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003A - 세척기기 - Google Patents

세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003A
KR20090122003A KR1020080048189A KR20080048189A KR20090122003A KR 20090122003 A KR20090122003 A KR 20090122003A KR 1020080048189 A KR1020080048189 A KR 1020080048189A KR 20080048189 A KR20080048189 A KR 20080048189A KR 20090122003 A KR20090122003 A KR 2009012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etergent
unit
storage unit
store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2109B1 (ko
Inventor
김재현
김영호
이종민
장재원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4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109B1/ko
Priority to US12/453,788 priority patent/US20090288453A1/en
Priority to PCT/KR2009/002714 priority patent/WO2009142455A2/en
Priority to EP09750777A priority patent/EP2350375A2/en
Publication of KR2009012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기는 액체세제를 일정하게 세척조로 공금하며, 상기 공급된 액체세제가 저장된 것을 감지하는 액체세제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액체세제저장부는 상기 액체세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세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액체세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상기 액체세제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세제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세척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사용자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세척기기{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세척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액체세제를 저장하고 상기 액체세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세척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세척기기에 액체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다. 상기 액체세제는 세척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한편, 종래의 세척기기는 액체세제를 공급함에 있어 상기 액체세제가 액체세제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세척기기를 작동할 때, 상기 액체세제가 없어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액체세제의 교체시기를 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액체세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액체세제의 교체를 인식시키는 세척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와,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어 액체세제를 저장하고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액체세제공급부와, 상기 세척조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세제공급부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액체세제공급부가 수납되는 서랍식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와 결합하고, 상기 액체세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세제를 일정하게 상기 세척조로 공급하며, 상기 공급된 액체세제가 저장된 것을 감지하는 액체세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세척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체세제저장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액체세제의 존부를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외부로 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세제를 감지하는 액체세제저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액체세제가 상기 액체세제저장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세제를 적절한 때에 교체할 수 있어 세척기기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기는 액체형태의 세제를 사용하여 물건 또는 식기류, 의류 등을 세척하는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세척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액체세제를 사용하여 세척하는 모든 세척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기의 일 실시예인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미도시)와, 캐비닛(110) 외부의 세탁수를 유입시켜 상기 세척조로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세척이 끝난 후에 상기 세척조의 세탁수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수장치(미도시)와, 캐비닛(110)의 하단에 배치되어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액체세제공급유닛(150)을 포함한다. 한편, 액체세제공급유닛(150)은 캐비닛(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을 위하여 액체세제공급유닛(150)이 캐비닛(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세척조는, 세탁물이 세척되는 드럼(122)과, 드럼(122)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체세제저장부(160)와 액체세제공급부(170)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액체세제공급유닛(150)은, 상기 액체세제를 저장하고, 상기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액체세세공급부(170)와, 액체세제공급부(170)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액체세제공급부(170)가 수납되는 서랍식 수납부(151)와, 수납부(151)와 결합하고, 액체세제공급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세제를 일정하게 상기 세척조로 공급하며, 상기 공급된 액체세제가 저장된 것을 감지하는 액체세제저장부(160)와, 액체세제저장부(160)에 저장된 액체세제를 상기 세척조로 안내하 는 액체세제안내유로(169)를 포함한다.
액체세제저장부(160)는 액체세제공급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세제를 안내하는 공급유로(163)와, 공급유로(163)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세제를 저장하는 저장부(162)와, 저장부(162)에 저장된 액체세제를 액체세세안내유로(169)로 안내하는 연결부(164)와, 저장부(162)에 배치되어 저장부(162)에 액체세제가 저장되는지 판단하는 액체세제감지부(16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액체세제가 공급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액체세제공급부(170)에 상기 수납부에 체결한다. 상기 수납부에 체결되면, 액체세제공급부(170)에 저장된 액체세제는 공급유로(163)를 유동한다. 상기 액체세제가 공급유로(163)를 통하여 저장부(162)로 유동한다. 저장부(162)는 상기 액체세제를 일정부분 저장하도록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된다. 상기 액체세제는 저장부(162)에 일정부분 저장되어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작동하게 되면, 저장부(162)에 저장된 액체세제가 상기 세척조로 공급된다. 한편, 저장부(162)에 저장된 액체세제는 연결부(164)를 통하여 저장부(162)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방출된 액체세제는 액체세제공급유로(169)를 통하여 혼합장치(168)로 전달된다. 혼합장치(168)로 유입되는 액체세제는 다시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세척수와 혼합된다. 상기 액체세제와 혼합된 세척수는 세척수 밸로우즈(147)를 통하여 드럼(122)으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되는 세척수는 세탁물에 분사되거나 드럼(122)에 급수되어, 상기 세탁물의 세척 시, 균일하게 상기 세탁물에 흡수되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다. 전술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가 작동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물의 세척을 수행한다. 상기 세척이 수행되면, 저장부(162)에 저장된 액체세제가 드럼(122)으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되는 과정에서 저장부(162)의 액체세제는 저장부(162)의 상측에 있는 액체세제감지부(161)에 의하여 감지된다. 액체세제감지부(161)에서 저장부(162)에 액체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로 액체세제가 존재한다는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신호를 근거로 저장부(162)내에 액체세제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출력부(190)를 통하여 외부로 외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반면, 액체세제감지부(161)에서 상기 액체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액체세제가 없다는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된 신호를 근거로 제어부(180)는 저장부(162)에 액체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 상기 액체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출력신호를 출력부(190)에 전송한다. 출력부(190)는 상기 출력신호를 근거로 사용자가 상기 액체세제가 없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외부로 외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외부신호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 부저음, 멜로디 등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물 처리기기(100)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액체세제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액체세제의 교체시기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액체세제의 교체시기를 잘못 판단하여,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세척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전술한 내용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체세제감지부(161)는 저장부(162)의 상측에 배치된다. 한편, 액체세제감지부(161)는 저장부(162)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세제가 저장부(162)에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위치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6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체세제감지부(161)는 제 1 전극(161a)과, 제 1 전극(161a)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전극(161b)을 포함한다.
액체세제감지부(161)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액체세제가 공급유로(163)를 통하여 저장부(162)로 공급된다. 상기 공급된 액체세제는 저장부(162)에 저장된다. 한편, 저장부(162)는 내부 공간이 하나의 저장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62)는 제 1 저장부와, 상기 제 1 저장부와 상이한 높이를 형성하는 제 2 저장부로 나뉘어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163)에서 공급되는 상기 액체세제는 상기 제 1 저장부에 먼저 저장된다. 상기 저장된 액체세제가 상기 제 1 저장부의 저장공간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다. 액체세제감지부(161)는 상기 제 2 저장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세제를 감지한다. 상기 제 2 저장부에 상기 액체세제가 일정부분 저장되게 되면, 제 1 전극(161a)과 제 2 전극(161b)에 상기 액체세제가 접촉하게 된다. 제 1 전극(161a)과 제 2 전극(161b)은 상기 액체세제와 접촉하면, 상기 액체세제를 통하여 제 1 전극(161a)에서 제 2 전극(161b)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흐르는 전류는 액체세제감지부(161)를 통 하여 신호를 바뀌어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로 전송된 상기 신호의 처리는 상기 도 5의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저장부(162)에 상기 액체세제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사용자에게 상기의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여 알려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저장부(162)에 형성되어 저장부(162)의 내벽에서 발생하는 액체세제의 유동으로부터 액체세제감지부(161)를 분리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부재(미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부재는 액체세제감지부(161)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저장부(162)의 이동방향으로 유동하는 액체세제를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부재는 복수개의 보호부재들(165,16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호부재들(165,166)은 공급유로(163)에서 저장부(162)로 유동하는 액체세제가 액체세제감지부(161)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보호부재(165)와, 상기 액체세제가 저장부(162)에 저장되어 저장부(162)의 내벽에 충돌하여 액체세제감지부(16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보호부재(166)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액체세제공급부(170)를 교체하기 위하여 수납부(151)를 열면, 상기 액체세제는 저장부(162) 내부를 유동한다. 상기 액체세제는 저장부(162)의 하측면에 충돌한 후 내벽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유동하는 액체세제는 상기 내벽에 충돌한 후, 다시 액체세제감지부(161)에 접촉한다. 액체세제감지부(161)에 상기 액체세제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액체세제는 제 1 전극(161a)과 제 2 전극(161b)에 접촉하게 된다. 제 1 전극(161a)과 제 2 전극(161b)에 상기 액체세제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액체세제를 통하여 제 1 전극(161a)과 제 2 전극(161b)은 통전하게 된다. 제 1 전극(161a)과 제 2 전극(161b)이 통전하게 되면, 액체세제감지부(161)는 상기 액체세제가 저장부(162)에 저장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180)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공급유로(163)를 통하여 상기 액체세제가 공급되게 되면, 저장부(162)에 저장된다. 상기 액체세제가 저장될 때, 상기 액체세제는 저장부(162)를 유동하다가 저장부(162)의 내벽에 충돌하게 되고, 상기 충돌한 액체세제는 상기와 같이 제 1 전극(161a)과 제 2 전극(161b)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액체세제감지부(161)가 오작동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액체세제가 저장부(162)에 저장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저장부(162)에 복수개의 보호부재들(165,166)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유동하는 액체세제는 제 1 보호부재(165)에 충돌하여 제 1 보호부재(165)를 초과하여 유동하지 못한다. 또한, 제 1 보호부재(165)를 초과하는 상기 액체세제는 액체세제감지부(161)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 2 보호부재(166)에 의하여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2)가 유동하면서, 저장부(162)의 내벽에 의하여 반사되는 상기 액체세제의 경우는 상기 내벽과 상응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보호부재(166)에 의하여 차단된다. 사용자가 수납부(151)를 열면, 유동하는 액체세제에 의하여 액체세제감지부(161)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저장부(162)에 저장된 액체세제의 상태를 알 수 있고, 상기 액체세제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액체세제감지부(161)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액체세제감지부(161ㅄ)는 복수개의 액체세제감지부들(161aㅄ,161bㅄ,161cㅄ,161dㅄ)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세감지부(161ㅄ)는, 제 1 액체세제감지부(161aㅄ)와, 제 1 액체세제감지부(161aㅄ)보다 높은 제 2 액체세제감지부(161bㅄ)와, 제 2 액체세제감지부(161bㅄ)보다 높은 제 3 액체세제감지부(161cㅄ)와, 제 3 액체세제감지부(161cㅄ)보다 높은 제 4 액체세제감지부(161dㅄ)를 포함한다. 저장부(162)에 액체세제가 유입되면, 액체세제가 저장부(162)에 저장되기 시작한다. 상기 저장되는 액체세제는 제 1 액체세제감지부(161aㅄ)의 높이만큼 서서히 차오르게 된다. 상기 액체세제가 제 1 액체세제감지부(161aㅄ)의 높이를 초과하게 되면, 액체세제감지부(161)는 제어부(180)로 상기 액체세제가 제 1 액체세제감지부(161aㅄ)의 높이 정도 유입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액체세제가 저장부(162)에 계속하여 유입되면, 제 2 액체세제감지부(161bㅄ)의 높이를 초과하게 되고, 액체세제감지부(161)는 상기와 같이 제어부(180)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계속해서 액체세제가 유입되면, 제 3 액체세제감지부(161cㅄ)와 제 4 액체세제감지부(161dㅄ)의 높이를 초과하여 상기 액체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액체세제공급부(170)로부터 유입되는 액체세제가 줄어들어 상기 액체세제가 소진되면, 저장부(162)의 액체세제는 제 4 액체세제감지부(161dㅄ)의 높이 미만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계속해서 액체세제가 줄어들면, 상기 액체세제는 제 3 액체세제 감지부(161cㅄ), 제 2 액체세제감지부(161bㅄ), 제1 액체세제감지부(161aㅄ)의 높이 미만으로 계속하여 줄어든다. 한편, 제어부(180)는 저장부(162)에 적당한 상기 액체세제가 저장되도록 설정범위가 기 설정된다. 액체세제감지부(161ㅄ)에서 감지되는 상기 액체세제의 양이 상기 설정범위 이하이면, 제어부(180)는 출력부(190)를 통하여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저장부(162)에 저장되는 상기 액체세제의 양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액체세제의 양을 통하여 액체세제공급부(170)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액체세제감지부(161)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액체세제감지부(161")는, 상기 액체세제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액체세제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수위를 따라 부유하는 유동부(161a")와, 유동부(161a")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액체세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부(161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액체세제가 액체세제공급부(170)에서 공급되면, 저장부(162)에 저장된다. 상기 액체세제는 저장부(162)에 서서히 차오르게 된다. 저장부(162)에 일정부분의 상기 액체세제가 차오르게 되면, 유동부(161a")가 존재하는 액체세제감지부(161")에 액체세제가 유입된다. 액체세제감지부(161")에는 저장부(162)와 분리하는 격벽(169)이 배치된다. 격벽(169(에는 상기 액체세제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은 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세제는 상기 홀을 통하여 액체세제감지부(161")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액체세제에 의하여 유동부(161a")는 상기 액체세제의 수위만큼 유동한다. 한편, 유동부(161a")가 상기 액체세제의 수위만큼 유동하면, 수위측정부(162b")는 유동부(161a")의 위치를 측정한다. 수위측정부(161b")가 유동부(161a")의 수위를 측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유동부(161a")는 자기력을 형성하는 자성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측정부(161b")는 상기 자기력을 측정하는 자기력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부(161a")가 외부로 방출하는 자기력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자기력감지부에서 감지하여 수위측정부(161b")는 유동부(161a")의 수위를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수위는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는 저장부(162)에 저장되는 상기 액체세제의 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저장부(162)에 저장된 상기 액체세제의 양을 인식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액체세제공급부(170)의 교체시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부(190)로 외부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유동부(161a")와 수위측정부(161b")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기계적으로 수위에 따라 움직이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세제공급부(17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저장부(162)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체세제공급부(170)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적절한 시기에 액체세제공급부(170)를 교체해줌으로써 세탁물의 세척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기기의 일 실시예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체세제저장부와 액체세제공급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흐름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액체세제감지부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액체세제감지부의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 세탁물 처리기기 150 : 액체세제공급유닛
110 : 캐비닛 160 : 액체세제저장부
111 : 캐비닛 본체 161 : 액체세제감지부
112 : 캐비닛 커버 162 : 저장부
115: 컨트롤 패널 163 : 공급유로

Claims (9)

  1.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어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와,
    액체세제를 저장하고 상기 액체세제를 공급하는 액체세제공급부와,
    상기 액체세제공급부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액체세제공급부가 수납되는 서랍식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와 결합하고, 상기 액체세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세제를 일정하게 상기 세척조로 공급하며, 상기 공급된 액체세제가 저장된 것을 감지하는 액체세제저장부를 포함하는 세척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세제저장부에 저장된 액체세제를 상기 세척조로 안내하는 액체세제안내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세제저장부는,
    상기 액체세제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세제를 안내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공급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세제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액체세제를 상기 액체세제안내유로로 안내하는 연결부와,
    상기 저장부에 배치되어 상기 저장부에 액체세제가 저장되는지 판단하는 액 체세제감지부를 포함하는 세척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체세제감지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세척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체세제감지부는,
    제 1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액체세제와 접촉되면 통전하는 세척기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체세제감지부는,
    상기 액체세제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액체세제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수위를 따라 부유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의 높이를 측정하여 상기 액체세제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부를 포함하는 세척기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의 내벽에서 발생하는 액체세제의 유동으로부터 상기 액체세제감지부를 분리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세척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부재는 복수개의 보호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보호부재들은,
    상기 공급유로에서 상기 저장부로 유동하는 액체세제가 상기 액체세제감지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보호부재와,
    상기 액체세제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상기 저장부의 내벽에 충돌하여 상기 액체세제감지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세척기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체세제감지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의 이동방향으로 유동하는 액체세제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세처기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체세제저장부에서 상기 액체세제를 감지하면, 외부의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외부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세척기기.
KR20080048189A 2008-05-23 2008-05-23 세척기기 KR101482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8189A KR101482109B1 (ko) 2008-05-23 2008-05-23 세척기기
US12/453,788 US20090288453A1 (en) 2008-05-23 2009-05-21 Washing machine
PCT/KR2009/002714 WO2009142455A2 (en) 2008-05-23 2009-05-22 Washing machine
EP09750777A EP2350375A2 (en) 2008-05-23 2009-05-22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8189A KR101482109B1 (ko) 2008-05-23 2008-05-23 세척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003A true KR20090122003A (ko) 2009-11-26
KR101482109B1 KR101482109B1 (ko) 2015-01-13

Family

ID=4134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8189A KR101482109B1 (ko) 2008-05-23 2008-05-23 세척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88453A1 (ko)
EP (1) EP2350375A2 (ko)
KR (1) KR101482109B1 (ko)
WO (1) WO2009142455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239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CN109972344A (zh) * 2017-12-28 2019-07-05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涤剂投放装置的控制方法及洗衣机
WO2020209675A1 (en) * 2019-04-12 2020-10-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748181C1 (ru) * 2019-08-29 2021-05-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555268B2 (en) 2019-08-29 2023-01-17 Lg Electronics Inc. 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23108898A1 (zh) * 2021-12-16 2023-06-22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投放组件和洗涤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574B1 (ko) * 2008-10-31 2015-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8337628B2 (en) * 2010-11-23 2012-12-25 Whirlpool Corporation Non-integrated bulk dispenser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hwasher having same
US9549658B2 (en) 2010-11-23 2017-01-24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signal relay
US9953278B2 (en) * 2011-05-02 2018-04-24 Sears Brands, L.L.C.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networked home appliances
CN105722444B (zh) * 2013-09-27 2018-11-06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一种包括自动定量给料单元的洗涤器
US10914028B2 (en) 2015-08-04 2021-02-0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stain station
JP6695124B2 (ja) * 2015-10-30 2020-05-2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機
KR102450182B1 (ko) * 2016-01-05 2022-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처리장치 및 그의 세탁제공급방법
CN109680461B (zh) * 2017-10-18 2024-04-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用于洗衣机的洗涤剂投放系统及洗衣机
USD848692S1 (en) 2017-12-21 2019-05-14 Whirlpool Corporation Bulk dispensing drawer
USD865306S1 (en) 2017-12-21 2019-10-2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USD877431S1 (en) 2017-12-21 2020-03-03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USD899720S1 (en) 2017-12-21 2020-10-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D866887S1 (en) 2017-12-21 2019-11-12 Whirlpool Corporation Pedestal
USD874764S1 (en) 2017-12-21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User interface
CN108103734A (zh) * 2018-01-08 2018-06-01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投放器组件及洗衣机
US11486077B2 (en) * 2018-03-05 2022-11-01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Washing additive automatic delivery device and drum washing machine
KR102657349B1 (ko) * 2019-04-12 2024-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638184B1 (ko) * 2019-04-12 2024-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AU2020223729B2 (en) 2019-08-29 2022-07-07 Lg Electronics Inc. Detergent sto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3201915B (zh) * 2021-05-31 2022-08-0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涤剂盒组件和衣物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6767A (en) * 1966-01-11 1967-08-22 Ael Products Inc Automatic chemical dispensing system
DE2553029A1 (de) * 1975-11-26 1977-06-02 Miele & Cie Wasch- oder spuelmaschineneinheit
JPS62104780U (ko) * 1985-12-20 1987-07-03
GB8627598D0 (en) * 1986-11-19 1986-12-17 Unilever Plc Liquid dispensing system
GB2377927B (en) * 1998-07-27 2003-03-19 Ecolab Inc Liquid dispenser and docking station for mating container
KR20050052136A (ko) * 2003-11-29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제투입장치
US8424346B2 (en) * 2005-05-23 2013-04-23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of water level sensor for steam generator in drum washing machine
ITTO20060569A1 (it) * 2006-07-31 2008-02-01 Indesit Co Spa "macchina di lavaggio, in particolare una lavabiancheria, comprendente un dispensatore di agenti di lavaggio a lunga autonomia"
KR100758363B1 (ko) * 2006-11-17 2007-09-14 김창규 드럼 세탁기의 세탁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239A (ko) * 2009-12-24 2011-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US9234309B2 (en) 2009-12-24 201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9972344A (zh) * 2017-12-28 2019-07-05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涤剂投放装置的控制方法及洗衣机
CN109972344B (zh) * 2017-12-28 2023-04-07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涤剂投放装置的控制方法及洗衣机
WO2020209675A1 (en) * 2019-04-12 2020-10-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92743B2 (en) 2019-04-12 2022-11-08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748181C1 (ru) * 2019-08-29 2021-05-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555268B2 (en) 2019-08-29 2023-01-17 Lg Electronics Inc. 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23108898A1 (zh) * 2021-12-16 2023-06-22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投放组件和洗涤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455A3 (en) 2010-04-01
EP2350375A2 (en) 2011-08-03
WO2009142455A2 (en) 2009-11-26
KR101482109B1 (ko) 2015-01-13
US20090288453A1 (en)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2003A (ko) 세척기기
EP1884584B1 (en) A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laundry washer, comprising a large capacity washing agents dispenser
KR101287745B1 (ko) 자동 계량공급 시스템을 구비한 물 사용 가전 기기 및 자동 계량공급 방법
DK2733249T3 (en) Washing machine with detergent storage containers
US20100000578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flushing a bulk dispensing system in a cleaning appliance
KR20170095686A (ko) 세탁기 및 그 세탁기에 구비된 액체첨가제 투입장치
US11249012B2 (en) Domestic laundry-washing appliance or dishwasher and optical sensor therefor
KR20210027018A (ko) 세탁제 저장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96318A (ko) 세탁기의 액체첨가제 투입장치
BR102014016742A2 (pt) sistema de borrifamento para máquinas de lavar roupas e método para lavagem usando o referido sistema
CN113201915B (zh) 洗涤剂盒组件和衣物处理设备
JP2014108304A (ja) 洗濯機及び液体洗剤量検知方法
US20170233928A1 (en) Washing machine and liquid additive supply device for washing machine
EA019827B1 (ru) Способ оптимизации фазы полоскания в стиральной машине, а также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20090108300A (ko) 식기세척기
JP4688784B2 (ja) 食器洗浄機
EP2767631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level sensing device
US11530507B2 (en) Laundry washing machine
CN115142234A (zh) 一种洗涤剂投放装置及洗涤设备
WO2022028065A1 (zh) 洗衣机
KR101586493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070064002A (ko) 드럼세탁기용 급수장치
KR101203064B1 (ko) 드럼 세탁기의 증기발생장치
CN111636177B (zh) 衣物处理装置
CN112442855B (zh) 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