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791Y1 - 선박용 빌지 웰 커버 - Google Patents

선박용 빌지 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91Y1
KR200468791Y1 KR2020110005783U KR20110005783U KR200468791Y1 KR 200468791 Y1 KR200468791 Y1 KR 200468791Y1 KR 2020110005783 U KR2020110005783 U KR 2020110005783U KR 20110005783 U KR20110005783 U KR 20110005783U KR 200468791 Y1 KR200468791 Y1 KR 200468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ilge well
well cover
ship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077U (ko
Inventor
이종환
박순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5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91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16Soil water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2013/005Sea ch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선박용 빌지 웰 커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웰 커버는 선박에 구비되는 빌지 웰(Bilge Well); 상기 빌지 웰의 상부에 구비되는 그레이팅(Grating); 복수개의 개구홀이 구비되고, 상기 그레이팅을 수용하는 소정의 공간을 한정하는 복수개의 웰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빌지 웰 커버{Bilge Well Cover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데크(Deck)에 마련된 빌지 웰(Bilge Well)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빌지 웰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면서 배수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안정적인 배수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소 또는 장치에 사용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구비된 빌지 웰(Bilge Well)은, 선내에서 외판이나 파이프(Pipe)를 통해 누설된 물이나, 갑판에서 기름에 오염된 물, 또는 화물에서 나온 물이 한곳으로 모여서 배수가 이루어지는 곳을 말한다.
상기 빌지 웰에는 배수되는 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그레이팅(Grating)이 설치되며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그레이팅(1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데크(2)에 설치되고, 상기 그레이팅(10)을 통해 다량의 물과 이물질에 대한 배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그레이팅(10)은 물이 배수되기 위해 홀이 구비되고, 상기 홀을 통해 데크(2)를 따라 이동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그레이팅(10)을 통해 배수되는 물 중에는, 상기 그레이팅(10)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패쇄시킬 수 있는 비닐봉지 또는 종이조각과 같은 이물질(20)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20)에 의해 그레이팅(10)을 통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이물질(20)이 그레이팅(10) 상면에 위치한 상태로 장시간 시간이 경과될 경우에는 상기 그레이팅(10)을 통해 물이 배수되지 않고 데크(2)를 향해 물이 넘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기술적 대응 방안을 필요로 하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는, 소정의 부피를 가진 이물질(비닐봉지 또는 종이조각)이 그레이팅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원할한 배수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는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그레이팅을 통한 배수를 도모하고 데크(Deck)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 구비되는 빌지 웰(Bilge Well); 상기 빌지 웰의 상부에 구비되는 그레이팅(Grating); 복수개의 개구홀이 구비되고, 상기 그레이팅을 수용하는 소정의 공간을 한정하는 복수개의 웰커버를 포함하는 선박용 빌지 웰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웰커버 중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오픈되는 도어커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공간은 상기 그레이팅 주변에 위치하는 격벽과 상기 복수개의 웰커버로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 및 상기 복수개의 웰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외측으로 오픈되도록 상기 도어 커버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홀은, 상기 빌지 웰 커버의 하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1 개구홀; 상기 제1 개구홀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개구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개구홀의 직경은 제1 개구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커버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 레벨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센서는 상기 선박용 빌지 웰 커버가 설치된 선박의 제어부에 연결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센서에서 측정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레벨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레벨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레벨정보가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경광등을 작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는 안정적인 배수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 또는 장치에 설치되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는 다량의 물이 한꺼번에 유입되는 경우에도 그레이팅을 통한 배수를 도모하고, 별도의 긴급 상황에서는 관리자에게 이를 경고하여 위험 사항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자한다.
도 1은 빌지 웰 상부에 설치된 종래의 그레이팅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가 설치된 상태에서 부분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가 설치된 상태에서 부분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선박용 빌지 웰 커버에 마련된 레벨센서를 통해 감지된 수위에 따른 빌지 웰 커버의 제어 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첨부된 도 2의 (a)는 빌지 웰 커버의 도어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도어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그레이팅(100)은 빌지 웰(미도시)의 상부에 설치되고, 데크(2)와 이웃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높이로 설치된다.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웰 커버(30)는 복수개의 개구홀이 구비되고, 그레이팅(100)을 수용하는 소정의 공간을 한정하는 복수개의 웰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웰커버는 도어커버(302)와, 측판커버(304), 후판커버 및 상판커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커버(302)는 전방으로 오픈할 수 있으며, 그 방향에 있어서는 특정방향으로 한정해석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의 경우, 도어커버(3020)는 전방 외측으로 오픈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도 4의 경우 우측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커버(302)는 그레이팅(100)을 수용하는 소정의 공간에서 일측방향만을 한정하는 커버로 한정해석 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과 같이, 그레이팅을 수용하는 공간의 상측과 전방측을 동시에 한정하는 커버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도 4의 경우와 같이 그레이팅을 수용하는 공간의 우측방향만을 한정하는 커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레이팅을 수용하는 소정의 공간은 상술한 복수개의 웰커버와 함께 그레이팅 주변에 위치하는 격벽으로 한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은 그레이팅 부근에 설치되는 의장, 도구, 장비, 부재 등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의 그레이팅을 수용하는 공간의 후측면을 한정할 수 있으며, 도 4의 경우 그레이팅을 수용하는 공간의 좌측면을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그레팅을 수용하는 소정의 공간은 그레이팅 부근에 위치하는 격벽과 복수개의 웰커버로 한정될 수 있다.
빌지 웰 커버(300)는 그레이팅(100)을 내부에 수용하며, 데크(2)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오픈될 수 있는 도어커버(302)가 그레이팅을 수용하는 공간의 상측 및 전방을 한정하고, 좌측 및 우측에 측판커버(304)가 한정하고, 후측의 경우 격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빌지 웰 커버(300)의 측판커버(304)는 데크에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지정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측판커버(304)가 데크(2) 및 후측 격벽에 고정설치 되기 위하여 브라켓(30)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측판커버(304)가 데크(2) 및 후측 격벽에 고정설치되는 방법은 공지된 고정설치수단(예를 들어, 볼팅, 용접 등)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될 수 있으며, 그 방법 중 하나로 브라켓(30)이 이용될 수 있다. 브라켓(30)을 이용하는 경우, 다수개의 웰커버가 보다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벽 및 복수개의 웰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도어 커버(302)가 외측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 양측판에 지지되는 샤프트(301)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지지부재(301)는 샤프트(301)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3의 경우, 좌우측 측판커버(304)의 상측에 외측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도어 커버(302)의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체결됨으로써, 도어 커버(302)가 외측으로 오픈될 수도 있다. 도어 커버(302)가 양측판커버(304)에 외측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구조는 공지된 체결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양측판커버(304)간에 샤프트(301)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예를 들어 좌측면이 격벽인 경우, 격벽과 우측판 커버(304)간에 샤프트가 설치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어 커버(302)에는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부(302a)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어 커버(302)와 연결되는 측판커버(304)의 대응되는 부분도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질 수 있다.
경사부(302a)는 도어 커버(302)의 양측단에서, 측벽커버(304)와 체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어 커버(302)의 자중에 의하여 가압되어 측판커버(304)에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어 커버(3020)의 양측단과 측판커버(304)에는 볼팅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사부(302a)는 하측에서 일정높이만큼은 데크(2)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302a)에 대응되는 측판커버(304)도 또한 데크(2)에서 일정높이 만큼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302a)는 배수되는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비닐봉지 또는 종이조각)이 도어 커버(302)의 외주면에 위치될 경우에, 배수되어야 할 물이 경사부(302a)의 경사진 외주면 기울기에 의해 신속히 데크(2)의 상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도어 커버(302)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그레이팅(100)으로의 안정적인 배수를 도모할 수 있다.
도어 커버(302)는 전면 하측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02b)가 마련되고, 사용자는 손잡이(302b)를 이용하여 도어 커버(302)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빌지 웰 커버에 구비된 개구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개구홀(310)은 빌지 웰 커버(300)로 유입되는 물이 그레이팅(100)으로 이동되기 위해, 빌지 웰 커버(300)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개구홀(310)은 빌지 웰 커버(300)의 하측 둘레를 따라 제1 개구홀(312)이 배치되고, 제1 개구홀(312)의 상부에는 제2 개구홀(314)이 배치된다.
제2 개구홀(314)의 직경(d2)은, 제1 개구홀(312)의 직경(d1)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제1 개구홀(312)과 제2 개구홀(314)을 각각 구획 배치하고, 제2 개구홀(314)의 직경(d2)을 제1 개구홀(312)의 직경(d1)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이유는, 빌지 웰 커버(300)로 공급되는 물의 양에 상관없이 그레이팅(100)으로의 안정적인 배수를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소량의 물이 빌지 웰 커버(300)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제1 개구홀(312)의 직경(d1)을 통해서도 충분히 그레이팅(100)을 통해 배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량의 물이 빌지 웰 커버(300)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제1 개구홀(312)을 통해서는 원활한 배수가 어려울 수 있고, 수위가 상승될 경우에는 배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개구홀(312)의 상측으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2 개구홀(314)를 다수개 배치시켜서 안정적인 배수성능을 유지시키기 위해서이다.
제1 개구홀(312)의 직경(d1)과, 제2 개구홀(314)의 직경(d2)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제2 개구홀(314)의 직경(d2)은 제1 개구홀(312)의 직경에 비해 2배 이상의 직경으로 개구될 수 있다.
또한, 빌지 웰 커버(300)의 하측에 이물질(비닐봉지 또는 종이조각)이 위치되면서 제1 개구홀(312)의 개구영역이 부분적으로 폐쇄되고 이로 인해 수위가 상승될 수 있으나, 제2 개구홀(314)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면서, 이물질의 유입 유무에 상관없이 그레이팅(100)으로의 안정적인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빌지 웰 커버(300)는 하측을 기준으로 전체 면적의 1/3은 제1 개구홀(312)이 배치되고, 나머지 2/3는 제2 개구홀(314)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빌지 웰 커버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빌지 웰 커버(300)는 선체 배부의 레이아웃에 따라서 격벽(3)에 밀착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4)를 향해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된다.
빌지 웰 커버(300)는 그레이팅(100)의 주위에 수직으로 이격 배치된 지지부재(Support Member)(307)가 마련된다. 지지부재(307)는 그레이팅(100)의 모서리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격벽(3)과 데크(2)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07)는 후술할 도어 커버(306)와, 상부커버(308)의 설치를 위해 마련된다.
지지부재(307)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각각의 지지부재(307)가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빌지 웰 커버(300)는 지지부재(307)의 외측으로 오픈되는 도어 커버(306)가 구비되며, 도어 커버(306)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도어 커버(302)와는 다르게, 데크(2)의 횡 방향으로 오픈 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이유는, 빌지 웰 커버(300)가 설치된 주위에 구조물(5)이 배치되어 있어서, 도어 커버(302)가 상측으로 오픈될 때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커버(306)의 안정적이 오픈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도어 커버(306)는 외측에 손잡이(306a)가 마련되며, 손잡이(306a)를 이용하여 도어 커버(306)의 개폐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어 커버(306)는 손잡이(306a)의 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도어 커버(306)의 고정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고정구(309)가 설치된다. 고정구(309)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 커버(306)와, 지지부재(307)에는 고정구(309)가 삽입 유지되기 위한 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통공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고정구(309)의 회전에 따라 서로 간에 나사결합 상태가 유지되면서, 지지부재(307)에 도어 커버(306)가 고정된다.
고정구(309)는 도어 커버(306)에 상, 하로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며, 도어 커버(306)의 상측과, 하측 위치에서 도어 커버(306)의 고정을 도모할 수 있다. 도어 커버(306)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고정구(306)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어 커버(306)에 결합된 고정구(309)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도어 커버(306)를 외측으로 열면 오픈이 이루어진다.
도어 커버(306)는 지지부재(307)에 설치된 지지축(307a)에 연결되어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빌지 웰 커버(300)는 상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상부커버(308)를 포함한다. 상부커버(308)는 지지부재(307)와 연결 설치된다.
빌지 웰 커버(300)는 그레이팅(100)으로의 배수를 위해 개구홀(310)이 구비되며, 개구홀(310)은 빌지 웰 커버(300)의 하측 둘레를 따라 제1 개구홀(312)이 배치되고, 제1 개구홀(312)의 상부에 제2 개구홀(314)이 배치된다.
제2 개구홀(314)의 직경(d2)은, 제1 개구홀(312)의 직경(d1)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며, 앞서 도 3에서 설명된 개구홀(310)의 주요 특징과 동일하며, 상부커버(308)에는 제2 개구홀(314)이 배치된다.
상부커버(308)에 제2 개구홀(314)이 배치되는 이유는, 빌지 웰 커버(3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갑자기 증가되면 수위도 함께 높아지면서 상부커버(308)의 위치까지 수위가 상승된다. 따라서, 상부커버(308)에 개구된 제2 개구홀(314)의 직경이 수위가 증가된 물을 안정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개구되어야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개구홀(312)과, 제2 개구홀(314)의 구체적인 직경에 대해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빌지 웰(200)의 배수 능력 또는 빌지 웰(200)로 공급되는 평균 유입량과, 통로(4)의 면적에 따른 유입량을 고려하여 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빌지 웰(20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Q)이 소량이거나, 빌지 웰 커버(300)의 전면을 기준으로 데크(2)에서 수 센티 미터 이내일 경우와, 빌지 웰 커버(300)의 상면 높이까지 이르도록 유량이 공급되는 경우로 각각 나누어서 제1,2 개구홀(312,314)의 직경이 산정될 수 있으며, 제1,2 개구홀(312,314)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개구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월 커버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평상시 빌지 웰 커버(300)는 도어 커버(302)가 닫힌 상태로 사용되며, 데크(2) 상부를 따라 이동된 물이 유입되면서, 소정의 수위(H1)가 유지되면서 제1 개구홀(312)을 통해 빌지 웰 커버(3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수위(H1)는 통상적으로 빌지 웰 커버(300)와, 그레이팅(100)을 경유하여 빌지 웰(100)로 배수가능한 수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1 개구홀(312)의 개구된 개구 영역을 통해서 물이 충분히 이동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1 개구홀(312)을 통해 물이 그레이팅(100)으로 이동되면서 수위(H1)는 하강되고 빌지 웰 커버(300)를 통한 안정적인 배수가 이루어진다.
빌지 웰 커버(300)로 유입되는 물 중에는 각종 이물질(비닐봉지 또는 종이조각)(6)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물질(6)은 물과 함께 이동되다가 빌지 웰 커버(300)의 외부 하측에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빌지 웰 커버(300)는 이물질(6)이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제1 개구홀(312)의 개구 영역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빌지 웰 커버(3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이 감소되면서 수위가 상승된다.
빌지 웰 커버(300)는 이물질(6)이 부착된 상태에서 수위(H1)가 상승되는 경우에도, 빌지 웰 커버(300)가 데크(2)의 상부로 소정의 높이가 유지되고, 제1 개구홀(312)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서, 이물질(6)의 부착 유무에 상관없이 빌지 웰 커버(300)의 내측으로 안정적인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며 그레이팅(100)을 통해 배수된다.
이물질(6)이 경사부(302a)에 부착될 경우에는, 도어 커버(302) 주변에서 유동하는 물의 유속에 의한 흐름과, 경사부(302a)의 자체 기울기에 의해 이물질(6)이 도어 커버(302)의 외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 개구홀(312)을 통한 물의 유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빌지 웰 커버(300)를 통한 물의 유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빌지 웰 커버의 사용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빌지 웰 커버(300)가 격벽(3)에 밀착 설치된 상태에서, 다량의 이물질(6)이 부착될 경우에는 그레이팅(100)으로 물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어 커버(306)에 형성된 제1,2 개구홀(312,314)를 통해서는 배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빌지 웰 커버(300)의 상면 위치까지 수위(H2)가 상승된다.
빌지 웰 커버(300)는 물의 수위(H2)가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상승되는 경우에도 상부커버(308)에 개구된 제2 개구홀(314)을 통해 빌지 웰 커버(30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그레이팅(100)을 통한 원할한 배수가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선박용 빌지 웰 커버에 마련된 레벨센서를 통해 감지된 수위에 따른 빌지 웰 커버의 제어 관계 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지 웰 커버가 설치된 선박에 구비되는 제어부(400)은 레벨센서(410)에 연결되어, 레벨센서(410)에로부터 수신되는 측정신호에 기초하여 레벨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공지된 전송수단을 이용하여 관리자 단말기로 산출한 레벨정보를 전송하거나, 산출한 레벨정보가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경광등을 작동하여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잇다.
여기서, 선박은 추진기를 구비하여 운항이 가능한 협의의 선박외에, 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예를 들어, 해상부유 시추설비(FPSO)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선박으로 해석될 수 있다.
관리자는 제어부(400)에서 전송된 빌지 웰 커버(300)의 레벨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빌지 웰 커버(300)로 유입되는 물이 기준 레벨 범위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빌지 웰 커버(30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레벨이 기준 레벨 범위를 초과하여 위험 레벨 범위로 갑자기 증가 되거나, 소정 시간 경과후에도 계속 위험 레벨 범위로 유지될 경우에는, 경광등(420)을 작동시켜 해당 빌지 웰 커버(300)의 위험 상태를 경고하고, 해당 빌지 웰 커버(300) 주위에서 근무 또는 이동하는 관리자에게 이를 신속하게 알려서 위험 상태를 경고한다.
관리자는 해당 빌지 웰 커버(300)의 상태를 확인한 후에, 다수의 이물질(6)을 제거하여 빌지 웰 커버(300)의 안정적인 배수를 도모하면 된다.
따라서, 빌지 웰 커버(300)의 배수 불능에 의한 위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 안정적인 항해를 도모할 수 있다.
100 : 그레이팅
300 : 빌지 웰 커버
310 ; 개구홀
312, 314 : 제1,2 개구홀
302 : 도어 커버
400 : 제어부

Claims (7)

  1. 선박에 구비되는 빌지 웰(Bilge Well);
    상기 빌지 웰의 상부에 구비되는 그레이팅(Grating);
    복수개의 개구홀이 구비되고, 상기 그레이팅 주변을 감싸 상기 그레이팅을 수용하는 소정의 공간을 한정하는 복수개의 웰커버를 포함하는 선박용 빌지 웰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웰커버 중 어느 하나는
    외측으로 오픈되는 도어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빌지 웰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공간은
    상기 그레이팅 주변에 위치하는 격벽과 상기 복수개의 웰커버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빌지 웰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및 상기 복수개의 웰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외측으로 오픈되도록 상기 도어 커버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빌지 웰 커버.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홀은,
    상기 빌지 웰 커버의 하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제1 개구홀; 및
    상기 제1 개구홀의 상부에 배치된 제2 개구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개구홀의 직경은 제1 개구홀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빌지 웰 커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버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빌지 웰 커버.
  7. 제1 항에 있어서,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 레벨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센서는 상기 선박용 빌지 웰 커버가 설치된 선박의 제어부에 연결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센서에서 측정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레벨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레벨정보를 지정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레벨정보가 지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지정된 위치에 설치된 경광등을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지 웰 커버.
KR2020110005783U 2011-06-24 2011-06-24 선박용 빌지 웰 커버 KR200468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83U KR200468791Y1 (ko) 2011-06-24 2011-06-24 선박용 빌지 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783U KR200468791Y1 (ko) 2011-06-24 2011-06-24 선박용 빌지 웰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77U KR20130000077U (ko) 2013-01-03
KR200468791Y1 true KR200468791Y1 (ko) 2013-09-04

Family

ID=5135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783U KR200468791Y1 (ko) 2011-06-24 2011-06-24 선박용 빌지 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9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702B1 (ko) * 2013-07-23 2020-02-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빌지 웰 일체형 체인 락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792Y2 (ja) * 1989-01-11 1994-11-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内左右区画室通水式ビルジウェル構造
KR101020145B1 (ko) 2009-04-22 2011-03-07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확장성 생성 언어(xml) 기반 아이콤(icom) 플러그인 시스템
KR101020415B1 (ko) * 2008-05-13 2011-03-08 이병인 맨홀 장치
KR20120007962U (ko) * 2011-05-13 2012-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빌지웰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792Y2 (ja) * 1989-01-11 1994-11-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内左右区画室通水式ビルジウェル構造
KR101020415B1 (ko) * 2008-05-13 2011-03-08 이병인 맨홀 장치
KR101020145B1 (ko) 2009-04-22 2011-03-07 쉬프트정보통신 주식회사 확장성 생성 언어(xml) 기반 아이콤(icom) 플러그인 시스템
KR20120007962U (ko) * 2011-05-13 2012-1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빌지웰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77U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970B1 (ko) 유수분리장치
KR101390821B1 (ko)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KR101535624B1 (ko) 수질 자동 측정장치
KR101498211B1 (ko) 일체형 배수로를 갖는 헬리데크
US6443091B1 (en) Drain alert device
KR200468791Y1 (ko) 선박용 빌지 웰 커버
US4935726A (en) Drainage system monitoring apparatus
KR101071849B1 (ko) 해수유동 자가억제 장치를 구비한 문풀
JP3112391U (ja) 分析装置
KR101787022B1 (ko) 해상용 배수재 컷팅장치
US7468128B2 (en) Bilge water barrier and pollution prevention system
JP2013253452A (ja) 逆流抑制装置付き排水構造
KR200465528Y1 (ko) 선박의 오일코밍
KR200489759Y1 (ko) 선박용 빌지해트
KR101408350B1 (ko) 해상구조물의 드레인 장치
KR20150119308A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79830B1 (ko) 콘크리트 부유해상구조물
KR101925014B1 (ko) 센서 장치와 이를 이용한 펜스 장치
KR20170025822A (ko) 문풀 내부 유동억제 장치 및 그 장치를 구비하는 시추 해양구조물
KR102083409B1 (ko)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US7524412B2 (en) Apparatus for removing fluid from bilge of a marine vessel
KR101167924B1 (ko) 선박의 문풀부 저항 감소구조
CN212500874U (zh) 一种船舶排水舷口
KR100621683B1 (ko) 소형선박용 배수장치
KR101291154B1 (ko) 선박용 배수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