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8014A -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 Google Patents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8014A
KR20090128014A KR1020080053985A KR20080053985A KR20090128014A KR 20090128014 A KR20090128014 A KR 20090128014A KR 1020080053985 A KR1020080053985 A KR 1020080053985A KR 20080053985 A KR20080053985 A KR 20080053985A KR 20090128014 A KR20090128014 A KR 20090128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rtable
unit
lubricator
electronic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854B1 (ko
Inventor
정경희
이도관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주)재성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성물산 filed Critical (주)재성물산
Priority to KR102008005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8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26Filling nozzles including mea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e.g. for adver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14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responsive to input of recorded programmed information, e.g. on punched cards
    • B67D7/145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responsive to input of recorded programmed information, e.g. on punched cards by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e.g. RF, transpon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16Arrangements of liquid 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를 주입하는 주입부; 주입부의 일측 종단에 연결되어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부; 계측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계측부에서 측정한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계측부의 일측 및 유류 보관소에 연결되어 유류의 통로를 제공하는 급유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를 구현한 바, 휴대가 간편하고,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자체에 구비된 표시부에 급유 정보가 표시되므로 원활한 주유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주유되는 유류의 종류에 상관없이 정확한 유류 계측이 가능하고, 주유되는 유류의 유량 및 유속을 주유 시간별로 저장 가능한 효과가 있다.
유류, 주유, 계측, 계측기, 휴대

Description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Electronic Oil Measuring Instrument having Portable Lubricator}
본 발명은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성이 좋고, 유량, 유속 및 유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한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를 공급하는 주유소에서는 주유기 일측에 공급되는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있다. 하지만, 주유소 외에서 저장된 유류를 주유를 하는 경우에는 주유되는 유류의 유량을 확인할 수 없고,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주유시 유류가 과도하게 주입되어 유류가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유를 위해서 사람이 펌프질을 하거나, 주유자가 입으로 주입호스를 흡입하여 흡입력을 제공한 뒤 압력차에 의해서 주유하는 방법을 흔히 사용하기 때문에 주유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군대 등과 같이 상위 집단에서 일괄적으로 유류를 관리하고, 하위 집단으로 유류를 보급하는 경우에는 각 하위 집단이 소모하는 유류를 파악하기 위해 종래에는 보급되는 유량을 눈 짐작으로 파악하고, 보급되는 유류를 각각의 집단별로 수동으로 보급량을 기재하고 일정 기간마다 정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은 눈 짐작으로 보급되는 유량을 파악하기 때문에 정확한 보급량 확인이 어렵고, 일지 등에 수동으로 기재하기 때문에 기재 누락 등으로 인해 보급량이 정확하게 파악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여 이동성이 좋고, 유량, 유속 및 유류 종류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한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유류를 주입하는 주입부; 주입부의 일측 종단에 연결되어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부; 계측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계측부에서 측정한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계측부의 일측 및 유류 보관소에 연결되어 유류의 통로를 제공하는 급유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고,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자체에 구비된 표시부에 급유 정보가 표시되므로 간편하고 원활한 주유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주유되는 유류의 종류에 상관없이 정확한 유류 계측이 가능하고, 주유되는 유류의 유량 및 유속을 주유 시간별로 저장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유기(100)는 전체적으로 주입부(200), 계측부(300), 표시부(400) 및 급유 연결부(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입부(200)는 유류 주입시 손잡이 역할을 하고, 유류의 주입 및 차단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주유소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유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주유건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201), 유류의 주입을 조절하는 레버(202) 및 기름통 등의 유류 보관통으로 일측이 삽입되는 주유관(203)으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주유관(203)의 일측에는 압력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유류 보관통에 주유된 유류가 압력센서까지 채워지는 경우 레버(202)로 신호를 보내 주유를 중지하여 유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부 및 표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측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부(200)의 손잡이(201)의 일측에 구비되어 주유되는 유류의 유량 및 유속 등을 계측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터빈 유량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터빈 유량계는 유류가 흐르는 통로에 설치되어 유류의 유량에 비례하여 터빈의 날개부(30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터빈의 날개부(301)가 회전하는 회전수를 파악하여 유량 및 유속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계측부(300)의 일측에는 주유기(100)의 고장 또는 유류의 과도한 주입으로 인한 유류 역류 등의 긴급상황 시 주입되는 유류를 차단하기 위한 체크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400)는 계측부(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계측부(300)에서 계측한 유류의 유량 및 유속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시부(400)이 내부에는 계측부(300)의 터빈의 날개부(30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터빈의 날개부(301) 회전수로부터 계측되는 유량 및 유속 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403)가 구비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센서(403)는 픽업코일(Pick-Up Coil)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표시부(400)의 외부에는 유량 및 유속 등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401) 및 주유기(100)의 조작을 위한 다수의 버튼(402)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다수의 버튼(402)을 사용하여 한번에 주입되는 유류의 유량 및 유속 등을 제어한다. 필요에 따라, 표시부(400)의 일측에는 주입된 유류의 유량 및 유속 등을 저장하기 위해 USB 휴대용 메모리장치(411)가 연결되는 메모리장치 연결부(410)가 형성되고, 메모리장치 연결부(410)를 통해서 USB 휴대용 메모리장치(411)에 주입된 유류의 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연결부(500)는 유류를 공급하는 유류 공급장치(미도시)의 공급관 또는 공급 튜브 등과 연결되어 주유기(100)로 공급되는 유류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유류공급장치의 유류 공급관 또는 유류 공급 튜브 등의 크기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를 제어하 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유기(100)는 컴퓨터 등의 제어부(600)와 유, 무선으로 연결되어 주유와 동시에 주유되는 유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600)를 통해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고, 주유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주유기(100)와 제어부(60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표시부(400) 내부에 무선 주파수(RF) 송신기를 구비하고, 제어부(600)에는 표시부(400)에서 송신되는 무선 주파수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RF통신 외에 CDMA통신,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와이브로, 유무선 인터넷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부 및 표시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유기 200 : 주입부
201 : 손잡이 202 : 레버
203 : 주유관 300 : 계측부
301 : 터비의 날개부 400 : 표시부
401 : 액정 표시부 402 : 버튼
403 : 센서 410 : 메모리장치 연결부
411 : USB 휴대용 메모리장치 500 : 급유 연결부
600 : 제어부

Claims (11)

  1. 유류를 주입하는 주입부(200);
    상기 주입부(2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류의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부(300);
    상기 계측부(3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계측부(300)에서 측정한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400); 및
    상기 계측부(4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류의 통로를 제공하는 급유연결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200)는 주유건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200)의 일측에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300)는 터빈 유량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300)의 일측에는 주유되는 유류를 긴급하게 차단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계측부(300)와 연결되는 일측에 계측부(300)에서 측정되는 유량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40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403)는 픽업코일(Pick-Up Co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400)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장치 연결부(4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장치 연결부(410)에 유류의 유량을 저장하기 위한 USB 휴대용 메모리장치(41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100)와 상기 제어부(600)는 유선 또는 무선 주파수(RF) 발생장치를 통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KR1020080053985A 2008-06-10 2008-06-10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KR101006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985A KR101006854B1 (ko) 2008-06-10 2008-06-10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985A KR101006854B1 (ko) 2008-06-10 2008-06-10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014A true KR20090128014A (ko) 2009-12-15
KR101006854B1 KR101006854B1 (ko) 2011-01-12

Family

ID=4168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985A KR101006854B1 (ko) 2008-06-10 2008-06-10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8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400A (ja) * 1996-10-03 1998-05-06 Tatsuno Co Ltd 可搬式給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854B1 (ko) 2011-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2862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liquid dispensing system
US10357750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 liquid dispensing system
US9625092B2 (en) Battery powered, handheld lubrication gun with display
EP2378265A3 (en) Method for estimating viscosity
KR101006854B1 (ko) 전자 유류 계측기를 구비한 휴대용 주유기
KR101978676B1 (ko) 정량 급유 감시장치
WO2018104960A1 (en) Fluid gauging device
US20230102872A1 (en) Liquid Density Measur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0807838B1 (ko) 차량의 주유량 측정 및 표시장치
CN114096809A (zh) 体积流量计以及用于确定体积流率的方法
KR100363835B1 (ko) 수도미터
CN201041506Y (zh) 地埋储油罐测试装置
US11680992B2 (en) Battery watering status system
JPS6211838Y2 (ko)
KR20110109464A (ko) 이동식 주유기
KR20140014661A (ko) 주유기, 주유기 검사 단말기, 주유기 관리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검사 시스템
US9851228B1 (en) Fluid gauging device
JP6360518B2 (ja) 歯科用注油情報管理装置
EP2937632A1 (en) Gas flow measurement system for domestic appliances
KR20210074950A (ko) 차량용 주유량 측정기
JPH10325744A (ja) 流量測定装置
KR100928067B1 (ko) 주유기 공회전 감지 알고리즘 및 장치
KR20130019817A (ko) 주유량 측정기
AU2014101552A4 (en) Flow meter
KR20110083898A (ko) 유증기 회수율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