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703A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703A
KR20090123703A KR1020080049905A KR20080049905A KR20090123703A KR 20090123703 A KR20090123703 A KR 20090123703A KR 1020080049905 A KR1020080049905 A KR 1020080049905A KR 20080049905 A KR20080049905 A KR 20080049905A KR 20090123703 A KR20090123703 A KR 2009012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main case
packaging box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4480B1 (ko
Inventor
현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Priority to KR1020080049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48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상자는 메인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케이스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면서 상기 메인케이스를 개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메인케이스 및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여닫힘 시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커버의 여닫힘을 도와주는 텐션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텐션부가 상기 커버의 상대회전 시 탄성력을 축적하였다가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 축적된 탄성력을 커버에 제공함으로서, 상기 커버가 세미 오토방식으로 여닫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Box package}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가 텐션부에 의해 반자동으로 여닫히도록 구성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포장상자는 내구성이 강한 목재,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종이 골판지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져 포장하고자 하는 물건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사용된다.
예컨대, 음료수나 주류와 같이 액체가 들어있는 병류는 운송시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목재나 플라스틱 상자를 이용하며, 과일류는 스티로폼과 같은 합성수지 상자를, 부피는 크지만 무게가 가벼운 과자류 등은 종이상자를 이용한다.
종이 재질의 포장상자는 한 장의 종이를 접철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포장상자는 내용물이 담겨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의 일측면을 폐쇄시키는 커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커버가 텐션부에 의해 반자동으로 여닫히도록 구성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메인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케이스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면서 상기 메인케이스를 개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메인케이스 및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여닫힘 시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커버의 여닫힘을 도와주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포장용상자를 제공한다.
상기 메인케이스는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바디와, 상기 케이스바디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는 상기 케이스바디에 연결되며, 상기 텐션부는 상기 커버의 닫힘 시,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의 상측면이 덮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텐션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일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상대회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일점 측 높이(T)보다 단측의 높이(t)가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하방향으로 상대회전되고, 상기 메인케이스는 상기 커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는 제 1 서브케이스와, 상기 커버가 연결되는 제 2 서브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상자는 메인케이스 및 커버 사이에 배치된 텐션부가 상기 커버의 상대회전 시 탄성력을 축적하였다가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었을 때 축적된 탄성력을 커버에 제공함으로서, 상기 커버가 세미 오토방식으로 여닫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가 닫혔을 때, 텐션부가 메인케이스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바디에 밀착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바디에 수납된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디스플레이바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케이스가 횡방향으로 상대회전되면서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됨으로서, 각 서브케이스에 수납된 물픔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출/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상자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 시된 포장용 상자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장용 상자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포장용 상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의 작동예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0)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에 따른 액세서리가 담겨지는 메인케이스(10)와, 상기 메인케이스(10)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케이스(10)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면서 상기 메인케이스(10)를 개폐시키는 커버(20)와, 상기 메인케이스(10) 및 상기 커버(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20)의 여닫힘 시 상기 커버(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커버(20)의 여닫힘을 도와주는 텐션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케이스(10)는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바디(12)와, 상기 케이스바디(12)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 1 서브바디(14)와, 상기 제 1 서브바디(14)의 상측에 적층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바디(12)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바디(16)와, 상기 케이스바디(12) 내부에 끼워져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6)의 측부에 배치되는 제 2 서브바디(18)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바디(12)는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박스형태이고, 상기 텐션부(30)는 상기 케이스바디(12)에 일단(32)이 고정되고 상기 커버(20)에 타단(34)이 고정된다.
상기 제 1 서브바디(14)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등이 적재되기 위한 홈(14a) 등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서브바디(14)에 적재되는 물품과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6) 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서브바디(14)의 측부(14b)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부(14b)는 상기 케이스바디(12)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폭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서 폭방향의 충격 또는 하중에 대하여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6)는 상기 제 1 서브바디(14)에 적층되고, 상부에 이동통신단말기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16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서브바디(18)는 정육변체의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브바디(14) 및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6)가 적층된 높이와 동일하게 상기 제 2 서브바디(18)의 두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서브바디(18)의 내부에 수납된 어댑터 등을 손쉽게 열수 있도록 개방홈(18a)이 형성된다.
상기 텐션부(30)는 일단(32)이 상기 케이스바디(12)에 고정되고 타단(34)이 상기 커버(20)에 고정되며, 종이 재질의 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텐션부(3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6)의 상면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넓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텐션부(30)는 상기 커버(20)의 여닫힘 시 재질의 탄성에 의해 휘어지면서 탄성력을 상기 커버(20)에 작용시킨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케이스바디(12)에 연결되어 일점(22)을 기준으로 상대회전되게 구성되고, 상기 텐션부(30)의 작용에 의해 상기 메인케이스(10)를 개폐시킬 때 반자동으로 회전되게 작동된다.
즉, 상기 커버(20)는 소정각도 이상 열리거나 닫힐 경우, 상기 텐션부(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메인케이스(10)를 완전히 개방시키거나 완전히 폐쇄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20)와 상기 메인케이스(10)를 연결시키기 위해 연결부재(40)가 더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외측면 및 상기 커버(20)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포장용상자(100)가 개방될 때에는 도2,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로 벌어지고, 포장용상자(100)가 폐쇄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일점(22)을 기준으로 상대회전되는 바, 상기 커버(20)의 끝단(24)이 상기 메인케이스(10)와 접촉되어 걸림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20)의 회전반경(R) 내에 상기 메인케이스(10)의 종방향 길이가 포함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일점(22)과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커버(20)의 높이(t)가 일점(22) 측 높이(T)보다 짧도록 형성시켜 상기 커버(20)의 회전반경(R)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100)는 각 구성의 재질이 종이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와 달리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의 사용방법을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포장용상자(100)를 열거나 닫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커버(20)를 회전 시킬 경우, 상기 커버(20) 및 상기 메인케이스(10)에 고정된 상기 텐션부(30)는 휨변형을 발생시키면서 도 6과 같이 볼록하게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텐션부(30)는 양단(32)(34)이 고정된 바, 상대 회전되는 상기 커버(20)의 거리변화를 완충시키기 위해 볼록하겨 휨변형되고, 상기 휨변형 과정에서 거리변화를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저장한다.
그래서 상기 커버(20)가 소정각도 이상 회전될 경우, 상기 텐션부(30)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저장된 탄성력을 발산시키고, 이 과정을 통해 상기 커버(20)의 여닫힘이 세미오토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20)가 상기 메인케이스(10)에 덮혀진 경우, 상기 커버(20) 내부에 배치된 상기 텐션부(30)는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6)에 밀착되고, 이를 통해 상기 포장용상자(100)의 이동 시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6)에 수납된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텐션부(30)의 양단(32)(34)이 고정된 바, 상기 커버(20)가 상대회전되지 않는 한 상기 텐션부(30)는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바디(16)를 가압하는 상태가 유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2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포장용상자(200)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포장용상자(200)의 전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9의 배면도이고, 도 14는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에 따른 액세서리가 담겨지는 메인케이스(50)와, 상기 메인케이스(50)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케이스(5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회전되면서 상기 메인케이스(50)를 개폐시키는 커버(20)와, 상기 메인케이스(50) 및 상기 커버(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20)의 여닫힘 시 상기 커버(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커버(20)의 여닫힘을 도와주는 텐션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케이스(50)는 2부분으로 각각 분리되어 횡방향으로 상대회전되게 구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케이스(50)는 상기 커버(20)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는 제 1 서브케이스(60)와, 상기 커버(20)가 연결되는 제 2 서브케이스(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제 2 서브케이스(70)에 제 1 실시예와 같이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상대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서브케이스(70) 및 상기 커버(20)는 제 1 실시예의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상대회전되는 구조이고, 상기 제 2 서브케이스(70)는 상기 제 1 서브케이스(60)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브케이스(70)에는 디스플레이바디(76)가 수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바디(76)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수납되기 위한 수납홈(76a)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상기 수납홈(76a)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손가락이 진입할 수 있는 인서트부(76b)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서브케이스(60)는 제 1 실시예의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제 2 서브케이스(70)에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상대회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200)는 상기 제 1 서브케이스(60) 내부에 액세서리가 담겨지고, 사용자는 상기 제 1, 2 서브케이스(60)(70)에 담겨진 물품을 선택적으로 꺼낼 수 있다.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액세서리를 꺼내기 위해 반드시 디스플레이바디(16)를 분리한 후 내부의 액세서리를 꺼낼 수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 서브케이스(60)(70)에 담겨지는 물품을 선택적으로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장용 상자의 개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용 상자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포장용 상자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포장용 상자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텐션부의 작동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상자(200)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포장용상자(200)의 측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포장용상자(200)의 전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평면도
도 12는 도 9의 측면도
도 13은 도 9의 배면도
도 14는 도 9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 : 메인케이스 12 : 케이스바디
14 : 제 1 서브바디 16 : 디스플레이바디
18 : 제 2 서브바디 20 : 커버
30 : 텐션부 40 : 연결부재
50 : 메인케이스 60 : 제 1 서브케이스
70 : 제 2 서브케이스 76 : 디스플레이바디
100, 200 : 포장용상자

Claims (7)

  1. 메인케이스와,
    상기 메인케이스에 일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케이스에 대하여 상대회전되면서 상기 메인케이스를 개폐시키는 커버와,
    상기 메인케이스 및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여닫힘 시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커버의 여닫힘을 도와주는 텐션부를 포함하는 포장용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스는
    상부가 개구되어 형성된 박스 형태의 케이스바디와,
    상기 케이스바디의 내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텐션부는 상기 케이스바디에 연결된 포장용상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커버의 닫힘 시, 상기 디스플레이바디의 상측면이 덮히도록 형성된 포장용상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단이 상기 커버에 고정되게 배치된 포장용상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일점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바디에 대하여 상대회전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일점 측 높이(T)보다 단측의 높이(t)가 더 짧게 형성된 포장용상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판 형태로 형성된 포장용상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하방향으로 상대회전되고,
    상기 메인케이스는
    상기 커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대 회전되는 제 1 서브케이스와,
    상기 커버가 연결되는 제 2 서브케이스를 포함하는 포장용상자.
KR1020080049905A 2008-05-28 2008-05-28 포장용 상자 KR10121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905A KR101214480B1 (ko) 2008-05-28 2008-05-28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905A KR101214480B1 (ko) 2008-05-28 2008-05-28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703A true KR20090123703A (ko) 2009-12-02
KR101214480B1 KR101214480B1 (ko) 2012-12-24

Family

ID=4168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905A KR101214480B1 (ko) 2008-05-28 2008-05-28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4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701A (zh) * 2013-08-16 2013-12-11 深圳市美盈森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展示盒
CN104417923A (zh) * 2013-08-28 2015-03-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多功能包装盒
KR20170099580A (ko)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호텔신라 출장 예약 시스템
KR20180084704A (ko) 2018-07-16 2018-07-25 에스비티엠 주식회사 출장 예약 시스템
KR102352328B1 (ko) * 2021-07-19 2022-01-17 (주)엠제이피 슬라이드식 포장 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24Y1 (ko) * 2014-12-30 2016-06-16 네오프린텍(주) 휴대용 디바이스 패키징 박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34701A (zh) * 2013-08-16 2013-12-11 深圳市美盈森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展示盒
CN103434701B (zh) * 2013-08-16 2016-01-20 美盈森集团股份有限公司 展示盒
CN104417923A (zh) * 2013-08-28 2015-03-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多功能包装盒
KR20170099580A (ko)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호텔신라 출장 예약 시스템
KR20180084704A (ko) 2018-07-16 2018-07-25 에스비티엠 주식회사 출장 예약 시스템
KR102352328B1 (ko) * 2021-07-19 2022-01-17 (주)엠제이피 슬라이드식 포장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480B1 (ko) 201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480B1 (ko) 포장용 상자
JP2562120B2 (ja) 果物類等の箱
KR200452414Y1 (ko) 포장계란 캐리어
KR20110096657A (ko) 와인 포장용 케이스
KR200449170Y1 (ko) 일회용 화장품용기 보관함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KR102130449B1 (ko) 포장 박스용 포장재 및 그 포장재에 의해 조립된 포장 박스
KR20100124002A (ko) 포장용 상자
JP2013180815A (ja) 梱包用緩衝体
JP3151076U (ja) 包装容器
JP2009057078A (ja) 緩衝袋およびその梱包方法
CN108502366A (zh) 一种下开式折叠塑料酒盒
JP4786951B2 (ja) 収容箱
KR100879820B1 (ko) 스토리지 케이스
KR200457917Y1 (ko) 포장박스
KR102618059B1 (ko) 사각형 물품 포장용 케이스
EP4303151A2 (en) Smoking articles storage box
KR20080004312U (ko) 제품용기 포장상자
KR200421267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포장상자
KR102283525B1 (ko) 사용 편의성을 갖는 딸기 포장용기
JP4460997B2 (ja) 包装容器
KR20130003541U (ko) 위생용품 수납박스
JP3098852U (ja) 一升瓶6本入ダンボール箱の搬送時における瓶底部破損防止かぶせ箱
JP7134634B2 (ja) 物品包装箱
KR200350489Y1 (ko) 주류병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