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8211A - 맨홀 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8211A
KR20090118211A KR1020080043874A KR20080043874A KR20090118211A KR 20090118211 A KR20090118211 A KR 20090118211A KR 1020080043874 A KR1020080043874 A KR 1020080043874A KR 20080043874 A KR20080043874 A KR 20080043874A KR 20090118211 A KR20090118211 A KR 20090118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diaphragm
frame
rainwa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415B1 (ko
Inventor
이병인
Original Assignee
이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인 filed Critical 이병인
Priority to KR102008004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415B1/ko
Publication of KR2009011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벽체의 단턱에 형합 고정된 맨홀 뚜껑의 외측 둘레부에 오물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하고, 맨홀 뚜껑을 통해 우수와 함께 유입된 오물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수거함으로써 우수관의 통수 부담을 경감시키며, 우수관이 오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비 운영의 경제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고, 오물의 수거가 용이한 맨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맨홀, 우수관, 맨홀 뚜껑, 외측 둘레부, 경사부재, 오물 수거함

Description

맨홀 장치{MANHOLE APPARATUS}
본 발명은 맨홀 벽체의 단턱에 형합 고정된 맨홀 뚜껑의 외측 둘레부에 오물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하고, 맨홀 뚜껑을 통해 우수와 함께 유입된 오물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수거함으로써 우수관의 통수 부담을 경감시키며, 우수관이 오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비 운영의 경제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고, 오물의 수거가 용이한 맨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맨홀은 도심의 구거를 연결하는 배수구를 각각 지면과 연통시켜 지중에 매설된 우수관으로 지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하게 배출하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매설된 수단이다.
도 1은 종래의 맨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종래의 맨홀 장치는 우수 및 오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중으로 매립되고, 상부에 단차지게 확장된 단턱(11)이 형성되며, 하부에 우수를 유통시키는 우수관(12)이 연결된 맨홀 벽체(10)와, 가로부재(51) 및 세로부재(52)가 교차된 격자 형상이고, 외측 둘 레부가 상기 맨홀 벽체의 단턱에 형합 고정되는 맨홀 뚜껑(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맨홀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벽체(10)의 단턱(11)에 형합 고정되는 맨홀 뚜껑(50)의 자중 및 맨홀 뚜껑(5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맨홀 벽체(10)의 단턱(11)이 부서지지 않도록 충분한 넓이가 보장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맨홀 벽체(10)의 단턱(11)이 넓게 형성된 경우에는 맨홀 뚜껑(50)의 외측 둘레부의 격자 형상에 모래나 오물 등이 쌓여 굳어진다. 맨홀 뚜껑(50)의 외측 둘레부에 쌓인 모래나 오물 등에 의해 맨홀 뚜껑(50)이 쉽게 들어 올려지지 않을 뿐 아니라, 이를 제거하는 작업이 오히려 맨홀 바닥에 침적된 오물 등을 수거하는 것보다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맨홀 장치는 단순히 우수관의 중간에 일정간격으로 분기되어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맨홀 벽체의 깊이는 우수관의 연결 위치보다 더 깊게 형성하여, 맨홀로 유입되는 오물이나 흙, 먼지 등이 상기 맨홀의 바닥에 침적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일정 시간마다 상기 맨홀 바닥에 침적된 오물을 수작업으로 제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맨홀 장치를 통해서는 중량이 가벼운 오물 예컨대, 담배꽁초나, 휴지, 플라스틱 조각 등의 오물은 중량이 가볍기 때문에 맨홀의 바닥에 침적되지 않고 그대로 우수관을 통해 배출되게 되므로, 차후 도심 오폐수 처리장에서 처리 부담을 갖게 되며, 처리를 위한 오물 선별공정에 막대한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게 된다.
또한, 우수관의 유속이 느린 지점에서는 우수관으로 유입된 오물이 엉겨붙어서 우수관망을 폐쇄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바, 이와 같은 경우 첨단 장비를 이용하여 막힌 부분을 탐지해야하고, 폐쇄된 우수관을 뚫기 위해 우수관이 노출될 때까지 지면을 파야하고, 우수관을 절단하여 우회로를 확보해야 하는 등의 막대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 벽체의 단턱에 형합 고정된 맨홀 뚜껑의 외측 둘레부에 오물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하고, 맨홀 뚜껑을 통해 우수와 함께 유입된 오물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수거함으로써 우수관의 통수 부담을 경감시키며, 우수관이 오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비 운영의 경제성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고, 오물의 수거가 용이한 맨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장치는, 우수 및 오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중으로 매립되고, 상부에 단차지게 확장된 단턱이 형성되며, 하부에 우수를 유통시키는 우수관이 연결된 맨홀 벽체와,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교차된 격자 형상이고, 외측 둘레부가 상기 맨홀 벽체의 단턱에 형합 고정된 맨홀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맨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 뚜껑의 외측 둘레부는, 세로 양측이 각각 폐쇄되고, 가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상기 맨홀 벽체의 중심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경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장치에 있어서, 상하 개방되어 상기 맨홀 벽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부에는 상기 맨홀 벽체의 단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부재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는 고정부재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 양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맨홀 벽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 및 오물을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는 장방형의 경사 격판과, 양측면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면에 면접촉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고정부재에 상기 양측면의 하부가 걸려 고정되며, 우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수공이 각 면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되어 상기 경사 격판으로부터 오물을 수거하는 수거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맨홀 뚜껑은 상기 프레임의 걸림부재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판재이고, 상기 경사 격판은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판재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 격판은 복수가 구비되어 계단식 구조를 가지고, 상기 수거함은 상기 경사 격판 중 최하단의 경사 격판으로부터 우수 및 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측단이 상기 복수의 경사 격판 각각의 하측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측단이 상기 복수의 경사 격판 각각의 상측단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장방형의 차단 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 격판 보다 한층 아래에 배치되어 계단식 구조를 이루고, 상 기 수거함의 내측벽 상단에 상기 수거함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힌지 결합된 장방형의 회전 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맨홀 뚜껑은, 상기 수거함이 인출입될 수 있도록 수거함 출입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장치는, 맨홀 뚜껑의 외측 둘레부에 결합된 경사부재를 통해 모래나 오물 등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맨홀 뚜껑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고, 그 제거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어 오물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과 경사격판 및 수거함을 통해 우수로부터 흘러들어온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함에 수거하게 되므로, 오물이 우수관으로 투입되어 우수관을 막히게 하지 않아서 경제성이 매우 높고, 오물 처리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맨홀 뚜껑에 수거함 출입문을 구비하여 오물이 수거된 수거함을 꺼낼 때 맨홀 뚜껑을 들어올릴 필요없이 수거함 출입문을 개방함으로써 수거함을 쉽게 꺼낼 수 있어 오물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맨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맨홀 뚜껑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 중 맨홀 뚜껑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맨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 중 프레임, 경사 격판, 차단 격판, 수거함 및 회전 격판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실시예 중 프레임, 경사 격판 및 차단 격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실시예 중 프레임 및 경사 격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실시예 중 수거함 및 회전 격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6의 실시예 중 수거함 및 회전 격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장치는, 도 3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벽체(100), 프레임(200), 경사 격판(300), 수거함(400) 및 맨홀 뚜껑(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단 격판(900), 회전 격판(600), 구속부재(700) 및 손잡이(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맨홀 벽체(100)는 상부에 단턱(110)이 형성되며, 하부에 우수관(120)이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200)은 걸림부재(210) 및 고정부재(220)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 격판(300), 수거함(400) 및 회전 격판(600)은 통수공(H)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맨홀 뚜껑(500)은 가로부재(510) 및 세로부재(520)로 구성되고, 경사부재(530) 및 수거함 출입문(550)이 구비된다.
맨홀 벽체(100)는 일반적인 종래의 우수받이용 맨홀 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도로나 보도의 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맨홀 벽체(100)는 도 3 및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우수 및 오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중으로 매립되고, 상부에 단차지게 확장된 단턱(110)이 형성되며, 하부에 우수를 유통시키는 우수관(120)이 연결된다. 이러한 맨홀 벽체(100)는 직사각형상으로 된 콘크리트 구조체가 일반적이다.
맨홀 뚜껑(500)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부재(510) 및 세로부재(520)가 교차된 격자 형상이고, 외측 둘레부가 상기 맨홀 벽체(100)의 단턱(110)에 형합 고정된다. 특히, 상기 맨홀 뚜껑(500)의 외측 둘레부는 세로 양측이 각각 폐쇄되고, 가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상기 맨홀 벽체(100)의 중심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경사부재(530)가 구비된다.
도 3 및 4에는 맨홀 뚜껑(500)의 외측 둘레부의 세로 양측뿐만 아니라 가로 양측 중 다른 하나의 일측이 폐쇄된 상태이고, 가로 양측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경사부재(530)가 구비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즉, 맨홀 뚜껑(500)의 외측 둘레부의 세로 양측이 상기 맨홀 벽체(100)의 단턱(110)에 의해 하부가 막혀 모래나 오물이 쌓임으로써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폐쇄하는 것이다. 또한, 외측 둘레부의 가로 양측에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양측 중 어느 일측이나 양측 모두 경사부재(530)를 형성하여 상기 맨홀 벽체(100)의 단턱(110)에 모래나 오물이 걸리지 않고 맨홀 벽체(100)의 개방된 내부로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맨홀 뚜껑(500)은 격자 형상의 스틸 재질로 된 스틸 그레이팅을 주로 사용하며, 상기 맨홀 벽체(100)의 단턱(110)에 형합 고정되도록 직사각형상이 일반적이다.
프레임(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개방되어 상기 맨홀 벽 체(1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부에는 상기 맨홀 벽체(100)의 단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부재(21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는 고정부재(22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00)은 후술할 경사 격판(300) 및 수거함(400)이 결합되어 지지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면 족하다. 예컨대, 프레임(200)은 맨홀 벽체(100)의 내부면에 면접촉하여 슬라이드 되도록 사각 통체 형상일 수 있고, 3개의 측면을 가질 수도 있다. 다만,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2개의 측면, 즉 제1 판재(260) 및 제2 판재(270)로 구성되어 후술할 경사 격판(300)이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져 제조원가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프레임(200)은 어떠한 재질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대량 생산을 고려해서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고, 주문 제작 또는 강도를 고려하여 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경사 격판(300)은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 양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맨홀 벽체(100)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 및 오물을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는 장방형의 판재이다. 경사 격판(300) 역시 프레임(200)과 같이 합성수지 또는 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경사 격판(300)의 양단이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 양측면에 결합될 때 끼움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간단히 용접을 통해 결합시킬 수도 있다.
경사 격판(30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하나를 길게 경사지도록 프레임(200)의 내부 양측면에 결합시킬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경사 격판(300)을 계단식 구조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즉, 복수의 경사 격판(300)이 각각 층을 이루어 상층에서 하층으로 우수 및 오물이 미끄러져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 격판(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를 통과시키도록 복수의 통수공(H)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경사 격판(300)을 타고 오물이 미끄러져 이동하면서 우수는 상기 복수의 통수공(H)을 통해 하방으로 직접 배출되고 우수로부터 오물을 먼저 분리하여 오물만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경사 격판(300)을 따라 이동된 오물은 후술할 수거함(400)에 수거된다.
차단 격판(900)은 경사 격판(300)으로부터 흘러내려 이동하는 우수 및 오물을 보다 용이하게 하방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 경사 격판(300) 사이에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악취가 상방을 향해 올라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단 격판(900)은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재 형상으로서, 상측단이 상기 복수의 경사 격판(300) 각각의 하측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측단이 상기 복수의 경사 격판 각각(300)의 상측단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즉, 차단 격판(900)의 상측단이 경사 격판(300)의 하측단에 힌집 결합됨으로써, 차단 격판(900)이 상측단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에 따라, 차단 격판(900)의 자중에 의해 하측단이 하방을 향하게 되는데, 이 경우 경사 격판(300)의 상측단에 상기 차단 격판(900)의 하측단이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차단 격판(900)은 복수의 경사 격판(900) 사이에 개방된 부분을 차폐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수거함(400)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이 상기 프레임(200)의 내부면에 면접촉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200)의 고정부 재(220)에 상기 양측면의 하부가 걸려 고정되며, 우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수공(H)이 각 면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되어 상기 경사 격판(300)으로부터 오물을 수거한다. 수거함(400)이 상기 경사 격판(300)으로부터 오물만을 수거하기 위하여 각 면에 복수의 통수공(H)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통수공(H)을 통해 우수는 하방을 향해 통과시켜 오물만을 수거하게 되는 것이다. 경사 격판(300)이 복수가 구비되어 계단식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수거함(400)은 상기 경사 격판(300) 중 최하단의 경사 격판으로부터 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위치해야 한다. 즉, 최상단으로부터 최하단의 경사 격판(300)을 거쳐 오물이 이동하게 되고, 결국 최하단의 경사 격판(300)으로 이동된 오물이 수거함(400)에 수거되기 위해서는 최하단의 경사 격판(300)의 하층에 수거함(400)이 위치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 경우, 최하단의 경사 격판(300)으로부터 수거함(400)에 오물이 보다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 격판(600)을 설치하는 것이다.
회전 격판(600)은 도 7,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격판(300) 보다 한층 아래에 배치되어 계단식 구조를 이루고, 상기 수거함(400)의 내측벽 상단에 상기 수거함(400)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힌지 결합된 장방형의 판재이다. 상기 회전 격판(600)은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조 및 형상이 상기 경사 격판(300)과 동일하고, 통수공(H)이 형성될 수 있으나 회전 가능하게 상기 수거함(400)의 내측벽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 격판(600)은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수거함(400)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면(DS)이 상방으로 경사진 면(US) 보다 크고, 상기 회전 격판(600) 중 하방으로 경사진 면(DS)의 회전을 구속하여 고정하도록 상기 수거함(400)의 내측벽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구속부재(700)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 상기 회전 격판(600)은 수거함(400)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진 면(DS)이 상방으로 경사진 면(US) 보다 커 중량 차이에 의해 수거함(400)을 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오물이 수거함(400)에 용이하게 수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700)에 의해 회전 격판(600)의 회전이 구속되어 경사져 있는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 격판(600)을 구속부재(700)의 반대편으로 회전시켜 수직된 상태를 도 11에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수거함(400)을 프레임(200)으로부터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더라도 회전 격판(600)이 경사 격판(300)에 간섭되지 않아 상기 수거함(400)만을 프레임(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손잡이(800)는 상기 수거함(400)을 프레임(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리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수거함(400)의 양측면 상단에 각각 결합된다. 그에 따라, 수거함(400)만을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할 때 손잡이(800)를 잡거나 긴 갈고리 형상의 스틱을 이용하여 수거함(400)을 프레임(200)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거함(400)에 오물이 수거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종래 일체로 제작된 맨홀 뚜껑을 들어올린 후 수거함(400)을 외부로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맨홀 뚜껑(500)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수거함(400)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수거함 출입문(550)이 구비되는 것이다.
수거함 출입문(550)은 상기 수거함(400)이 맨홀 뚜껑(500)을 통하여 인출입 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이든 무관하나, 상기 수거함(400)의 직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맨홀 뚜껑(500)의 일측부일 수 있다. 이 경우, 수거함 출입문(550)은 상기 맨홀 뚜껑(500)의 타측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에 따라, 맨홀 뚜껑(500)이 맨홀 벽체(100)의 개방부에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수거함 출입문(550), 즉 맨홀 뚜껑(500)의 일측부를 타측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회동시켜 개방시킨 다음 수거함(400)을 용이하게 프레임(200)으로부터 꺼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거함 출입문(5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거함(400)의 직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맨홀 뚜껑(500)의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상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여닫이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 이외에도 수거함 출입문(550)을 맨홀 뚜껑(500)에 삽입하여 형합 고정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결국, 상기 수거함 출입문(550)을 통해 수거함(400)을 쉽게 인출입시킬 수 있어 오물의 제거가 보다 용이해지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맨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가 결합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맨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 중 맨홀 뚜껑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예 중 맨홀 뚜껑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맨홀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 중 프레임, 경사 격판, 차단 격판, 수거함 및 회전 격판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실시예 중 프레임, 경사 격판 및 차단 격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실시예 중 프레임 및 경사 격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6의 실시예 중 수거함 및 회전 격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6의 실시예 중 수거함 및 회전 격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맨홀 벽체
110 : 단턱 120 : 우수관
200 : 프레임
210 : 걸림부재 220 : 고정부재
260 : 제1 판재 270 : 제2 판재
300 : 경사격판
400 : 수거함
500 : 맨홀 뚜껑
510 : 가로부재 520 : 세로부재
530 : 경사부재 550 : 수거함 출입문
600 : 회전 격판
700 : 구속부재
800 : 손잡이
900 : 차단 격판
H : 통수공

Claims (7)

  1. 우수 및 오물이 유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중으로 매립되고, 상부에 단차지게 확장된 단턱이 형성되며, 하부에 우수를 유통시키는 우수관이 연결된 맨홀 벽체와,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가 교차된 격자 형상이고, 외측 둘레부가 상기 맨홀 벽체의 단턱에 형합 고정된 맨홀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맨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 뚜껑의 외측 둘레부는,
    세로 양측이 각각 폐쇄되고, 가로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상기 맨홀 벽체의 중심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결합된 경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 개방되어 상기 맨홀 벽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부에는 상기 맨홀 벽체의 단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걸림부재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는 고정부재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 양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맨홀 벽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 및 오물을 하방을 향해 이동시키는 장방형의 경사 격판과,
    양측면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면에 면접촉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의 고정부재에 상기 양측면의 하부가 걸려 고정되며, 우수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통수공이 각 면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되어 상기 경사 격판으로부터 오물을 수거하는 수거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맨홀 뚜껑은 상기 프레임의 걸림부재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판재이고,
    상기 경사 격판은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 판재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격판은 복수가 구비되어 계단식 구조를 가지고,
    상기 수거함은 상기 경사 격판 중 최하단의 경사 격판으로부터 우수 및 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측단이 상기 복수의 경사 격판 각각의 하측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측단이 상기 복수의 경사 격판 각각의 상측단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장방형의 차단 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격판 보다 한층 아래에 배치되어 계단식 구조를 이루고, 상기 수거함의 내측벽 상단에 상기 수거함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힌지 결합된 장방형의 회전 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뚜껑은,
    상기 수거함이 인출입될 수 있도록 수거함 출입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KR1020080043874A 2008-05-13 2008-05-13 맨홀 장치 KR10102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874A KR101020415B1 (ko) 2008-05-13 2008-05-13 맨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874A KR101020415B1 (ko) 2008-05-13 2008-05-13 맨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8211A true KR20090118211A (ko) 2009-11-18
KR101020415B1 KR101020415B1 (ko) 2011-03-08

Family

ID=4160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874A KR101020415B1 (ko) 2008-05-13 2008-05-13 맨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8807A (zh) * 2021-05-27 2021-07-27 安徽得润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晴雨都可通风的集装箱变电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791Y1 (ko) * 2011-06-24 2013-09-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빌지 웰 커버
KR102307052B1 (ko) 2020-04-17 2021-09-30 주식회사 에스티유 이물질 유입 방지 및 도보용 디딤돌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110Y1 (ko) * 1999-09-16 2000-03-15 황의철 노면 배수구 보호덮개
KR200348451Y1 (ko) * 2003-10-09 2004-04-28 서석주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
KR20080023711A (ko) * 2008-02-20 2008-03-14 이병인 오물 자동 분리식 맨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8807A (zh) * 2021-05-27 2021-07-27 安徽得润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晴雨都可通风的集装箱变电站
CN113178807B (zh) * 2021-05-27 2023-10-31 安徽得润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晴雨都可通风的集装箱变电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415B1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420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CN208777112U (zh) 市政排水结构
KR100769544B1 (ko) 집수정용 이물수집-방취조
KR100976852B1 (ko) 집수정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020415B1 (ko) 맨홀 장치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0846069B1 (ko) 오물 분리 기능이 구비된 맨홀 장치
KR102021656B1 (ko) 오물끼임과 악취가 방지되는 배수용 그레이팅
KR101770105B1 (ko)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탈착식 거름망 시스템
KR20090017869A (ko) 수문이 부착된 경계블럭
KR101291639B1 (ko) 악취가 방지되는 우수받이용 거름망
KR20090101550A (ko) 오물 분리 기능이 구비된 맨홀 장치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101765314B1 (ko) 분리형 빗물받이 필터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20090097076A (ko) 오물 분리 기능이 구비된 맨홀 장치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101181401B1 (ko) 도로 또는 교량 배수로의 집수구 그래이팅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100758714B1 (ko) 2중으로 형성된 맨홀커버
KR102158955B1 (ko)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집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