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268A -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충·방전회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충·방전회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268A
KR20090120268A KR1020080046215A KR20080046215A KR20090120268A KR 20090120268 A KR20090120268 A KR 20090120268A KR 1020080046215 A KR1020080046215 A KR 1020080046215A KR 20080046215 A KR20080046215 A KR 20080046215A KR 20090120268 A KR20090120268 A KR 20090120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nsor
transistor
transistors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4175B1 (ko
Inventor
강태영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엠
서용석
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엠, 서용석, 강태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엠
Priority to KR102008004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17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면적과 짝을 이루는 신축성 라벨 표면 위에 센서선을 '를'형상으로 인쇄하거나, 또는 배터리 외장의 파우치 표면에 센서선을 '를'형상으로 인쇄하며, 또는 배터리 외부 둘레를 따라 센서선이 '
Figure 112008035326731-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표면의 부풀음이 발생시, 센서선이 배터리 표면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에 따라 단선되고, 그 센서선의 단선신호를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모듈에서 체크하여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알리도록 구성됨으로써, 배터리 폭발로 인한 열적 노출상태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 위험환경에서 즉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고,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하여 가스 발생을 억제함으로서, 폭발 및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배터리, 센서선, 충·방전회로 제어모듈

Description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THE SENSOR TO SENSE A EXPLOSION OF BATTERY}
본 발명은 리튬이온배터리와 같은 배터리 표면에 배터리 표면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감지하는 센서선을 부착하고, 그 센서선의 단선신호를 통해 출력의 기능을 제한하여 폭발을 사전에 방지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배터리(전지)는 정상적인 상태가 아닌상태에서 즉 충전의 이상, 과도한 방전상태, 외부 온도의 적정치 이상의 온도 등에서 배터리 내부의 화합물질의 반응 등에 의하여 가스가 발생 되게 된다.
특히, 리튬계 전지는 과충전, 과방전 상태에 노출되면 폭발이나 고장으로 이어질 수가 있다.
즉, 전지에 사용되는 양극, 음극 재료가 충전상태에서 열적으로 매우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리튬이온전지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50~200도 이상의 온도에서 스스로 폭발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리튬이온전지는 사용단계에서 차량속에 넣어둔 휴대폰이 폭발하거나, 또는 노트북 등이 통풍이 안된 상태에서의 사용시, CPU 등 내부 전기소자의 온도상승으로 인하여 발화로 이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곤 하였다.
현재의 리튬계 배터리(전지)들은 배터리 내부에 보호회로 및 충전, 방전상태에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거의 전기적 이상현상에 의한 것으로 배터리의 악환경, 즉, 주원인인 과충전과 과방전 외부의 숏트 등에 보호될 수 있는 기능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배터리 폭발시, 발생되는 열적 노출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보호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배터리 폭발시, 발생되는 열적 노출 상태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 위험환경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폭발로 인한 열적 노출상태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 위험환경에서 즉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고,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하여 가스 발생을 억제함으로서, 폭발 및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는,
배터리의 면적과 짝을 이루는 신축성 라벨 표면 위에 센서선을 '를'형상으로 인쇄하고, 그 '를'형상으로 인쇄된 신축성 라벨을 배터리 위에 부착하여 배터리 표면의 부풀음이 발생시 신축성 라벨의 표면이 늘어나면서 신축성 라벨 위에 인쇄된 센서선이 단선되도록 형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는,
배터리 외장의 파우치 표면에 센서선을 '를'형상으로 인쇄하여 배터리 표면의 부풀음이 발생시 배터리 표면이 늘어나면서 배터리 표면 위에 인쇄된 센서선이 단선되도록 형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는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복수개의 배터리 외부 둘레를 따라 센서선이 '
Figure 112008035326731-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본체의 일부분에서 부풀음이 발생시 배터리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센서선이 단선되도록 형성됨으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은,
비교부(210)를 통해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에서 측정된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내장된 기준 설정치와 비교한 후, 경고음을 울릴 지점을 선정하는 단계(S100)와,
음원발생부(220)에서 비교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기준 설정치 변형량에 해당하는 경고음 지점의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키는 단계(S200)와,
차단신호발생부(230)에서 비교부로부터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이 기준설정치를 넘었음을 입력받으면, 배터리가 충전중일 때는 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시키고, 배터리가 방전중일 때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시키는 단계(S300)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폭발로 인한 열적 노출상태를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 위험환경에서 즉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고,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하여 가스 발생을 억제함으로서, 폭발 및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의 발명의 배경에 관해 설명한다.
리튬폴리머 전지 또는 각형 리튬이온전지는 장시간 사용 또는 고온의 외부환경에 방치하게 되면 스웰링(배부름)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여기서, 스웰링(배부름) 현상은 내부의 전해물질 및 화학물질의 반응으로 인하여 가스가 생성되고 배터리 외부의 겉표면 재질인 파우치 재질이 팽창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각형 리튬이온전지는 표면 재질인 알미늄 및 스틸(Steel)이 늘어나 볼록한 상태가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의 표면에 부풀음 현상이 발생시, 이때 발생되는 배터리 표면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선을 부착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부풀음이 발생되면, 센서가 작동되어 배터리 폭발의 위험을 알려줌과 동시에, 전자기기 내부의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하여 가스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서, 폭발 및 화재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는 센서선(100)과 동일한 의미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하나의 센서선(100)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센서선(100)은 스트레인 센서부(110), 백킹부(Backing)(120), 탭부(Tab)(130)로 구성된다.
상기 스트레인 센서부(110)는 실제적인 배터리 표면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감지하는 부분으로, 복수개의 저항선으로 구성되어 있어 배터리 표면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저항선은 와이어(Wire)방식이나, 호일(Foil)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방식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 라벨 표면 위 또는 배터리 표면 위에 '를'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식을 말하고, 호일방식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복수개의 배터리 외부 둘레를 따라 '
Figure 112008035326731-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되는 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
Figure 112008035326731-PAT00004
'형상은 평면상에서 봤을 때, 배터리 표면에 형성된 스트레인 센서부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양 끝단을 따라 배터리 외부 둘레를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스트레인 센서부의 구성요소인 저항선은 배터리 표면의 작은 압력에도 반응을 할 수 있도록 신축성과 단선이 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콘스탄탄(Constantan : Ni + Cu), 니크롬(Nichrome : Ni + Cr), 만가닌(Manganin : Ni + Cr + Cu), 카르마(Karma : Ni + Cr + Al + Fe), 르사클라스틱(Lsaclastic : Ni + Cr + Fe + Mo), 순수니켈, 플래티늄(Platinum), 소프트 아이런(Soft Iron), 구리(Copper), 알미늄, 금박, 은박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의 표면에 부풀음 현상이 발생시, 센서선이 배터리의 표면에 발생되는 압력에 따라 구부러지고, 이때 발생되는 배터리 표면에 변형량에 따라 센서선이 단선이 된다.
이러한 센서선을 통해 배터리 표면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과, 단선신호를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모듈로 전송시켜서, 배터리 폭발의 위험을 알려줌과 동시에, 전자기기 내부의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하여 가스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센서선은 배터리 표면에 인쇄되는 인쇄의 굵기, 높이 배합의 점성 등에 의하여 부풀림 현상에 따른 센서선의 폭을 선정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백킹부(Backing)(120)는 스트레인 센서부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고, 저항선을 보호하도록 스트레인 센서부를 코팅한 후 일측면에 접착제가 접착된 것으 로, 이는 폴리아미드(Polyamide) 또는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10~85㎛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면에 접착제가 접착되어 있어, 신축성 라벨 표면 위 또는 배터리 표면 위에 접착되어 여러 형상을 이루며 형성될 수가 있다.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부풀음 발생시, 배터리 표면의 전체에 걸쳐 발생되는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탭부(130)는 배터리의 (+)단자와 (-)단자에 연결되어 배터리 표면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모듈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저항선 보다 넓은 면으로 형성되어 배터리의 (+)단자와 (-)단자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모듈(200)은 배터리의 표면에 부풀음 현상이 일정 수준 이상의 부풀음이 발생되면, 센서가 작동되어 배터리 폭발의 위험을 알려줌과 동시에, 전자기기 내부의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하여 가스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부(210), 음원발생부(220), 차단신호발생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비교부(210)는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에서 측정된 배터리 면적의 압력 에 따른 변형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 설정치와 비교한 후, 경고음을 울릴 지점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의 탭부와 연결되어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에서 측정된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입력받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면적에 가해지는 압력(P)에 따른 센서선의 변형량(ε)을 도시한 그래프에 관한 것으로, OA는 비례한도를 나타낸 것이고, OB는 탄성한도를 나타낸 것이며, Y1은 상항복점을 나타낸 것이고, Y2는 하항복점을 나타낸 것이며, C는 극한 강도를 나타낸 것이고, F는 센서선의 파단(=절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극한 강도 지점(C) 또는 파단 지점(F)를 기준 설정치로 설정하고, 극한 강도 지점(C) 또는 파단 지점(F)을 경고음이 울릴 지점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경고음의 지점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에 따라 위험신호를 차등을 두어 울릴 수 있게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일반 휴대폰 음과 차별을 두기 위해, "배터리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라는 경고성 음성멘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원발생부(220)는 비교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기준 설정치 변형량에 해당하는 경고음 지점의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키 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신호발생부(230)는 비교부로부터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이 기준설정치를 넘었음을 입력받으면, 배터리가 충전중일 때는 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시키고, 배터리가 방전중일 때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의 탭부와 연결되어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로부터의 정상신호 또는 단선신호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신호발생부와 연결된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로부터의 정상신호 또는 단선신호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구체적인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직결 구동 회로(230a)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직결 구동 회로는 기존의 배터리 보호회로를 응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배터리 제어 IC1에서 나오는 신호를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가 중간에서 연결되어 정상상태에서는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로 정상신호를 보내고, 단선상태에서 는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로 단선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 회로이다.
트랜지스터 Q1은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2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 Q2는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1과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1은 방전회로와 연결되어, 방전회로로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하고, 트랜지스터 Q2는 충전회로와 연결되어, 충전회로로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즉, 정상상태에서는 배터리 제어 IC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고, 이는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를 통하여 트랜지스터 Q1, 트랜지스터 Q2로 전달된다.
이어서,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로부터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1, 트랜지스터 Q2가 온(ON) 하게 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의 표면이 배부름 현상이 발생 되면 표면의 늘어남에 의하여 압력에 의해 센서선이 절단된다.
이때,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어도 Q1과 Q2의 중간에 연결된 센서선이 단선이 되므로 트랜지스터 Q1 혹은 트랜지스터 Q2가 온(ON) 되지않아 방전 혹은 충전의 기능이 차단되어 더 이상 배부름 현상의 진행을 막을 수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 호발생부가 2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230b)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2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는 기존의 배터리 보호회로를 응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배터리 제어 IC1에서 나오는 신호를 두개의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가 중간에서 연결되고, 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에서 나오는 신호를 트랜지스터 Q3, Q4로 받아 정상상태 일때는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로 정상신호를 보내고, 단선상태일때는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로 단선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 회로이다.
이러한 2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는 대전력 등의 구동을 위하여 트랜지스터Q3,Q4로 버퍼(BUFFER) 하게 된다.
트랜지스터 Q3는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1과 연결되고, 트랜지스터 Q4는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2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3는 트랜지스터 Q1를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하고, 트랜지스터 Q4는 트랜지스터 Q2를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또한, 트랜지스터 Q1은 방전회로와 연결되어, 방전회로로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하고, 트랜지스터 Q2는 충전회로와 연결되어, 충전회로로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즉, 정상상태에서는 배터리 제어 IC1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어 대기상태에 있고,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를 통하여 정상신호가 입력되 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온(ON)되고, 트랜지스터 Q1, Q2가 온(ON) 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 표면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면 표면의 압력에 따라 늘어남에 의하여 센서선이 절단되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어도 트랜지스터 Q3과 트랜지스터 Q4의 중간에 연결된 센서선이 단선 되므로, 트랜지스터 Q3, 혹은 트랜지스터 Q4가 온(ON) 되지않고, 트랜지스터 Q1, 트랜지스터 Q2가 ON 되지않으므로 출력 혹은 충전의 기능이 차단되어 더 이상의 배부름 현상의 진행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1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230c)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1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230c)는 기존의 배터리 보호회로를 응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배터리 제어 IC1에서 나오는 신호를 하나의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가 중간에서 연결되고, 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에서 나오는 신호를 트랜지스터 Q3, Q4로 받아 정상상태 일때는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로 정상신호를 보내고, 단선상태일때는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로 단선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된 회로이다.
이러한 1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는 대전력 등의 구동을 위하여 트랜지스터Q3,Q4로 버퍼(BUFFER) 하게 되고, 센서선과 회로가 떨어져 있을때 센서선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각 센서의 한쪽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한 회로이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 Q3, Q4의 일측에는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배터리 제어 IC1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Q3는 트랜지스터 Q1를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하고, 트랜지스터 Q4는 트랜지스터 Q2를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또한, 트랜지스터 Q1은 방전회로와 연결되어, 방전회로로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하고, 트랜지스터 Q2는 충전회로와 연결되어, 충전회로로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 역할을 한다.
즉, 정상상태에서는 배터리 제어 IC1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어 대기상태에 있고,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를 통하여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온(ON)되고, 트랜지스터 Q1, Q2가 온(ON) 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 표면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면 표면의 압력에 따라 늘어남에 의하여 센서선이 절단되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어도 트랜지스터 Q3과 트랜지스터 Q4의 중간에 연결된 센서선이 단선이 되므로, 트랜지스터 Q3, 혹은 트랜지스터 Q4가 온(ON) 되지않고, 트랜지스터 Q1 혹은 트랜지스터 Q2가 ON 되지않으므로 출력 혹은 충전의 기능이 차단되어 더 이상의 배부름 현상의 진행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별도의 스위치 부가형 충전·방전 차단회로(230d)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부가형 충전·방전 차단회로는 기존의 배터리보호회로와 배터리 표면의 부풀음 현상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회로를 분리하여 구성된다.
이는 대전력 제어 등 전지의 보호부분과 별도로 구성하고자 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즉, 정상상태에서는 배터리 제어 IC1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고, 이때, 트랜지스터 Q1, 트랜지스터 Q2가 온(ON)되고,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로부터 정상신호가 입력되었는지 대기한다.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로부터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온(ON)되고, 이어서, 충전회로 또는 방전회로로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배터리 표면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면 표면의 압력에 따라 늘어남에 의하여 센서선이 절단되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고, 트랜지스터 Q1과 트랜지스터 Q2가 온(ON)이 되어도,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가 단선이 되므로, 트랜지스터 Q3, 혹은 트랜지스터 Q4가 온(ON) 되지 않으므로 출력 혹은 충전의 기능이 차단되어 더 이상의 배부름 현상의 진행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결 구동 회로, 2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 1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 스위치 부가형 충전·방전 차단회로는 전지(배터리)의 (+),(-)쪽 둘 다 제어가 가능한 회로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는 라벨형 센서(100b), 배터리 표면 인쇄 센서(100a), 단선센서(100c)로 형성된다.
상기 라벨형 센서(100b)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의 면적과 짝을 이루는 신축성 라벨 표면 위에 센서선을 '를'형상으로 인쇄하고, 그 '를'형상으로 인쇄된 신축성 라벨을 배터리 위에 부착하여 배터리 표면의 부풀음이 발생시 신축성 라벨의 표면이 늘어나면서 신축성 라벨 위에 인쇄된 센서선이 단선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 표면 인쇄 센서(100a)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외장의 파우치 표면에 센서선을 '를'형상으로 인쇄하여 배터리 표면의 부풀음이 발생시 배터리 표면이 늘어나면서 배터리 표면 위에 인쇄된 센서선이 단선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선센서(100c)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복수개의 배터리 외부 둘레를 따라 센서선이 '
Figure 112008035326731-PAT00005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본체의 일부분에서 부풀음이 발생시 배터리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센서선이 단선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여기서,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는 라벨형 센서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비교부(210)를 통해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에서 측정된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 설정치와 비교한 후, 경고음을 울릴 지점을 설정한다(S100).
여기서는 파단 지점(F)를 기준 설정치로 설정하고, 이러한 파단 지점(F)을 경고음이 울릴 지점으로 설정한다.
이어서, 음원발생부(220)에서 비교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기준 설정치 변형량에 해당하는 경고음 지점의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킨다(S200).
이어서, 차단신호발생부(230)에서 비교부로부터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이 기준설정치를 넘었음을 입력받으면, 배터리가 충전중일 때는 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시키고, 배터리가 방전중일 때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시킨다(S300).
여기서, 차단신호발생부(230)에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것은, 직결 구동 회로, 2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 1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 스위치 부가형 충전·방전 차단회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일예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직결 구동 회로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정상상태에서 배터리 제어 IC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고, 두 개의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에서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1, 트랜지스터 Q2가 온(ON)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되도록 구동되고,
배터리의 표면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의 늘어남에 의하여 압력에 의해 센서선이 절단되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출력되어도 Q1과 Q2의 중간에 연결된 센서선이 단선이 되어 트랜지스터 Q1 또는 트랜지스터 Q2가 오프(Off)되어 방전 또는 충전의 기능이 차단된다.
또 다른 일예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2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정상상태에서 배터리 제어 IC1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어 대기상태에 있고,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 1에서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가 온(ON)되고,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 2에서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4가 온(ON)되며, 트랜지스터 Q3, Q4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Q1, Q2가 온(ON)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되도록 구동되고,
배터리의 표면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의 늘어남에 의하여 압력에 의해 센서선이 절단되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어도 트랜지스터 Q3과 트랜지스터 Q4의 중간에 연결된 센서선이 단선이 되어, 트랜지스터 Q3, Q4가 오프(Off)되고, 그 트랜지스터 Q3, Q4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Q1, Q2가 오프(Off)되어 방전 또는 충전의 기능이 차단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1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정상상태에서는 배터리 제어 IC1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어 대기상태에 있고, 하나의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를 통하여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온(ON)되고, 그 트랜지스터 Q3, Q4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Q1, Q2가 온(ON)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되도록 구동되고,
배터리의 표면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의 늘어남에 의하여 압력에 의해 센서선이 절단되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어도 트랜지스터 Q3, Q4의 중간에 연결된 센서선이 단선이 되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오프(Off)되고, 그 트랜지스터 Q3, Q4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Q1, Q2가 오프(Off)되어 방전 또는 충전의 기능이 차단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별도의 스위치 부가형 충전·방전 차단회로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정상상태에서 배터리 제어 IC1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고, 트랜지스터 Q1, 트랜지스터 Q2가 온(ON)되어 대기상태에 있고,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로부터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온(ON)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되도록 구동되고,
배터리의 표면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의 늘어남에 의하여 압력에 의해 센서선이 절단되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고, 트랜지스터 Q1과 트랜지스터 Q2가 온(ON)이 되어도,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가 단선이 되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오프(Off)되어 방전 혹은 충전의 기능이 차단된다.
도 1은 종래 리튬이온전지의 폭발과정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 중 라벨형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 중 배터리 표면 인쇄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 중 하나의 배터리 표면에 부착된 단선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 중 복수개의 배터리 표면에 부착된 단선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면적에 가해지는 압력(P)에 따른 센서선의 변형량(ε)을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직결 구동 회로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2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1센서 충전·방전 차단회로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와 연결된 차단신호발생부가 별도의 스위치 부가형 충전·방전 차단회로를 통해 충전회로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회로도.
※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센서선 110 : 스트레인 센서부
120 : 백킹부(Backing) 130 : 탭부(Tab)
200 : 충·방전회로 제어모듈 210 : 비교부
220 : 음원발생부 230 : 차단신호발생부

Claims (9)

  1. 배터리의 면적과 짝을 이루는 신축성 라벨 표면 위에 센서선(100)을 '를'형상으로 인쇄하고, 그 '를'형상으로 인쇄된 신축성 라벨을 배터리 위에 부착하여 배터리 표면의 부풀음이 발생시 신축성 라벨의 표면이 늘어나면서 신축성 라벨 위에 인쇄된 센서선이 단선되도록 하는 라벨형 센서(100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2. 배터리 외장의 파우치 표면에 센서선(100)을 '를'형상으로 인쇄하여 배터리 표면의 부풀음이 발생시 배터리 표면이 늘어나면서 배터리 표면 위에 인쇄된 센서선이 단선되도록 하는 배터리 표면 인쇄 센서(100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3. 하나의 배터리 또는 복수개의 배터리 외부 둘레를 따라 센서선(100)이 '
    Figure 112008035326731-PAT00006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본체의 일부분에서 부풀음이 발생시 배터리 외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센서선이 단선되도록 하는 단선 센서(100c)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4.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센서선(100)은
    복수개의 저항선으로 구성되어 배터리 표면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감지하는 스트레인 센서부(110)와,
    그 스트레인 센서부의 형상을 유지시켜 주고, 저항선을 보호하도록 스트레인 센서부를 코팅한 후 일측면에 접착제가 접착된 백킹부(Backing)(120)와,
    배터리의 (+)단자와 (-)단자에 연결되어 배터리 표면의 변형량을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모듈(200)로 전송시키는 탭부(Tab)(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5. 비교부(210)를 통해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에서 측정된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 설정치와 비교한 후, 경고음을 울릴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S100)와,
    음원발생부(220)에서 비교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기준 설정치 변형량에 해당하는 경고음 지점의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발생시키는 단계(S200)와,
    차단신호발생부(230)에서 비교부로부터 배터리 면적의 압력에 따른 변형량이 기준설정치를 넘었음을 입력받으면, 배터리가 충전중일 때는 충전회로의 기능을 차 단시키고, 배터리가 방전중일 때는 방전회로의 기능을 차단시키는 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차단신호발생부(230)에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단계(S300)는,
    정상상태에서 배터리 제어 IC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고, 두 개의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에서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1, 트랜지스터 Q2가 온(ON)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되도록 구동되고,
    배터리의 표면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의 늘어남에 의하여 압력에 의해 센서선이 절단되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출력되어도 Q1과 Q2의 중간에 연결된 센서선이 단선이 되어 트랜지스터 Q1 또는 트랜지스터 Q2가 오프(Off)되어 방전 또는 충전의 기능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차단신호발생부(230)에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단계(S300)는,
    정상상태에서 배터리 제어 IC1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 되어 대기상태에 있고,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 1에서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가 온(ON)되고,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 2에서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4가 온(ON)되며, 트랜지스터 Q3, Q4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Q1, Q2가 온(ON)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되도록 구동되고,
    배터리의 표면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의 늘어남에 의하여 압력에 의해 센서선이 절단되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어도 트랜지스터 Q3과 트랜지스터 Q4의 중간에 연결된 센서선이 단선이 되어, 트랜지스터 Q3, Q4가 오프(Off)되고, 그 트랜지스터 Q3, Q4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Q1, Q2가 오프(Off)되어 방전 또는 충전의 기능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차단신호발생부(230)에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단계(S300)는,
    정상상태에서는 배터리 제어 IC1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어 대기상태에 있고, 하나의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를 통하여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온(ON)되고, 그 트랜지스터 Q3, Q4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Q1, Q2가 온(ON)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되도록 구동되고,
    배터리의 표면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의 늘어남에 의하여 압력에 의해 센서선이 절단되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어도 트랜지스터 Q3, Q4의 중간에 연결된 센서선이 단선이 되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오프(Off)되고, 그 트랜지스터 Q3, Q4와 연결된 트랜지스터 Q1, Q2가 오프(Off)되어 방전 또는 충전의 기능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차단신호발생부(230)에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단계(S300)는,
    정상상태에서 배터리 제어 IC1의 4번과 5번 핀에서 각각 하이(HIGH)가 출력되고, 트랜지스터 Q1, 트랜지스터 Q2가 온(ON)되어 대기상태에 있고,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로부터 정상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온(ON)되어 충전 또는 방전이 되도록 구동되고,
    배터리의 표면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의 늘어남에 의하여 압력에 의해 센서선이 절단되면, 배터리 제어 IC1의 4번, 5번 신호가 하이(HIGH)가 되고, 트랜지스터 Q1과 트랜지스터 Q2가 온(ON)이 되어도, 배터리 폭발 방지 센서가 단선이 되어, 트랜지스터 Q3, 트랜지스터 Q4가 오프(Off)되어 방전 혹은 충전의 기능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를 이용한 배터리의 충·방전회로 제어방법.
KR1020080046215A 2008-05-19 2008-05-19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충·방전회로 제어방법 KR100964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215A KR100964175B1 (ko) 2008-05-19 2008-05-19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충·방전회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215A KR100964175B1 (ko) 2008-05-19 2008-05-19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충·방전회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268A true KR20090120268A (ko) 2009-11-24
KR100964175B1 KR100964175B1 (ko) 2010-06-17

Family

ID=4160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215A KR100964175B1 (ko) 2008-05-19 2008-05-19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충·방전회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17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0725A1 (en) * 2013-03-26 2014-10-02 Ec Power, Llc Multi-terminal battery with sensor terminal
KR20150060602A (ko) * 2013-10-29 2015-06-03 시아오미 아이엔씨. 전자장치, 배터리 보호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231416B2 (en) 2011-10-14 2016-01-05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battery
US9660301B2 (en) 2013-10-29 2017-05-23 Xiaomi Inc. Methods and devices for battery protection
KR20190090340A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US10741883B2 (en) 2017-11-28 2020-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abnorm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flexible, pouch-type energy storage device
WO2020246675A1 (ko) * 2019-06-04 2020-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112350003A (zh) * 2020-10-12 2021-02-09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单体电池及其膨胀测试方法
CN115200464A (zh) * 2022-07-19 2022-10-18 广州杉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蓄电池鼓包监测系统
US11598814B2 (en) 2019-01-18 2023-03-07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WO2024079443A1 (en) * 2022-10-13 2024-04-18 Bae Systems Plc Cell assembly and safety system
WO2024079445A1 (en) * 2022-10-13 2024-04-18 Bae Systems Plc Improvements in a cell assembly and an associated system
WO2024079444A1 (en) * 2022-10-13 2024-04-18 Bae Systems Plc Improvements in a cell assembly safety system
WO2024154025A1 (en) * 2023-01-19 2024-07-25 Tyco Fire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battery de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460B1 (ko) * 2015-06-10 2018-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323014B1 (ko) 2017-08-16 2021-11-09 주식회사 아모텍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KR102077168B1 (ko) 2017-10-20 2020-02-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KR102034771B1 (ko) * 2018-05-11 2019-10-22 덕양산업 주식회사 전기식 과충전감지장치
KR102564869B1 (ko) 2018-11-09 2023-08-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센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KR102669798B1 (ko) 2018-11-09 2024-05-2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터리 압력 감지 장치
KR20220071419A (ko) 2020-11-24 2022-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용 배터리의 열 폭주 감지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7911A (ja) 2000-10-06 2002-04-19 Nec Mobile Energy Kk 電池搭載機器
GB0119530D0 (en) * 2001-08-10 2001-10-03 Nec Technologies Uk Ltd Electrical cell protection
KR20070075927A (ko) * 2006-01-17 2007-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 전지팩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1416B2 (en) 2011-10-14 2016-01-05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ilure of battery
US9287593B2 (en) 2013-03-26 2016-03-15 Ec Power, Llc Multi-terminal battery with sensor terminal
WO2014160725A1 (en) * 2013-03-26 2014-10-02 Ec Power, Llc Multi-terminal battery with sensor terminal
KR20150060602A (ko) * 2013-10-29 2015-06-03 시아오미 아이엔씨. 전자장치, 배터리 보호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660301B2 (en) 2013-10-29 2017-05-23 Xiaomi Inc. Methods and devices for battery protection
US10741883B2 (en) 2017-11-28 2020-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abnorm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flexible, pouch-type energy storage device
KR20190090340A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터리 압력 감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
US11598814B2 (en) 2019-01-18 2023-03-07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WO2020246675A1 (ko) * 2019-06-04 2020-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그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112350003A (zh) * 2020-10-12 2021-02-09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单体电池及其膨胀测试方法
CN115200464A (zh) * 2022-07-19 2022-10-18 广州杉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蓄电池鼓包监测系统
WO2024079443A1 (en) * 2022-10-13 2024-04-18 Bae Systems Plc Cell assembly and safety system
WO2024079445A1 (en) * 2022-10-13 2024-04-18 Bae Systems Plc Improvements in a cell assembly and an associated system
WO2024079444A1 (en) * 2022-10-13 2024-04-18 Bae Systems Plc Improvements in a cell assembly safety system
GB2624531A (en) * 2022-10-13 2024-05-22 Bae Systems Plc Cell assembly and safety system
WO2024154025A1 (en) * 2023-01-19 2024-07-25 Tyco Fire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battery de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175B1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175B1 (ko) 배터리 폭발 방지센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의충·방전회로 제어방법
US7514903B2 (en) Battery pack
US8691408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rotective circuit module to protect battery when swelling occurs
JP2009076265A (ja) 電池パック
CN203537462U (zh) 一种移动终端
KR20170050926A (ko) 가스 배출부의 변위를 감지하여 배터리 셀 스웰링을 방지하는 이차 전지, 이차 전지 충전 시스템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CN111133626B (zh) 嵌入有压力传感器的圆柱形电池和用于测量圆柱形电池的内部压力的方法
KR20120133462A (ko) 배터리 팩 과열 경고 장치 및 방법
KR101729730B1 (ko) 과전류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는 장치
JPH10208726A (ja) 電流遮断装置及びこの電流遮断装置を内蔵する電池
KR20070075927A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형 전지팩
JP2014514693A (ja) 電流遮断装置を有する電気化学的エネルギー貯蔵セル
KR100749353B1 (ko) 리튬이온 배터리팩의 보호회로
JP2015156319A (ja) 電気化学セルユニット制御方法および電気化学セルユニット
JP2006100054A (ja) 耐圧力性を有するバッテリープロテクタ
KR2008009946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60037831A (ko) 온도 과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및 그 방법
KR102558662B1 (ko)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통보하는 리모컨 및 이를 지원하는 배터리 교체 통보 시스템
CN201408818Y (zh) 一种锂离子电池的机械式保护装置
JP3154280B2 (ja) 二次電池
JP2010034086A (ja) 電池装置
WO2019080349A1 (zh) 贴片电池
CN217788745U (zh) 一种电池装置以及电子设备
KR100968052B1 (ko) 메카니칼 퓨즈가 장착되어 있는 전지팩
JP2006120353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