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3382A - 조립식 기둥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기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3382A
KR20090123382A KR1020080049431A KR20080049431A KR20090123382A KR 20090123382 A KR20090123382 A KR 20090123382A KR 1020080049431 A KR1020080049431 A KR 1020080049431A KR 20080049431 A KR20080049431 A KR 20080049431A KR 20090123382 A KR20090123382 A KR 20090123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frame
pair
pillar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122B1 (ko
Inventor
주민선
Original Assignee
주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민선 filed Critical 주민선
Priority to KR1020080049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12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외관을 장식하는 마감재와; 상기 마감재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기둥에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마감재 장착프레임과;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마감재를 간편하게 장착 및 유지 보수할 수 있고, 기둥의 다양한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여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기둥 구조물{PREFABRICATED PILLAR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둥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며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고라, 정자, 버스 승강장, 안내판, 원두막, 공원 건축물, 휀스 등과 같은 시설물에는 기둥 구조물이 적용된다.
최근 이러한 시설물에는 문화적인 바람을 타고 고급화가 이루어지고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나, 소재의 한정적인 사용으로 외관이 단순하여,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설물들은 철재, 목재로 이루어진 기둥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부식되며, 부식을 막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여 비경제적이며, 해마다 도장을 새로 해주어야만 시설물의 부식과 외관의 노후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된 외관을 변경할 수 없는 경우, 부분 보수를 하기 위해 시설물 전체를 해체하고 재설치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비용 과 시간면에서 비경제적이다.
특히, 종래의 기둥 구조물은 목재, 철재 위주의 단순 외관의 기둥이 주류이므로, 목재 이외의 자재를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며, 마감재의 가공이 어렵거나 마감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마감재에 인위적으로 구멍을 뚫어 고정함으로써, 부식이 가속화되거나 재료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기둥의 마감재에 별도의 가공없이 마감재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기둥의 다양한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여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마감재를 간편하게 장착 및 유지 보수할 수 있고, 기둥의 다양한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여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기둥과; 상기 기둥의 외관을 장식하는 마감재와; 상기 마감재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기둥에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마감재 장착프레임과;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마감재 장착프레임을 상기 기둥에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구를 더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마감재 장착프레임을 기둥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 간격조절부는,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며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로드와; 상기 한 쌍의 로드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로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로드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와 상기 로드 간격조절구는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에 장착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은,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를 상기 기둥에 지지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과 함께 상기 마감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에는 복수의 마감재가 병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마감재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마감재의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하는 마감재 간격조절구를 마련함으로써, 마감재의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마감재를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에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둥 커버와 상기 마감재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과 상기 마감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스페이서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그루브가 형성됨으로써, 마감재를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에 장착시 마감재가 스페이서와 밀착하며 장착되므로, 마감재와 차단판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어 마감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마감재를 간편하게 장착 및 유지 보수할 수 있고, 기둥의 다양한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여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기둥 구조물(10)은 기둥(21)과, 기둥(21)의 외관을 장식하는 마감재(31)와, 마감재(31)가 착탈가능하도록 끼움 결합되는 마감재 장착프레임(41)과,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 간격조절부(51)와, 복수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을 기둥(21)에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구(65a,65b)를 가진다.
기둥(21)은 지반에 매설되는 기둥 기초(11)에 기립 설치된다.
기둥 기초(11)는 사각블록형상을 가지며, 공장에서 소정 형상의 철재 거푸집에 의하여 제작하고 고온 다습한 증기 보양실에서 단기 보양하여 기성제품화 한 프 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진다.
기둥 기초(11)에는 기둥(21)을 지지하는 앵커볼트(13)가 매설되어 있다. 앵커볼트(13)는 일단부가 기둥 기초(11)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기둥 기초(11)에 매설된다. 기둥 기초(11)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된 앵커볼트(13)의 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앵커볼트(13)의 수나사는 너트(15)와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앵커볼트(13)가 개시되어 있으며, 앵커볼트(13)의 수량은 기둥(21)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둥(21)은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기둥(21)의 저면에는 기둥(21)을 기둥 기초(11)에 지지하는 기초 지지플랜지(23)가 마련되어 있다. 기초 지지플랜지(23)는 기둥 기초(11)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기초 지지플랜지(23)에는 앵커볼트(13)가 관통하는 앵커 관통공(25)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21)의 외주에는 기둥(21)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한 마감재(3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마감재(31)는 판형상을 가지며,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외부로 노출되는 마감재(31)의 전면의 양 측부의 모서리에는 마감재(31)를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장착시 후술할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의 지지턱(49)과의 마찰을 줄이도록 마감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챔퍼(3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마감재(31)의 소재는 목재, 철재, 타일, 인조석, 유리, 점토, 아크릴,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마감재(31)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이 기둥 (21)의 외주에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은 기둥(21)의 각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은, 프레임 본체(43)와, 프레임 본체(43)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 본체(43)를 기둥(21)에 지지하는 브래킷(45)과, 브래킷(45)과 간격을 두고 프레임 본체(43)로부터 돌출되어 브래킷(45)과 함께 마감재(3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49)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 본체(43)는 속이 빈 사각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브래킷(45)은 판형상을 가지며, 프레임 본체(43)의 판면과 직각을 이루며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브래킷(45)이 마련되어 있으며, 한 쌍의 브래킷(45)은 프레임 본체(43)의 일측 모서리에 서로 직각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한 쌍의 브래킷(45)은 기둥(21)의 일측 모서리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기둥(21)을 향하는 브래킷(45)의 판면에는 브래킷(45)과 기둥(2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이격돌기(47)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턱(49)은 마감재(31)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브래킷(45)이 형성된 프레임 본체(43)의 각 변에 브래킷(45)과 평행을 이루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지턱(49)과 프레임 본체(43)가 이루는 모서리의 내측에는 마감재(31)에 형성된 챔퍼(33)와 동일 크기로 모따기되어 있다. 이에, 지지턱(49)과 브래킷(45) 사이에는 마감재(31)의 일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한편,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는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 간격조절부(51)가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 간격 조절부(5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각각 지지되며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로드(53)와, 한 쌍의 로드(53)를 상호 연결하며 한 쌍의 로드(5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로드 간격조절구(55)와, 로드(53)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장착되는 캡(57)을 가진다.
로드(53)는 일정 길이의 봉형상을 가지며, 로드(53)의 양단부에는 각각 캡(57)과 로드 간격조절구(55)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로드 간격조절구(55)는 각 로드(53)의 자유단부를 수용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로드 간격조절구(55)의 내주에는 각 로드(53)의 수나사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캡(57)은 프레임 본체(43)의 내주에 삽입되는 플러그(59)와, 플러그(59)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 본체(43)에 걸림유지되는 걸림턱(61)을 가진다.
걸림턱(61)은 사각단면형상을 가지며, 걸림턱(61)의 일측 모서리를 형성하는 각 변에는 각 로드(53)의 수나사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캡(57)의 걸림턱(61)과 로드(53)는 나사결합하지 않고, 용접에 의해 결합되거나, 로드(53)와 캡(57)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프레임 간격조절부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프레임 간격조절부(51)의 로드(53)는 캡(57)에 편지지되지 않고,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직접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로드(53)는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나사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배치된 로드 간격조절구(55)로 각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로드(5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기둥(21)의 다양한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여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마감재(31)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둥(21)의 각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은 프레임 지지구(65a,65b)에 의해 기둥(21)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2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프레임 지지구(65a,65b)가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 지지구(65a,65b)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통형상을 가지며, 프레임 지지구(65a,65b)의 내측 각 모서리에는 각 캡(57)의 걸림턱(61)이 지지된다. 기둥(21)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프레임 지지구(65a)는 기둥(21)과 마감재(31)의 각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기둥(21)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프레임 지지구(65b)의 중앙영역에는 기둥(21)의 일단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67)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각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은, 기둥(2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장착된 각 프레임 지지구(65a,65b)에 의해, 기둥(21)의 각 모서리 영역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10)은,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복수의 마감재(31)가 병렬 배치되어 있다.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31) 사이에는 마감재 간격조절구(71)로서 접시머리형의 피스가 마련되어 있다. 마감재 간격조절구(71)는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3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마감재 간격조절구(71)를 기둥(21)을 향해 조임 에 따라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31)는 마감재 간격조절구(71)에 지지되며 이격함과 동시에,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대면하는 마감재(31)의 일단부는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 지지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감재 간격조절구(71)로서 피스 대신에 일측에 접시머리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바아를 한 쌍의 마감재(31) 사이에 배치하고, 이 바아를 기둥(2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장착되는 프레임 지지구(65a,65b)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3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마감재 간격조절구(71)는 마감재(31)의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마감재(31)를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장착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기둥 커버와 마감재(31) 사이에는 기둥 커버와 마감재(31) 사이를 차단함과 동시, 로드(53)와 로드 간격조절구(55)가 마감재(31)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판(75)이 배치되어 있다. 마감재(31)를 향하는 차단판(75)의 판면에는 후술할 스페이서(81)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그루브(77)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77)는 기둥 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마감재(31)를 향하는 차단판(75)의 판면에는 차단판(75)과 마감재(3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마감재(31)를 지지하는 스페이서(81)가 마련되어 있다. 스페이서(81)는 띠 형상을 가지며, 스페이서(81)의 두께는 그루브(77)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하여 마감재(31)의 배면과 차단판(75)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마감재(31)를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장착시 마감재(31)는 스페이서(81)와 밀착하며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장착됨 과 동시에, 마감재(31)의 배면과 차단판(75)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마감재(31)와 차단판(75)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어 마감재(31)를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10)에 마감재(31)를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둥 기초(11)의 상부면에 기둥(21)의 하단부에 마련된 기초 지지플랜지(23)를 안착시켜, 기둥(21)을 기둥 기초(11)에 기립 설치한다. 이 때, 기초 지지플랜지(23)의 앵커 관통공(25)에 앵커볼트(13)를 관통시킨 후, 너트(15)로 앵커볼트(13)를 체결하여 기둥(21)을 기둥 기초(11)에 고정한다.
다음, 기둥(21)의 각 모서리 영역에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을 배치한다.
이어서,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캡(57)을 장착한다.
계속하여, 캡(57)에 로드(53)를 각각 연결하고, 인접하는 한 쌍의 캡(57)에 연결된 한 쌍의 로드(53)를 로드 간격조절구(55)에 연결한다. 이 때, 로드 간격조절구(55)로 한 쌍의 로드(5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을 기둥(21)의 각 모서리 영역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기둥(21)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차단판(75)을 끼워 넣는다. 이 때, 차단판(75)의 양측 가장자리는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의 브래킷(45)과 지지턱(49)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 차단판(75)의 그루브(77)에 스페이서(81)를 장착한다.
그리고, 복수의 마감재(31)를 기둥(21)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끼움 결합한다. 이 때, 마감재(31)의 배면과 차단판(75) 사이는 스페이서(81)에 의해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고, 이에 마감재(31)의 장착시 마감재(31)와 차단판(75)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어 마감재(31)를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기둥(21)의 가로 방향으로 3개의 마감재(31)가 배치되고, 기둥(21)의 세로 방향으로 2개의 마감재(31)가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호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31) 사이에 마감재 간격조절구(71)를 개재하고, 마감재 간격조절구(71)를 기둥(21)을 향해 조여,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31) 사이를 이격시키며 지지함과 동시에,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대면하는 마감재(31)의 일단부는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 지지된다. 이 때, 마감재 간격조절구(71)에 의해 차단판(75)은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의 브래킷(45)에 밀착 지지된다. 이에, 복수의 마감재(31)는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유동하지 않으며 견고하게 장착된다.
각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각각 마감재(31)의 조립이 완료되면, 기둥(21)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프레임 지지구(65a,65b)를 장착한다. 이 때, 각 프레임 지지구(65a,65b)의 내측 각 모서리에는 각 마감재 장착프레임(41)에 장착된 캡(57)의 걸림턱(61)이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이로써, 각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은 기둥(21)의 각 모서리 영역에 견고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마감재(31)의 장착이 완료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마감재 장착프레임에 마감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10)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기둥(21)의 가로방향의 폭이 상대적으로 작다. 즉,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기둥(21)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2개의 마감재(31)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기둥(21)의 각 모서리 영역에 마감재 장착프레임(41)을 배치하고, 인접한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에 배치된 프레임 간격조절부(51)의 로드 간격조절구(55)로 한 쌍의 로드(53)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기둥(21)의 가로 방향의 폭이 변경되더라도 기둥(21)의 가로 방향의 폭에 대응하여 마감재 장착프레임(41)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마감재(31)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재가 끼움 결합되는 마감재 장착프레임을 기둥의 외주에 설치하여, 마감재를 블록식으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마감재를 기둥에 장착하기 위해 마감재에 인위적으로 구멍을 뚫어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감재의 변형을 줄이고 간편하게 마감재를 장착 및 유지 보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감재 장착프레임을 기둥에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하고, 인접하는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에 한 쌍의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 간격조절부를 연결함으로써, 기둥의 다양한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여 마감재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마감재 장착프레임의 한 쌍의 지지 리브 사이에 한 쌍의 마감재가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한 쌍의 지지 리브 사이에 하 나의 마감재가 장착되거나, 한 쌍의 지지 리브 사이에 세 개의 마감재가 병렬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지지 리브 사이에 병렬 배치되는 마감재의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둥이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기둥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H'자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프레임 간격조절부가 제외된 도 1의 개략적인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기둥과 마감재 장착프레임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마감재 장착프레임에 마감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프레임 간격조절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1의 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마감재 장착프레임과 프레임 간격조절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 5의 요부 평면도,
도 7은 프레임 간격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1의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기둥 구조물의 마감재 장착프레임에 마감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조립식 기둥 구조물 11 : 기둥 기초
21 : 기둥 31 : 마감재
41 : 마감재 장착프레임 43 : 프레임 본체
45 : 브래킷 49 : 지지턱
51,51 : 프레임 간격조절부 53 : 로드
55 : 로드 간격조절구 57 : 캡
65a,65b : 프레임 지지구 71 : 마감재 간격조절구
75 : 차단판 77 : 그루브
81 : 스페이서

Claims (8)

  1. 기둥과
    상기 기둥의 외관을 장식하는 마감재와;
    상기 마감재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기둥에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마감재 장착프레임과;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감재 장착프레임을 상기 기둥에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간격조절부는,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에 각각 지지되며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로드와;
    상기 한 쌍의 로드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한 쌍의 로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로드 간격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와 상기 로드 간격조절구는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에 장착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은,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 본체를 상기 기둥에 지지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과 함께 상기 마감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마감재 장착프레임 사이에는 복수의 마감재가 병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마감재 사이에는 상기 복수의 마감재의 간격을 조절하며 고정하는 마감재 간격조절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커버와 상기 마감재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과 상기 마감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스페이서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20080049431A 2008-05-28 2008-05-28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0993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31A KR100993122B1 (ko) 2008-05-28 2008-05-28 조립식 기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31A KR100993122B1 (ko) 2008-05-28 2008-05-28 조립식 기둥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82A true KR20090123382A (ko) 2009-12-02
KR100993122B1 KR100993122B1 (ko) 2010-11-08

Family

ID=41685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431A KR100993122B1 (ko) 2008-05-28 2008-05-28 조립식 기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291B1 (ko) 2010-06-29 2011-07-14 이지산업 주식회사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기둥
KR200454349Y1 (ko) * 2011-01-12 2011-06-29 (주)우리조경건설 목재 마감재가 구비된 파고라 기둥
KR101805368B1 (ko) * 2017-07-28 2017-12-05 동방가로시설(주) 지주용 프레임
CN107989264A (zh) * 2017-12-10 2018-05-04 柳州市力万科技有限公司 活动板房用角柱
KR102053034B1 (ko) * 2019-07-18 2020-01-08 정성훈 벤치 설치용 조립식 온열 장치
KR102425482B1 (ko) * 2022-03-07 2022-07-27 주식회사 원앤 복합형 다기능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688B1 (ko) 2008-05-06 2008-07-23 한국조경건설(주) 기둥구조
KR200442821Y1 (ko) 2008-09-09 2008-12-11 주식회사 자인 조립식 기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122B1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122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0873266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1459082B1 (ko) 거푸집 겸용 보강 철골과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 및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US20170037653A1 (en) Clamps for panel-type fences
KR100959984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0998734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수평유지부재 및 그 설치 구조
CA2932974A1 (en) Surface mount post assembly,post clip, modular barrier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assembly
KR101744725B1 (ko) 친환경 데크 로드 시스템
JP7351612B2 (ja) 簡易建物
EP3405625B1 (en) Façade cladding system
JPH0224447A (ja) 手摺りの取付方法及び取付装置
JP2001193079A (ja) べた基礎の施工方法
JPH09111988A (ja) 手摺支柱方立て金具
CN216476491U (zh) 淋浴隔断边框补强结构
CN214834738U (zh) 可调式后浇带临时支撑柱模板
CN215948622U (zh) 一种高强度装配式楼盖系统
CN213296170U (zh) 一种快速安装式护栏
KR102038505B1 (ko) 구조물용 받침대 및 그 시공 방법
KR2004006706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바닥 분수의 판석 지지대 및 높이조절방법
KR960001027Y1 (ko) 건축 내외장판재의 부착설치를 위한 시공 구조물
KR20110011434U (ko)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KR100944627B1 (ko) 컬럼 설치용 규준 틀
JPH06123146A (ja) 外壁コーナー材の支持装置
JP2006090103A (ja) 化粧板および残存化粧型枠板の組立工法
JPH0483021A (ja) アンカーボルト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