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595B1 - 간이 하우스용 골조 - Google Patents

간이 하우스용 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595B1
KR100256595B1 KR1019970048587A KR19970048587A KR100256595B1 KR 100256595 B1 KR100256595 B1 KR 100256595B1 KR 1019970048587 A KR1019970048587 A KR 1019970048587A KR 19970048587 A KR19970048587 A KR 19970048587A KR 100256595 B1 KR100256595 B1 KR 10025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ember
support
slider
link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157A (ko
Inventor
이승도
Original Assignee
이승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도 filed Critical 이승도
Priority to KR101997004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595B1/ko
Publication of KR970075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중앙지지부재 및 이의 부속부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텐트의 천정부를 보다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간이 하우스용 골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간이 하우스용 골조는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의 구조만으로도 텐트의 천정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주(10),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연결하고, 접고 펼침이 가능케 설치된 제1링크부재(20), 제1링크부재(20)의 양단을 지주(10)에 고정하기 위해 지주(10) 상에 상. 하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31) 및 슬라이더 고정구(12)를 구비하고, 슬라이더(31)와 지주(10)의 상부측에는 제1링크부재(20)의 끝부분을 연결할 수 있게 고정편(32)이 형성된 고정부(30) 및 제1링크부재(20)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연결하고 길이가 다른 2개의 막대(51)(52)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서로 교차되고 회전될 수 있게 결합시키되, 막대(51)(52)의 시작점의 수직선(53) 상에서 길이가 짧은 막대(51)는 위쪽에, 길이가 긴 막대(52)는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교차시킨 상승구조와 수직선(53) 상에서 길이가 짧은 막대(51)는 아래쪽에, 길이가 긴 막대(52)는 위쪽에 위치되도록 교차시킨 하강구조를 조합하거나 상승구조만을 갖도록 하며, 수직선(53) 및 교차점(54)을 기준으로 양쪽 대칭된 삼각형 각변의 길이의 합이 같도록 한 제2링크부재(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식 텐트용 골조이다.

Description

간이 하우스용 골조
본 발명은 비바람이나 햇빛을 가리기 위하여 외부에 치는 텐트 또는 천막의 형태유지를 위한 간이 하우스용 골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링크부재들의 결합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지붕형태를 갖도록 한 간이 하우스용 골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텐트 등의 간이 하우스용 골조는 네 모퉁이의 지주 사이에 길이가 같은 막대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교차시켜 좌, 우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연결한 링크구조를 갖고, 이의 안쪽 중앙부에는 천정부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중앙지지부재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간이 하우스용 골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간이 하우스용 골조에서 다리 및 슬라이더 고정구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1도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간이 하우스용 골조는 잡아당김 및 밀어 넣음으로 길이를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다단봉체로 형성되고, 당김에 의해서 인출된 봉이 자중에 의해서 다시 봉체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걸림으로 고정시키는 다리 고정구(11)가 구비된 최소한 2개 이상의 지주(10)와;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연결하고, 수평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길이가 같은 2개의 막대(20A)(20B)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서로 교차시켜 좌, 우로 연속 반복되게 형성한 링크부재(20)와; 링크부재(20)의 양단을 지주(10)에 고정하기 위해 지주(10) 상에 상, 하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31)를 구비하고, 슬라이더(31) 및 지주(10)의 상부측에는 링크부재(20)의 양단 막대(20A)(20B)의 끝부분에 형성된 구멍(20C)이 일치되어 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주(10)에는 상승된 슬라이더(31)가 자중에 의해서 다시 하강하지 않도록 걸림으로 고정시키는 슬라이더 고정구(12)가 구비되는데, 슬라이더 고정구(12) 및 다리 고정구(1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누름으로 지주(10) 내부로 인입되고 자체 탄성으로 돌출되는 반구형의 탄성돌기로 형성되고, 슬라이더(31) 및 지주(10)에는 탄성돌기가 끼워지고 빠질 수 있도록 걸림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주(10)와 지주(10) 사이 또는 중앙부에는 텐트의 천정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길이의 봉체로 형성된 별도의 중앙지지부재(40)가 부속부재(40A)로 연결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간이 하우스용 골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가 같은 2개의 막대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서로 교차시켜 형성한 링크부재가 단순히 접고 펼침을 위한 기능만을 갖도록 되어 있어, 간이 하우스용 골조의 천정부 형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중앙지지부재 및 부속부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하므로 이의 조립 및 제작을 위한 작업공수의 증가는 물론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간이 하우스용 골조의 중앙부만을 지지하여 천정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텐트 등의 간이 하우스가 견고하게 그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의 비효율성을 유발시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중앙지지부재 및 이의 부속부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천정부를 보다 견고하게 형성하면서 경사를 이루는 지붕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공간효율성이 뛰어난 간이 하우스용 골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간이 하우스용 골조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간이 하우스용 골조에서 다리 및 슬라이더 고정구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하우스용 골조만을 보인 사시도.
제4a도는 제3도의 간이 하우스용 골조의 제2링크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b도는 제3도의 간이 하우스용 골조의 제1링크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5a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하우스용 골조의 제2링크부재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b도는 타원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제6a, b, c, d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하우스용 골조의 실시 예들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8a∼d도는 제7도 제1링크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9도는 제1링크부재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하우스용 골조에 사용되는 슬라이더 고정구의 일부만을 보인 설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20 : 제1링크부재
20A, B : 막대 24a : 제1톱니
24b : 제2톱니 30 : 고정부
31 : 슬라이더 32 : 고정편
32A : 고정공 40 : 중앙지지부재
40A : 부속부재 50 : 제2링크부재
51 : 길이가 짧은 막대 52 : 길이가 긴 막대
53 : 수직선 54 : 교차점
60 : 고정구 61, 61A : 고정편
62 : 회전축 63 : 끼움봉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주,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연결하고, 접고 펼침이 가능케 설치된 제1링크부재, 제1링크부재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연결하고 적어도 일측에는 길이가 다른 막대가 서로 교차되고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어 펼쳐지면 적어도 일측은 상승구조를 갖도록 한 제2링크 부재 및 제1링크부재 또는 제2링크부재의 양단을 지주에 연결하기 위해 지주 상에 상, 하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지주의 일측에는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를 연결할 수 있고 고정편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우스용 골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하우스용 골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4a 및 b도는 3도의 제2링크부재 및 제1링크부재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 제5a 및 b도는 제2링크부재의 작동구조 및 타원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제6a, b, c, d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 간이 하우스용 골조는 잡아당김 및 밀어 넣음으로 길이를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다단봉체로 형성되고, 당김에 의해서 인출된 봉이 자중에 의해서 다시 봉체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걸림으로 고정시키는 제2도에서와 같은 다리 고정구(11)가 구비된 최소한 2개 이상의 지주(10)와;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연결하고, 수평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길이가 같은 2개의 막대(20A)(20B)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서로 교차시켜 좌, 우로 연속 반복되게 형성한 제1링크부재(20)와; 제1링크부재(20)의 양단을 지주(10)에 고정하기 위해 지주(10) 상에 상, 하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31)를 구비하고, 슬라이더(31) 및 지주(10)의 상부측에는 제1링크부재(20)의 양단 막대(20A)(20B)의 끝부분에 형성된 구멍(20C)이 일치되어 핀 결합될 수 있게 중앙부에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편(32)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30)로 구성된 것으로, 지주(10)에는 상승된 슬라이더(31)가 자중에 의해서 다시 하강하지 않도록 걸림으로 고정시키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라이더 고정구(12)가 구비된다.
이러한 텐트용 골조에 있어, 본 고안은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다른 2개의 막대(51)(52)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서로 교차되고 회전될 수 있게 결합시키되, 막대(51)(52)의 시작점의 수직선(53) 상에서 길이가 짧은 막대(51)는 위쪽에, 길이가 긴 막대(52)는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교차시킨 상승구조와 수직선(53)상에서 길이가 짧은 막대(51)는 아래쪽에, 길이가 긴 막대(52)는 위쪽에 위치되도록 교차시킨 하강구조를 조합하거나 상승구조만을 갖도록 하며, 수직선(53) 및 교차점(54)을 기준으로 양쪽 대칭된 삼각형 각 변의 길이의 합이 같도록 형성한 제2링크부재(50)를 구비한 것이다.
제5a도는 수직선(53) 상에서 길이가 짧은 막대(51) 및 길이가 긴 막대(52)의 상, 하 위치를 조합시킨 일 예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막대(52)끼리 상호 대칭되게 연결한 꼭지점F와, 길이가 짧은 막대(51)끼리 상호 대칭되게 연결한 꼭지점G를 동일 수직선(53) 상의 상,하부측에 각각 위치시키되, 꼭지점F,G의 양측 길이가 긴 막대(52)와 길이가 짧은 막대(51)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서로 교차되게 결합시키고, 이를 중심으로 양측이 서로 대칭되게 길이가 긴 막대(52)에는 길이가 짧은 막대(51)를, 길이가 짧은 막대(51)에는 길이가 긴 막대(52)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서로 교차되게 연속 반복적으로 연결시킨 구조로서, 각 막대(51)(52)의 시작점의 수직선(53) 상에서 길이가 짧은 막대(51)가 위쪽에, 길이가 긴 막대(52)가 아래쪽에 위치되면 상승구조를 갖고, 수직선(53) 상에서 길이가 짧은 막대(51)가 아래쪽에, 길이가 긴 막대(52)가 위쪽에 위치되면 하강구조를 갖는 것을 볼 수 있고, 또 수직선(53)상에서 길이가 긴 막대(52)끼리 상호 대칭되게 연결한 꼭지점F와 길이가 짧은 막대(51)끼리 상호 대칭되게 연결한 꼭지점G가 위치된 최상점을 중심으로 이의 양측으로 상승구조와 하강구조가 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수직선(53)을 중심으로 이의 양측 대칭된 일측 삼각형의 각 변 a,b,c와, 타측 삼각형의 각 변 d,e,c의 길이의 합은 모두 같다.
이와 같은 상승 및 하강구조는 타원원리의 응용 예로서, 이는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110)이 수직선상으로 위치되는 타원형의 우측곡면 상의 점A는 장축(110)의 상단 꼭지점P와 점A의 길이가 짧은 반면에, 장축(110)의 하단 꼭지점O와 점A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고, 점A는 타원형의 단축(120) 위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타원형의 단축(120) 아래쪽 곡면 상의 점B는 장축(110)의 상단 꼭지점P와 점B의 길이는 길고, 장축(110)의 하단꼭지점O와 점B의 길이는 짧게 형성됨을 알 수 있으며, 타원형의 단축(120) 상에 위치된 점C는 장축(110)의 상단 꼭지점P와 점C의 길이와, 장축(110)의 하단 꼭지점O와 점C의 길이가 같음을 알 수 있다. 결국, 길이가 다른 2개의 막대를 각각의 중심선 상에서 교차되게 연결했을 때, 상승조건을 갖기 위해서는 수직선 상에서 길이가 짧은 막대는 상부측에 위치되어야 하고, 길이가 긴 막대는 하부측에 위치되어야만 하고, 길이가 짧은 막대의 길이는 더 짧아지고 길이가 긴 막대의 길이는 이에 상응하는 만큼 더 길어질수록 보다 큰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6a도 내지 제6d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이는 길이가 같은 2개의 막대를 서로 교차되게 결합시킨 제1링크부재(20)와, 길이가 서로 다른 2개의 막대를 서로 교차되게 결합시켜 상승 및 하강구조를 갖는 제2링크부재(50)를 조합하여서 된 여러 형태의 텐트를 예시한 것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8a도∼8도 제7도 제1링크부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9도는 제1링크부재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7도에는 4개의 지주(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동일 측변으로 배치되는 두 지주(10)들은 각각 제1링크부재(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링크부재(20)는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펼쳐진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1링크부재(20)의 연결상태와 구조는 제8도와 제9도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링크부재(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지 않은 동일 측변의 두 지주(10)는 제2링크부재(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2링크부재(50)는 경사지붕을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그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양측의 제2링크부재(50)의 상단 역시 제1링크부재(20)를 통해 서로 연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8a도에는 제7도 제1링크부재(20)의 양측 연결점(s)에서의 연결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두 제1링크부재(20)는 그 끝단에 하측으로 톱니(24)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26)를 통해 아래쪽으로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이 제1링크부재(20)는 필요에 따라 제8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히게 된다.
제8c도에는 제7도 제1링크부재(20)의 중앙 연결점(c)에서의 연결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두 제1링크부재(20)는 그 끝단에 상측으로 톱니(24)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26)를 통해 위쪽으로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이 제1링크부재(20)는 필요에 따라 제8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히게 된다.
제9도에는 제1링크부재(20)가 마주보고 도시되어 있다. 두 제1링크부재(20)는 연결부재(26)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는 일측 제1링크부재(20)의 끝단에는 일측 외주면을 따라 제1톱니(2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톱니(24a) 옆쪽 타측 외주면을 따라 제2톱니(2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톱니(24b)는 제1톱니(24a)와는 산(24b)과 골(24d)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 일측 제1링크부재(20)와 마주보는 타측 제1링크부재(20)에도 제1톱니(24a)와 제2톱니(24b)가 이웃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일측 제1링크부재(20)의 제1톱니(24a)는 타측 제1링크부재(20)의 제2톱니(24b)에 물려있게 되고, 제2톱니(24b)는 타측 제1링크부재(20)의 제1톱니(24a)에 물려있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제1링크부재(20)의 끝단에 제1톱니(24a)와 제2톱니(24b)를 각각 형성하는 것인데, 이는 제1링크부재(20)의 제작에 필요한 금형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링크부재(20)의 끝단에 톱니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서로 맞물리는 부분은 톱니 하나만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마주보는 끝단의 형상이 서로 달라져야 되고 이에 따라 금형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제10도는 지주(10) 상에서 승하강되는 슬라이더(31)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주(10) 상에 구비된 슬라이더 고정구(12)를 보인 것으로, 슬라이더 고정구(12)는 일자형의 상단에서 하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누름 및 내부의 탄성체에 의한 자체 탄성력으로 지주(10) 내부로 인입되거나 돌출되어 슬라이더(31)를 걸림으로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제3도 및 제4a도,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상단부 및 슬라이더(31)에는 제1링크부재(20), 또는 제1링크부재(20)의 막대(20A)(20B) 및 제2링크부재(50)의 막대(51)(52)를 지주(10)의 상단부 및 슬라이더(31)에 끼움으로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주(10) 및 슬라이더(31)의 면 양쪽 지지편(61)(61A)에 봉체로 된 회전축(6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62)의 중간부에는 제2링크부재(50)의 막대(51)(52) 끝부분 안쪽에 끼움 고정될 수 있게 끼움봉(63)이 소정 길이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60)가 구비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텐트의 천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별도의 중앙지지부재 및 이의 부속부재없이 링크부재의 자체 구조만으로도 텐트의 천정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의 효율성은 물론 조립 및 제작을 위한 작업공수의 감소로 원가절감 효과를 가져오게 되고, 또한 텐트를 보다 견고하게 지속적으로 그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주(10); 상기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연결하고, 접고 펼침이 가능케 설치된 제1링크부재(20); 상기 제1링크부재(20)에 의해 연결되지 않은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연결하고 적어도 일측에는 길이가 다른 막대(51, 52)가 서로 교차되고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어 펼쳐지면 적어도 일측은 상승구조를 갖도록 한 제2링크부재(50); 및 상기 제1링크부재(20) 또는 제2링크부재(50)의 양단을 지주(10)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지주(10) 상에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더(31)와 슬라이더 고정구(12)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31)와 지주(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링크부재(20)와 제2링크부재(50)를 연결할 수 있게 고정편(32)이 형성된 고정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우스용 골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20)는 수평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길이가 같은 2개의 막대(51, 52)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서로 교차시켜 좌, 우로 연속 반복되게 연결하고 그 양 끝단의 상단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편(32)에, 하단은 상기 슬라이더(31)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우스용 골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20)는 일직선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고, 상호 연결되는 끝단에는 일측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톱니(24a)와 타측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제1톱니(24a)와는 산(24c)과 골(24d)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제2톱니(2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우스용 골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재(50)는 수평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하게 길이가 다른 2개의 막대(51, 52)를 각각의 중심점에서 서로 교차시켜 좌, 우로 연속 반복되게 연결하고 그 양 끝단의 상단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편(32)에 하단은 상기 슬라이더(31)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우스용 골조.
KR1019970048587A 1997-06-18 1997-09-24 간이 하우스용 골조 KR100256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587A KR100256595B1 (ko) 1997-06-18 1997-09-24 간이 하우스용 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554 1997-06-18
KR97-25554 1997-06-18
KR19970025554 1997-06-18
KR1019970048587A KR100256595B1 (ko) 1997-06-18 1997-09-24 간이 하우스용 골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157A KR970075157A (ko) 1997-12-10
KR100256595B1 true KR100256595B1 (ko) 2000-05-15

Family

ID=1951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587A KR100256595B1 (ko) 1997-06-18 1997-09-24 간이 하우스용 골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48835A (ko)
JP (1) JP3080608B2 (ko)
KR (1) KR100256595B1 (ko)
CN (1) CN107764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6002A1 (en) * 2001-10-22 2003-05-01 Sung-Soo Kim Foldable safety fence can be installed in various wid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0902B1 (en) 1994-07-25 2002-10-29 United California Bank Erectable canopy with reinforced roof structure
US6041800A (en) * 1998-08-07 2000-03-28 Carter; Mark C. Erectable shelter with gable roof
US6382224B1 (en) * 1994-07-25 2002-05-07 United California Bank Erectable canopy with reinforced roof structure
US5511572A (en) 1994-07-25 1996-04-30 Carter; Mark C. Collapsible shelter with flexible, collapsible canopy
US6345638B1 (en) * 1999-02-15 2002-02-12 Tentnology Ltd. Multiple peak cable tent
JP3527877B2 (ja) * 2000-04-05 2004-05-17 株式会社サンエープロテント 折畳みテントフレーム
KR200200939Y1 (ko) * 2000-05-24 2000-10-16 서춘식 캐빈형 절첩식 텐트골조
KR20030060316A (ko) * 2002-01-08 2003-07-16 김생운 간이하우스용 골조
GB0229599D0 (en) * 2002-12-19 2003-01-22 Isis Innovation Deployable structure
GB2404932B (en) * 2003-08-06 2005-11-23 Caravan Canopy Internat Inc Collapsible canopy frame having reduced truss bar length
KR200331661Y1 (ko) * 2003-08-06 2003-10-30 카라반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이동식 천막프레임
CN2670522Y (zh) * 2003-11-10 2005-01-12 厦门革新塑胶制品有限公司 大型内倾式帐篷撑杆架
US7240686B2 (en) * 2003-11-12 2007-07-10 Caravan Canopy International, Inc. Collapsible canopy having reduced length
US20050178419A1 (en) * 2004-02-17 2005-08-18 Chuen-Jong Tseng Tent frame assembly
CN2714725Y (zh) * 2004-02-20 2005-08-03 厦门革新塑胶制品有限公司 可折叠帐篷的侧杆组
US7185667B2 (en) * 2004-09-20 2007-03-06 Rottmann Andrew A Tent frame and canopy
US7575010B2 (en) * 2004-09-20 2009-08-18 Rottmann Andrew A Tent frame and canopy
US7766024B2 (en) * 2004-09-20 2010-08-03 Rottmann Andrew A Tent frame and canopy
US7644721B2 (en) * 2005-01-14 2010-01-12 Charles Hoberman Synchronized four-bar linkages
KR100775744B1 (ko) * 2007-02-07 2007-11-09 김성수 착탈식 안전표시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접철식안전휀스
US7626538B2 (en) * 2007-10-24 2009-12-01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Augmented passive tracking of moving emitter
US8786054B2 (en) 2009-11-16 2014-07-2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ructure for integrated circuit alignment
IT1398496B1 (it) * 2010-02-24 2013-03-01 Pili Struttura modulare automontante per la costituzione di ambienti protetti.
US8978680B2 (en) * 2012-05-04 2015-03-17 KD Kanopy Inc. Removably mountable roof frame for use with an expandable canopy
CA2880305C (en) 2012-08-02 2020-09-01 Care Strategic D.I.R. Holdings Pty Ltd Iso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746267B2 (en) 2012-10-01 2014-06-10 Bravo Sports Height-adjustable canopy leg
US9103138B2 (en) 2012-10-02 2015-08-11 Bravo Sports Sliding-eave mount mechanism for canopy structure
WO2014089496A2 (en) 2012-12-07 2014-06-12 Bravo Sports Canopy shelter link point
DE202013101665U1 (de) * 2013-04-18 2013-05-07 Sign-Ware Gmbh & Co. Kg Profilverbinder
USD736884S1 (en) 2013-07-16 2015-08-18 Bravo Sports Adjustable locking leg assembly
US9528292B1 (en) 2013-08-09 2016-12-27 Bravo Sports Canopy with overhang
US9797157B2 (en) 2014-03-04 2017-10-24 Shelterlogic Corp. Canopy with detachable awning
USD737066S1 (en) 2014-03-06 2015-08-25 Bravo Sports Chair with integrated shade cover
US9867466B2 (en) 2014-12-15 2018-01-16 Shelterlogic Corp. Foldable chair
BR112019019062B1 (pt) 2017-03-16 2023-02-07 Care Strategic D.I.R. Holdings Pty Ltd Aparelho para uso na provisão de isolamen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643U (ko) * 1996-05-11 1997-12-11 이승도 상승식 측면골조를 갖는 절첩식 텐트골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6801A1 (es) * 1961-04-21 1961-11-01 Perez Pinero Emilio Estructura reticular esterea plegable
US3559353A (en) * 1967-11-06 1971-02-02 Easifold Buildings Ltd Collapsible building structures
US4156433A (en) * 1977-06-16 1979-05-29 Rupp Industries Inc. Portable shelter
US4689932A (en) * 1985-11-06 1987-09-01 Zeigler Theodore Richard Portable shelter assemblies
US5125205A (en) * 1986-12-10 1992-06-30 William John Wichman Display frame with folding display attachment devices
US5035253A (en) * 1989-10-30 1991-07-30 Bortles Allan D Tent canopy rain awning
US5274980A (en) * 1991-12-23 1994-01-04 World Shelters, Inc. Polyhedron building system having telescoping scissors
US5813425A (en) * 1993-04-05 1998-09-29 Carter; Mark C. Collapsible shelter with elevated canopy
US5490532A (en) * 1994-07-08 1996-02-13 Colorado Mineral Strike, Inc. Adjustable tension shelter assembly
US5634483A (en) * 1995-12-15 1997-06-03 Gwin; Robert E. Canopy support system
US5701923A (en) * 1996-03-07 1997-12-30 Losi, Jr.; Raymond Collapsible she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2643U (ko) * 1996-05-11 1997-12-11 이승도 상승식 측면골조를 갖는 절첩식 텐트골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6002A1 (en) * 2001-10-22 2003-05-01 Sung-Soo Kim Foldable safety fence can be installed in various wid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48835A (en) 2000-11-21
JP3080608B2 (ja) 2000-08-28
CN1202559A (zh) 1998-12-23
CN1077641C (zh) 2002-01-09
JPH11152940A (ja) 1999-06-08
KR970075157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595B1 (ko) 간이 하우스용 골조
AU722814B2 (en) Collapsible shelter
US4393887A (en) Collapsible tent frame
US6206020B1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and structure with articulating scissor assemblies
US20090314323A1 (en) Adjustable support assembly for a collapsible canopy
US10487530B1 (en) Folding hexagonal tent
US6283136B1 (en) Collapsible tent
US6929017B2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structure of a regular polygon
US6848461B2 (en) Tent structure
WO2008049031A2 (en) Collapsible canopy framework
CA2661731A1 (en) Mounting assembly for a collapsible canopy
EP0173438A2 (en) A tent frame
JP5371835B2 (ja) テントとそのテントを立てる方法
KR101090348B1 (ko) 천막의 절첩식 프레임
KR200160604Y1 (ko) 접이식 펜스
KR100735013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200281376Y1 (ko) 절첩식 천막용 절첩간 연결핀
JP3244443U (ja) 折り畳みブラケット
CN216893768U (zh) 三杆件外挑结构、带外挑结构的帐篷骨架及帐篷
KR200275266Y1 (ko) 천막
KR200435499Y1 (ko) 원형 절첩식 캐노피구조 및 형상조합기능을 가진 복합형절첩식 캐노피구조
KR200436056Y1 (ko) 천정높이가변식 복합형 절첩식 캐노피구조
CN114592749A (zh) 组合型大型帐篷框架
KR200150909Y1 (ko) 절첩식 휀스
KR970002483Y1 (ko) 파라솔 겸용 천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