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712A -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712A
KR20090123712A KR1020080049919A KR20080049919A KR20090123712A KR 20090123712 A KR20090123712 A KR 20090123712A KR 1020080049919 A KR1020080049919 A KR 1020080049919A KR 20080049919 A KR20080049919 A KR 20080049919A KR 20090123712 A KR20090123712 A KR 20090123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image data
control command
data input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469B1 (ko
Inventor
정강화
Original Assignee
정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강화 filed Critical 정강화
Priority to KR1020080049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46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조명 제어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 입력부, 제어 명령 생성부, 및 조명 장치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 입력부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제어 명령 생성부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며, 조명 장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대상물을 조명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조명 대상물이 위치한 지역의 광환경 및 날씨 변화에 따라 해당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전력 사용을 유도하여 절전 효과 및 조명 장치의 수명 연장을 달성할 수 있고, 인간의 최적 시인성을 유도하여 도시 경관의 아름다움과 쾌적성을 위해 매일 새로운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조명 제어, 경관 조명, 날씨 센서, 친환경 조명, 조도, 휘도

Description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위 광환경 변화에 따라 조명 대상물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각국에서는 점차 도시 경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도시 활동 시간이 야간으로까지 연장되면서 도시 공간에서도 24시간 주야 도시화 현상이 나타나 아름다움과 쾌적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 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로서 조명이 차지하는 역할이 극히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미 도로, 건물, 공원 등과 같은 오픈스페이스 등에 적용되는 도시의 조명은 도시 경관의 일부가 되어 야간에는 도시 경관의 연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대부분의 조명 장치는 조명 연출자가 설정해 놓은 점등순서 및 밝기, 광색에 따라 일정한 시간 동안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일몰 시부터 일출시까지 일정한 밝기(조도, Illuminance)로 도로, 가로, 건축물, 도시구조물, 공원, 광장 등의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기 때문에, 시시각각 변화하는 밤하늘의 자연적 밝기 값을 반영하지 못할 뿐 아니라, 조명 대상물 주변에 다른 건물이 들어서거나 혹은 철거되는 등의 환경 변화 또는, 주변 건물의 밝기 증감에 의한 조명환경의 변화, 그리고 화창하거나 흐리거나 비가 오는 등의 조명 대상물이 위치한 지역의 날씨 변화 등을 반영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주위 환경변화에 상관없이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조명 장치는 항상 조명 연출자가 설정해 놓은 대로 조명을 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될 수 있고, 인간의 시각 인지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조명과 도시 경관의 조화가 이루어 지지 않아 도시 경관의 아름다움과 쾌적성을 해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명 대상물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기구에서 램프의 기능저하 및 결손, 그리고 조명기구가 바람과 건물의 진동 등으로 인하여 조사 방향이 최초 설계시와 상이하게 되어 있는 경우, 현재의 기술로는 조명기구를 하나하나 인력에 의해 검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명 대상물이 위치한 지역의 광환경 및 날씨 변화에 따라 해당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최적의 전력사용을 유도하여 절전효과를 달성하고, 인간의 최적 시인성을 유도하여 도시 경관의 아름다움과 쾌적성을 위해 매일 새로운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명 대상물에 설치된 초기의 조명 상태를 상시 감시하여 경관 조명의 성능저하를 보정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는 조명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 입력부, 제어 명령 생성부, 및 조명 장치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 입력부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제어 명령 생성부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며, 조명 장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대상물을 조명한다.
이때, 조명 제어 명령은 조명의 밝기 조절 및 조명의 광색 조절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조명 대상물이 위치한 지역의 광환경 및 날씨 변화에 따라 해당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전력 사용을 유도하여 절전 효과 및 조명 장치의 수명 연장을 달성할 수 있고, 인간의 최적 시인성을 유도하여 도시 경관의 아름다움과 쾌적성을 위해 매일 새로운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 생성부는 복수의 조명 대상물의 조명을 위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장치로 전송할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명 대상물이 도시의 일부 또는 전체에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 광환경과 날씨의 변화에 따라 다수의 조명 대상물이 어우러지는 도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입력부 설치 정보 전송부, 장치 설치 정보 전송부, 대상물 위치 정보 전송부, 및 날씨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 설치 정보 전송부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정보를 제어 명령 생성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 명령 생성부에 미리 영상 데이터 입력부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통신을 통해 설치 위치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 입력부가 다른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도 미리 입력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정보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위치, 고장 여부, 및 영상 데이터 입력 방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정보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성능 저하를 보정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다.
장치 설치 정보 전송부는 조명 장치의 설치 정보를 제어 명령 생성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 명령 생성부에 미리 조명 장치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통신을 통해 설치 위치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조명 장치가 다른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도 미리 입력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장치의 설치 정보는 조명 장치의 설치 위치, 고장 여부, 및 조명 방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명 장치의 설치 정보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조명 장치의 성능 저하를 보정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다.
대상물 위치 정보 전송부는 조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제어 명령 생성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명 대상물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다양한 환경 변화를 알 수 있다.
날씨 데이터 전송부는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날씨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어 명령 생성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태양의 고도, 일조량, 풍향, 풍속 등의 데이터를 측정하여 날씨 변화의 일련의 과정에 대응되는 연속적인 조명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날씨에 따른 환경광의 상태에 따라 조명 장치의 광량을 증감할 수 있어 조명 장치의 수명 연장과 에너지 절약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한 조명 제어 시스템을 방법 형태로 구현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 조명 대상물이 위치한 지역의 환경 및 날씨 변화에 따라 해당 조명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전력 사용을 유도하여 절전 효과 및 조명 장치의 수명 연장을 달성할 수 있고, 인간의 최적 시인성을 유도하여 도시 경관의 아름다움과 쾌적성을 위해 매일 새로운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태양의 고도, 일조량, 풍향, 풍속 등의 날씨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날씨 변화의 일련의 과정에 대응되는 연속적인 조명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발명의 이해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이한 도면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 제어 명령 생성부(300), 조명 장치(400), 입력부 설치 정보 전송부(210), 대상물 위치 정보 전송부(220), 날씨 데이터 전송부(230), 및 장치 설치 정보 전송부(240)를 포함한다.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 명령 생성부(3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방식의 디지털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는 조명 대상물의 환경광을 감시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조명 대상물이 건축물인 경우에, 조명 대상물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설치된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는 조명 대상물 내부에 유입되는 빛의 상황 및 조명 대상물 주변의 천공과 자연물, 건축물과 같은 인공물 등에 보이는 빛의 상황을 다양한 각도에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조명 대상물의 외부에서 조명 대상물을 향해 설치된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는 조명 대상물이 태양광 및 월광 등 자연광에 조사된 상태 및 주변의 건물 조명과 도로 조명 등의 인공 광에 의해 조사된 상태를 다양한 각도에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외부에 설치되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는 조명 대상물을 감시하는 정확한 위도 및 경도 좌표의 위치와 사용되는 광학렌즈의 보정 값 등이 반영된 미리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입력부 설치 정보 전송부(210)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의 설치 정보를 제어 명령 생성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 명령 생성부(300)에 미리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통신을 통해 설치 위치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가 다른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도 미리 입력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의 설치 정보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의 설치 위치 이외에도 고장 여부 및 영상 데이터 입력 방향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의 설치 정보 변화(예컨대,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가 카메라일 경우, 렌즈에 이상이 생겨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타 방향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있는 등의 다양한 상황으로 인한 설치 정보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의 성능 저하를 보정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다.
장치 설치 정보 전송부(240)는 조명 장치(400)의 설치 정보를 제어 명령 생성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 명령 생성부(300)에 미리 조명 장치(400)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통신을 통해 설치 위치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조명 장치(400)가 다른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도 미리 입력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장치(400)의 설치 정보는 조명 장치(400)의 설치 위치 이외에도 고장 여부 및 조명 방향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명 장치(400)의 설치 정보 변화(예컨대, 조명 장치(400)의 발광 부품에 이상이 생겨 광이 조사되지 않거나, 조명 장치(400)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타 방향의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고 있는 등의 다양한 상황으로 인한 설치 정보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조명 장치(400)의 성능 저하를 보정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다.
대상물 위치 정보 전송부(220)는 조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제어 명령 생성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GPS와 같은 위치 파악 장치가 대상물 위치 정보 전송부(220)로 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조명 대상물의 정확한 위치(정확한 위도와 경 도)를 알 수 있으므로,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다양한 환경 변화를 알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환경 변화의 예를 들어보면, 조명 대상물의 지구상 위치에서의 태양의 궤적, 구름의 양 및 방향 변화에 따르는 태양광 간섭의 변화, 강우 및 강설, 안개의 상태, 대기 중 먼지의 농도 변화, 풍향 및 풍속의 변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날씨 데이터 전송부(230)는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날씨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어 명령 생성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조명 대상물 내부 및 외부에 기온센서, 습도 센서, 강우 센서, 조도 센서, 바람 센서 등과 같은 센서들을 설치하여, 상술한 대상물 위치 정보 전송부(220)로부터 알게 된 환경 변화보다 더욱 정밀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직접 측정된 조명 대상물 위치의 태양의 고도, 일조량, 풍향, 풍속 등의 데이터를 제어 명령 생성부(300)로 전송하여, 날씨 변화의 일련의 과정에 대응되는 연속적인 조명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광색(Light Color)은 인간의 쾌적성 향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써, 기온센서 및 풍속센서 등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해당 조건이 겨울철이라 판명되었을 경우 따뜻한 광색을 연출하는 등의 조명을 통하여 시인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주간의 경우, 태양의 고도에 의해 그늘진 조명 대상물 특정 부분의 광환경 상태에 따라 해당 조명 장치(400)의 광량을 증감할 수 있어 조명 장치의 수명 연장과 에너지 절약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어 명령 생성부(300)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데,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 입력부 설치 정보 전송부(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 설치 위치 정보, 장치 설치 정보 전송부(240)로부터 수신한 조명 장치(400) 설치 위치 정보를 조명 제어 명령 생성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조명 제어 명령은 조명의 밝기 조절 및 조명의 광색 조절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는데, 대상물 위치 정보 전송부(220)로부터 수신한 조명 대상물의 정확한 위치와 날씨 데이터 전송부(230)로부터 수신한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날씨 데이터를 통해 알게 된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다양한 환경 변화를 조명 제어 명령 생성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명령 생성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미리 계산된 조명 대상물에 비추어지는 태양광의 조사 각도와 조명 대상물의 형상, 개구부의 위치, 표면 소재 반사율 등의 데이터도 조명 제어 명령 생성시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 명령 생성부(300)는 수신한 데이터들을 입체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하고 최적의 조명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 명령 생성부(300)는 복수의 조명 대상물들의 조명을 위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장치(400)로 전송할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명 대상물이 도시의 일부 또는 전체에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 광환경과 날씨의 변화에 따라 다수의 조명 대상물이 어우러지는 도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조명 장치(40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대상물을 조명한다. 조명 장치(400)는 LED와 같은 디지털 조명을 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컨대 노을진 하늘의 휘도(Luminance)와 조화되는 광색과 밝기 값을 추출하여 자연스러운 조명 연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몰 시 태양이 위치하는 서쪽 측면의 빛의 강도와 광색을 반영한 제어 명령에 의해 반대쪽의 그늘진 어둠 속의 빛의 연출과 연동되게 할 수 있고, 태양의 고도와 빛의 밝기가 변화하는 일련의 과정에 따라가는 연속적인 조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조명 대상물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에서 조명 대상물 내부와 외부에 조사되는 광도, 휘도(Luminance) 등 다양한 각도에서의 빛의 상황과, 조명 대상물의 형상, 개구부의 위치 등의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제어 명령 생성부(300)로 전송한다(S100).
그리고 나서, 습도 센서, 강우 센서, 조도 센서, 바람 센서 등과 같은 날씨를 측정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 날씨 데이터 전송부(230)에서 조사 대상물 위치에서의 날씨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제어 명령 생성부(300)로 전송한다(S200).
다음으로, 입력부 설치 정보 전송부(210), 대상물 위치 정보 전송부(220) 및 장치 설치 정보 전송부(240)에서 각각 영상 데이터 입력부(100)가 설치된 위치의 정보, 조명 대상물의 위치 정보 및 조명 장치(400)가 설치된 위치의 정보를 제어 명령 생성부(300)로 전송한다(S300).
상술한 단계 S100, 단계 S200, 및 단계 S300은 그 진행 순서에 있어서 반드시 이러한 단계별로 진행되지 않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제어 명령 생성부(300)에서는 상술한 단계 S100, 단계 S200, 및 단계 S300으로부터 수신한 모든 데이터를 입체적으로 고려하여 통합, 분석하고 최적의 조명 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S400).
이러한 조명 제어 명령은 상술한 단계 S100, 단계 S200, 및 단계 S300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통해 조명 대상물 주변 환경의 실시간 상황에 맞게 인공 지능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조명 장치(400)는 생성된 조명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여(S500), 조명 대상물의 주변 환경 상황에 조화되는 자연스러운 휘도(Luminance)의 조명 연출을 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방법의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

Claims (18)

  1.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
    상기 영상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명령 생성부;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는 조명 장치; 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은,
    조명의 밝기 조절, 및 조명의 광색 조절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생성부는,
    복수의 조명 대상물의 조명을 위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장치로 전송할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정보를 상기 제어 명령 생성부로 전송하는 입력부 설치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정보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위치, 고장 여부, 및 영상 데이터 입력 방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설치 정보를 상기 제어 명령 생성부로 전송하는 장치 설치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설치 정보는,
    조명 장치의 설치 위치, 고장 여부, 및 조명 방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명령 생성부로 전송하는 대상물 위치 정보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날씨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 명령 생성부로 전송하는 날씨 데이터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10. 영상 데이터 입력부에서 영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영상 데이터 입력 단계;
    조명 제어부에서 상기 영상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조명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명령 생성 단계;
    조명 장치에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는 조명 단계; 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명령은,
    조명의 밝기 조절, 및 조명의 광색 조절 중 하나 이상의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생성 단계는,
    복수의 조명 대상물의 조명을 위한 복수의 영상 데이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 은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 대상물을 조명하는 복수의 조명 장치로 전송할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정보를 상기 조명 제어부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 설치 정보 전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정보는,
    영상 데이터 입력부의 설치 위치, 고장 여부, 및 영상 데이터 입력 방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설치 정보를 상기 조명 제어부로 전송하는 조명 장치 설치 정보 전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의 설치 정보는,
    조명 장치의 설치 위치, 고장 여부, 및 조명 방향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대상물의 위치 정보를 상기 조명 제어부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대상물 위치에서의 날씨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여 상기 조명 제어부로 전송하는 날씨 데이터 전송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방법.
KR1020080049919A 2008-05-28 2008-05-28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028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919A KR101028469B1 (ko) 2008-05-28 2008-05-28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919A KR101028469B1 (ko) 2008-05-28 2008-05-28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712A true KR20090123712A (ko) 2009-12-02
KR101028469B1 KR101028469B1 (ko) 2011-04-14

Family

ID=4168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919A KR101028469B1 (ko) 2008-05-28 2008-05-28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4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3135A1 (ko) * 2013-05-30 2014-12-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조명장치의 휘도 제어장치
KR20200038610A (ko) * 2018-10-04 2020-04-14 주식회사 하이앤텍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106B1 (ko) * 2023-03-17 2023-08-08 백승근 경관조명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639B1 (ko) * 1997-07-07 2000-05-01 윤종용 부품 압착 시스템의 조도 제어장치
KR20050003165A (ko) * 2003-06-30 2005-01-10 조정섭 컴퓨터 원격 양방향 가로등 종합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KR200388495Y1 (ko) * 2005-03-31 2005-06-29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가로등 제어시스템
KR100773584B1 (ko) 2006-07-06 2007-11-08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3135A1 (ko) * 2013-05-30 2014-12-0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조명장치의 휘도 제어장치
KR20200038610A (ko) * 2018-10-04 2020-04-14 주식회사 하이앤텍 촬영 모드 가변 시시티브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469B1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88596B (zh) 用于混合式灯具的日光感测布置
TW201233937A (en) Sustainable outdoor lighting system for use in environmentally photo-sensitive area
Primiceri et al. Solar-powered LED-based lighting facilities: an overview on recent technologies and embedded IoT devices to obtain wireless control, energy savings and quick maintenance
JP5726601B2 (ja) トンネル入口部照明システム
CN106134289A (zh) 基于光反射率的检测
JP2012094273A (ja) 照明装置
CN105472844A (zh) 一种路灯控制方法及装置
CN109915776A (zh) 一种道路路面平均亮度及平均照度的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1028469B1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606276A (zh) 智能调光装置及其工作方法
KR20150011903A (ko) 터널조명 시스템
CN108235518B (zh) 一种led智能控制节能系统
JP5461842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CN104280344A (zh) 基于数字摄像法的能见度测量系统及方法
TW201727422A (zh) 智能節能控制系統
CN205102045U (zh) 一种智能分段模式调光led路灯
KR101596871B1 (ko) 터널 조명 시스템
CA2821798C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treetlight
WO2015079989A1 (ja) 晴天天窓ランプ
CN109673088B (zh) 照明系统与照明方法
KR20210002663U (ko) 가로등용 색온도 조절 등기구
WO2011046464A1 (ru)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его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освещения и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EP2680671B1 (en) Multimode color tunable light source and daylighting system
JP2016001622A (ja) 晴天天窓ランプ
KR102592066B1 (ko) 스마트 실외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