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5200A - 보호 쉴드용 위치결정 조립체와 위치결정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보호 쉴드용 위치결정 조립체와 위치결정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5200A
KR20090125200A KR20097022375A KR20097022375A KR20090125200A KR 20090125200 A KR20090125200 A KR 20090125200A KR 20097022375 A KR20097022375 A KR 20097022375A KR 20097022375 A KR20097022375 A KR 20097022375A KR 20090125200 A KR20090125200 A KR 20090125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device
band
elongate member
sleeve
fi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8361B1 (ko
Inventor
켄네쓰 씨. 업톤
티모씨 디. 셀리스
데이비드 에이. 하리스
사무엘 비. 프라이버거
데니 이. 윈터스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7894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12520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12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4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fire or other external sources of extreme hea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4Cable-end sealings
    • H02G15/043Cable-end sealings with end caps, e.g. sleeve closed at one e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79Spaced wall tube or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원형이며 중공의 내측 전기 컨덕터(210)와 외측 전기 컨덕터(220)를 구비한 다목적 케이블(300)이 제공된다. 이 다목적 케이블(200)은 또한 상기 내측 전기 컨덕터와 외측 전기 컨덕터를 분리시키는 유전체 재료로 된 제 1 층(230)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전기 컨덕터는 유전체 재료로 된 제 2 층(240)에 의해 커버되고, 내측 전기 컨덕터(210)는 유전체 재료로 된 상기 제 1 층(23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 다목적 케이블(200)은 상기 내측 전기 컨덕터(210)의 내측에 수용된 제 1 광학 케이블(31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내측 전기 컨덕터(210)와 상기 외측 전기 컨덕터(220) 뿐만 아니라 유전체 재료의 제 1 층(230)과 제 2 층(240)이 상기 제 1 광학 케이블(310)을 수용하고 쉴드하도록 사용되고, 그리고 내측 전기 컨덕터(210)와 외측 전기 컨덕터(220)는 동력 및/또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Figure 112009065442329-PCT00001
세장형 부재, 위치결정 장치, 밴드, 탄성 핑거부, 환형 주름부, 보호용 슬리 브, 와이어링 하네스, 보호용 쉴드.

Description

보호 쉴드용 위치결정 조립체와 위치결정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PROTECTION SHIELD POSITIONING ASSEMBLY AND POSITIONING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USE}
본 발명은 센서 또는 여러 대상을 커버하는 소정의 위치에 보호용 슬리브나 여러 세장형 물품을 위치시키고 유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작동과 성능을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산소 센서처럼, 자동차 분야에 사용되는 센서는 흔히 차량의 엔진 격실 내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 격실 내에 장착된 상기 센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에 강한 복사열, 마모 및 지속적인 진동이 발생되는 거친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거친 환경을 고려하여, 진동을 감쇠할 수 있고,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복사열을 반사시킬 수 있는 보호용 슬리브에 의하여 비교적 정밀한 센서를 커버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슬리브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펠트와 같은 부직포로 만들어진 내측 감쇠층을 구비한 세장형 튜브로 종종 이루어진다. 내측 감쇠층은 보강층이 적층된 알루미늄 포일층으로 이루어진 반사층에 의해 둘러싸여지며, 상기 보강층은 예를 들면 폴리머 필라멘트나 폴리머 시트재로 만들어진 직물 스크림(woven scrim)이다.
보호용 슬리브 특성과 상기 슬리브의 주변 상황 때문에, 슬리브를 필요한 위 치에 신뢰성 있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센서의 설치와 수리를 위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도 있는 방식으로 슬리브를 센서에 부착하는 것은 어렵다. 접착제, 테이프 및 마찰식 끼워맞춤(frictional fits)이 부착을 위해 활용되지만, 이들 모든 부착 방법은 여러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센서에 대해 접착제로 부착하는 것은 대체로 안정적이긴 하지만, 슬리브를 센서에 영구적으로 부착시킨다. 결과적으로, 이 방법에 의하면 센서를 수리하거나 슬리브를 재사용하기 위해 슬리브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게다가, 상기 엔진 격실 내에 있는 센서와 이 센서의 보호용 슬리브가 직면하게 되는 열과 진동을 고려한다면 테이프와 마찰식 끼워맞춤은 신뢰도가 낮으며 적합하지도 않다.
본 발명은 제 1 세장형 부재를 제 2 세장형 부재상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2 세장형 부재는 제 1 세장형 부재를 통해 뻗어있는 보어 내에 위치된다. 위치결정 장치는 중앙 공간을 둘러싸는 밴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탄성 핑거부는 밴드에 부착된다. 각각의 핑거부는 밴드에 부착된 제 1 단부와 중앙 공간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제 2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중앙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제 2 세장형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밴드와 핑거부는, 제 2 세장형 부재를 따라 뻗어있는 밴드에 힘이 가해질 때 제 2 세장형 부재를 따라 소정의 위치까지 미끄럼이동될 수 있다. 밴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힘은 반드시 핑거부와 제 2 세장형 부재 사이의 저항력을 극복할 정도이어야 한다. 핑거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외력을 받지 않을 경우 제 2 세장형 부재와 강제 결합되고 밴드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킨다. 밴드를 제 2 세장형 부재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밴드는 상기 제 1 세장형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밴드는 길게 형성되고 원형의 외곽선을 가지며 테이퍼질 수 있다. 밴드는 제 1 세장형 부재의 보어 내에 또는 제 1 세장형 부재의 외부면 상에 상호끼워맞춤(interfit)되도록 크기가 형성된다. 림(rim)은 밴드에 부착되고 상기 밴드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있다. 림은 제 1 세장형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실제 사용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와이어링 하네스와 연결된 센서와 관련하여 보호용 쉴드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체는 보호용 쉴드는 포함하고, 상기 보호용 쉴드는 센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보어; 센서로부터 그리고 열 보호용 쉴드의 보어를 통과하여 외측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위치될 수 있는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는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보호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및,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보호용 쉴드를 상기 하네스 슬리브상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연결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중앙 공간과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탄성 핑거부를 구비한 환형 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핑거부는 밴드에 부착된 제 1 단부와 상기 중앙 공간 쪽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방법은, 튜브형의 보호용 쉴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결정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결정 장치를 보호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보호용 쉴드를 위치결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보호용 쉴드를 보호 위치에 탈착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를 밴드의 중앙 공간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밴드를 열 보호용 쉴드와 결합되는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 상에서 미끄럼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밴드에 축방향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밴드가 미끄럼이동하면 핑거부의 제 2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와 구부러질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핑거부의 제 2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외력을 받지 않을 경우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와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밴드와 보호용 쉴드를 보호 위치에 유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조립체의 분해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의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 도;
도 6은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위치결정 장치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와 쉴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조립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및
도 13은 조립체와 함께 사용된 위치결정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의 도면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위치결정 장치 조립체(10)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 조립체는 제 1 세장형 부재를 위치결정하여 유지하거나 지지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 1 세장형 부재는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면 마모 보호용 쉴드, 음파 보호용 쉴드, EMI 보호용 쉴드 또는 열 즉 고온 보호용 쉴드로서 표현되며, 이하에서는,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 격실(16) 내에 장착된 센서(14) 상의 센서 슬리브(12)라고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슬리브(12)는 본 명세서에서 튜브(18)라고도 지칭되는 세장형의 튜브형 쉴드로 이루어지며, 이 튜브형 쉴드는 센서(1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보어(20)를 구비한다.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없이 단순히 예를 들자면, 튜브(18)는 진동 감쇠층(22)과 이 감쇠층 외측에 위치한 반사층(24)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14), 예를 들면 산소 센서는 와이어링 하네스(26)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 생략)와 연결되며, 엔진의 작동과 성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통해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와이어링 하네스(26)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26)의 길이방향을 따라 뻗어있는 세장형 보호용 하네스 슬리브(28)로서 표현되는 제 2 세장형 부재에 의해 커버된다.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는 압출되거나, 주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임의의 재료 즉 폴리머 재료와 같은 패브릭으로써 제조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예를 들어, 반경방향의 강성과 굽힘 가요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뻗어있는 환형 주름부(30)를 구비한 것이 예로서 설명된다.
위치결정 장치 조립체(10)는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와 위치결정 장치(32)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장치(32)는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와 센서 슬리브(12) 양자와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비교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때,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는 센서 슬리브(12)의 보어(20)내에 수용된다. 센서 슬리브(12)는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센서(14)를 둘러싸도록 위치되어 센서(14)에 대한 보호 기능, 예를 들면 열 등을 차단하는 보호 기능을 제공한다. 위치결정 장치(32)는 하네스 슬리브(28)와 결합되어 있는 동안, 충분한 축방향 힘이 가해지면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의 외부면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된다. 위치결정 장치(32)는 센서 슬리브(12)에 미끄러져 결합되고, 예를 들면 센서 슬리브(12)의 외부면에 걸쳐 위치하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슬리브(12)의 보어(2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위치결정 장치(32)가 하네스 슬리브(28) 및 센서 슬리브(12) 양자와 동시에 결합되면 센서 슬리브(12)를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상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며,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는, 센서(14)를 둘러싸서 보호하고 게다가 추가 보호 기능을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에 제공하는 센서 슬리브(12)와 동축이 된다. 게다가, 위치결정 장치(32)는 파스너, 예를 들면 스테이플이나 리벳, 접착제 및/또는 용접 접합부와 같은 파스너를 사용함으로써 센서 슬리브(12)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위치결정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장치(32)는 내열성 폴리머, 예를 들면 나일론과 같은 가요성 탄성재로 형성되며, 중앙 공간(36)을 둘러싸는 밴드(34)를 포함한다. 밴드(34)는 중앙 축선(35) 을 따라서 길게 뻗어있고 원형의 외곽선을 가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슬리브(12)의 원통형 보어(2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위치결정 장치(32)가 예를 들면 금속 및 복합재를 포함한 임의의 적당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치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인 가요성의 탄성 핑거부(38)를 구비하며, 상기 가요성의 탄성 핑거부(32)는 밴드(34)의 일단부 부근에서 중앙 공간(36) 쪽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뻗어있고, 본 명세서에는 중앙 축선(35) 쪽으로 뻗어있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핑거부(38)는 예컨대 웨지형이거나 대체로 파이형이며 밴드(34)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웨지형상의 간극(37)이 상기 핑거부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웨지 형상의 간극(37)은 웨지형상의 핑거부(38)의 크기와 형상면에서 유사하게 되어 있지만, 이들 간극은 특정 경우에 요구되는 성능 기준에 따라 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각각의 핑거부(38)는 자유단(38a)을 구비하며 이 자유단은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도 1 및 도 2 참조) 또는 상기 자유단과 결합될 다른 세장형 물품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가 대체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하며 볼록한 외부면을 갖는다면, 자유단(38a)은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의 외부면에 의해 형성된 원호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직경의 원호가 형성된 상보적인 오목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핑거부(38)는 적당한 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대체로 파이형이 아닌 직사각형이나 곡선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핑거부(38)는 자유단(38a)의 반대쪽 단부에서 캔틸레버 스프링과 같은 방식으로 밴드(34)에 고정된다. 캔틸레버 작용은, 핑거부의 단부(38a)가 대체로 위치결정 장치(32)의 중앙 축선(35)을 따라서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위치결정 장치(32)를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가 핑거부(38)와 결합되어 사용될 때,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가 슬리브(28)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뻗어있는 환형 주름부(30)를 구비한다면 특히 유리하게 된다. 환형 주름부(30)에는 원주방향으로 뻗어있는 환형 크레스트(crest, 30a)와 원주방향으로 뻗어있는 환형 채널, 즉 트로프(troughs, 30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주름부는 위치결정 장치(32)의 신뢰할만한 위치결정을 보장하는 자연스러운 결합 및 잠김 특성을 핑거부(38)에 제공하며,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를 따라서 축선방향으로 상기 밴드(34)에 힘이 가해질 때 위치결정 장치(3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충분한 크기로 밴드(34)에 가해진 이러한 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는 동안에 캔틸레버 방식으로 핑거부(38)를 밴드(34)로부터 축방향으로 편향시켜, 단부(38a)가 크레스트(30a)를 타고 넘어, 인접한 환형 주름부(30) 사이 및 트로프(30b)에 탄성적으로 스냅됨으로써, 위치결정 장치(32)가 새로운 위치에 위치되게 한다. 물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만약 위치결정 장치(32)가 그 조립된 위치로부터 분해된 위치 쪽으로 센서(14)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고 있 다면, 핑거부(38)는 밴드(34)를 향해 축방향 내측으로 편향될 것이다. 주름부(30)가 없다면, 상기 핑거부의 단부와 이들이 결합되는 상기 세장형 물품 사이의 마찰력에 의존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핑거부(38)는 보호용 슬리브가 없으면 와이어링 하네스와 직접 결합될 수 있으므로, 세장형 물품이 하네스 슬리브(28)일 필요가 없다.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든, 위치결정 장치(32)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은 핑거부(38)와 이들이 결합되는 임의의 세장형 구성요소 사이의 저항력을 극복할 정도로 충분해야 한다. 핑거부(38)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에 대한 저항력은 상기 핑거부(38)의 길이, 총 크기, 갯수 및 타입 및/또는 제조시 사용된 재료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위치결정 장치(32)는 밴드(34)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있는 림(4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림(40)은 밴드(34)의 단부 중 핑거부(38)가 위치한 단부와 동일한 단부에 위치한다. 위치결정 장치(32)가 센서 슬리브(12)에 대하여 완전 조립된 위치까지 가압될 때 림(40)은 멈춤부로서 작용한다.
도 4는 상기 위치결정 장치(3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위치결정 장치(3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도면에서 그 핑거부(38)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인접한 핑거부(38) 사이에 간극이 거의 없게 된다. 대신에, 상기 인접한 핑거부(38)는 슬릿(41)에 의해 서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데, 상기 슬릿의 폭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대체로 일정하다.
도 5는 위치결정 장치(4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위치결정 장치(42)는 복수의 핑거부(46)가 부착된 세장형의 테이퍼진 밴드(44)를 포함한다. 밴드(44)는 중앙 공간(48)을 형성하며 이 공간으로 핑거부(46)가 뻗어있다. 핑거부(46)는 밴드(44) 주위에서 서로 인접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선택적으로, 상기 핑거부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핑거부(46)의 단부(46a)는, 사용시 이들이 결합되는 세장형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여기서는 원호)으로 되어 있다. 림(50)은 밴드(44)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있으며, 상기 림(50)은 밴드(44)의 단부 중 핑거부(46) 반대쪽 단부에 위치된다.
도 6은 위치결정 장치(5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위치결정 장치(52)는 탄성의 가요성 핑거부(56) 복수개가 부착된 밴드(54)를 포함한다. 밴드(54)는 상기 기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세장형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중앙 공간(58)을 형성하며 이 중앙 공간으로 핑거부(56)가 뻗어있다. 핑거부(56)는 서로 이격됨으로써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웨지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위치결정 장치(6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며, 이 실시예에서 위치결정 장치(60)는 복수 개이고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전체 길이의 핑거부(64)가 부착되는 밴드(62)를 포함하나, 보다 짧은 길이의 부분 핑거부(65)가 전체 길이의 핑거부(65) 사이에서 뻗어있어 전체 길이의 핑거부(64)의 자유단(66)에 인접한 전체 길이의 핑거부(64) 사이에서 부분 웨지 형상의 간극(67)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분 핑거 부(65)는 본 명세서에서 전체 길이의 핑거부(64)와 그 폭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 부분 핑거부(65)의 폭은 특정 용도에 따라서 전체 길이의 핑거부(64)보다 광폭이거나 협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를 위치결정 장치(60)에 대해 대체로 동심축 상인 위치관계를 계속 유지시키면서, 위치결정 장치(60)가 관련 하네스 슬리브(28)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끝부분이 잘린 부분 핑거부(65)는 소정 길이로 내측으로 뻗어서 끝부분이 잘린 부분 핑거부(65)가 상기 핑거부(65)를 통과해 수용되는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에 대해 약간의 간극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8)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는 이격된 핑거부(64)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약간의 헐거운 끼워맞춤이 바람직하지만, 보다 짧은 핑거부(65)와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28), 즉 상기 핑거부를 통해 수용된 다른 세장형 부재 사이에 라인투라인 끼워맞춤(line-to-line fit)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 밖에, 위치결정 장치(60)는 도 3과 관련하여 상기 기재한 바와 대체로 동일하다.
도 9는 위치결정 장치(6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며, 이 실시예에서 위치결정 장치(68)는 복수 개이며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전체 길이의 핑거부(72)가 부착된 원뿔형의 테이퍼진 밴드(7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위치결정 장치(68)는 전체 길이의 핑거부(74) 사이에서 뻗어있는 보다 짧은 길이의 부분 핑거부(73)를 구비하여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부분 웨지 형상의 간극(74)을 전체 길이의 핑거부(72) 사이에서 형성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과 관련한 앞선 설명을 감안하여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위치결정 장치(7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며, 이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76)는 대체로 평평한 밴드(77)를 포함하며, 이 밴드에 복수 개이며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전체 길이의 핑거부(78)가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위치결정 장치(76)는 전체 길이의 핑거부(78) 사이에서 뻗어있는 보다 짧은 길이의 부분 핑거부(79)를 구비하여 도 7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부분 웨지 형상의 공간(80)을 전체 길이의 핑거부(78) 사이에 형성한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9와 관련한 앞선 설명을 감안하여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위치결정 장치(8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세장형 밴드를 구비한 여러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전체 길이의 핑거부(83)와 부분 길이의 핑거부(85)를 교호순(alternating sequence)으로 구비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 장치(82)의 밴드(84)는 예컨대 그 형상이 대체로 타원형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따라서 밴드는, 바람직하게 상기 밴드(84)의 외부면에 상보적인 크기와 형상의 타원형 보어(88)를 갖는 센서 슬리브(86)와 연결된 채로 사용되어, 상기 밴드(84)가 타원형 보어(88)에 바람직하게는 억지끼워맞춤으로 용이하게 수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밴드(84)가 타원형인 것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반경방향 단면은 필요에 따라 정사각형 등과 같 이 원형이 아닌 임의의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위치결정 장치(9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고, 이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인 탄성의 가요성 핑거부(94)가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밴드(92)를 포함하나, 상기 위치결정 장치(90)는 보호용 센서 슬리브(96)와 일체로 형성된다. 센서 슬리브(96)는 용도에 따라, 임의의 적당한 길이와 외곽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센서 슬리브(96)는 임의의 적당한 재료로 된 내측 보호층(98)을 구비하여 진동, 마모, 음파, EMI 및/또는 열의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보호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위치결정 장치(90)와 그 관련 부분은 도 1 내지 도 4,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하며,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위치결정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위치결정 장치(100)의 중앙 공간(104)으로 반경방향으로 뻗어있는 복수의 핑거부(102, 103)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뻗어져 단일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핑거부(102, 103)와 달리, 핑거부(102)는 하나의 개구(105)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축선을 향해 뻗어있는 한편, 이 개구(105)와 이격된 다른 하나의 개구(107)를 형성하도록 별도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뻗어있기도 하다. 이처럼, 별개의 개구(105, 107)를 통하여 위치결정 장치(100)가 한 쌍의 별개의 와이어 하네스(106)와 같은 한 쌍의 세장형 부재를 상기 위치결정 장치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위치결정 장치의 형상, 크기 및 구성은 여러가지 상이한 용도에 부합되도록 다양하게 변경되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단일의 와이어 하네스, 한 쌍의 와이어 하네스, 또는 수개의 와이어 하네스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개 이상의 와이어 하네스가 상기 위치결정 장치에 수용된다면, 하나 또는 수개의 핑거부는 복수의 와이어링 하네스를 수용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많은 수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여러 축선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위치결정 장치의 핑거부는 임의의 적당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 핑거부나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분 핑거부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위치결정 장치와 위치결정 조립체는 예를 들면 와이어링 하네스와 같은 세장형 물품 상의 소정의 위치에 보호용 슬리브 및 기타 물품을 체결하는 데 있어 수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 없이 예를 들자면, 이들 실시예는 전기 센서와 같은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슬리브를 소정의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 및/또는 유지시키지만, 보호용 슬리브를 재위치결정시키기 위해 세장형 물품을 따라서 용이하게 이동되기도 한다. 이런 특징은, 보호용 슬리브가 구성요소의 정비를 위해 물품으로부터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슬리브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상기 구성요소를 보호하도록 용이하게 재위치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슬리브가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위치결정 조립체 또는 위치결정 장치는 보호될 구성요소, 즉 와이어링 하네스, 하네스 슬리브 및 구성요소 슬리브를 포함하는 서브조립체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이런 특징은, 보호용 슬리브를 조립하는 단계가 최소화됨에 따라, 서브조립체를 차량에 통합시키는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에 기여한다.
상기 기재에 비추어 본 발명에 대한 여러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확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라면 본 발명은 특징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9)

  1. 제 1 세장형 부재를, 상기 제 1 세장형 부재를 통해 뻗어있는 개구내에 위치된 제 2 세장형 부재상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로서,
    중앙 공간을 둘러싸는 밴드; 및
    상기 밴드에 부착된 제 1 단부와 상기 중앙 공간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탄성 핑거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중앙 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제 2 세장형 부재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와 상기 제 2 세장형 부재 사이의 저항력을 극복하는 데 충분한 힘이 상기 제 2 세장형 부재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상기 밴드에 가해질 때, 상기 제 2 세장형 부재를 따라서 상기 소정의 위치까지 미끄럼이동가능하고,
    상기 힘이 제거될 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세장형 부재와 강제로 결합하고 상기 밴드와 상기 제 1 세장형 부재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원형의 외곽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축선을 따라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제 1 세장형 부재의 상기 보어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위치결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원뿔형으로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에 부착되고 상기 밴드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있는 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림은 상기 제 1 세장형 부재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림은 상기 밴드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일단부의 반대쪽 일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일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웨지 형상이고,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제 2 단부보다 광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 복수의 핑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거의 일정한 폭을 갖는 슬릿이 상기 핑거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핑거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핑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핑거부와 동일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제 2 세장형 부재의 외부면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의 형상은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은 상기 축선에 대해 원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복수의 상기 핑거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수개의 상기 제 2 단부들은 상기 중앙 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제 2 세장형 부재에 대해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들 중 인접한 핑거부는 그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하나 건너 하나씩의 핑거부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와 상기 제 1 세장형 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서로 분리된 축선을 향해 뻗어있는 적어도 한쌍의 핑거부를 구비하여, 한 쌍의 상기 제 2 세장형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서로 분리된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중 어느 한 축선을 향해 뻗어있는 복수의 핑거부와 상기 축선 중 다른 하나의 축선을 향해 뻗어있는 복수의 핑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
  24. 보호용 슬리브를 세장형 부재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위치결정 장치;와 상기 보호용 슬리브를 관통해 뻗어있는 보어 내에 위치결정될 수 있는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중앙 공간을 둘러싸는 밴드; 및
    상기 밴드에 부착된 제 1 단부와, 상기 중앙 공간쪽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탄성 핑거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중앙 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세장형 부재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와 상기 세장형 부재 사이의 저항력을 극복하는 데 충분한 힘이 상기 세장형 부재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서 상기 밴드에 가해질 때, 상기 세장형 부재를 따라서 상기 소정의 위치까지 미끄럼이동가능하고,
    상기 힘이 제거될 때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세장형 부재와 강제로 결합하고 상기 밴드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며, 상기 슬리브를 상기 세장형 부재 상의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는 환형 채널에 의해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환형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서로 인접한 환형 주름부 사이의 상기 환형 채널 중 어느 한 환형 채널 내에 수용되어 상기 밴드와 상기 슬리브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탄성과 가요성을 가져서 상기 밴드에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중앙 축선을 따라서 상기 환형 주름부를 통과하여 상기 위치결정 장치가 상기 세장형 부재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복수의 상기 핑거부를 구비하며 상기 핑거부 중 서로 인접한 핑거부는 서로 그 길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하나 건너 하나씩의 핑거부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복수의 상기 핑거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수개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세장형 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원형의 외곽선을 가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축선을 따라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슬리브의 상기 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원뿔형으로 테이퍼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에 부착되고 상기 밴드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뻗어있는 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림은 상기 슬리브와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림은 상기 밴드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일단부의 반대쪽 일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일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웨지형상이고,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제 2 단부보다 광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 복수의 상기 핑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거의 일정한 폭을 갖는 상기 슬릿이 상기 핑거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 중 서로 인접한 핑거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상기 핑거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4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세장형 부재의 외부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의 형상은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면은 상기 축선에 대해 원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4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와 상기 보호용 슬리브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4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서로 분리된 축선을 향해 뻗어있는 적어도 한 쌍의 핑거부를 구비하여, 한 쌍의 상기 제 2 세장형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서로 분리된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중 어느 한 축선을 향해 뻗어있는 복수의 핑거부와 상기 축선 중 다른 한 축선을 향해 뻗어있는 복수의 핑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장치와 세장형 부재의 결합체.
  48. 와이어링 하네스와 연결된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상기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를 구비한 보호용 쉴드;
    인접한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보호용 쉴드의 상기 보어를 관통하여 뻗어있고,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의 적어도 일 부분을 둘러싸는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 및
    상기 센서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용 쉴드를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장치는 중앙 공간을 둘러싸는 세장형 밴드와, 상기 밴드에 부착된 제 1 단부와 상기 중앙 공간 쪽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탄성 핑거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중앙 공간 내에 수용된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와 결합가능하고,
    상기 밴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는 순수 축방향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를 따라서 상기 소정의 위치까지 미끄럼이동가능하고,
    상기 힘이 제거될 때 상기 제 2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와 강제로 결합하고 상기 밴드와 상기 보호용 슬리브를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와 연결된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조립체.
  49.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연결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으로서,
    중앙 공간과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의 탄성 핑거부를 구비한 환형 밴드를 제공하는 단계;
    튜브형 보호 쉴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연결된 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보호 위치에 상기 튜브형 보호 쉴드를 위치결정시키는 단계;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를 상기 밴드의 상기 중앙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튜브형 보호 쉴드를 상기 보호 위치에서 탈착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튜브형 보호 쉴드를 구비한 상기 밴드를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 상에서 미끄럼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의 탄성 핑거부는 상기 밴드에 부착된 제 1 단부와, 상기 중앙 공간 쪽으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미끄럼이동시키는 단계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의 상기 제 2 단부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상기 밴드에 축선방향의 힘이 가해질 때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와 가요성 있게 결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핑거부의 상기 제 2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힘이 제거될 때 상기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와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튜브형 보호 쉴드를 상기 보호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0. 제 49 항에 있어서, 환형 채널에 대해 서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환형 주름부를 구비한 세장형 하네스 슬리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서로 인접한 환형 주름부 사이의 상기 환형 채널 중 어느 한 환형 채널 내에 수용되어 상기 힘이 제거될 때 상기 밴드와 상기 튜브형 보호 쉴드를 상기 보호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복수의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핑거부 중 이웃하는 핑거부들은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 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하나 건너 하나씩의 핑거부는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3.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복수의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핑거부 중 적어도 수개의 핑거부는 상기 채널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제 2 단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4.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복수의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핑거부 중 서로 인접한 핑거부 사이에 거의 일정한 폭의 슬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5.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복수의 핑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핑거부 중 서로 인접한 핑거부 사이에 간극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와 동일한 형상의 상기 간극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7.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와 상기 튜브형 보호 쉴드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8. 제 49 항에 있어서, 서로 분리된 축선을 향해 뻗어있어 한 쌍의 상기 와이어링 하네스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서로 분리된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적어도 한 쌍의 핑거부를 상기 밴드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중 어느 하나의 축선을 향해 뻗어있는 복수의 핑거부와 상기 축선 중 다른 하나의 축선을 향해 뻗어있는 복수의 핑거부를 상기 밴드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측 하네스 슬리브를 구비한 세장형 와이어링 하네스의 일단부에 부착된 장치를 보호하는 방법.
KR20097022375A 2007-03-27 2008-03-25 보호 쉴드용 위치결정 조립체와 위치결정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1228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91,541 US8263866B2 (en) 2004-09-16 2007-03-27 Protection shield positioning assembly and positioning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use
US11/691,541 2007-03-27
PCT/US2008/058082 WO2008118889A1 (en) 2007-03-27 2008-03-25 Protection shield positioning assembly and positioning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200A true KR20090125200A (ko) 2009-12-03
KR101228361B1 KR101228361B1 (ko) 2013-01-31

Family

ID=3978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22375A KR101228361B1 (ko) 2007-03-27 2008-03-25 보호 쉴드용 위치결정 조립체와 위치결정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8263866B2 (ko)
EP (2) EP2134972B1 (ko)
JP (1) JP5242670B2 (ko)
KR (1) KR101228361B1 (ko)
CN (1) CN101680469B (ko)
WO (1) WO20081188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776A (ko) * 2015-07-06 2018-03-06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일체형 배치 부재를 포함하고 열적 보호 기능을 갖춘 슬리브, 이를 구비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180035887A (ko) * 2015-08-04 2018-04-06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반사성 위치결정 부재를 갖는 써멀 슬리브, 그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37022A (ko) * 2015-08-04 2018-04-10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자동 조정 위치결정 부재를 갖는 써멀 슬리브, 그 어셈블리 및 그와 함께 온도 민감 부재를 보호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3866B2 (en) * 2004-09-16 2012-09-11 Federal-Mogul World Wide, Inc. Protection shield positioning assembly and positioning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use
FR2929460B1 (fr) * 2008-03-27 2010-04-23 Fed Mogul Systems Prot Group Dispositif de protection, notamment pour un element de connexion
US10193321B2 (en) 2009-08-21 2019-01-29 Cmp Products Limited Filler assembly for cable gland
KR101835066B1 (ko) 2009-08-21 2018-03-06 씨엠피 프로덕츠 리미티드 케이블 글랜드를 위한 충전기 조립체
JP5716337B2 (ja) * 2010-09-27 2015-05-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4054137A (ja) * 2012-09-10 2014-03-20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
CN103158147B (zh) * 2013-03-28 2015-06-03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悬臂支撑快速自开合屏蔽罩振动补偿系统及方法
US10840681B2 (en) * 2015-07-30 2020-11-17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hermal sleeve with positioning member,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20170042050A1 (en) * 2015-08-04 2017-02-09 Federal-Mogul Powertrain, Llc Thermal sleeve with reflective positioning member,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10554027B2 (en) 2016-02-03 2020-02-04 Electrolock, Inc. Protective cover for cable components
US10018512B2 (en) 2016-02-05 2018-07-10 Kidd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reventing chaffing between a linear detector cable and a protective outer sheath
US10578013B2 (en) * 2016-05-23 2020-03-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ndable heat shield for simplified servic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788802B2 (ja) * 2017-05-26 2020-11-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
US11047414B2 (en) * 2018-05-10 2021-06-29 Craig Davis Adams Metal lashing plates
EP3702739B1 (de) * 2019-03-01 2021-04-28 Baumer Hübner GmbH Lagerschild und positionsmessvorrichtung mit thermischer positionsstabilität
US11605937B2 (en) * 2020-03-20 2023-03-14 Hubbell Incorporated Wire troughs for inside corners
AT17394U1 (de) * 2020-10-29 2022-03-15 Gebauer & Griller Kabelwerke Ges M B H Kabelanordnung mit gehäuse
US11851010B2 (en) * 2020-12-08 2023-12-26 Federal-Mogul Powertrain Llc Protective, locatable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484A (en) * 1915-06-01 James C Phelps Terminal fitting for electric conduits.
US2087384A (en) * 1935-07-09 1937-07-20 Burndy Engineering Co Inc Cable connecter
US2090747A (en) * 1935-10-03 1937-08-24 Hillside Cable Co Armored electrical cable
US3065292A (en) * 1958-05-22 1962-11-20 Burndy Corp Electrical connector
US3019284A (en) * 1959-12-29 1962-01-30 Burndy Corp Gripping cup to retain a conductor in a connector
US3429596A (en) * 1966-08-15 1969-02-25 D & G Plastic Co Quick-connect coupling assembly
US3710003A (en) * 1971-04-16 1973-01-09 W Channell Connecting block and housing for use in underground residential power distribution
US3934902A (en) * 1973-12-18 1976-01-27 Rca Corporation Connector for a corrugated conduit
DE2617832A1 (de) * 1975-05-02 1976-11-11 Willy Gassert Schnellkupplung zum anschliessen und entfernen einer schlauch- oder rohrleitung fuer gasfoermige oder fluessige medien
US4214147A (en) * 1978-06-19 1980-07-22 Kraver Richard A Electric heating system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pipes to prevent freezing and condensation
US4457544A (en) * 1981-08-13 1984-07-03 Liquid Tight Corporation Connector for flexible electrical conduit
US4485579A (en) * 1983-09-15 1984-12-04 The Hawie Manufacturing Company Rod holder and alignment device
US4679340A (en) * 1985-03-08 1987-07-14 Johansson Gert A Clothing data marker
JPS6251916U (ko) * 1985-09-19 1987-03-31
US4751350A (en) * 1986-11-06 1988-06-14 Raychem Corporation Sealing device and retention member therefor
US4836580A (en) * 1988-03-01 1989-06-06 Scepte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Conduit connector
FR2648210B1 (fr) * 1989-06-07 1991-09-06 Sofanou Sa Element de raccord pour tubes anneles
US5010700A (en) * 1989-06-30 1991-04-30 Earl Blair Roof jack
US5067843A (en) * 1989-09-25 1991-11-26 Nova Wallace B Pulling attachment for flexible conduit
US5113037B1 (en) * 1989-12-13 1996-05-28 King Technology Inc Waterproof wire connector
US5023402A (en) * 1989-12-13 1991-06-11 King Technology Of Missouri, Inc. Waterproof wire connector
US5231785A (en) * 1991-12-23 1993-08-03 Attwood Corporation Fishing rod holder having a flexible clamp for casting and spinning reels
DK0634600T3 (da) * 1993-07-15 1997-10-27 Pma Elektro Ag Forbindelses- og tilslutningsstykke til bølgerør
US5385323A (en) * 1993-10-14 1995-01-31 Garelick; Richard J. Telescoped tubular support members
JPH0829379A (ja) * 1994-07-15 1996-02-02 Tokyo Yogyo Co Ltd 溶融金属中の水素溶解量測定用センサ
DE19540279A1 (de) * 1995-10-28 1997-04-30 Balfo Verwaltungs Anstalt Anschlußstück für Profilrohre, Profilstutzen, Wellschläuche oder dergleichen Stränge
US5669590A (en) * 1995-12-04 1997-09-23 Yazaki Corporation Retaining clip with multiple clamps
US5701887A (en) * 1996-03-18 1997-12-30 Baxter International Inc. Breathing circuit heating element retainer
US5826850A (en) * 1997-02-12 1998-10-27 Chem-Tainer Industries, Inc. Rotatable and transferable stanchion assembly having a releasable lock
US6025559A (en) * 1997-05-21 2000-02-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oisture-resistant spring connector
US6051791A (en) * 1998-06-17 2000-04-18 Tom King Harmony Products, Inc. Waterproof wire connector
US6267871B1 (en) * 1999-02-10 2001-07-31 Edward C. Weakly Apparatus and process for recovering metals from aqueous solutions
DE60138929D1 (de) * 2000-04-19 2009-07-16 Adrian Roger Poulton Anschlussanordnung
NO20002890D0 (no) * 2000-06-07 2000-06-07 R & M Ind Isoleringskappe
WO2001094838A1 (en) 2000-06-07 2001-12-13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ultiple tank cryogenic reservoir and mixed gas supply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6572577B1 (en) * 2000-06-23 2003-06-03 Mcneil-Ppc, Inc. Applicator for catamenial device having improved gripper end
US6423025B1 (en) * 2000-06-30 2002-07-23 Herve Buzot Catamenial applicator having a fingergrip
DE60220017T2 (de) * 2001-01-31 2008-01-10 Long Shot Products Ltd., Loveland Behälter, verschlusskappe und verfahren zum verschliessen einer düsenspitze eines abgabebehälters für härtbare flüssigkeit
US6673032B2 (en) * 2001-03-30 2004-01-06 Mcneil-Ppc, Inc. Applicator having improved gripper end
JP4109070B2 (ja) * 2002-10-02 2008-06-25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ポレ−ション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固定用のワンタッチキャップ
US6752176B1 (en) * 2003-01-08 2004-06-22 Todd Price Adjustable adapter for pipe insulation cladding
US7419194B2 (en) * 2004-06-25 2008-09-02 Rain Bird Corporation Removable flush cap for a multi-diameter tube coupling
US20060054763A1 (en) * 2004-09-16 2006-03-16 Federal-Mogul World Wide, Inc. Heat shield positioning assembly
US8263866B2 (en) * 2004-09-16 2012-09-11 Federal-Mogul World Wide, Inc. Protection shield positioning assembly and positioning device therefor and method of use
US6958449B1 (en) * 2004-09-17 2005-10-25 Actuant Corporation Waterproof twist-on connector for electrical wires
US20090311456A1 (en) * 2008-06-12 2009-12-17 Harris David A Non-woven, self-wrapping thermal slee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2776A (ko) * 2015-07-06 2018-03-06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일체형 배치 부재를 포함하고 열적 보호 기능을 갖춘 슬리브, 이를 구비한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20180035887A (ko) * 2015-08-04 2018-04-06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반사성 위치결정 부재를 갖는 써멀 슬리브, 그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37022A (ko) * 2015-08-04 2018-04-10 페더럴-모걸 파워트레인 엘엘씨 자동 조정 위치결정 부재를 갖는 써멀 슬리브, 그 어셈블리 및 그와 함께 온도 민감 부재를 보호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4972B1 (en) 2014-02-12
EP2134972A4 (en) 2013-01-02
US20120298818A1 (en) 2012-11-29
KR101228361B1 (ko) 2013-01-31
EP2134972A1 (en) 2009-12-23
US11525711B2 (en) 2022-12-13
JP5242670B2 (ja) 2013-07-24
EP2730467A1 (en) 2014-05-14
US20210055138A1 (en) 2021-02-25
US8263866B2 (en) 2012-09-11
WO2008118889A1 (en) 2008-10-02
EP2730467B1 (en) 2015-01-07
JP2010523000A (ja) 2010-07-08
US20150377660A1 (en) 2015-12-31
US10859413B2 (en) 2020-12-08
CN101680469B (zh) 2013-07-03
US20070191755A1 (en) 2007-08-16
WO2008118889A8 (en) 2009-12-23
CN101680469A (zh) 2010-03-24
US9157564B2 (en)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361B1 (ko) 보호 쉴드용 위치결정 조립체와 위치결정 장치 및 그의 사용 방법
US11345112B2 (en) Thermal sleeve with reflective positioning member,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A2580133A1 (en) Heat shield positioning assembly
CN108136978B (zh) 隔热套筒、其组装及保护温度敏感部件的方法
CN108352683B (zh) 具有自保持式定位部件的隔热套筒、其组装及其构造方法
US20230117503A1 (en) Protection shield positioning assembly and positioning device therefore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