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474A - 복수의 단말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복수의 단말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복수의 단말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복수의 단말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474A
KR20090123474A KR1020080049568A KR20080049568A KR20090123474A KR 20090123474 A KR20090123474 A KR 20090123474A KR 1020080049568 A KR1020080049568 A KR 1020080049568A KR 20080049568 A KR20080049568 A KR 20080049568A KR 20090123474 A KR20090123474 A KR 2009012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terminal device
terminal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614B1 (ko
Inventor
남궁광
최운영
Original Assignee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614B1/ko
Priority to CN200910203588XA priority patent/CN101594259B/zh
Publication of KR2009012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관리 장치와 복수의 단말 장치와 접속하고 그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 장치가 복수의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은, 단말 장치 선택부,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관리 명령 선택부 및 관리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와, 관리 데이터 수신부, 저장부, 메모리 할당 판단부, 메모리 할당 관리부 및 관리 명령 전송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 관리 명령 수신부 및 관리 명령 실행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049568
인터페이스 장치, 관리 장치, 단말 장치, 통신 채널, 자동 접속, 화면 모니터링.

Description

복수의 단말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복수의 단말 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 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MANAGEMENT UNITS AND A PLURALITY OF TERMINAL UNITS, AND COMPUTER-READABLE MEDIA IN WHICH PROGRAMS FOR EXECUTING THE METHODS ARE RECORDED}
본 발명은 복수의 관리자측 관리 장치가 복수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관리자측 관리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와 접속하고, 그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관리 장치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무선 통신망 또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제공되는 액티브싱크(ActiveSync) 등을 통해 유선 통신망에 접속되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당해 단말 장치에 설치된 펌웨어, 또는 일반 응용 프로그램, 또는 당해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자나 관리자와의 전화 통화를 통해 문제를 설명하여 해결을 요청하거나, 직접 방문 또는 문제가 발생한 단말 장치를 우편을 통해 전달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나 관리자로 하여금 직접 단말 장치의 상태를 관리해 주도록 요청하였다. 통상적으로 전화 통화만으로는 관리자 등이 단말 장치의 정확한 상태를 진단하기가 어려워 적절한 관리를 수행할 수 없고, 사용자가 관리자 등을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단말 장치를 전달할 경우에는 많은 시간과 수고가 요구되므로, 사용자가 적절한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받을 수 없고 관리를 받는 동안에는 단말 장치를 이용할 수 없는 이용 시간의 공백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들이 각각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들의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경우, 종래에는 서비스 제공자나 관리자가 각각의 단말 장치를 개별적으로 일대일 진단 및 관리해야 했다. 이로 인해, 각 단말 장치에 대한 서비스 대기 시간이 길어지고 관리 효율이 저하되며, 상기 대기 시간 동안 단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이 제한되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관리자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상태를 원격으로 파악 및 진단하기 위해 단말 장치의 화면을 모니터링 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화면이 갱 신되는 주파수마다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 데이터들을 모두 전송한다면, 화면의 내용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도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여 시스템 부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비용 역시 증가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면 캡쳐를 통해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이전에 캡쳐된 화상 데이터와 비교하여 화면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가 캡쳐될 때마다 각각의 픽셀을 모두 비교하여야 하므로, 단말 장치가 처리해야하는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이로써 시스템에 많은 부담이 가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단말 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고 그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리자측 관리 장치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진단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과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리자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관리하는 경우,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자발적으로 접속시킬 때까지 대기해야 했다. 이로써, 적시에 필요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자가 관리해야 할 단말 장치가 오프라인 상태, 즉,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당해 오프라인인 단말 장치를 자동으로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게 함으로써, 오프라인인 단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기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관리자측의 관리 장치가 적시에 필요한 진단 및 관리 서비스를 각각의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화면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화면의 내용이 변경된 경우에만 캡쳐된 화상 데이터를 관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고, 아울러 캡쳐된 화상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각 단말 장치가 처리해야 하는 화상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관리 명령을 생성하는 복수의 관리 장치; 복수의 상기 사용자측 단말 장치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의 관리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와 접속되고, 이들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장치 선택부;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또는 미리 지정된 로컬 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 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는 관리 명령 선택부; 및 당해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에 의해 결정된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중 하나인 제1 관리 장치의 관리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 데이터 수신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된 저장부 -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와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 -;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메모리 할당 판단부; 상기 메모리 할당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메모리 할당 관리부;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명령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의 관리 명령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수신하는 관리 명령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실행시키는 관리 명령 실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는,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i) 미리 정해진 복수의 관리 명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을 선택하거나, (ii)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관리 명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명령을 선택하는 내용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iii) 상기 관리자가 새로이 생성한 관리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상기 관리 명령 수신부가 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을 수신한 경우,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의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는,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을 선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관리 장치가 하나의 단말 장치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관리 명령들이 단말 장치에서 그 우선 순위에 따라 데이터 혼선 없이 순차적 또는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하나의 단말 장치를 관리 할 수 있는 관리 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복수인 경우 각 관리자는 다른 관리자의 관리 종료 여부를 기다리지 않고 해당 관리 장치를 관리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단말 장치가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만족도 역시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가 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서로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 상기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 및 상기 관리 명령 전송부로 하여금, 상기 일치하는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단말 장치로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을 선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 전송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관리 장치가 동일한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 사이에서 관리 명령들이 전송되는 순서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는 복수의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에도,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거쳐 전송되는 관리 명령들을 각 관리 장치별로 제 어할 필요 없이 수신된 명령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면 된다. 이로써, 복수의 관리 장치가 동일한 단말 장치를 동시에 공동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데이터의 혼선 없이 단말 장치가 관리될 수 있고, 각 단말 장치의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 나아가, 단말 장치의 관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문제 발생 이전에 전송되고, 문제 발생 이후에 실행되도록 지시된 관리 명령들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에서의 문제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계속 보유할 수 있으므로, 관리 명령의 실행 결과에 따른 피드백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가 상기 관리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실행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의 각각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관련된 실행 결과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실행 결과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당해 단말 장치에서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행 결과 저장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2 단말 장치의 상기 실행 결과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저장하는 실행 결과 수신부;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실행 결과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관리 장치의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는,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로서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하여, 관리 장치가 통상적으로 사용자측 단말 장치보다 우수한 성능을 지니는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각각의 단말 장치로부터의 관리 명령에 대한 피드백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를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가 각각의 단말 장치에서 관리 명령이 실행된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복수의 관리 장치에 의한 복수의 단말 장치에 관한 관리 이력을 단말 장치와는 별도로 인터페이스 장치가 보유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관리자가 특정 단말 장치에 대한 관리 이력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할 경우 해당 단말 장치로 질의하는 과정 없이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직접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장치가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각 단말 장치에 대한 관리 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단말 장치와 인터페이스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전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당해 단말기 제어 장치가 설치된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 포함 된 저장 공간의 총 용량 및 잔여 용량,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 크기, 종류, 개수, 저장된 위치 및 저장 또는 수정된 시간,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디렉터리의 구조, 단말 장치의 기종 및 성능, 단말 장치의 총 배터리 용량 및 잔여 배터리 용량을 포함하는, 당해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취득하는 단말 장치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수집부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당해 단말 장치의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3 단말 장치의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3 단말 장치와 상기 제3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에 상기 제3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3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인터페이스 장치가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취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각각의 관리 장치는,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각각의 단말 장치에 개별적으로 질의하지 않고, 인터페이스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로써, 관리 장치가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고, 정보 전송에 의 해 부가되는 단말 장치의 부담이 완화되며, 복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치 관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이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 장치로,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접속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부;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의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부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접속부로 하여금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하여, 오프라인 상태의 단말 장치를 자동으로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시킬 수 있고, 이로써 단말 장치에 대해 적시에 필요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관리 효율 및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단말 장치가 관리를 받기 위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지속적으로 접속해 있을 필요 없이, 관리가 필요한 시점에만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네 트워크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며, 상기 단말 장치가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통신 모뎀을 이용하는 시간을 감소시켜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되는 관리 명령은, 단말 장치로 하여금 당해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전송하도록 요구하는 화면 전송 명령어도 좋다. 또한,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단말 장치의 화면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캡쳐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부; 상기 연속적으로 캡쳐된 화상 데이터 중 하나인 제1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의 적(red; R), 녹(green; G), 청(blue; B) 컬러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값인 제1 픽셀값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이어서 캡쳐된 화상 데이터인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의 R, G, B 컬러 중 상기 제1 픽셀값과 동일한 컬러의 레벨값인 제2 픽셀값을 서로 비교하고,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화상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비교의 결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부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의 각각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 및 당해 관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를 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하여, 관리 장치가 단말 장치의 화면을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 장치가 화면을 연속적으로 캡쳐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들을 서로 비교하여 화상 데이터에 변경이 있을 때에만 변경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화상 데이터의 비교는, 화상을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의 RGB의 세가지 값을 모두 비교하지 않고, 상기 RGB 값들 중 일부, 바람직하게는 하나만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단말 장치가 처리해야하는 데이터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 장치 및 이를 수신하는 관리 장치와 인터페이스 장치에 모두에 가해지는 부담을 낮출 수 있으며,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관리 장치 중 제1 관리 장치가, 복수의 상기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또는 미리 지정된 로컬 또는 원격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상기 취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당해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결정된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수신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된 저장부 -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와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 -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전송된 관리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관리 장치의 각각에 설치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 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관리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관리 코드 수단; 복수의 상기 사용자측 단말 장치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의 관리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제어 코드 수단; 및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와 접속되고 이들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 코드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말 장치 선택 코드 수단;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또는 미리 지정된 로컬 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단말 장치 정보 취득 코드 수단;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 코드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기 위한 관리 명령 선택 코드 수단; 및 당해 관리 코드 수단이 설치된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관리 명령 선택 코드 수단에 의해 결정된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 전송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 코드 수단은,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중 하나인 제1 관리 장치의 관리 데이터 전송 코드 수단에 의해 전송된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 수신 코드 수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된 저장부를 제공하기 위한 메모리 관리 코드 수단 -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와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 -;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 코드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메모리 할당 판단 코드 수단; 상기 메모리 할당 판단 코드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 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할당 관리 코드 수단;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관리 명령 전송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 제어 코드 수단은, 상기 관리 명령 전송 코드 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관리 명령 수신 코드 수단; 및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한 관리 명령 실행 코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측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 장치들을 관리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의 수고와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관리 장치와 복수의 단말 장치 사이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하나의 관리 장치가 복수의 단말 장치들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관리 장치가 하나의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할 수도 있다. 이로써, 단말 장치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이용 시간의 공백 없이 단말 장치에 필요한 관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는 청구의 범위의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실시 형태 중에 설명되고 있는 특징의 조합 전체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측의 관리 장치 10, 사용자측의 단말 장치 30, 및 상기 관리 장치 10 및 단말 장치 30과 접속되고 그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20을 포함한다.
상기 관리자측 관리 장치 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측 단말 장치 30을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들 12, 14, 16, 18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장치는 전체 시스템의 성능 및 네트워크 상태와, 관리해야할 단말 장치의 수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으며, 관리 장치의 수에 제한은 없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단말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측 단말 장치의 관리에만 이용되는 고유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갖는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장치는 관리자로부터 관리 대상인 단 말 장치에 대한 선택, 선택된 단말 장치에서 실행할 관리 명령의 결정 등을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 관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여러가지 동작의 결과를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 상기 단말 장치 30 또는 다른 관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와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단말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에 의해 원격 관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자측 관리 장치가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관리함에 있어서, 일대일의 관계에서 하나의 관리 장치가 하나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하나의 관리 장치가 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할 수도 있고, 다수의 관리 장치가 하나의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할 수도 있으며, 다수 대 다수의 관리 관계도 성립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측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에 의해 제공되는 액티브싱크(ActiveSyn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측 단말 장치의 종류, 성능 및 접속 방식 등에 대해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복수의 관리 장치들 10과 복수의 단말 장치들 30은 인터페이스 장치 20을 통해 상호 접속된다. 인터페이스 장치 20은 유선 및 무선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선 통신망 및 무선 통신망에 모두 접속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은 서버로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서버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관리 장치 10에는 클라이언트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 및 상기 단말 장치 30 역시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은 관리 장치 10과 통신할 수 있는 고유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 단말 장치 30과 통신할 수 있는 고유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서로 별도로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관리 장치와의 통신 및 단말 장치와의 통신 모두에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 및 상기 관리 장치 10은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은 웹서버로서 동작하고 상기 관리 장치 10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과 상기 단말 장치 30은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서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은 직접적으로 단말 장치를 관리할 수 있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복수의 관리 장치들이 하나의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하는 경우 관리 명령을 전송함에 있어서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동작 등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각 단말 장치로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또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종류 및 기능에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 시스템은 관리 장치 100, 인터페이스 장치 200 및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을 포함한다. 관리 장치 100은, 단말 장치 선택부 110,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120, 관리 명령 선택부 130 및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을 포함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결과 요청부 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장치 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수신부 160 및 화상 디스플레이 제어부 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관리 데이터 수신부 210, 저장부 220, 메모리 할당 판단부 230, 메모리 할당 관리부 240 및 관리 명령 전송부 250을 포함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결과 수신부 260, 실행 결과 저장부 262, 및 실행 결과 전달부 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상태 판단부 270, 접속 요청부 28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송수신부 29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은 관리 명령 수신부 310 및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을 포함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결과 전송부 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부 340, 접속부 350 및 자동 접속부 3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취득부 370, 화상 데이터 비교부 380 및 화상 데이터 전송부 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의 관리 장치 10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 장치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장치 선택부 110,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또는 미리 지정된 로컬 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120,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120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는 관리 명령 선택부 130, 및 당해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 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 130에 의해 결정된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 전송하는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 선택부 110은, 복수의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지정된, 또는 관리자 또는 관리 장치에 대하여 부여된 관리 권한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도 6의 단계 1100).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치 선택부 110은 미리 보유된 사용자측 단말 장치에 대한 목록으로부터 특정 단말 장치를 선택하는 관리자의 입력을 수취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수취된 입력에 대응하는 단말 장치가 당해 관리 장치 또는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는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 장치 또는 이를 사용하는 관리자에게 미리 정해진 관리 권한에 따라 관리 대상인 단말 장치의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관리 권한을 벗어나는 단말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관리자에게 에러 메시지가 통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 100은 단말 장치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관리 권한의 정도,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 단말 장치에 이미 설치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의 버전에 대한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해당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또는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의 갱신 요구, 단말 장치로부터의 갱신 요청, 또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 선택부 110은 상기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오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리자가 관리하고자 하는 단말 장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둘 이상의 단말 장치를 지정하거나 상기 미리 정해진 단말 장치가 둘 이상인 경우, 당해 관리 장치는 둘 이상의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말 장치에 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복수의 단말 장치들의 소프트웨어 버전을 동시에 확인해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각각의 단말 장치를 개별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복수의 단말 장치들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한 관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개별적 관리에 비해 신속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 장치 선택부 110은, 관리자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관리자가 각각의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ID를 입력할 경우, 상기 단말 장치 선택부 110은 상기 입력된 ID를 갖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시리얼 넘버, IP 주소 등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는, 관리 장치 또는 단말 장치의 세션(session) ID일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세션 ID는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에 의해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되어, 저장부 내에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할당받거나, 이미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검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각각의 관리 장치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 거나, 인터페이스 장치에 포함된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과는 별개로 동작하는 타 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단말 장치 선택부 110은 미리 정해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직접 검색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검색 모듈에 정보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 대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대안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120은, 상기 단말 장치 선택부 110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또는 상기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미리 지정된 로컬 또는 원격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한다. 상기 취득된 정보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관리자는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각 단말 장치에서 실행할 관리 명령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란,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기종, 성능, 총 배터리 용량 및 잔량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의 목록, 종류와 버전에 관한 정보, 단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가 보유한 파일의 이름, 크기, 종류, 개수, 저장된 위치 및 저장 또는 수정된 시간, 파일 디렉터리의 구조, 단말 장치의 메모리의 총 용량 및 잔여 용량, 사용 가능한 저장 공간의 크기, 단말 장치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종류와 수, 단말 장치의 CPU 및 메모리 점유율 등과 같이, 당해 단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관리자 또는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각 단말 장치가 해당 정보를 직접 전송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관리 장치 10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즉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말 장치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취득될 수도 있고, 또는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포함된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나 상기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 즉, 원격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 130은 상기 단말 장치 선택부 110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 장치에서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한다(도 6의 단계 1102).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 130은,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120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i) 미리 정해진 복수의 관리 명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을 선택하거나, (ii)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관리 명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명령을 선택하는 내용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iii) 상기 관리자가 새로이 생성한 관리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관리 명령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설치, 이미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제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단말 장치 소프트웨어 관리 명령은 물론이고, 단말 장치 의 배터리 잔량, 메모리 상태, 장치 모델 확인 등과 같은 시스템 정보 열람 명령, 파일 폴더 브라우징, 파일 실행, 파일 송수신, 파일 삭제 등과 같은 파일 관리 명령, 단말 장치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검색 및 강제 종료 등과 같은 프로세스 관리 명령, 단말 장치의 소프트 리셋 명령, 원격 화면 제어 명령 등과 같은 다양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관리 장치 100은 상기 단말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관리 명령의 목록, 각 관리 명령에 요구되는 관리 레벨에 관한 정보, 각 관리 명령에 필요한 관리 장치에 대한 정보의 종류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관리 명령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 130은 상기 관리 명령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리 명령의 목록을 로딩하고, 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리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 1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관리 명령은, 당해 관리 장치 또는 관리자에게 미리 부여된 관리 권한에 따라 제한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관리 레벨에 부합하는 인증 정보를 관리자가 입력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 130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는 명령의 수와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또한, 관리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기존의 관리 명령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120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 장치에서 실행할 관리 명령을 새로이 생성하고, 이를 관리 장치에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새로이 생성되는 관리 명령은, 관리자에 의해 신규하게 정의되는 관리 명령일 수 있고, 또는 기존의 관리 명령을 일부 수정한 것이거나 복수의 기존의 관리 명령들을 조합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은,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 130에 의해 결정된 관리 명령을 포함하여, 당해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 전송한다(도 6의 단계 1104). 이 외에도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은 필요에 따라,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들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복수의 관리 장치 및 복수의 단말 장치와 접속되고, 그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관리 장치 중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에 의해 전송된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 데이터 수신부 21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미리 정해진 크기의 메모리로 구성되는 저장부 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 22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또한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당 해 메모리 공간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접속된 단말 장치와 관리 장치에 관한 접속 정보, 및 상기 대응하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접속되는 단말 장치와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 210이 수신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 220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메모리 할당 판단부 230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할당 판단부 230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 220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메모리 할당 관리부 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명령 전송부 250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의 상기 기술구성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 21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도 6의 단계 1106). 즉,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 210은 관리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될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들과, 상기 단말 장치에서 실행될 관리 명령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에 의해 전송되는 정보 및 관리 명령을,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수신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각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외에도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 210은,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 즉 오프라인 상태인 단말 장치를 자동 접속하게 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온라인 상태의 단말 장치의 목록을 전송해주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단말 장치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전송해주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등을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모리 할당 판단부 230은,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 210에 의해 수신된 단말 장치 및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단말 장치 및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상기 저장부 220 내에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6의 단계 1108).
도 7a 및 도 7b는 상기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되는 저장부 22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장치 관리 시스 템이 시동된 초기에는 상기 저장부 220의 각각의 메모리 공간이 통신 채널에 대응되도록 할당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통신 채널이란 사용자측의 단말 장치와 관리자측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논리적인 데이터 전송 경로로서, 상기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각각의 메모리 공간에는, 대응하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접속된 단말 장치에 관한 접속 정보와 관리 장치에 관한 접속 정보, 및 상기 대응하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접속된 단말 장치와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저장한다. 즉, 상기 단말 장치 및 관리 장치는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 및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상기 저장부 220 내에 단말 장치 및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메모리 공간이 할당된 일례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정보는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의 IP와 포트 번호가 될 수 있고, 단말 장치가 PDA나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해당 전화 번호가 될 수도 있다. 관리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관리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에 통신이 개시되었는지, 명령을 전송한 상태인지, 명령을 전송한 후 결과를 기다리는 상태인지, 상기 관리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전송된 명령의 종류나 상기 명령에 의해 단말 장치에 인스톨된 소프트웨어의 종류 및 버전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는 이에 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 한 수정, 변형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메모리 공간은, 상기 접속 정보들 및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미리 정해진 고정된 크기를 가질 수도 있고, 통신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동하는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이 고정적으로 할당된 크기를 갖는 경우, 상기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의 크기가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초과한다면,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정보를 모두 삭제하고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거나, 대기열(queue)과 유사한 형식으로 정보가 저장된 순서대로 삭제해 나가거나, 저장된 정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에 따라 저장부 220의 메모리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할당된 메모리 공간의 크기가 동적으로 변동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메모리 공간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새로이 요구되는 때마다 해당 메모리 공간에 메모리를 추가로 할당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 220은 도 7a에 도시된 것과 달리, 각각의 관리 장치와 각각의 단말 장치의 모든 조합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통신 채널들에 대응되는 메모리 공간들을 미리 할당하고, 각 메모리 공간에 각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어느 관리 장치가 특정 단말 장치를 관리하고자 요청하는 경우, 당해 관리 장치와 단말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를 별도로 취득할 필요 없이, 저장부 220으로부터 당해 관리 자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메모리 공간을 검색하고 검색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정보를 이 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면 된다. 따라서, 통신 채널을 구성하여 메모리 공간을 새로이 할당하고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할 접속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스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 220의 메모리 크기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한도 없으며, 하드디스크, RAM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식의 저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하나의 단일한 하드웨어로서의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수의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장치는 단일 시스템 내에 설치된 것일 수 있고, 다수의 시스템에 분산되어 설치된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 대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부 220은, 할당된 각각의 메모리 공간에 대응하는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즉, 관리 장치의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에 의해 수신된 식별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를 갖는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고, 이후에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동일한 단말 장치에 대해 식별 정보 및 관리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식별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해 이미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 220으로부터 검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모리 할당 판단부 230에 의하여,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 140을 이용하여 관리 명령을 전송한 관리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가 관리하고자 하 는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하여, 상기 저장부 220 내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메모리 할당 관리부 240은 상기 메모리 내에 상기 관리 장치와 단말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 및 통신 상태 정보를 저장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한다(도 6의 단계 1110). 그리고,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각각에 대한 IP와 포트 번호 등의 접속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상기 관리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는, 상기 관리 장치가 전송한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데이터에 송신자 주소로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접속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가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 즉, 온라인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 장치가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할 때 기록된 정보로부터 취득할 수 있고, 상기 관리 장치가 전송한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이미 보유되어 있는 단말 장치 접속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취득된 관리 장치 및 접속 장치는, 당해 관리 장치 및 접속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메모리 공간 내에 저장된다.
상기 관리 명령 전송부 250은 상기 취득되고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리 명령을 단말 장치로 전송한다(도 6의 단계 1112). 또한, 상기 전송에 의해 발생되는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저장부 22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관리 명령 전송부 250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부터 전송된 관리 명령은,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의 관리 명령 수신부 310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단말 장치 제어 장치 310의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은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실행시키고, 이로써 각각의 단말 장치에서는 관리 장치로부터의 관리 명령에 따라 미리 정해진 관리 동작이 실행되게 된다(도 6의 단계 1114). 예를 들면,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이 특정 파일의 삭제 명령인 경우,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은 지시된 파일이 단말 장치의 저장 장치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 상기 지시된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파일을 삭제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 통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이 특정 소프트웨어의 버전 열람 명령인 경우,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은 지시된 소프트웨어의 정보를 열람하여 버전을 취득하고, 취득된 버전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은,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직접 실행할 수 있지만, 다른 소프트웨어로 하여금 해당 관리 명령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동작만을 실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의 상기 관리 명령 수신부 310은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로부터의 관리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관리 장치가 복수의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동시에, 복수의 관리 장치가 하나의 단말 장치, 또는 복수의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은, 상기 관리 명령 수신부 310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관리 장치 100로부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을 수신한 경우,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의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은,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을 선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은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를 이용하여, 수신된 관리 명령을 각각 전송한 관리 장치에 고유하게 부여된 관리 권한에 따라서, 또는 수신된 각각의 관리 명령의 종류에 따라서, 또는 각각의 관리 명령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중요도에 따라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는, 상기 관리 명령이 수신되는 순서에 따라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 대한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복수의 명령의 각각에 대하여 우선 순위가 설정되면,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은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로, 또는 우선 순위가 낮은 순서로,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따라서 복수의 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은, 우선 순위가 같은 명령들을 선별적으로 실행할 수도 있으며, 우선 순위가 다른 명령들이라도 필요에 따라 선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은, 복수의 명령들 중 소정의 명령만을 선택적으로 실행하고, 그 외의 명령들은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복수의 명령들에 대해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방식 및 우선 순위가 부여된 명령들을 실행하는 순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복수의 관리 장치가 하나의 단말 장치 또는 복수의 단말 장치를 동시에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관리 명령들을 그 우선 순위에 따라 인터페이스 장치 200이 순차적으로 관리 대상인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 210이 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서로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 상기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 및 상기 관리 명령 전송부로 하여금, 상기 일치하는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단말 장치로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을 선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 전송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는, 복수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들을 서로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제1 관리 장치가 제1, 제2 및 제3 단말 장치를 관리하고자 하고, 제2 관리 장치는 제3 및 제4 단말 장치를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는,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전송한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 관리 장치가 전송한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중에서, 그 일부인 제3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식별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는 각각의 관리 장치가 전송한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들의 전부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인터페이스 장치의 성능, 네트워크 환경 및 처리하고자 하는 관리 명령의 복잡도 및 중요도 등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는 상기 단말 장치 제어부 300의 우선 순위 설정부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수행하므로, 그 상세를 생략한다. 상기 명령 전송 제어부는, 상기 관리 명령 전송부 250으로 하여금, 상기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에 의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된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단말 장치들로,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에 의해 우선 순위가 설정된 관리 명령들을 각각의 우선 순위에 따라 선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명령 전송 제어부는, 복수의 관리 장치가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해 동일한 관리 명령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관리 명령을 한번만 해당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복수회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관리 장치로부터의 복수의 관리 명령들의 순서 및 종류에 따라, 특정 명령의 전송을 취소하거나 다른 관리 명령이 수신되거나, 단말 장치로부터 관리 명령의 실행 결과에 관한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될 때까지 임의로 지연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 대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은 수신된 관리 명령을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 320이 실행함으로써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 전송하는 실행 결과 전송부 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장치 100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관련된 실행 결과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실행 결과 요청부 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당해 단말 장치에서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행 결과 저장부 262,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2 단말 장치의 상기 실행 결과 전송부 330으로부터 전송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 262에 저장하는 실행 결과 수신부 260,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 262에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실행 결과 전달부 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관리 장치의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는,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 262에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로서 취득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의 상기 실행 결과 전송부 330에 의해 전송되는 실행 결과 데이터는,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리 명령을 당해 단말 장치에서 실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상기 관리 명령의 실행에 성공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상기 관리 명령의 실행에 실패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 상기 관리 명령의 실행 결과에 따라 당해 단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그 변경 사실 및 변경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의 상기 실행 결과 수신부 260은, 상기 실행 결과 전송부 330에 의해 전송된 상기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시켜 실행 결과 저장부 262에 저장한다.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 262는,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에 대응하여 실행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로서,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해 미리 정해진 저장 공간을 할당하고 각 공간에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해 수행된 관리 이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관리 장치로부터 제2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확인하고, 설치된 소프트웨어가 최신의 버전의 것이 아니라면 상기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라는 내용의 관리 명령이 전송된 경우, 제2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 320에 의해 상기 관리 명령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실행 결과 데이터가 작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버전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경우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한 후 업데이트 사실에 관한 실행 결과 데이터가 작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행 결과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의 실행 결과 전송부 330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의 상기 실행 결과 수신부 260에 의해 수신되며,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 262에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다. 상기 실행 결과 수신 부 260은, 상기 수신된 실행 결과 데이터 그 자체, 예를 들면,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사실, 상기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시점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 또는 상기 실행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 예를 들면, 수신된 실행 결과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추출하거나, 상기 최신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시점으로부터 다음 업데이트 시점을 연산하여 그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 262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수정, 변형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상기 실행 결과 전달부 264는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 262에 상기 요청이 지시하는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즉, 상기 실행 결과 전달부 264는, 관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때에 상기 실행 결과 데이터를 검색하여 전송할 수 있고,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혹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실행 결과 데이터가 전송된 즉시 상기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시에, 상기 실행 결과 전달부 264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 220 내에 상기 제2 관리 장치와 상기 제2 단말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 결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장치 100의 상기 실행 결과 요청부 150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 당해 관리 장치 100가 관리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서의 실행 결과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실행 결과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의 상기 실행 결과 전달부 264가 전송하는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 장치 100의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12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로서 취득할 수 있다. 상기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 130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나아가, 상기 관리 장치 100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의 상기 실행 결과 전달부 264로부터 전송되는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장치 100은, 상기 수신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관리 명령을 선택하는 것 외에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전송한 관리 명령의 실행에 실패했다는 것을 지시하는 실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동일한 명령을 재실행하도록 동일한 관리 명령을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 130으로 하여금 다른 관리 명령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거나, 관리자에게 관리 명령의 실행에 실패했음을 통지하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수신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 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전송된 상기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로서 취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은, 단말 장치가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수행(도 6의 단계 1114)한 후에 실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기타 다른 단계를 실행한 후에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장치가 각각의 단말 장치에서 관리 명령이 실행된 결과에 관한 데이터, 즉, 관리 이력에 관한 데이터를 보유하도록 하고, 각각의 관리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직접 실행 결과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할 필요 없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해당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 장치가 통상적으로 개개의 단말 장치보다 고성능을 지닌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정보 획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 장치 자체에서 종합적으로 단말 장치 관리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단말 장치를 효율적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 장치 제어부 100은, 단말 장치 정보 수집부 및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단말 장치 정보 송수신부 및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란, 상기한 바와 같이, 당해 단말 장치 제어부가 설치된 단말 장치로부터, 당해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 포함된 저장 공간의 총 용량 및 잔여 용량,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 크기, 종류, 개수, 저장된 위치 및 저장 또는 수정된 시간,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디렉터리의 구조, 단말 장치의 기종 및 성능, 단말 장치의 총 배터리 용량 및 잔여 배터리 용량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관리 장치의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수집부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또는 요청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취득한다.
상기 취득된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가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요청은, 인터페이스 장치가 자체적인 알고리즘에 따라 전송하는 요청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을 전달하는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전송된 요청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가 당해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주기는 일정하거나, 시스템 및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거나 삭제되는 등과 같이, 단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마다 상기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대체를 인식 할 것이다.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에 의해 전송된 정보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의 단말 장치 정보 송수신부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수신된 정보는,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상기 정보들을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 내에, 상기 정보를 전송한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다.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는,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설치된 저장 장치로서 설명되지만,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에 의해 전송된 정보는, 상기 관리 장치 100의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120에 의해 취득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의 단말 장치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 후, 당해 요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로부터 검색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3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 장치를 관리하는 제3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검색할 수 있다. 검색에 성공한 경우, 검색의 결과로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3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검색에 실패한 경우에는, 검색 실패를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를 상기 제3 관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3 단말 장치로 필요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제3 관리 장치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제3 단말 장치 와 상기 제3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제3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본 실시예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방법은,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은, 관리 장치가 복수의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도 6의 단계 1100) 이후, 관리 장치가 단말 장치에 대해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도 6의 단계 1102) 이전에, 관리 장치가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로서 수행될 수 있지만, 다양한 변형, 수정 및 대체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계들 중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단계 1100 이전에 수행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장치가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계 1100과 1102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들 중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를 제공하는 단계만이 상기 단계 1100 이전에 수행되고, 나머지 단계들은 상기 단계 1100과 1102 사이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단계들이 실행되는 순서는, 실제로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 및 시스템의 설정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관리 장치가 관리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이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 상태 판단부 27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 장치로,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접속 요청부 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100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부 340,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부 350, 및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부 340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접속부 350으로 하여금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접속부 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는 각각의 단말 장치의 상황과 네트워크 사정에 따라서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된 상태, 즉, 온라인 상태일 수도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 즉, 오프라인 상태일 수도 있다. 특정 관리 장치가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단말 장치들의 목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온라인 상태의 단말 장치들만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오프라인 상태의 단말 장치들을 포함하는 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이 온라인 상태인 단말 장치들만의 목록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관리자는 상기 목록으로부터 관리 대상을 선택하지 않고 오프라인 상태의 단말 장치를 관리하도록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 상태의 단말 장치를 자동으로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접속 상태 판단부 270에 의해 관리 장치 100이 관리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가 각각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장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와 같은 소정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복수의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각 단말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하거나 접속 해제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특정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지 않고 특정 단말 장치의 접속 상태를 판단하여야 하는 시점에, 당해 특정 단말 장치로 접속 상태 판단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특정 단말 장치가 적절한 응답을 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접속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오프라인 상태인 단말 장치에 대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접속 요청부 280을 이용하여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 200 에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프라인 상태인 단말 장치가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상기 접속 요청부 280은 SMS를 통해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은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부 340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부 340은 SMS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의 자동 접속부 360은,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접속부 350으로 하여금 당해 단말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접속부 350은 당해 단말 장치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IP 및 패스워드와 같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에 접속을 요청한다.
상기 본 실시예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이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오프라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 장치로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오프라인 상태인 단말 장치가 발신한 접속 요청에 따라 당해 단말 장치와 접속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들은 인터페이스 장치가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관리 명령을 해당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도 6의 단계 1112) 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단계들은 관리 장치가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도 6의 단계 1100) 이후 상기 관리 장치가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장치가 관리 장치로부터의 관리 명령을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도, 단말 장치의 접속이 해제되는 사정이 발생한 경우라면 상기 단계들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리 장치 100의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되는 관리 명령은, 사용자측의 단말 장치로 하여금 당해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상기 관리 장치 100으로 전송하도록 요구하는 화면 전송 명령일 수 있다. 즉, 상기 화면 전송 명령은, 관리자가 단말 장치의 화면을 모니터링하면서 단말 장치를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캡쳐하여 이를 실시간으로 관리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관리 명령이다. 그러나, 단말 장치의 화면에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속도가 데이터 전송 속도에 비해 빠르거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 데이터의 크기가 큰 경우,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에 비해 많을 수 있다. 또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이 변경되지 않은 경우에도 일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무조건 화상을 전송한다면, 불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되어 전체 시스템의 부하를 불필요 하게 증가시키므로, 자원 관리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단말 장치의 화면을 연속적으로 캡쳐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 연속하여 캡쳐된 화상 데이터들 간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만 변경된 화상 데이터를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변경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는 전송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연속하여 캡쳐되는 화상 데이터들은, 상기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을 비교하여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므로, 단말 장치가 처리해야하는 데이터 양은 결코 적지 않고, 따라서 단말 장치의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 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취득부 370, 화상 데이터 비교부 380 및 화상 데이터 전송부 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부 370은 단말 장치의 화면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캡쳐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예를 들면,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부 370은 단말 장치의 화면의 주사율에 따라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다.
상기 화상 데이터 비교부 380은 상기 화상 데이터 취득부 370에 의해 연속적으로 캡쳐된 화상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화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상 데이터 비교부 380은 연속적으로 캡쳐된 화상 데이터 중 하나인 제1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의 적(red; R), 녹(green; G), 청(blue; B) 컬러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면 R 컬러의 레벨값인 제1 픽셀값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이어서 캡쳐된 화상 데이터인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의 R, G, B 컬러 중 상기 제1 픽셀값과 동일한 컬러, 예를 들면 R 컬러의 레벨 값인 제2 픽셀값을 서로 비교하고,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캡쳐된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각의 픽셀은 R, G, B의 세가지 컬러를 이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가 변경되어 캡쳐된 화상 데이터가 변경된다면, 전체 픽셀 중 적어도 일부 픽셀의 R, G 또는 B 컬러의 레벨값이 변동한다. 따라서, 화면 변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캡쳐된 화상 데이터 픽셀들의 R, G, B 세가지 컬러의 레벨값들을 모두 비교하지 않고, 상기 그 중 일부 컬러,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컬러의 레벨값만을 비교함으로써, 단말 장치가 처리해야하는 데이터양을 감소시키고 단말 장치에 가해지는 부담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픽셀들의, 예를 들면, R 컬러의 레벨값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정도의 기준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 비교부 380에 의한 비교 결과, 전체 픽셀들 중 일정 픽셀 이상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화상 데이터가 변경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전체 픽셀의 15%이상의 R 컬러 레벨값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화상 데이터 비교부 380에 의한 비교 결과, 캡쳐된 화상 데이터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부 390은 변경된 화상 데이터인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상기 화상 데이터 송수신부 290을 이용하여 상기 전송된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상기 관리 장치 100으로 전송한다. 상기 관리 장치 100의 화상 데이터 수신부 160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화상 디스플레이 제어부 170가 당해 관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하도록 제어한다. 관리자는 상기 화상 디스플레이 제어부 17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본 실시예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장법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당해 제1 관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상기 단말 장치가 관리 장치로부터의 관리 명령을 수신 및 실행하는 단계(도 6의 단계 1114) 이후에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당해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데이터란, 상기 단말 장치에서 관리 명령이 실행됨으로써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소정의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는, 예를 들면,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 포함된 저장 공간의 총 용량 및 잔여 용량,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 크기, 종류, 개수, 저장된 위치 및 저장 또는 수정된 시간,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디렉터리의 구조, 단말 장치의 기종 및 성능, 단말 장치의 총 배터리 용량 및 잔여 배터리 용량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데이터는 관리자나 사용자로부터의 요청 또는 관리자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바에 따라 각각의 단말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정보 데이터의 종류, 형식, 크기, 획득 방식 등에 대해서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정보 데이터를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저장 장치로서, 각각의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를 임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단말 장치 데이터 저장부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정보 데이터가 관리 장치로 전달되기 위해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RAM이나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 공간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각각의 단말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 관리 이력에 관한 정보 등을 단말 장치가 아닌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상기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정보 데이터는,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전송부에 의해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 데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후 곧바로 관리 장치로 전송될 수 있고, 또는 소정의 필요한 동작을 행한 후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이 있는 때에 그에 응답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정보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주기마다 관리 장치로 전송되거나,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전송된 정보 데이터는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자에게 제공될 수 있고, 상기 관리자는 제공받은 정보 데이터를 기초로 관리할 단말 장치를 선택하거나 관리 명령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 대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대체를 인식할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 200은 단말 장치와 관리 장치 사이의 접속 관리는 물론, 상기 단말 장치와 관리 장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고,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관리하는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로써, 관리 장치가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나 관리 이력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로부터 직접 획득하지 않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20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관리 장치가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복수의 단말 장치가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대안 및 등가물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추가, 삭제 또는 변형이 본 개시의 관점에서 자명하며, 이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 장치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저장부에 할당되는 메모리 공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18)

  1.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관리 명령을 생성하는 복수의 관리 장치;
    복수의 상기 사용자측 단말 장치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의 관리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와 접속되고, 이들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장치 선택부;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또는 미리 지정된 로컬 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는 관리 명령 선택부; 및
    당해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 별 정보 및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에 의해 결정된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중 하나인 제1 관리 장치의 관리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 데이터 수신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된 저장부 -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와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 -;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메모리 할당 판단부;
    상기 메모리 할당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메모리 할당 관리부;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 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명령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의 관리 명령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수신하는 관리 명령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실행시키는 관리 명령 실행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명령 선택부는,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i) 미리 정해진 복수의 관리 명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을 선택하거나, (ii)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관리 명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명령을 선택하는 내용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iii) 상기 관리자가 새로이 생성한 관리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가 상기 관리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실행 결과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의 각각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와 관련된 실행 결과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실행 결과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당해 단말 장치에서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행 결과 저장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2 단말 장치의 상기 실행 결과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저장하는 실행 결과 수신부; 및
    상기 제2 단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실행 결과 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관리 장치의 단말 장치 정보 취득부는,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로서 취득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상기 관리 명령 수신부가 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을 수신한 경우,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의 각각에 대해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리 명령 실행부는,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을 선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가 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의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서로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
    상기 단말 장치 일치 여부 판단부에 의하여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 및
    상기 관리 명령 전송부로 하여금, 상기 일치하는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단말 장치로 상기 우선 순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들을 선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명령 전송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 포함된 저장 공간의 총 용량 및 잔여 용량,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 크기, 종류, 개수, 저장된 위치 및 저장 또는 수정된 시간,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디렉터리의 구조, 단말 장치의 기종 및 성능, 단말 장치의 총 배터리 용량 및 잔여 배터리 용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당해 단말기 제어 장치가 설치된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단말 장치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수집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당해 단말 장치의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3 단말 장치의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3 단말 장치와 상기 제3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에 상기 제3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3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정보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이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접속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 장치로,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접속 요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부;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의 접속을 위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부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접속부로 하여금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데이터 전송부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되는 관리 명령은, 단말 장치로 하여금 당해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전송하도록 요구하는 화면 전송 명령이고,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는,
    단말 장치의 화면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캡쳐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부;
    상기 연속적으로 캡쳐된 화상 데이터 중 하나인 제1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의 적(red; R), 녹(green; G), 청(blue; B) 컬러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값인 제1 픽셀값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이어서 캡쳐된 화상 데이터인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의 R, G, B 컬러 중 상기 제1 픽셀값과 동일한 컬러의 레벨값인 제2 픽셀값을 서로 비교하고,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화상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비교의 결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부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의 각각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부; 및
    당해 관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를 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시스템.
  9.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는 관리 장치와 접속되고 이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리 장치 중 하나인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복수의 상기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 데이터 수신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된 저장부 -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와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 -;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메모리 할당 판단부;
    상기 메모리 할당 판단부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메모리 할당 관리부;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관리 명령 전송부;
    각각의 단말 장치가 상기 관리 명령 전송부로부터 전송된 관리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당해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데이터 를, 당해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10.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관리 장치 중 제1 관리 장치가, 복수의 상기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또는 미리 지정된 로컬 또는 원격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상기 취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당해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결정된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수신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된 저장부 -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와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 -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전송된 관리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관리 장치는, 상기 취득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기초로, (i) 미리 정해진 복수의 관리 명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관리 명령을 선택하거나, (ii) 상기 관리자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복수의 관리 명령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명령을 선택하는 내용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iii) 상기 관리자가 새로이 생성한 관리 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는 단말 장치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말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리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당해 단말 장치에서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실행 결과 저장부에, 상기 제2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2 단말 장치를 관리하는 제2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관리 장치가, 상기 실행 결과 저장부에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로서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각각의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당해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 상기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는, 단말 장치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소프트웨어의 목록 및 버전, 단말 장치에 포함된 저장 공간의 총 용량 및 잔여 용량,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 크기, 종류, 개수, 저장된 위치 및 저장 또는 수정된 시간, 단말 장치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디렉터리의 구조, 단말 장치의 기종 및 성능, 단말 장치의 총 배터리 용량 및 잔여 배터리 용량에 관한 정 보를 포함함 - 를 저장하는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3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3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3 단말 장치에 대응시켜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3 단말 장치와 상기 제3 단말 장치를 관리하는 제3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저장부에 상기 제3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정보를 상기 제3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관리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이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단말 장치인 제4 단말 장치로, 당해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접속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4 단말 장치가 발신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한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제4 단말 장치 사이의 접속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관리 데이터에 포함된 관리 명령은, 단말 장치로 하여금 당해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전송하도록 요구하는 화면 전송 명령이고,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당해 제1 단말 장치의 화면을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캡쳐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연속적으로 캡쳐된 화상 데이터 중 하나인 제1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의 적(red; R), 녹(green; G), 청(blue; B) 컬러 중 적어도 레벨값인 제1 픽셀값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에 이어서 캡쳐된 화상 데이터인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들의 R, G, B 컬러 중 상기 제1 픽셀값과 동일한 컬러의 레벨값인 제2 픽셀값을 서로 비교하고,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 관리 방법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1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가, 당해 제1 관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관리 방법.
  16.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는 관리 장치와 접속하고 이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리 장치 중 하나인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복수의 상기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나 또는 그 이 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된 저장부 -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와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 -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각각의 단말 장치가 상기 관리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당해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데이터를, 당해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제1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부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관리 장치의 각각에 설치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말 장치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관리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관리 코드 수단;
    복수의 상기 사용자측 단말 장치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의 관리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 제어 코드 수단; 및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와 접속되고 이들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 코드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관리 코드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말 장치 선택 코드 수단;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로부터 또는 미리 지정된 로컬 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단말 장치 정보 취득 코드 수단;
    상기 단말 장치 정보 취득 코드 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결정하기 위한 관리 명령 선택 코드 수단; 및
    당해 관리 코드 수단이 설치된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관리 명령 선택 코드 수단에 의해 결정된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 전송 코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 제어 코드 수단은,
    상기 복수의 관리 장치 중 하나인 제1 관리 장치의 관리 데이터 전송 코드 수단에 의해 전송된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 수신 코드 수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된 저장부를 제공하기 위한 메모리 관리 코드 수단 -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와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 -;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 코드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 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메모리 할당 판단 코드 수단;
    상기 메모리 할당 판단 코드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할당 관리 코드 수단; 및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관리 명령 전송 코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 장치 제어 코드 수단은,
    상기 관리 명령 전송 코드 수단에 의해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관리 명령 수신 코드 수단; 및
    상기 수신된 관리 명령을 실행시키기 위한 관리 명령 실행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용자측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를 원격 관리하는 관리 장치와 접속되고 이들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리 장치 중 하나인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복수의 상기 단말 장치 중 관리자가 지정한 또는 미리 정해진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실행할 관리 명령을 포함하는 관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관리 데이터 수신 코드 수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 공간으로 구획된 저장부를 제공하기 위한 메모리 관리 코드 수단 - 각각의 상기 메모리 공간은 하나의 단말 장치와 하나의 관리 장치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여 할당되며,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와 당해 단말 장치 및 당해 관리 장치의 통신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 -;
    상기 관리 데이터 수신 코드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관리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 중 하나인 제1 단말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메모리 할당 판단 코드 수단;
    상기 메모리 할당 판단 코드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 된 경우,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을 상기 저장부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의 접속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취득된 접속 정보를 당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할당 관리 코드 수단;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관리 명령을 상기 제1 단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관리 명령 전송 코드 수단;
    각각의 단말 장치가 상기 관리 명령 전송 코드 수단에 의해 전송된 관리 명령을 실행함으로써 생성된 실행 결과 데이터를 포함하는 당해 단말 장치에 관한 정보 데이터를, 당해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하기 위한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 코드 수단;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저장 코드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장치 및 상기 제1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관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 장치 정보 데이터 전송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0049568A 2008-05-28 2008-05-28 복수의 단말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복수의 단말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5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68A KR100959614B1 (ko) 2008-05-28 2008-05-28 복수의 단말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복수의 단말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200910203588XA CN101594259B (zh) 2008-05-28 2009-05-27 终端装置管理系统和接口装置及相应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568A KR100959614B1 (ko) 2008-05-28 2008-05-28 복수의 단말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복수의 단말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474A true KR20090123474A (ko) 2009-12-02
KR100959614B1 KR100959614B1 (ko) 2010-05-27

Family

ID=4140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568A KR100959614B1 (ko) 2008-05-28 2008-05-28 복수의 단말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복수의 단말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9614B1 (ko)
CN (1) CN101594259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526A3 (en) * 2010-04-26 201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and device therefor
WO2012005442A3 (ko) * 2010-07-09 2012-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관련 관리 객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51099B1 (ko) * 2012-07-03 2013-04-05 알서포트 주식회사 원격 접속 과정 모니터링 방법 및 원격 접속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18158B1 (ko) * 2012-09-14 2014-07-09 주식회사 비스텔 반도체 생산을 위한 부대 장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68283A (zh) * 2014-12-26 2015-03-2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多主机管理系统的监控方法、装置和系统
KR102130643B1 (ko) * 2019-04-23 2020-07-06 이화트론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녹화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20220028980A (ko) * 2020-09-01 2022-03-08 양성기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5817B2 (ja) * 2012-03-09 2016-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JP5976210B2 (ja) * 2013-05-22 201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設備管理装置、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441861B (zh) * 2013-07-16 2017-03-08 杭州华为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记录生成方法及装置
JP7081645B2 (ja) * 2020-10-27 2022-06-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センター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1071B2 (ja) 2000-09-27 2006-11-29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遠隔制御方法
DE60228647D1 (de) * 2001-01-20 200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und verfahren zur fernsteuerung eines mobilen endgerätes
JP2006254137A (ja) * 2005-03-11 2006-09-21 Nec Corp ユーザ端末管理装置とユーザ端末管理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端末管理システム
CN1960276B (zh) * 2005-11-04 2010-05-12 英业达股份有限公司 远程控制系统及方法
CN1829173A (zh) * 2006-04-14 2006-09-06 北京海高瑞德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终端监管系统及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526A3 (en) * 2010-04-26 201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and device therefor
AU2011245872B2 (en) * 2010-04-26 2014-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and device therefor
AU2011245872C1 (en) * 2010-04-26 2014-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and device therefor
US9277027B2 (en) 2010-04-26 2016-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and device therefor
WO2012005442A3 (ko) * 2010-07-09 2012-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관련 관리 객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9172592B2 (en) 2010-07-09 2015-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related management object
KR101251099B1 (ko) * 2012-07-03 2013-04-05 알서포트 주식회사 원격 접속 과정 모니터링 방법 및 원격 접속 모니터링 시스템
KR101418158B1 (ko) * 2012-09-14 2014-07-09 주식회사 비스텔 반도체 생산을 위한 부대 장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68283A (zh) * 2014-12-26 2015-03-2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多主机管理系统的监控方法、装置和系统
CN104468283B (zh) * 2014-12-26 2018-01-0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多主机管理系统的监控方法、装置和系统
KR102130643B1 (ko) * 2019-04-23 2020-07-06 이화트론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녹화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20220028980A (ko) * 2020-09-01 2022-03-08 양성기 교육 기관 정보 시스템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4259A (zh) 2009-12-02
CN101594259B (zh) 2012-06-27
KR100959614B1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614B1 (ko) 복수의 단말 장치의 원격 관리 시스템과 방법, 복수의 단말장치 및 복수의 관리 장치와 접속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방법, 및, 그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60308960A1 (en) Connection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for linking connection management server in thin client system
US8838730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system processing image data,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data
CN106302565B (zh) 业务服务器的调度方法及系统
US10021724B2 (en) Method of wirelessly connecting at least two devices and wirelessly connectable device using the method
US10013271B2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anagement system
US8972500B2 (en) Data share system, data proces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2165520B (zh) 投屏控制方法、投屏接收端及存储介质
US92152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distribu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101613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9262114B2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50079966A1 (en) Methods for facilitat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administration and devices thereof
US108050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4035821B (zh) 管理系统和方法
JP5287623B2 (ja) 仮想サーバ管理システム、画像処理システム、仮想サーバ管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126997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sharing data,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EP2104345A1 (en) Template replacement method, system and device
JP4961994B2 (ja) 帯域利用制御システム、帯域利用制御方法、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10258311A1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onitoring
CN116107687A (zh) 集群资源自动伸缩方法、装置及系统
KR101241736B1 (ko)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JP5763985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装置
US981356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more uniformly distributing documents
KR101625159B1 (ko) 동적 세션 할당 방법, 동적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1894973B2 (en) Assigning and prioritizing mediation servers for monitoring legac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