15 |
KR101002027B1 KR101002027B1 (ko) | 2010-12-16 |
Family
ID=4168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54148A KR101002027B1 (ko) | 2008-06-10 | 2008-06-10 |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2027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54673A (zh) * | 2013-11-21 | 2015-05-27 |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 用于制冷设备的蒸发器的连接管及其制造和使用方法 |
US10006686B2 (en) | 2015-06-17 | 2018-06-26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EP4206564A1 (en) | 2021-12-30 | 2023-07-05 | Arçelik Anonim Sirketi | A cool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818933B2 (ja) | 1996-10-14 | 1998-10-30 | 大阪装置建設株式会社 | 管溶接用インサート金具及びこれを使用してなる管溶接構造 |
KR100503486B1 (ko) * | 2002-03-28 | 2005-07-25 | 장인환 | 냉동기의 냉매파이프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
-
2008
- 2008-06-10 KR KR20080054148A patent/KR1010020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54673A (zh) * | 2013-11-21 | 2015-05-27 |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 用于制冷设备的蒸发器的连接管及其制造和使用方法 |
KR20150058820A (ko) | 2013-11-21 | 2015-05-29 |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 냉장기기 증발장치의 연결파이프 및 그 연결파이프 제조방법 |
CN104654673B (zh) * | 2013-11-21 | 2017-07-25 |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 用于制冷设备的蒸发器的连接管及其制造和使用方法 |
US10240828B2 (en) | 2013-11-21 | 2019-03-26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Connection pip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a connection pipe for an evaporator of a refrigeration device |
US10006686B2 (en) | 2015-06-17 | 2018-06-26 |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EP4206564A1 (en) | 2021-12-30 | 2023-07-05 | Arçelik Anonim Sirketi | A cool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2027B1 (ko) | 2010-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74422B2 (ja) | サクションパイプ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070215333A1 (en) | Heat exchanger | |
US9459025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an aluminum heat exchanger and an aluminum/copper coupling | |
KR101938713B1 (ko) | 냉장고 | |
KR20100038548A (ko) |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 |
US20090110586A1 (en) | Refrigerant compressor | |
KR101002027B1 (ko) | 석션파이프 연결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08202813A (ja) |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4615422B2 (ja) | 伝熱管、給湯用熱交換器およびヒートポンプ給湯器 | |
CN108679885B (zh) | 一种低温防腐蒸发器 | |
TW200946850A (en) | Refrigerator | |
KR20090060500A (ko) |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 |
JP2016099037A (ja) | 冷凍サイクル装置の熱交換器 | |
KR100503486B1 (ko) | 냉동기의 냉매파이프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 |
KR20130114522A (ko) | 나선형으로 감긴 모세관을 가지는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0773064B1 (ko) |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 |
KR200452362Y1 (ko) |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 |
US20090166013A1 (en) | Condenser for a Refrigerator | |
CN208238309U (zh) | 低温防腐蒸发器 | |
JP2006162163A (ja) | 低温貯蔵庫 | |
KR20110045132A (ko) | 석션 파이프와 모세관 파이프의 접합 구조 | |
KR102530057B1 (ko) | 3열이 적용된 냉장고의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 |
JP2013221697A (ja) | 冷蔵庫 | |
KR101314859B1 (ko) |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 |
EP1906112A2 (en) | Aluminium-coil and copper fitting evaporator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