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909Y1 - 절첩식 휀스 - Google Patents

절첩식 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909Y1
KR200150909Y1 KR2019970003604U KR19970003604U KR200150909Y1 KR 200150909 Y1 KR200150909 Y1 KR 200150909Y1 KR 2019970003604 U KR2019970003604 U KR 2019970003604U KR 19970003604 U KR19970003604 U KR 19970003604U KR 200150909 Y1 KR200150909 Y1 KR 200150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fence
pair
suppor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958U (ko
Inventor
김훈
김태오
Original Assignee
김훈
김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김태오 filed Critical 김훈
Priority to KR2019970003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90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9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 건설 현장에서 임의적으로 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휀스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휀스를 설치하되, 분해 조립이 없이 설치가 간단하도록 하는 한편,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고, 또한 양측의 지지대를 각각 일체형으로 하여 지지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특히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상호 체결할 수 있는 구조와, 하단을 지면(또는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충격이나 강풍에도 전혀 쓰러지지 않도록 배려하는데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소작업의 받침대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데 부가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횡간부와, 이 횡간부의 양단을 아래로 꺾은 좌우 양측의 수직부와, 이 수직부 하단의 가로 연결대를 포함하는 한쌍의 지지대, 상기한 한쌍의 지지대에서 양측 횡간부에 구비한 절첩용 힌지기구와, 상기한 한쌍의 지지대에서 양측의 가로 연결대끼리 연결한 절첩기구와, 상기한 한쌍의 지지대에서 수직부의 측편에 마련한 연속 연결기구로 구성하여 벌려진 채 입설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절첩식 휀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연결 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고정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접은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경첩 부분의 확대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절첩 기구를 보인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절첩 기구를 보인 측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9도는 종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10도는 종래의 또 다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2 : 가로 연결대
3 : 힌지기구 4 : 절첩 기구
5 : 표지판 6 : 앵커 보울트
11 : 횡간부 12 : 수직부
13 : 취부편 14 : 구멍
15 : 걸고리 16 : 링
17 : 연결기구 18 : 고리
21 : 후크 31 : 경첩
41 : 버팀 절첩편 42 : 걸림 절첩편
43 : 걸이편 44 : 중간 연결대
45 : 힌지 구멍
본 고안은 산업 건설 현장에서 임의적으로 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휀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절첩식으로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 도로 건설 현장, 혹은 지하철 공사 현장등에서 자재를 쌓아 놓기 위해 지역을 구획할 때, 또는 통행로를 확보하기 위해 지역을 임의적으로 구분해야할 필요가 있을 때, 그 외에 무분별한 출입을 막고 선별 출입이 필요할때 등 여러가지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간이 휀스이다.
종래의 간이 휀스로는 제9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A자 모양의 지지대(a1)를 양측으로 놓고, 이들의 상,하(또는 상,중,하)를 횡간봉(a2)으로 연결하고, 횡간봉(a2)의 사이에 평판 플레이트(a3)를 부착한 후, 자체적으로 입설될 수 있도록 한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간이 휀스는 운반 보관시 큰 면적을 차지하고,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으며, 또 이러한 단점 때문에 상기와 같은 구조 전체를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도 있으나 이 역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없다는 단점, 부품을 유실할 염려가 있는 단점, 구조가 약해지고 충격에 약해진다는 또 다른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제10도와 같은 절첩식 간이 휀스(실용신안 공게 제96-29031호 및 제 96-29032)가 제공되었다.
즉, 제10도의 간이 휀스는 휀스의 일측편의 ㅂ자 지지대(b1)와, 또 다른 H자형 지지대(b2)의 상단부를 힌지식으로 연결하되, 힌지부의 구조가 양쪽 지지대(b1)(b2)의 수직부에서 돌설한 유지편(b3)에 의해 힌지 결합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힌지 구조가 매우 약한 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간이 휀스들은 지지대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고소작업의 받침대로 사용한다든가 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없이 단순한 입설자세만 유지할 뿐이며, 또 강풍이 불 때 휀스가 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이 단순히 무거운 모래자루 등을 올려 놓는데 불과하고, 또 휀스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열하는 예가 대부분이나 이들을 연속적으로 결속하여 주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철사나 끈등으로 묶어주어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힌지식 절첩구조는 힌지가 양측 지지대의 사이에서 대칭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측 지지대의 상단으로 부터 다른쪽 지지대를 벌려주는 형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어느 한쪽으로 방향성을 가진 채 입설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이는 휀스가 균형잡힌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 자세이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휀스를 설치하되, 분해 조립이 없이 설치가 간단하도록 하는 한편,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고, 또한 양측의 지지대를 각각 일체형으로 하여 지지력이 크게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특히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상호 체결할 수 있는 구조와, 하단을 지면(또는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충격이나 강풍에도 전혀 쓰러지지 않도록 배려하는데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고소작업의 받침대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데 부가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횡간부와, 이 횡간부의 양단을 아래로 꺽은 좌우 양측의 수직부와, 이 수직부 하단의 가로 연결대를 포함하는 한쌍의 지지대, 상기한 한쌍의 지지대에서 양측 횡간부에 구비한 절첩용 힌지기구와, 상기한 한쌍의 지지대에서 양측의 가로 연결대끼리 연결한 절첩기구와, 상기한 한쌍의 지지대에서 수직부의 측편에 마련한 연속 연결기구로 구성하여 벌려진 채 입설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휀스는 한쌍의 지지대(1)를 필요로 하며, 이 지지대는 횡간부(11)와, 이 횡간부(11)의 양측을 아래로 꺾은 수직부(12)가 ㄷ자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며, 또한 양측 수직부(12)의 사이에는 수직부(12)의 하단을 관통한 채 연결된 가로 연결대(2)가 일체화 되어 있는 것이며, 여기에서는 힌지기구(3)와, 절첩기구(4)와, 연속 연결기구(17)가 구비되어 있다.
양측 지지대(1)는 각각의 수직부(12)가 아래로 가도록 입설한 상태에서 서로의 횡간부(11)를 나란히 밀착시키고, 그 사이를 힌지기구(3)로 연결한 것이며, 이때의 힌지기구(3)는 제5도 도면에서 보듯이 한쌍의 경첩(31)으로써 양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양측 지지대(1)는 경첩(31)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며, 이때 상기한 양측 지지대(1)의 가로 연결대(2)에는 서로를 연결한 채 임의의 길이만큼만 벌어지고, 또 대칭적으로 벌어지게 하는 절첩기구(4)가 연결된다.
즉, 절첩기구(4)는 제6도 및 제7도 도면에서 보듯이 일측 지지대(1)의 가로 연결대(2)에 꿰어 회동이 가능한 버팀 절첩편(41)과, 타측의 가로 연결대(2)에 꿰어 회동이 가능한 걸림 절첩편(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버팀 절첩편(41)과 걸림 절첩편(42)의 끝단은 힌지구멍(45)으로 연결된다.
이들 버팀 절첩편(41)과 걸림 절첩편(42)은 서로의 길이가 같아서 서로 겹쳐지면 거의 수직의 상태가 되고, 서로 펼쳐졌을 때는 수평이 되는 바, 수평이 되었을 때는 더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걸림 절첩편(42)의 윗쪽에 형성된 걸이편(43)이 버팀 절첩편(41)에 걸쳐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버팀 절첩편(41)과 걸림 절첩편(42)으로 이루어진 절첩기구(4)는 좌,우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의 힌지구멍에는 양측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중간 연결대(44)가 끼워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절첩기구(4)에는 제1도 또는 제4도 도면에서 보듯이 후크(21)가 구비되어 있어 휀스를 접었을 때, 펼쳐지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어있다.
본 고안의 연속 연결기구(17)는 제2도 및 그 확대도에 각각의 실시예를 볼 수 있다.
즉, 상기한 지지대(1)의 수직부(12)에는 제2도 도면의 좌측 확대도에서와 같이 다음의 지지대(1)를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반복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되, 일측 수직부(12)의 하단에는 윗쪽을 향한 걸고리(15)를 마련하고, 타측 수직부(12)의 하단에는 링(16)을 마련하여 서로 끼울 수 있도록 한 후, 상기한 걸고리(15)에 나비 너트(15a)를 채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걸고리(15)와 링(16)을 연속하여 끼워 나가면 다수의 휀스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되, 상호 체결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연결기구(17)는 제2도의 우측 확대도에서 보듯이 강선부재로 만들어진 고리(18)를 채택하되, 이때의 고리(18)는 일측 수직부(12)의 하단에 1회이상 감아서 빠지지 않도록 한 권취부(18a)와, 다른 휀스의 수직부(12)에 걸어 줄 수 있는 고리부(18b)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한 지지대(1)의 양측 수직부(12)에는 제1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표지판(5)을 고정하기 위해 상단 안쪽에 취부편(13)이 돌설되어 있고, 상기한 지지대(1)의 수직부(12) 하단에는 제3도 도면에서 보듯이 앵커 보울트(6), 통과용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휀스 전체를 바닥에 고정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7은 지면, 8은 받침판재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휀스의 절첩 방법을 보면 양측 지지대(1)의 수직부(12)를 각각 외측으로 벌려 절첩 기구(4)가 펼쳐지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본 고안 휀스의 지지대(1)는 상측 횡간부(11) 사이에 경첩(31)이 있기 때문에 양측으로 벌어지는 상태가 동일하고, 또 절첩 기구(4)의 중간 연결대(44)를 눌러 완전히 펼쳤을 때 걸림 절첩편(42)과 버팀 절첩편(41)은 제7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걸림 절첩편(42)의 걸이편(43)이 버팀 절첩편(41)에 걸쳐져 더 이상 아래로 처지지 않으면서 양측 수직부(12)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펼쳐진 본 고안의 휀스는 제2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의 걸고리(15)와 타측의 링(16)을 서로 끼운 후, 나비 너트(15a)로 고정하면서 계속 연결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강선부재의 고리(18)를 채택하여 상호 결속하므로써 길이 방향으로 연속 반복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 제3도 도면에서 보듯이 각각의 휀스는 앵커 보울트(6)를 수직부(12)의 구멍(14)으로 박아 지면(7)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강풍이나 외부 충격에도 쓰러지지 않으며, 또 처음에 입설시킨 위치를 이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걸고리(15)와 링(16)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연속 반복하여 나열된 상태가 미려하게 된다.
또 굳이 앵커 보울트(6)로써 고정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양측 수직부(12)의 가로 연결대(2)와 그 사이의 중간 연결대(44) 위에 모래주머니등 무거운 물건을 올려 단속할 수 있으며, 본 고안 휀스의 표지판(5)은 제1도 도면에서 보듯이 수직부(12)의 안쪽에 마련한 취부편(13)에 나사로써 표지판(5)을 견고히 부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착탈이 가능함은 물론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안정되고, 수명이 오래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된 휀스를 접을 때는 제4도 도면에서 보듯이 절첩 기구(4)의 중간 연결대(44)를 들어 올리면 양측의 걸림 절첩편(42)과, 버팀 절첩편(41)이 위로 회동되면서 접히고, 접힌 상태는 양측 지지대(1)가 서로 완전히 밀착되기 때문에 부피가 작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일측 가로 연결대(2)에 마련된 후크(21)를 근접된 반대쪽의 가로 연결대(2)에 걸어주면 다시 펼쳐지지 않으므로 매우 간단하여 운반 취급 및 보관에 용이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휀스는 비교적 튼튼한 파이프를 꺽어 형성한 지지대가 좌,우 대칭형으로 버티어 지기 때문에 매우 견고하다, 따라서 제8도 도면에서 보듯이 둘 이상 여러개를 측방향으로 나열하여 펼친 후, 그 위에 받침판재(8)를 올려 놓으면 높은 위치의 고소(高所)작업용으로 매우 적당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측에 경첩을 부착하여 양측 지지대(1)를 절첩식으로 구성하되,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매우 안정된 상태로 입설될 뿐만 아니라 지지력이 양호하여 고소작업의 받침다리로 사용할 수도 있고, 특히 걸고리(15)와 링(16)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상호 체결할 수 있는 구조와, 앵커 보울트로서 하단을 지면(또는 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있기 때문에 충격이나 강풍에도 전혀 쓰러지지 않는 것이다.

Claims (10)

  1. 횡간부(11)와, 이 횡간부(11)의 양단을 아래로 꺽은 좌우 양측의 수직부(12)와, 이 수직부(12) 하단의 가로 연결대(2)를 포함하는 한쌍의 지지대(1), 상기한 한쌍의 지지대(1)에서 양측 횡간부(11)에 구비한 절첩용 힌지기구(3)와, 상기한 한쌍의 지지대(1)에서 양측의 가로 연결대(2)끼리 연결한 절첩기구(4)와, 상기한 한쌍의 지지대(1)에서 수직부(12)의 측편에 마련한 연속 연결기구(17)로 구성하여 벌려진 채 입설 가능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힌지기구(3)는 좌,우 양측에 부착한 한쌍의 경첩(31)으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첩 기구(4)는 일측 지지대(1)의 가로 연결대(2)에 꿰어 회동이 가능한 버팀 절첩편(41)과, 타측의 가로 연결대(2)에 꿰어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끝단에 걸이편(43)을 보유한 걸림 절첩편(42)을 마련한 후, 상기한 버팀 절첩편(41)과 걸림 절첩편(42)의 끝단을 힌지구멍(45)으로 연결하여 이들이 펼쳐졌을 때 걸림 절첩편(42)의 걸이편(43)이 버팀 절첩편(41)의 윗단에 걸려 더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첩기구(4)는 일측의 가로 연결대(2)에 후크(21)를 마련하여 펼쳐지지 못하도록 단속 가능케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첩 기구(4)는 일측 지지대(1)의 가로 연결대(2)와 타측 지지대(1)의 가로 연결대(2) 사이에 마련하되, 좌,우 양측을 대칭형으로 하고, 양측 힌지구멍(45)에 중간 연결대(44)를 끼워 양쪽이 동시에 절첩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기구(17)는 일측 수직부(12)의 하단에 마련한 걸고리(15)와, 또 다른 휀스의 수직부(12) 하단에 마련한 링(16)으로 구성하여 서로 끼워 건후 나비너트(15a)로 고정하여 견고히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기구(17)는 한쌍의 지지대(1)에서 사방의 수직부(12)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강선부재를 절곡하여 형성한 고리(18)를 마련하여 또 다른 휀스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리(18)는 일측 수직부(12)에서 빠지지 않도록 반복 권취한 권취부(18a)와, 타측 수직부(12)에 걸어줄 수 있는 고리부(18b)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대(1)의 양측 수직부(12)는 표지판(5)을 고정하기 위해 상단 안쪽에 취부편(13)을 돌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대(1)의 수직부(12)는 바닥에 고정하기 위해 그 하단에 앵커 보울트(6) 통과용 구멍(14)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휀스.
KR2019970003604U 1996-11-04 1997-02-28 절첩식 휀스 KR200150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604U KR200150909Y1 (ko) 1996-11-04 1997-02-28 절첩식 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38239 1996-11-04
KR201996038239 1996-11-04
KR19960038239 1996-11-04
KR2019970003604U KR200150909Y1 (ko) 1996-11-04 1997-02-28 절첩식 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58U KR19980031958U (ko) 1998-08-17
KR200150909Y1 true KR200150909Y1 (ko) 1999-07-15

Family

ID=6972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604U KR200150909Y1 (ko) 1996-11-04 1997-02-28 절첩식 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2798A1 (en) * 2014-08-05 2016-02-10 Sinthesi Engineering S.A.S. di Covini Giordano & C. Barr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82798A1 (en) * 2014-08-05 2016-02-10 Sinthesi Engineering S.A.S. di Covini Giordano & C. B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58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165B2 (en) Portable enclosure
US7350532B2 (en) Portable collapsible tent
JP5367103B2 (ja) 展開式衣服フレーム
US5275188A (en) Modified folding tent
US3874398A (en) Lightweight portable ice fishing shelter frame
NZ289754A (en) Collapsible shelter with trusses collapsible in scissors configuration for a lowered profile
US8720461B2 (en) Collapsible portable shelter
WO2005079303A2 (en) Self-locking collapsible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EP2385191A1 (en) Covering tent with foldable tunnel structure
KR20130111959A (ko) 전개 가능한 쉘터 구조물
US3366381A (en) Collapsible hurdle
US1599213A (en) Sixte aemand coupal
US20050205124A1 (en) Collapsible shelter having a reinforced truss and telescoping leg
US20030000563A1 (en) Construction frame
KR200150909Y1 (ko) 절첩식 휀스
CN109154163B (zh) 低型面蛇屏障
JPH05507977A (ja) アーチ形構造物
KR101285130B1 (ko) 유격 없이 견고한 대형 캐노피
WO1989007696A1 (en) Collapsible frameworks for free standing awnings
US6056131A (en) Fold away support including a plurality of boom members joined by flexible linking structure
US2084524A (en) Tent frame construction
WO2006081607A1 (en) Hammock stand
US11891830B2 (en) Pop up canopy
JPH08447Y2 (ja) すごもりテント
KR200372201Y1 (ko) 접이식 텐트 지주의 접이식 바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