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084A - 혈류와 모낭충을 관찰하는 현미경 - Google Patents

혈류와 모낭충을 관찰하는 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084A
KR20090122084A KR1020080048310A KR20080048310A KR20090122084A KR 20090122084 A KR20090122084 A KR 20090122084A KR 1020080048310 A KR1020080048310 A KR 1020080048310A KR 20080048310 A KR20080048310 A KR 20080048310A KR 20090122084 A KR20090122084 A KR 20090122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cope
stage
finger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0478B1 (ko
Inventor
이강문
윤재국
Original Assignee
이강문
(주)피엘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문, (주)피엘엠 filed Critical 이강문
Priority to KR102008004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478B1/ko
Publication of KR20090122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24Base structure
    • G02B21/26Stages; Adjus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6Means for illuminating specimens
    • G02B21/08Condensers
    • G02B21/086Condensers for transillumination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원은 혈류와 모낭충을 관찰하기 위한 현미경에 관한 것으로, 상부와 하부에서 빛을 조사하며 프레파라트를 올려놓아 관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져 손가락의 모세혈관 관찰 이외에도 피부의 모낭충을 확인 관찰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의 현미경은 신체의 손가락 단부에 분포하는 모세혈관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혈류의 이상 유무로 인한 각종 질병상태를 사전에 파악하여 건강을 도모할 수 있으며, 손가락 모세혈관 관찰용 현미경의 기능과 경통에서 빛을 조사하는 것 이외에도 재물대 아래에서도 빛을 조사할 수 있어 대상을 투과하여 모낭충을 확인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 기능도 동시에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기능의 현미경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즉, 본원 현미경은 손가락의 모세혈관을 관측하는 기능 이외에도 피부에서 피지를 채취하여 모낭충이 있는지 검사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발명이다.
현미경, 광학 현미경, 모세혈관 현미경, 모낭충 현미경

Description

혈류와 모낭충을 관찰하는 현미경{A microscope for bloodline and Demodex folliculorum}
본원은 손가락 모세혈관 및 모낭충을 관찰하는 현미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밑에서 빛을 투과하는 방식과 위에서 빛을 조사하는 두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 관찰 현미경을 제공하여, 신체의 손가락 단부에 분포하는 모세혈관 및 모낭충을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혈류 및 혈관의 이상 유무로 인한 각종 질병상태를 사전에 파악하고, 피부에 모낭충이 있는지를 검사하여 피부 건강과 미용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현미경이란 인간의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매우 작은 크기의 작은 물체나 미생물을 확대하여 보는 장치를 말한다. 이때 관찰대상에 빛을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위에서 빛을 쏘아주고 그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경우와 관찰대상의 밑에서 빛을 쏘아주어 관찰대상을 투과한 빛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손가락의 모세혈관을 관찰하기 위한 현미경은 손가락을 투과한 빛을 이용하여 관찰하여야 하고, 모낭충을 관찰하기 위한 현미경은 관찰대상의 외근에서 관찰부위에 빛을 쏘아주고 그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관찰하여야 하는 것이다.
모세혈관 관찰 현미경은 관찰대상자의 손가락 끝 손톱의 뿌리 부분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모세혈관이 정상적으로 곧게 뻗어있는지 아니면 뒤틀리고 변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각종 혈류의 흐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전문 측정장비 등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측정기기들은 큰 병원이나 연구실 등에서나 볼 수 있어 일반인들이 혈류의 흐름 및 혈관의 변형 정도를 관찰하는 것은 불가능하였고, 그로 인하여 순환기 계통의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여 조기치료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모낭충 관찰 현미경은 약 400배 이상의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대상자의 피부 표면에 땀구멍이나 모낭 속에 기생서식하는 모낭충이 있는지를 관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얼굴의 눈섭, 코 주위의 피지를 채취하여 슬라이드 위에 올려놓고 밝은 빛을 조사하여 관찰하게 된다.
종래에 개시된 손가락 모세혈관을 관찰하기 위한 현미경에서는 의료용 광 발생부를 통하여 모세혈관을 촬영하기 위한 광을 발사할 때 의료용 광 발생부는 텅스텐 할로겐 램프를 이용하여 열이 적게 나면서도 광도가 크도록 하여 이용하였다.
또한 할로겐램프를 이용하여 모세혈관을 촬영하고 이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집속하기 위해 광섬유를 이용하고 광섬유는 집속된 광을 손가락의 손톱경계선 부위의 피하조직으로 입사시키게 되며, 이때, 집속된 광원이라 해도 손톱의 표면에서 난반사하고 투과한 반사광도 상피에서 난반사를 하기 때문에 피하의 확대 영상은 얻기 힘들게 되므로 광선의 난반사를 막기 위해,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인 손톱 및 손톱경계선 부위의 피부에 생물시료 고정제인 MG오일을 도포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개시된 모세혈관을 관찰하기 위한 의료용 계측 방법이나 촬영장치는 필요 이상으로 장치가 크며 다루기가 복잡하여 의료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은 쉽게 장비를 취급하기 어려운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며, 또한 장비가 고가제품이 되어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저가로 공급받아 이용하기에는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모세혈관을 관찰하는 현미경은 위에서 빛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방식의 현미경으로써, 재물대 위에 프레파라트를 올려놓고 밑에서 반사경 등을 이용하여 빛을 투과시키는 방식의 현미경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본원에서는 위에서 빛을 조사하여 관찰하는 손가락 관찰 현미경을 제공함에 있어서, 위에서 빛을 조사하는 기능 이외에도 밑에서 빛을 조사하고 프레파라트를 올려놓아 관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져 손가락의 모세혈관 관찰 이외에도 피부의 모낭충을 확인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은 신체의 손가락 단부에 분포하는 모세혈관을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직접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혈류의 이상 유무로 인한 각종 질병상태를 사전에 파악하여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손가락 모세혈관 관찰 현미경의 기능과 경통에서 빛을 조사하는 것 이외에도 재물대 아래에서도 빛을 조사할 수 있어 대상을 투과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기능도 동시에 겸하도록 하는 현미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와 목적을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이에 본원에서는 현미경의 재물대 상부로 손가락을 올려놓는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손가락 거치대를 구비하되, 상기 손가락 거치대가 재물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손가락 거치대가 있던 위치의 재물대 하단에서부터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가락의 혈류 관찰 기능 이외에도 피부의 모낭충을 확인관찰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현미경에 관한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본원의 현미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를 구비한 경통과, 상기 경통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동/미동 나사와, 상기 대물렌즈의 하단에 설치되어 관찰대상을 올려두는 재물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미경에 있어서, 현미경 재물대의 중앙에는 손가락을 거치할 수 있는 손가락 거치대가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거치대홈이 구비되어 손가락의 모세혈관을 관찰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재물대의 거치대홈은 재물대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뚫려 있으며, 상기 거치대홈의 하단에는 발광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며, 재물대에는 프레파라트를 고정하는 클립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으며, 발광부재와 클립이 추가 구비된 상기 재물대에 끼워지는 손가락 거치대는 중앙에 발광부재의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발광홀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 거치대는 재물대 위에 1개~ 5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재물대는 전후좌우로 이동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손가락을 손가락 거치대 위에 올려놓고 재물대를 전후좌우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손가락을 관찰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경통 상단의 접안렌즈에는 카메라가 부착되고, 상기 카메라는 모니터와 연결되어 육안이 아니라 모니터를 통해서 관찰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하 더욱 구체적인 발명의 구현예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빛을 관찰대상의 위에서 조사하는 현미경과 관찰대상의 아래에서 조사하여 관찰대상을 투과하여 관찰하는 현미경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짐으로써 두가지 기능을 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종류의 현미경을 각각 구입하여야 하였지만, 본원에서 제공하는 현미경은 두 구조의 현미경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원 현미경은 손가락의 모세혈관을 관측하는 기능 이외에도 피부에서 피지를 채취하여 모낭충이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을 바람직하게 구현하기 위한 실시양태를 설명하고자 하는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기술한 것으로 본원의 보호범위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손가락 거치대가 구비된 재물대를 갖는 현미경(1)의 사시도이다. 대물렌즈(31)와 접안렌즈(32)를 구비한 경통(3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동/미동 나사(33)를 포함하고, 상기 경통(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전후좌우로 이동수단(11)을 갖는 재물대(10) 위로 손가락을 거치할 수 있는 손가락 거치대(20)가 구비되어 있는 현미경(1)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대물렌즈(31)에는 회전판이 부착되어 다양한 배율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안렌즈(32)는 도시된 것처럼 경통과 수직인 구조 이외에도 꺽인 구조의 접안렌즈(32)로도 사용 가능하며, 조동/미동 나사(33)는 하나의 나사로 구성하거나 또는 각각 조동나사와 미동나사를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재물대(10)의 이동수단(11)은 한축으로 2개의 기어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하나의 나사를 회전시키면 전후 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재물대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재물대 위에 있는 손가락 거치대(20)에 빛을 주사하기 위하여 조동/미동 나사쪽에 발광부재(34)가 구비된다.
본원의 손가락 거치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물대 위의 거치대홈(12)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손가락 거치대(20)에서 거치대홈(12)에 끼워지는 끼움부(21)는 원통형으로 하면 손가락 거치대(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여러 개의 손가락 거치대(20)를 구비한 재물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손가락 거치대에 손가락을 놓고 재물대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손가락의 모세혈관을 관찰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시되는 손가락 현미경은 상단의 발광부재(34)를 통하여 빛을 위에서 주사하고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모세혈관을 관찰하게 되는 것으로서, 밑에서 빛을 주사하여 투과되는 빛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현미경으로는 이용할 수 없었다.
도 4는 손가락 거치대에 발광홀(22)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고, 도 5는 그 측단면도로서, 재물대(10)의 하단으로 발광부재(35)가 구비되고 손가락 거치대(20)의 중앙에 천공홀(22)이 뚫려 있어 재물대 하단에서 빛을 주사하고 주사된 빛이 천공홀(22)을 통과하여 손가락을 투사하고 그 투사한 빛을 이용하여 손가락을 관찰할 수 있는 현미경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4 및 도 5의 구조를 갖는 현미경은 상단의 발광부재(34)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모세혈관을 관찰할 수 있으면서 또는 하단의 발광부재(35)를 이용하여 손가락을 투과하여 관찰하거나 도 6과 같이 프레파라트를 올려놓고 일반적인 현미경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프레파라트와 클립을 구비한 재물대를 갖는 현미경의 사시도로서, 손가락 거치대를 제거한 재물대에서 거치대홈(12)의 하단에 있는 발광부재를 이용하여 프레파라트(41)를 클립(42)으로 고정시키고 일반적인 생체 현미경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카메라가 부착된 현미경의 예시도로서, 접안렌즈(32)에 카메라(50)를 부착하고 상기 카메라는 도시되지 않은 모니터와 연결되어 육안이 아닌 모니터를 통해 손가락을 관찰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손가락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구조의 재물대를 갖는 현미경의 사시도로서, 재물대(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회전축(26)에 손가락 거치대(20)가 연결봉(25)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26)을 중심으로 손가락 거치대(20)가 회전하면서 거치대홈(12) 위로 붙여지거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동시킨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손가락 거치대가 구비된 재물대를 갖는 현미경의 사시도.
도 2는 손가락 거치대를 뺀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여러 개의 손가락 거치대가 구비된 재물대를 갖는 현미경의 사시도.
도 4는 손가락 거치대에 발광홀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발광부재의 위치를 도시한 현미경의 측단면도.
도 6은 프레파라트와 클립을 구비한 재물대를 갖는 현미경의 사시도.
도 7은 카메라가 부착된 현미경의 예시도.
도 8은 손가락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구조의 재물대를 갖는 현미경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 현미경 10 : 재물대
11 : 이동수단 12 : 거치대홈
20 : 손가락 거치대 21 : 끼움부
22 : 천공홀
30 : 경통 31 : 대물렌즈
32 : 접안렌즈 33 : 조동/미동 나사
34 : 발광부재(상단) 35 : 발광부재(하단)
41 : 프레파라트 42 : 클립
50 : 카메라

Claims (6)

  1. 대물렌즈(31)와 접안렌즈(32)를 구비한 경통(30)과, 상기 경통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동/미동 나사(33)와, 상기 대물렌즈(31)의 하단에 설치되어 관찰대상을 올려두는 재물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현미경 재물대(10)의 중앙에는 손가락을 거치할 수 있는 손가락 거치대(20)가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거치대홈(12)이 구비되어 손가락의 모세혈관을 관찰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물대(10)의 거치대홈(12)은 재물대(10)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뚫려 있으며, 상기 거치대홈(12)의 하단에는 발광부재(35)가 추가로 구비되며, 재물대(10)에는 프레파라트(41)를 고정하는 클립(42)이 추가로 구비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3. 제 2항에 있어서,
    발광부재(35)와 클립(42)이 추가 구비된 상기 재물대(10)에 끼워지는 손가락 거치대(20)는 중앙에 발광부재의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발광홀(21)이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거치대(20)는 재물대 위에 1~5개 범위로 구비되고, 상기 재물대(10)는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이동수단(11)이 구비되어, 손가락을 손가락 거치대 위에 올려놓고 재물대를 전후좌우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손가락을 관찰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통(30) 상단의 접안렌즈(32)에는 카메라(50)가 부착되고, 상기 카메라는 모니터와 연결되어 육안이 아니라 모니터를 통해서 관찰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6. 대물렌즈(31)와 접안렌즈(32)를 구비한 경통(30)과, 상기 경통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조동/미동 나사(33)와, 상기 대물렌즈(31)의 하단에 설치되어 관찰대상을 올려두는 재물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현미경 재물대(10)의 중앙에는 거치대홈(21)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발광부재(35)가 구비되며, 재물대 일측 상단에 준비된 회전축(26)을 중심으로 손가락 거치대(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
KR1020080048310A 2008-05-23 2008-05-23 혈류와 모낭충을 관찰하는 현미경 KR10098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310A KR100980478B1 (ko) 2008-05-23 2008-05-23 혈류와 모낭충을 관찰하는 현미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310A KR100980478B1 (ko) 2008-05-23 2008-05-23 혈류와 모낭충을 관찰하는 현미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084A true KR20090122084A (ko) 2009-11-26
KR100980478B1 KR100980478B1 (ko) 2010-09-07

Family

ID=4160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310A KR100980478B1 (ko) 2008-05-23 2008-05-23 혈류와 모낭충을 관찰하는 현미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60A (ko) * 2014-11-26 2016-06-03 (주)피엘엠 듀얼 카메라에 의한 혈류 및 적혈구의 관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626A (ko) 2015-03-30 2016-10-10 김국겸 광학장치용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653U (ko) * 1996-10-29 1998-07-25 김기영 실물화상기용 현미경
JP4107456B2 (ja) * 1999-01-14 2008-06-25 微小循環研究所 有限会社 毛細血管血流観測装置
KR200347274Y1 (ko) * 2004-01-02 2004-04-08 주식회사 동인나노콤 손가락 모세혈관 관찰기
JP2006320434A (ja) 2005-05-17 2006-11-30 Bisho Junkan Kenkyusho Kk 指先の毛細血管血流観測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60A (ko) * 2014-11-26 2016-06-03 (주)피엘엠 듀얼 카메라에 의한 혈류 및 적혈구의 관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478B1 (ko) 201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 et al. Comprehensive review of surgical microscopes: technology development and medical applications
US5267087A (en) Diagnostic device for the examination of biological material
US8480279B2 (en) Structured illumination probe and method
KR20160037834A (ko) 의료 이미징 장치 및 사용 방법
EP2621332B1 (en) Corneal confocal microscope (ccm)
EP1524542B1 (en) Objective lens insertion tool & objective optical system attachment device
US20090030406A1 (en) Variable intensity endoilluminator
WO2018168071A1 (ja) 撮像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US7400459B2 (en) Operating room magnifier
US7234824B2 (en) Glare-elimination device for surgical microscopes
US9320437B2 (en) Intravital observation device
JP4850561B2 (ja) 眼科装置
KR100980478B1 (ko) 혈류와 모낭충을 관찰하는 현미경
CA2305892C (en) Lens arrangement for vitreoretinal surgery
US20200268470A1 (en) Device for lighting the intraocular cavity
JP2014012043A (ja) パイプ内視鏡
CN107155302A (zh) 眼科外科手术中活体染料可视化及相关设备、系统和方法
JP4579563B2 (ja) 対物光学系の固定装置
JP6598414B1 (ja) 指先毛細血管血流観察顕微鏡
CN218684924U (zh) 多功能眼科护理器械
RU1596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изуализации кровеносных сосудов
Kaushik et al. Smart glass type retinal imaging system using MEMS scanner
KR101714428B1 (ko) 듀얼 카메라에 의한 혈류 및 적혈구의 관찰장치
KR102098942B1 (ko) 생체 이식형 광학 부재, 의료용 내시경 및 광학 부재의 이식 방법
JP2012130584A (ja) 生体内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