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6037A - 조립식 평상 - Google Patents

조립식 평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6037A
KR20090126037A KR1020080052178A KR20080052178A KR20090126037A KR 20090126037 A KR20090126037 A KR 20090126037A KR 1020080052178 A KR1020080052178 A KR 1020080052178A KR 20080052178 A KR20080052178 A KR 20080052178A KR 20090126037 A KR20090126037 A KR 20090126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ide frame
module
main frame
neighb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동
정재수
Original Assignee
박현동
정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동, 정재수 filed Critical 박현동
Priority to KR102008005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6037A/ko
Publication of KR2009012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6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5/00Other seating furniture
    • A47C15/004Seating furniture for specified purposes not covered by main groups A47C1/00 or A47C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2013/028Underframes held together by screw-threaded tie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는 물론 야외의 어느 위치에서나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서로 직각을 이루게 펼쳐지고 서로 포개지게 접어지도록 접철이능하게 제1변프레임 및 제2변프레임의 일단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이 직각을 이루게 펼쳐진 코너의 내측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접철이능하게 상단이 힌지 연결된 다리프레임이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에 동시에 직각이 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상단이 연결되게 구성된 4개의 주프레임모듈과, 중간프레임이 중앙에 구비된 기둥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게 펼쳐지고 상기 기둥에 포개지도록 접철가능하게 중간프레임의 일단이 상기 기둥의 상단에 힌지 연결된 보강프레임모듈과, 상기 주프레임모듈와 보조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놓여 지지되는 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4개의 주프레임모듈은,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어 4개의 변과 다리가 형성되도록 연결되되,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강프레임모듈은, 상기 중간프레임이 십자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타단이 상기 이웃하는 주 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이 연결된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평상은, 상기 가장자리가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된 변에 지지되어 상기 보강프레임모듈의 상부에 놓이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식 평상

Description

조립식 평상{SECTIONAL FLAT BENCH}
본 발명은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는 물론 야외의 어느 위치에서나 용이하게 설치 및 분해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평상에 관한 것이다.
평상(平牀/平床)은 주로 나무로 만든 침상의 하나를 일컫는 것으로, 밖에다 내어 앉거나 드러누워 쉴 수 있도록 만든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러한 평상은 사람이 드러누울 수 있는 평판과 이러한 평판을 지지하는 다리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평판과 다리는 못 등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이러한 평상은 넓은 면적의 평판과 다수의 다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로 일정한 장소에 설치한 후에는 다른 장소로 옮기기가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평상은 분해조립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무게와 크기로 인하여,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평상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듈단위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평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서로 직각을 이루게 펼쳐지고 서로 포개지게 접어지도록 접철이능하게 제1변프레임 및 제2변프레임의 일단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이 직각을 이루게 펼쳐진 코너의 내측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접철이능하게 상단이 힌지 연결된 다리프레임이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에 동시에 직각이 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상단이 연결되게 구성된 4개의 주프레임모듈과, 중간프레임이 중앙에 구비된 기둥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게 펼쳐지고 상기 기둥에 포개지도록 접철가능하게 중간프레임의 일단이 상기 기둥의 상단에 힌지 연결된 보강프레임모듈과, 상기 주프레임모듈와 보조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놓여 지지되는 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4개의 주프레임모듈은,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어 4개의 변과 다리가 형성되도록 연결되되,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강프레임모듈은, 상기 중간프레임이 십자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타단이 상기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이 연결된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평상은, 상기 가장자리가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된 변에 지지되어 상기 보강프레임모듈의 상부에 놓이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주프레임모듈에는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이 서로 직각이 되게 펼쳐지고 상기 다리프레임이 상기 제1변프레임 및 제2변프레임에 동시에 직각이 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과 다리프레임 사이 및 상기 제2변프레임과 다리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다리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제1인장보강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4개의 주프레임모듈이 연결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한 쌍의 다리 각각에 양단 각각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제2인장보강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다리프레임은, 'L'자 형상의 각앵글로 형성되되 각앵글의 일면이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포개지도록 상단이 다리접철힌지로 연결되고, 각앵글의 타면의 상단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에 동시에 직각이 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이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내면에 돌출 된 결합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상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제1변프레임의 연결삽입부가 삽입되기 위한 연결삽입구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삽입부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삽입구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과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주프레임모듈에는 제1변프레임의 타단의 내측면에 일단이 걸림구회전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에 하방으로 향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구의 걸림홈에 삽입되기 위한 걸림핀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과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된 걸림구를 회전시켜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된 걸림핀이 상기 걸림구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걸림구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꺽 여 내측으로 연장된 걸림부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모듈의 중간프레임의 타단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핀이 삽입되기 위한 걸림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걸림홀에 상기 돌출핀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상부에 지지되어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이 연결된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보조프레임모듈에는, 십자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펼쳐진 두 쌍의 중간프레임 중 한 쌍의 중간프레임 각각에 중앙 위치에서 양측 각각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의 중앙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보강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의 중앙 위치에의 내측면에는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타단에는 지지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강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지지핀이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의 중앙 위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및 제2변프레임의 상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채널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면에는 양측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채널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판재는 상기 중간프레임 및 보강프레임에 대응되는 부분에 가 장자리가 지지되도록 8등분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판재의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에 지지되는 가장자리는 상기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 각각에 형성된 삽입채널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중간프레임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중간프레임의 상부에 놓여 지지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된 삽입채널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상기 중간프레임의 상부에 놓여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의 이웃하는 분할된 판재 사이의 틈새를 가리도록 단면이 T자형인 가림대의 삽입부가 틈새에 삽입되고 설치되고,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그 기둥의 주위에 모인 4개의 가림대의 말단을 누르기 위한 고정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모듈단위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의 주프레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의 주프레임모듈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의 주프레임모듈 사이의 연결과 보강프레임모듈의 연결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의 보강프레임모듈이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 내지 도 7e은 각각 도 2의 A-A, B-B, C-C, D-D, F-F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은 4개의 주프레임모듈(10), 보강프레임모듈(20), 판재(30) 및 가림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4개의 주프레임모듈(10)은 펼쳐지고 접히도록 구성되어 이동을 위해서는 콤팩트하게 접혀지고, 사용을 위해서 펼쳐져 사용되는데, 펼쳐진 상태에서 판(3O)의 외측 가장자리가 지지되기 위한 4개의 변과 다리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은 서로 직각을 이루게 펼쳐지고 서로 포개지게 접어지도록 접철이능하게 제1변프레임(11) 및 제2변프레임(12)의 일단이 서로 변프레임접철힌지(13)로 힌지 연결된다. 상기 제1변프레임(11)과 제2변프레임(12)가 서로 연결되는 일단의 말단은 서로 맞닿아 직각이 되도록 45°각도로 형성되어 그 일단의 말단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하부 모서리가 상기 변프레임접철힌지(13)로 서로 연결되어 서로 포개지게 접혀지고 서로가 직각이 되게 펼쳐지게 된다.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과 제2변프레임(12)은 각각 이웃하는 다른 주프레임모듈(10)의 제2변프레임(12)과 제1변프레임(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4개의 주프레임모듈(10)은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어 4개의 변과 다리가 형성되도록 연결되는데,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중 어느 하나의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의 타단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중 다른 하나의 주프레임모듈(10)의 제2변프레임(12)의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삽입부(11d)가 형성되고,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2변프레임(12)의 타단에는 상기 제1변프레임(11)의 연결삽입부(11d)가 삽입되기 위한 연결삽입구(12d)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중 어느 하나의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삽입부(11d)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중 다른 하나의 주프레임모듈(10)의 제2변프레임(12)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삽입구(12d)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11)의 타단과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12)의 타단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사이에서 상기와 같이 제1변프레임(11)의 타단과 제2변프레임(12)의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중에는 서로 상기 연결삽입부(11d)가 연결삽입구(12d)로부터 빠지면서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구(17)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걸림구(17)는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의 타단의 내측면에 일단이 걸림구회전힌지(11c)로 힌지 연결되고, 타단에 하방으로 향하는 걸림홈(17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2변프레임(12)의 타단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구(17)의 걸림홈(17a)에 삽입되기 위한 걸림핀(12c)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11)의 타단과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12)의 타단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11)의 타단에 구비된 걸림구(17)를 회전시켜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12)의 타단에 구비된 걸림핀(12c)이 상기 걸림구(17)의 걸림홈(17a)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구(17)에는 하술하는 보강프레임모듈(20)의 중간프레임(22)의 말단이 걸려지지되기 위한 걸림부(17b)와 돌출핀(17c)가 구비된다. 즉, 상기 걸림구(17)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꺽여 내측으로 연장되게 걸림부(17b)가 형성되고, 그 걸림부(17b)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핀(17c)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변프레임(11)과 제2변프레임(12)의 상면에는 상기 판재(30)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삽입채널(11a)(12a)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 및 제2변프레임(12)의 상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ㄷ'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삽입채널(11a)(12a)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판재(30)는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 또는 제2변프레임(12)에 지지되는 가장자리가 상기 제1변프레임(11) 또는 제2변프레임(12) 각각에 형성된 삽입채널(11a)(12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다리프레임(14)은 상기 제1변프레임(11)과 제2변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된 위치에 접철가능하게 연결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다리가 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다리프레임(14)은 상기 제1변프레임(11)과 제2변프레임(12)이 직각을 이루게 펼쳐진 코너의 내측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11)에 접철이능하게 상단이 다리접철힌지(11b)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제1변프레임(11)에 포개지도록 접히고 상기 제1변프레임(11)과 제2변프레임(12)에 동시에 직각이 되게 펼쳐진 상태 에서 다리가 된다. 상기와 같이 다리프레임(14)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다리프레임(14)은 상기 제2변프레임(12)에 분리가능하게 상단이 연결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다리프레임(14)은 'L'자 형상 단면을 갖는 각앵글로 형성되되 각앵글의 일면이 상기 제1변프레임(11)의 내면에 포개지도록 그 상단이 다리접철힌지(11b)로 제1변프레임(11)의 타단에 연결되고, 각앵글의 타면의 상단에 결합홈(14a)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14a)에 상기 제2변프레임(12)의 타단 내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핀(12b)이 삽입되어 상기 제2변프레임(12)에 분리가능하게 상단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변프레임(11), 제2변프레임(12) 및 다리프레임(14)이 펼쳐져 이웃하는 것끼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주프레임모듈(1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다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프레임모듈(10)에는 제1인장보강바(15) 및 제2인장보강바(16)가 구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인장보강바(15)는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상기 제1변프레임(11)과 제2변프레임(12)이 서로 직각이 되게 펼쳐지고 상기 다리프레임(14)이 상기 제1변프레임(11) 및 제2변프레임(12)에 동시에 직각이 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11)과 다리프레임(14) 사이 및 상기 제2변프레임(12)과 다리프레임(14) 사이에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제1변프레임(11) 또는 제2변프레임(12)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다리프레임(14)에 분리가능하게 체결피스(15a)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제2인장보강바(16)는 상기 4개의 주프레임모듈(10)이 연결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한 쌍의 다리프레임(14) 각각에 양단 각각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다리프레임(14)에 연결된 상기 제1인장보강바(15)의 말단측에는 상기 제2인장보강바(16)의 말단에 형성된 구멍(도면에 미도시)에 삽입되어 걸리기 위한 연결핀(15b)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프레임모듈(20)은 상기와 같이 4개의 주프레임모듈(10)이 연결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판재(30)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시에는 컴팩트하게 서로 포개지도록 접혀지고 사용을 위해서는 펼쳐져 상기 주프레임모듈(10)과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프레임모듈(20)은 중앙에 구비된 기둥(21)을 중심으로 4개의 중간프레임(22)이 십자형을 이루게 펼쳐지고 상기 기둥(21)에 포개지도록 접철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둥(21)의 상단부에는 4개의 방향으로 대칭되게 힌지브라켓(21a)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브라켓(21a)에는 상기 중간프레임(22)의 일단이 중간프레임접철힌지(21b)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강프레임모듈(20)은 상기 중간프레임(22)이 십자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프레임(22)의 타단이 상기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911)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10) 중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12)이 연결된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프레임(22)의 타단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구(17)의 돌출핀(17c)이 삽입되기 위한 걸림홀(22a)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프레임(22)의 타단은 상기 걸림홀(22a)에 상기 돌출핀(17c)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17b)의 상부에 지지되어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사이에서 제1변프레임(11)과 제2변프레임(12)이 연결된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모듈(20)에는 보강프레임(23)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강프레임(23)은 일단이 두 쌍의 중간프레임(22)이 십자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두 쌍 중 서로 반대방향으로 펼쳐진 한 쌍의 중간프레임(22) 각각에 중앙 위치에서 양측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 또는 제2변프레임(12)의 중앙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한 쌍의 중간프레임(22) 각각의 중앙 위치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안착단을 갖는 안착브라켓(22b)가 구비되어 그 안착브라켓(22b)에 상기 보강프레임(23)의 일단이 놓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23)의 타단이 연결되기 위한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 또는 제2변프레임(12)의 중앙 위치에의 내측면에는 지지홀(11e)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23)의 타단에는 지지핀(23)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강프레임(23)의 타단은 상기 지지핀(23b)이 상기 지지홀(11e)에 삽입되어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 또는 제2변프레임(12)의 중앙 위치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모듈(20)의 기둥(21)의 상단 말단에는 하술하는 바와 같이 분할된 판재(31)의 이웃하는 사이의 틈새를 가리기 위한 가림대(4))의 말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24)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21c)이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24)에는 원반형상의 머리부(25a)와 그 중앙 하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체결부(24b)가 구비되어 상기 판재(30)의 상부에서 상기 기둥(21)의 주위에 모인 4개의 가림대(40)의 말단을 상기 머리부(25a)가 누르게 상기 체결부(24b)가 상기 체결홀(21c)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한편, 하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판재(30)는 이동의 편의를 위해서 수개(8개)로 분할되게 구성되는데, 상기 보강프레임(23)의 상면에는 분할된 판재(3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삽입채널(23a)이 양측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프레임(23)의 삽입채널(23a)은 상기 보강프레임(23)의 상면에 양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단면이 '工'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23)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31)의 가장자리는 상기 보강프레임(23)에 형성된 삽입채널(23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판재(30)는 상기 주프레임모듈(10)와 보조프레임(2))이 조립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놓여 지지되는 판부재이다. 즉, 상기 판재(30)는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과 제2변프레임(11)이 연결되어 형성된 변에 지지되어 상기 보강프레임모듈(20)의 상부에 놓이게 설치된다.
상기 판재(30)는 이동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주프레임모듈(10) 및 보강프레임모듈(20)의 프레임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도록 8등분으로 분할된다. 즉, 상기 판재(3))는 상기 중간프레임(22) 및 보강프레임(23)에 대응되는 부분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도록 8등분으로 분할되어 8개의 분할된 판재(3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분할된 판재(31)의 상기 주프레임모듈(10)의 제1변프레임(11) 또는 제2변프레임(12)에 지지되는 가장자리는 상기 제1변프레임(11) 또는 제2변프레임(12) 각각에 형성된 삽입채널(11a)(12a)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중간프레임(22)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31)의 가장자리는 상기 중간프레임(22)의 상부에 놓여 지지되며, 상기 보강프레임(23)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31)의 가장자리 는 상기 보강프레임(23)에 형성된 삽입채널(23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할된 판재(31)는 상기 중간프레임(22)에 의해 가장자리가 지지되어 이웃하는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되는데, 그 틈새는 가림대(40)에 의해 가려진다. 즉, 상기 가림대(40)는 플랜지부(42)와 그 플랜지부(42)의 하부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삽입부(41)가 형성되어 상기 중간프레임(22)의 상부에 놓여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31)의 이웃하는 분할된 판재(31) 사이의 틈새를 가리도록 상기 삽입부(41)가 이웃하는 분할된 판재(31)의 틈새에 삽입되어 그 분할된 판재(31)의 가장자리를 상기 플랜지부(42)가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가림대(40)는 상기 기둥(21)의 주위에 모인 4개의 말단이 모이게 되는데, 이를 누르도록 상기 고정구(24)가 상기 기둥(21)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조립식 평상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의 주프레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의 주프레임모듈의 작동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의 주프레임모듈 사이의 연결과 보강프레임모듈의 연결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평상의 보강프레임모듈이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e은 각각 도 2의 A-A, B-B, C-C, D-D, F-F에서의 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주프레임모듈
11 제1변프레임
11a 삽입채널
11b 다리접철힌지
11c 걸림구회전힌지
11d 연결삽입부
11e 지지홀
12 제2변프레임
12a 삽입채널
12b 결합핀
12c 걸림핀
12d 연결삽입구
13 변프레임접철힌지
14 다리프레임
14a 결합홈
15 제1인장보강바
15a 체결피스
15b 연결핀
16 제2인장보강바
17 걸림구
17a 걸림홈
17b 걸림부
17c 돌출핀
20 보강프레임모듈
21 기둥
21a 힌지브라켓
21b 중간프레임접철힌지
21c 체결홀
22 중간프레임
22a 걸림홀
22b 안착브라켓
23 보강프레임
23a 삽입채널
23b 지지핀
24 고정구
24a 머리부
24b 체결부
30 판재
31 분할된 판재
40 가림대
41 삽입부
42 가림부

Claims (11)

  1. 서로 직각을 이루게 펼쳐지고 서로 포개지게 접어지도록 접철이능하게 제1변프레임 및 제2변프레임의 일단이 서로 힌지 연결되고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이 직각을 이루게 펼쳐진 코너의 내측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접철이능하게 상단이 힌지 연결된 다리프레임이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에 동시에 직각이 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상단이 연결되게 구성된 4개의 주프레임모듈과, 중간프레임이 중앙에 구비된 기둥을 중심으로 십자형을 이루게 펼쳐지고 상기 기둥에 포개지도록 접철가능하게 중간프레임의 일단이 상기 기둥의 상단에 힌지 연결된 보강프레임모듈과, 상기 주프레임모듈와 보조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놓여 지지되는 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4개의 주프레임모듈은,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어 4개의 변과 다리가 형성되도록 연결되되,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강프레임모듈은, 상기 중간프레임이 십자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타단이 상기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이 연결된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평상은, 상기 가장자리가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이 연결되어 형성된 변에 지지되어 상기 보강프레임모듈의 상부에 놓이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모듈에는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이 서로 직각이 되게 펼쳐지고 상기 다리프레임이 상기 제1변프레임 및 제2변프레임에 동시에 직각이 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변프레임과 다리프레임 사이 및 상기 제2변프레임과 다리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되 일단은 상기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다리프레임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제1인장보강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주프레임모듈이 연결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한 쌍의 다리 각각에 양단 각각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제2인장보강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프레임은, 'L'자 형상의 각앵글로 형성되되 각앵글의 일면이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 포개지도록 상단이 다리접철힌 지로 연결되고, 각앵글의 타면의 상단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에 동시에 직각이 되게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이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내면에 돌출된 결합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변프레임과 제2변프레임 중 다른 하나에 분리가능하게 상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연결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에는 상기 제1변프레임의 연결삽입부가 삽입되기 위한 연결삽입구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삽입부가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주프레임모듈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된 연결삽입구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과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모듈에는 제1변프레임의 타단의 내측면에 일단이 걸림구회전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에 하방으로 향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구가 구비되고,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구의 걸림홈 에 삽입되기 위한 걸림핀이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과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된 걸림구를 회전시켜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의 타단에 구비된 걸림핀이 상기 걸림구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꺽여 내측으로 연장된 걸림부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프레임모듈의 중간프레임의 타단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핀이 삽입되기 위한 걸림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걸림홀에 상기 돌출핀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의 상부에 지지되어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어느 하나의 제1변프레임과 이웃하는 주프레임모듈 중 다른 하나의 제2변프레임이 연결된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모듈에는, 십자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펼쳐진 두 쌍의 중간프레임 중 한 쌍의 중간프레임 각각에 중앙 위치에서 양측 각각에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의 중앙 위치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보강프레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의 중앙 위치에의 내측면에는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타단에는 지지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강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지지핀이 상기 지지홀에 삽입되어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의 중앙 위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및 제2변프레임의 상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채널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면에는 양측 방향으로 개구된 삽입채널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판재는 상기 중간프레임 및 보강프레임에 대응되는 부분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도록 8등분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판재의 상기 주프레임모듈의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에 지지되는 가장자리는 상기 제1변프레임 또는 제2변프레임 각각에 형성된 삽입채널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중간프레임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중 간프레임의 상부에 놓여 지지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에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된 삽입채널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상부에 놓여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분할된 판재의 이웃하는 분할된 판재 사이의 틈새를 가리도록 단면이 T자형인 가림대의 삽입부가 틈새에 삽입되고 설치되고,
    상기 기둥의 상단에는 그 기둥의 주위에 모인 4개의 가림대의 말단을 누르기 위한 고정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상.
KR1020080052178A 2008-06-03 2008-06-03 조립식 평상 KR20090126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178A KR20090126037A (ko) 2008-06-03 2008-06-03 조립식 평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2178A KR20090126037A (ko) 2008-06-03 2008-06-03 조립식 평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6037A true KR20090126037A (ko) 2009-12-08

Family

ID=4168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2178A KR20090126037A (ko) 2008-06-03 2008-06-03 조립식 평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60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47A1 (ko) * 2012-07-23 2014-01-30 Kim Young Jo 조립식 평상
KR101419127B1 (ko) * 2012-09-18 2014-08-13 최경남 조립식 대나무 평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47A1 (ko) * 2012-07-23 2014-01-30 Kim Young Jo 조립식 평상
KR101419127B1 (ko) * 2012-09-18 2014-08-13 최경남 조립식 대나무 평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595B1 (ko) 간이 하우스용 골조
US4186454A (en) Portable playpen
US6438773B1 (en) Collapsible frame structure for pen and cot
US11109691B2 (en) Collapsible playard
JP2009535539A (ja) レール裾部システムおよび折り畳みシェルター
WO2010134713A2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KR20090126037A (ko) 조립식 평상
KR200445448Y1 (ko) 테이블의 다리구조
US20020134415A1 (en) Modular tent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KR100838783B1 (ko) 절첩식 대형 텐트
KR20210000012U (ko) 휴대용 접이식 테이블
KR101090348B1 (ko) 천막의 절첩식 프레임
KR200167474Y1 (ko) 텐트
KR100674128B1 (ko) 조립식 텐트
JP5740571B2 (ja) 浴室構造
JP3108358U (ja) 簡易トイレ
KR20200001322U (ko)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102097359B1 (ko) 조립식 평상 구조물 및 이 평상 구조물이 구성된 조립식 가제보
KR100475215B1 (ko) 텐트 또는 천막의 프레임 구조
TWI548375B (zh) 嬰幼兒用床及嬰幼兒用床之固定構造
KR100924386B1 (ko) 경사 침대 텐트
US20080135079A1 (en) Yurt structure
KR102438157B1 (ko) 야외용 접이식 롤 테이블
KR101483884B1 (ko) 조립식 평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