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501A -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501A
KR20090123501A KR1020080049620A KR20080049620A KR20090123501A KR 20090123501 A KR20090123501 A KR 20090123501A KR 1020080049620 A KR1020080049620 A KR 1020080049620A KR 20080049620 A KR20080049620 A KR 20080049620A KR 20090123501 A KR20090123501 A KR 20090123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electrophoretic display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한
김성환
임유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3501A/ko
Publication of KR2009012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영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재질의 제 1 및 제 2 기판으로 이루어진 전기영동표시장치에 있어서, 제 1 기판의 외면에 제 2 기판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 3 기판을 더욱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비틀림(curl) 또는 휨(bend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라인디펙트 및 구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영동표시장치, 비틀림, 휨, 열팽창계수

Description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영동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재질의 제 1 및 제 2 기판으로 이루어진 전기영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의 우수한 특성을 보유한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 FPD)가 소개되어 기존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을 대체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최근 소개된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는 기존의 평판표시장치와 비교하여 생산단가가 훨씬 저렴하고 별도의 배경조명이 불필요하여 아주 적은 에너지로도 구동 가능하며, 선명하고 시야각이 넓으면서도 가장 중요하게는 해상력(resolution)과 콘트라스트(contrast) 변화 없이 종이처럼 반복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이에, 현재 휴대용 컴퓨터나 전자신문 또는 스마트카드 등에 적용되고 있으며 머지않은 장래에 책, 신문, 잡지 등과 같은 전통적인 인쇄매체를 폭 넓게 대체할 차세대 표시장치로 기대되고 있다.
이 같은 전기영동표시장치의 구동원리는 전자잉크의 전기영동 상태에 따른 계조차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전자잉크는 전하를 띠는 하전입자를 소정 유체 내에 부유 가능하도록 침지시켜 구성한 후, 이에 전기장을 가해 하전입자를 인위적으로 전기 영동시킴으로써, 일예로 흑, 백의 대비되는 두 계조를 표현하게 된다.
이에, 전기영동표시장치는 제 1 기판 상에 박막트랜지스터가 구성된 하부플레이트와 제 1 기판과 마주보는 제 2 기판 상에 전자잉크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필름을 포함하는 상부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는 고온의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으로 합착함으로써 전기영동표시장치가 형성된다.
여기서, 고온의 라미네이이션 공정은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 사이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50℃의 분위기에서 하부플레이트 상에 상부플레이트를 라미네이터로 가압하면서 하부플레이트와 상부플레이트를 합착하는 것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제 1 기판은 금속호일(metal foil)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는 불투명한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을 이용하는데, 제 2 기판은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얇고 구부리기 쉬운 재질을 이용한다.
이에,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를 가지게 되는데, 제 1 기판은 52 ~ 79의 열팽창계수를 가지며 제 2 기판은 10 ~ 17의 열팽창계수를 갖는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를 고온의 라미네이트 공정을 통해 합착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에 의해 제 1 및 제 2 기판은 서로 다른 값의 수축 및 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합착된 전기영동표시장치는 비틀림(curl) 또는 휨(bend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비틀림 또는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구동회로를 부착하는 모듈과정에서 구동회로가 미스 얼라인(misalign)되어, 선결함(line defect) 및 구동불량이 발생하여 전기영동표시장치의 화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불량으로 작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비틀림 또는 휨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전기영동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라인디펙트 및 구동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상부에 위치하는 전기영동필름과; 상기 제 1 기판 내면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고 있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 3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기판은 금속호일(metal foil)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는 불투명한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기판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영동필름은 제 1 및 제 2 보호막과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막 사이에 배열되며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하전입자들을 포함하는 캡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기판의 내면에 게이트전극과 액티브층 그리소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전극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전극과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기판의 내면에 공통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전극 상에 전기영동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판의 외면에 상기 제 2 기판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제 3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기영동필름은 베이스 기판 상에 제 1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보호막 상에 하전 연료 입자를 포함하는 캡슐을 필름 내에 배열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을 덮는 제 2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는 재질의 제 1 및 제 2 기판으로 이루어진 전기영동표시장치에 있어서, 제 1 기판의 외면에 제 2 기판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 3 기판을 더욱 구비함으로써,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비틀림(curl) 또는 휨(bend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라인디펙트 및 구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영동표시장치(100)는 대향 합착된 제 1 및 제 2 기판(111, 113)과 제 1 및 제 2 기판(111, 113) 사이에 개재된 전기영동필름(1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2 기판(113)과 마주보는 제 1 기판(111)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으며 박막트랜지스터(T) 상부에는 보호층(117)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층(117) 상부에는 화소전극(119)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소전극(119)은 보호층(117)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T)와 접촉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된 제 1 기판(111) 상에는 베리어층(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리어층(121) 상부에는 게이트전극(123)과 게이트절연층(125), 반도체층(127)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29, 131)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된다.
이때, 게이트전극(123)과 소스 및 드레인전극(129, 131)은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구리(Cu), 알루미늄(Al) 및 알루미늄합금(Al alloy)을 포함하는 불투명한 도전성 금속물질을 이용한다.
그리고, 반도체층(127)은 순수비정질실리콘(a-si:H)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비정질실리콘(n+ a-si:H)으로 이루어진 오믹콘택층으로 이루 어진다.
또한, 박막트랜지스터(T) 상부에는 박막트랜지스터(T)의 드레인전극(131)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콘택홀을 갖는 보호층(1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층(117)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전극(131)과 접촉하는 화소전극(119)이 형성된다.
제 1 기판(111)과 마주보는 제 2 기판(113) 상에는 공통전극(13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화소전극(119)과 공통전극(135)은 각각 투명한 전도성 물질, 통상적으로 인듐-틴-옥사이드(ITO) 또는 인듐-징크-옥사이드(IZO)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기영동필름(150)은 제 1 기판(111)의 화소전극(119)과 제 2 기판(113)의 공통전극(135)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전기영동필름(150)은 하전 염료 입자(151)를 포함하는 캡슐(153)과 캡슐(153)의 상하에 위치하는 상하부 보호막(155a, 155b)으로 구성된다.
이때, 캡슐(153)은 폴리머로 이루어진 필름(157) 내에 마이크로 캡슐화된 잉크캡슐이 분산 함유된 형태이며, 필름(157)은 각 캡슐(153)의 위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전기적, 물리적 구분을 위한 가교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캡슐(153) 내에는 양(+) 또는 음(-)의 전하를 띠는 하전입자(151)들이 분산되어 있는데, 하전입자(151)는 일예로 양전하를 띠는 백색의 안료입자일 수 있으며, 음전하를 띠는 흑색 안료입자일 수 있다.
이때, 캡슐(153)을 대신하여 하전입자(151)를 화소별로 구분시키는 격벽 형 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하부 보호막(155a, 155b)은 구형의 캡슐(153)의 유동을 차단함과 아울러 캡슐(153)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막(155a, 155b)은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쉽게 구부러지는 베이스필름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금속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전기영동표시장치(100)의 제 1 및 제 2 기판(111, 113)은 유연성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는데, 제 1 기판(111)은 금속호일(metal foil)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는 불투명한 스테인리스(stainless) 재질을 주로 이용하며, 제 2 기판(113)은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얇고 구부리기 쉬운 재질을 이용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제 1 기판(111)의 하부에 제 3 기판(200)을 더욱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기판(200)은 제 2 기판(113)과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얇고 구부리기 쉬운 재질을 이용하는데 이는 제 2 기판(113)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제 3 기판(200)은 제 2 기판(113)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기판(111, 113)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져, 합착을 위한 고온의 라미네이션 공정 시 제 1 및 제 2 기판(111, 113)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에 의해 서로 다른 값의 수축 및 변형을 초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기영동표시장치(100)는 비틀림(curl) 또는 휨(bending) 현상이 발생하였던 종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박막트랜지스터(T)가 구성된 제 1 기판(111)을 하부플레이트(310)로 그리고 전기영동필름(150)을 포함하는 제 2 기판(113)을 상부플레이트(320)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부플레이트(320)와 하부플레이트(310)는 고온의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으로 합착함으로써 전기영동표시장치(100)를 완성하게 된다.
고온의 라미네이이션 공정은 하부플레이트(310)와 상부플레이트(320) 사이에 점착제(330)를 도포한 후 50℃의 분위기에서 하부플레이트(310) 상에 상부플레이트(320)를 회전롤러(미도시)로 밀어주면서 하부플레이트(310)와 상부플레이트(320)를 합착하는 것이다.
이때, 제 1 기판(111)의 배면에 제 2 기판(113)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 제 3 기판(200)을 더욱 구성함으로써, 상부플레이트(320)와 하부플레이트(310)는 서로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진 것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이는, 제 1 기판(111)의 수축 및 변형이 제 1 기판(111)의 배면에 구비된 제 3 기판(200)의 수축 및 변형에 상쇄되어, 하부플레이트(310)의 수축 및 변형은 제 3 기판(200)의 수축 및 변형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제 3 기판(200)의 재질을 상부플레이트(320)의 제 2 기판(113)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였으므로, 하부플레이트(310)의 수축 및 변형 값은 상부플레이트(320)의 수축 및 변형 값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플레이트(320)와 하부플레이트(310)가 합착된 전기영동표시장치(100)는 비틀림(curl) 또는 휨(bending) 현상이 감소된다.
아래 표(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기영동표시장치(100)의 상부플레이 트(320) 및 하부플레이트(310)의 열팽창계수에 따라 전기영동표시장치(100)의 비틀림 및 휨 발생의 유무를 나타낸 표이다.
기판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비틀림 결과
01 02 03 04
sample1 SUS SUS 0 0 0 00 OK
sample2 SUS PEN 2.4 2 1.5 2.6 NG
sample3 PEN PEN 0 0 0 0 OK
표(1)
여기서, SUS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기판을 나타내며, PEN은 플라스틱 재질의 기판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비틀림은 측정은 총 4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표(1)을 참조하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기판을 각각 스테인리스 재질과 플라스틱 재질로 각각 다르게 형성할 경우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기판 재질이 각각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동일한 경우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전기영동표시장치(100)의 비틀림 또는 휨을 감소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영동표시장치에 구동회로를 부착하는 모듈과정에서 구동회로의 미스 얼라인(misalign)의 발생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렇게 구동회로의 미스 얼라인의 발생을 줄임으로써, 선결함(line defect) 및 구동불량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전기영동표시장치의 화질을 크게 저하시켰던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판(111)을 금속호일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는 불투명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하고 제 3 기판(200)이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얇고 구부리기 쉬운 재질로 구성함과 같이, 제 1 기판(111)과 제 3 기판(200)을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하면 제 3 기판(200)은 제 1 기판(111)의 보호필름 역할을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111)이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 3 기판(200)은 제 1 기판(111)의 부식을 방지 할 수 있다.
또는 제 1 기판(111)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제 3 기판(200)은 제 1 기판(111)의 흡습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기영동표시장치(100)는 자연광이나 실내광을 포함하는 외부광을 광원으로 이용하고, 스위칭 역할을 하는 박막트랜지스터(T)에 의해 양(+) 극성 또는 음(-) 극성을 선택적으로 인가받는 화소전극(119)이 캡슐(153) 내부에 채워진 다수의 하전입자(151)들의 위치 변화를 유도하여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기영동표시장치(100)의 전압인가에 의한 출력모드를 도 3a ~ 3b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a ~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출력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때, 다수의 하전입자(151)는 양전하를 띠는 백색의 안료입자와 음전하를 띠는 흑색 안료입자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320)의 공통전극(135)이 -V, 하ㅜ플레이트(310)의 화소전극(119)이 +V로 대전되었을 경우에 양전하를 띤 백색의 하 전입자는 공통전극(135) 방향으로 끌려 치우치는 반면 음전하를 띤 흑색의 하전입자는 화소전극(119) 방향으로 집중된다.
그 결과 공통전극(135) 외부에서 바라볼 때 백색 계조가 발현된다.
반면 도 3b는 이와 반대되는 경우로서 공통전극(135)이 +V, 화소전극(119)이 -V로 대전되어 있고, 그 결과 음전하를 띤 흑색의 하전입자는 공통전극(135) 방향으로 집중되는 반면 양전하를 띤 백색의 하전입자는 화소전극(119) 방향으로 집중되며, 그 결과 외부로 흑색 계조가 나타난다.
이때, ㅁ V는 각각 소정 크기의 전압값으로서 백색 및 흑색 하전입자(151)를 전기영동 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점착제(330) 및 라미네이션(lamination) 공정에 의해 합착되는데, 이에 대하여 도 4a ~ 4h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a ~ 4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기판(111) 상에 베리어(121) 층을 형성한 후, 금속막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에 의해 패터닝하여 게이트전극(123)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123) 상부에 게이트절연막(125)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순수 비정질 실리콘층(미도시)와 불순물 비정질 실리콘층(미도시)을 순차적으로 증착한 후,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불순물 비정 질 실리콘층(미도시) 및 순수 비정질 실리콘층(미도시)을 패터닝하여 반도체층(127)을 형성한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도체층(127) 상부에 금속물질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패터닝하여 소스 및 드레인전극(129, 13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 및 드레인전극(129, 131) 상부에 보호층(117)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드레인전극(131)의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물질을 증착하고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패터닝하여 드레인전극(131)과 접촉하는 화소전극(119)을 형성함으로써, 하부플레이트(310)를 완성한다.
이때, 제 1 기판(111)은 금속호일(metal foil)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는 불투명한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이다.
한편,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기판(113) 상에 공통전극(135)을 형성한 후, 공통전극(135) 상부에 전기영동필름(150)을 부착하여 상부플레이트(320)를 완성한다.
여기서, 전기영동필름(150)은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쉽게 구부러지는 베이스필름 또는 유연성을 가지는 금속 등으로 제 1 보호막(155a)을 형성한 후, 하전 연료 입자(151)를 포함하는 캡슐(153)을 필름(157) 내에 배열시킨다.
다음으로, 제 2 보호막(155b)이 캡슐(153)을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전기영동필름(1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 기판(113)은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얇고 구부리기 쉬운 재질이다.
다음으로, 도 4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310)의 화소전극(119)을 포함하는 상부에 점착제(330)를 부착한 뒤, 라미네이터(350)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상부플레이트(320)와 하부플레이트(310)를 합착한다.
즉, 라미네이터(350)의 회전과 동시에 상부플레이트(320) 및 하부플레이트(310)를 가압함으로써 점착제(330)를 사이에 두고 상부플레이트(320)와 하부플레이트(310)가 합착된다.
다음으로 도 4h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310)의 제 1 기판(111)의 배면에 상부플레이트(320)의 제 2 기판(113)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 3 기판(200)을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기영동표시장치(100)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 3 기판(200)은 제 2 기판(113)과 같이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얇고 구부리기 쉬운 재질이다.
이로 인하여, 상부플레이트(320)와 하부플레이트(310)는 서로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진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짐으로써, 상부플레이트(320)와 하부플레이트(310)가 합착된 전기영동표시장치(100)는 비틀림(curl) 또는 휨(bending) 현상이 감소되게 된다.
이는, 전기영동표시장치(100)에 구동회로(미도시)를 부착하는 모듈과정에서 구동회로(미도시)의 미스 얼라인(misalign)의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선결함(line defect) 및 구동불량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전기영동표시장치(100)의 화질을 크 게 저하시켰던 문제점 또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전기영동표시장치(100)는 흑색 및 백색 두 가지의 색만이 구현되나, 상부플레이트(320)의 제 2 기판(113)의 상부에 적색, 녹색, 청색의 컬러필터를 형성하거나, 전기영동필름(150)을 적색, 녹색, 청색의 색을 갖는 하전입자(151)를 포함하는 캡슐(153)을 배열하도록 구성하여 컬러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영동표시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비틀림 및 휨에 의한 구동회로의 미스 얼라인(misalign)의 발생횟수를 나타낸 그래프.
도 3a ~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출력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a ~ 4h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6)

  1.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 상부에 위치하는 전기영동필름과;
    상기 제 1 기판 내면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덮고 있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전극과;
    상기 제 1 기판의 외면에 부착되는 제 3 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기판은 상기 제 2 기판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금속호일(metal foil)과 같은 유연성을 가지는 불투명한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기판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표 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필름은 제 1 및 제 2 보호막과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막 사이에 배열되며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하전입자들을 포함하는 캡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5. 제 1 기판의 내면에 게이트전극과 액티브층 그리소 소스 및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전극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전극과 접촉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기판의 내면에 공통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공통전극 상에 전기영동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점착제를 사이에 두고 합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판의 외면에 상기 제 2 기판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제 3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필름은 베이스 기판 상에 제 1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보호막 상에 하전 연료 입자를 포함하는 캡슐을 필름 내에 배열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을 덮는 제 2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20080049620A 2008-05-28 2008-05-28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3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620A KR20090123501A (ko) 2008-05-28 2008-05-28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620A KR20090123501A (ko) 2008-05-28 2008-05-28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501A true KR20090123501A (ko) 2009-12-02

Family

ID=4168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620A KR20090123501A (ko) 2008-05-28 2008-05-28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3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539A (ko) * 2010-03-23 2011-09-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평판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539A (ko) * 2010-03-23 2011-09-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평판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4557B2 (en)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707118B2 (ja) 表示装置
US8884868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824256B2 (en)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709274B2 (ja) 表示装置
JP2021131547A (ja) 表示装置
US8525817B2 (en) Pixel array module and flat display apparatus
KR20180076661A (ko) 표시 장치용 기판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070195252A1 (en) Electronic Ink Display
TW200843117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US11563068B2 (en) Substantially transparent display substrate, substantially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substantially transparent display substrate
KR102052872B1 (ko) 정전기 제거가 용이한 액정표시소자
US10985347B2 (en) Display apparatus
TW200841100A (en) Liquid crystal panel
JPH06250226A (ja) 液晶表示素子
CN101900898A (zh) 光电池整合液晶显示器及光电池整合平面显示器
WO2014002448A1 (ja) 表示装置用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776348B2 (ja) 液晶表示素子
CN102279483A (zh) 显示设备
KR20090123501A (ko)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2049824A1 (ja) 薄膜トランジスタ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5309147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20060057971A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634923A (zh) 一种双面am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N110109305A (zh) 显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