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1566A -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1566A
KR20090121566A KR1020080047533A KR20080047533A KR20090121566A KR 20090121566 A KR20090121566 A KR 20090121566A KR 1020080047533 A KR1020080047533 A KR 1020080047533A KR 20080047533 A KR20080047533 A KR 20080047533A KR 20090121566 A KR20090121566 A KR 2009012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siz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락
Original Assignee
최형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락 filed Critical 최형락
Priority to KR102008004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1566A/ko
Publication of KR2009012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피사체를 촬영함과 동시에 피사체의 크기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사체와의 거리 측량을 위한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렌즈를 통해 상기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측량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가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통해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상되어 출력되는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피사체, 크기 산출,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measuring subject siz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피사체 사이즈 측정을 위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피사체를 촬영함과 동시에 피사체의 크기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삶을 가장 획기적으로 바꾼 발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제는 성인뿐만 아니라 초중고생까지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대부분 보유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또한, 최근에는 이렇게 널리 보급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중심으로 여러 기술이 융합되는 이른바, '디지털 컨버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것을 들 수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를 웹상에 게재하는데 이용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활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 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때에는 평면적인 이미지만 남기 때문에,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는 그 크기를 가늠하기 위해서는 크기를 알 수 있도록 지표가 될 수 있는 물건, 즉 동전이나 담배갑 등을 같이 촬영하여야만 하였다.
나아가, 피사체가 사람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이라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서는 그 크기를 가늠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만으로 촬상되는 피사체의 사이즈를 알 수 있도록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사체와의 거리 측량을 위한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렌즈를 통해 상기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 신호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측량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가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통해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상되어 출력되는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사체 사이즈 측정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으로서, 카메라부를 통해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 신호를 촬상하는 촬상단계;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 측정에 이용되기 위한 측량주파수를 생성하는 측량주파수생성단계; 스피커를 통해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피사체 측으로 출력하는 음향신호출력단계;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음향신호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음향신호를 통해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거리정보산출단계; 및 상기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피사체사이즈산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를 변형시키지 않고도, 피사체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해당 피사체가 전체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참조하여 언제든지 해당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해줌으로써 간이(簡易) 측량 등에도 얼마든지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및 각 구성에 의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리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상하는 일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스피커(110), 마이크(120), 카메라부(130), 제어부(140), 디스플레이 장치(150), 키패드(160), 메모리(170) 및 무선 통신부(180)를 포함한다.
스피커(110)는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것과 같이 벨소리와 같은 음향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통화상대의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하여 촬상하기 위한 피사체(1)와의 거리 측량을 위한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신호는 단말기(100)로부터 피사체(1) 측으로 사출(A)되어, 다시 피사체(1)로부터 반사된 후 단말기(100)에 입력(B)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100)와 피사체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나아가, 상기 측량주파수는 일반적인 통신 단말기에 이용되는 스피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가청주파수 대역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더하여 일반적인 음성신호와 혼동되지 않도록 10㎑ 이상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10㎑ 주파수 대역에서의 응답특성이 뛰어난 본 발명의 스피커(110)와 마이크(120)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험 결과를 통해 스피커(110)와 마이크(120)의 최적 주파수 응답특성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리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40㎑ ~ 50㎑ 대역의 초음파를 측량주파수를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마이크(120)가 50㎑ 대역 이상의 초음파까지 인식할 수 있도록 콘덴서 마이크 등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120)는 기존의 단말기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피사체(1)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B)를 입력받는다.
이때, 마이크(120)에는 상기 측량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를 좀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측량주파수 대역을 걸러낼 수 있는 대역필터(BPF)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피커(110)가 초음파인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출력할 경우, 콘덴서마이크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에는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신호가 피사 체(1) 측으로 정확하게 사출되고, 또 반사된 신호가 용이하게 입력되도록 하기 위해 스피커(110)와 마이크(120)가 피사체(1) 방향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스피커(110)의 경우 일반적인 단말기에서 벨소리 등을 출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외부 스피커가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스피커(110)를 EM-Tech사(社)의 'EMS1332A'와 같이 스피커/리시버 듀얼모드 구동이 가능한 부품으로 구현할 경우 마이크(120)의 위치를 피사체 방향 측에 구비하지 않아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렌즈를 통해 상기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CMOS 촬상소자 또는 CCD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영상 밝기에 비례한 전류 또는 전압을 약간의 처리를 거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데이터 값을 YUV 형식으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영상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음향신호에 이용될 측량주파수를 생성하며, 이를 통해 스피커(110)가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마이크(120)로 입력받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와 피사체(1) 간의 이격거리에 대한 거리정보를 산출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음향신호가 피사체(1)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반으로 나눈 값과 과 소리의 속도인 340m/s의 곱으로 단말기(100)와 피사체(1)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소리의 속도는 온도와 습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데, 단말 기(100)에 이러한 지표를 검출할 수 있는 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면 이들 정보를 참조하여 보다 정확한 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40)는 카메라부(130)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피사체(1)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고, 먼저 산출된 거리(단말기와 피사체와의)에서 카메라부(13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이미지의 최대 실 사이즈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최대 실 사이즈 정보와 상기 배경으로부터 분리된 피사체가 전체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이용하여 해당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거리정보를 통해 카메라부(130)로부터 촬상되어 출력되는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원리는 좀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피사체(1)의 촬영을 위하여 제어부(14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30)를 구동시키면, 카메라부(130)는 렌즈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사용자는 초점 포인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포커스를 맞추게 되며, 이때 렌즈(L)와 촬상소자 간의 거리(d)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스피커(110)와 마이크(120)를 이용하여 피사체(1)와 이동통신 단말기(100)간의 거리정보를 산출하게 되므로, 렌즈(L)와 피사체(1) 간의 거리,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피사체(1) 간의 거리(c)를 알 수 있다.
또한, 촬상소자(CCD모듈 등)의 크기(b)는 이미 사용자 측에서 알 수 있으므로, 최종적으로는 제어부(140)는 'c'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b'크기의 촬상소자로 촬상할 수 있는 이미지의 최대 실사이즈(a)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130)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가 촬상소자의 크기와 동일할 경우(피사체가 전체 이미지에 가득찬 경우), 피사체(1)가 상기 최대 실사이즈(a)가 같다고 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피사체가 배경과 같이 촬상되어, 전체 이미지의 일부만을 차지하게 되므로, 실제 피사체의 크기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에서 해당 피사체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미지로부터 원하는 부분만을 분리하는 데는 에지 디텍팅과 같은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에지 디텍팅은 배경과 타깃을 분리하는 대표적인 기법 중 하나로서, 배경과 타깃 간의 색상 차를 이용하여 급격한 색상 차를 나타내는 화소들만을 추출하여, 타깃을 배경으로부터 분리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배경 색상은 화이트이고, 타깃 즉, 피사체의 색상은 배경과 구분되는 블랙과 같은 색상일 경우 제어부(210)는 화이트에서 블랙으로 색상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화소들만을 추출하여 배경과 피사체를 분리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분리된 피사체의 이미지 크기(b')가 전체 이미지 크기(b)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하고, 피사체(1)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거리를 통해 산출된 이미지의 실제 사이즈에서 해당 피사체의 비율을 적용하여 해당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비율의 산정은 피사체의 이미지가 차지하는 촬상소자의 촬상화소 개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소자와 렌즈 간의 거리가 5mm, 단말기와 피사체와의 거리가 10m일 경우 '1cm'크기의 촬상소자로 촬상할 수 있는 이미지의 최대 실사이즈는 20m가 된다.
여기서, 촬상소자에 맺힌 이미지 중 피사체 상(像)이 차지하는 높이 비율이 70%라고 한다면, 실제 피사체 크기는 20m * 0.7 이 되므로 결국 피사체의 높이는 14m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피사체의 높이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피사체의 높이만을 측정하는 데 그 용도가 한정되지 않으며, 위의 설명을 참조하여 피사체의 가로 넓이를 측정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당연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산출된 피사체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는 하기에서 설명할 디스플레이 장치(15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사용자가 피사체의 실제 크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50)는 각종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구성으로, 흔히 LCD 등으로 구현되며, 카메라부(130)를 통해 촬상된 영상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키패드(16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숫자 키와 문자 키 및 기능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의사정보를 입력받는데 이용된다.
메모리(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영역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프로그램 및 그에 따른 기본 정보가 저장되는 롬영역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다.
또한, 메모리(190)의 데이터 영역에는 카메라부(13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가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91)를 포함한다. 메모리(190)에 저장된 각각의 데이터들은 제어부(210)에 의해 엑세스 제어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80)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ANT) 및 알에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지국 간에서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80)는 국내에서 상용화되어 이용되고 있는 CDMA방식 뿐 아니라 셀룰러, GSM, W-CDMA 방식 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 방식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사이즈 측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b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카메라부(130)를 통해 피사체(1)가 포함된 영상 신호를 촬상한다(S400).
이와 동시에, 제어부(140)는 피사체와의 거리 측정에 이용되기 위한 측량주파수를 생성하게 되며(S410), 스피커(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S410'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피사체(1) 측으로 출력 하게 된다(S420).
그리고 나서,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가 피사체(1)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 오게 되면, 마이크(120)는 이렇게 반사되어 온 음향신호를 수신하게 되며(S430), 제어부(140)는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가 되돌아오는 데까지 걸린 시간을 바탕으로 단말기(100)와 피사체(1)와의 이격거리에 관한 정보인 거리정보를 산출하게 된다(S440).
다음으로, 상기 'S440'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게 된다(S450).
이때, 카메라부(130)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피사체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서 카메라부(130)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이미지의 최대 실 사이즈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최대 실 사이즈 정보와 상기 배경으로부터 분리된 피사체가 전체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이용하여 해당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S450'단계에서 산출된 피사체(1)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는디스플레이 장치(150)를 통해 출력되어(S460), 사용자가 피사체의 실제 크기 정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상하는 일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피사체의 크기를 산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스피커 120 : 마이크
130 : 카메라부 140 : 제어부
150 : 디스플레이 장치 160 : 키패드
170 : 메모리 180 : 무선 통신부

Claims (10)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피사체와의 거리 측량을 위한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렌즈를 통해 상기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을 촬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측량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가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로 입력받은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음향신호를 통해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상된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피사체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이미지의 최대 실 사이즈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최대 실 사이즈 정보와 상기 배경으로부터 분리된 피사체가 전체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이용하여 해당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는,
    상기 피사체 방향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주파수는,
    16㎐ ~ 20㎑ 대역의 가청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주파수는,
    40㎑ ~ 50㎑ 대역의 초음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피사체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으로서,
    카메라부를 통해 피사체가 포함된 영상 신호를 촬상하는 촬상단계;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 측정에 이용되기 위한 측량주파수를 생성하는 측량주파수생성단계;
    스피커를 통해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피사체 측으로 출력하는 음향신호출력단계;
    상기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상기 측량주파수를 갖는 음향신호를 수신하는 음향신호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음향신호를 통해 상기 피사체와의 거리정보를 산출하는 거리정보산출단계; 및
    상기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피사체사이즈산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사이즈산출단계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피사체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에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될 수 있는 이미지의 최대 실 사이즈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최대 실 사이즈 정보와 상기 배경으로부터 분리된 피사체가 전체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이용하여 해당 피사체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량주파수는,
    가청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피사체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를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피사체사이즈정보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사체 사이즈 측정 방법.
KR1020080047533A 2008-05-22 2008-05-22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 KR20090121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533A KR20090121566A (ko) 2008-05-22 2008-05-22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533A KR20090121566A (ko) 2008-05-22 2008-05-22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566A true KR20090121566A (ko) 2009-11-26

Family

ID=4160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533A KR20090121566A (ko) 2008-05-22 2008-05-22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215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56A1 (ko) * 2014-01-06 2015-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의 체지방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90013642A (ko) 2017-07-28 2019-02-11 하태호 스마트 거리 센서 바
WO2022131659A1 (ko) * 2020-12-14 2022-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2156A1 (ko) * 2014-01-06 2015-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의 체지방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6061377A (zh) * 2014-01-06 2016-10-2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使用移动装置测量体脂的方法和设备
KR20190013642A (ko) 2017-07-28 2019-02-11 하태호 스마트 거리 센서 바
WO2022131659A1 (ko) * 2020-12-14 2022-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337B1 (ko) 복수의 카메라렌즈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촬영방법 및 장치
KR100651521B1 (ko) 휴대단말기의 속력측정방법
CN104052917B (zh) 通知控制设备、通知控制方法和存储介质
US20190311496A1 (en) Dynamically calibrating a depth sensor
JP4941895B2 (ja) 音データ付き画像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917980B (zh) 拍照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230048860A1 (en) Stereo Sound Pickup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2429175B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CN114422340B (zh) 日志上报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WO2013111552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1035771A (ja) 撮像装置、編集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CN105323480A (zh) 一种基于超声波的拍照方法及装置
US9007508B2 (en) Portable device, photographing method, and program for setting a target region and performing an image capturing operation when a target is detected in the target region
KR20090121566A (ko)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피사체 사이즈 측정방법
JP2017069618A (ja) 電子機器及び撮像方法
TWI514307B (zh) 放大鏡裝置、資訊傳輸中繼裝置與遠端照護系統
JP4635201B2 (ja) 端末装置
EP2544093A1 (en) Coordinated operation apparatus, coordinated operation method, coordinated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apparatus coordination system
CN107750452A (zh) 图像处理装置
CN104219518A (zh) 测光方法及装置
JP2015510320A (ja) 高ダイナミックマイクロフォンシステム
JP2016009950A (ja) 音声処理装置
KR20070009888A (ko) 피사체 사이즈 측정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13709353B (zh) 图像采集方法和设备
JP2008128983A (ja) 撮像装置及び距離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