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536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536A
KR20090117536A KR1020080043634A KR20080043634A KR20090117536A KR 20090117536 A KR20090117536 A KR 20090117536A KR 1020080043634 A KR1020080043634 A KR 1020080043634A KR 20080043634 A KR20080043634 A KR 20080043634A KR 20090117536 A KR20090117536 A KR 20090117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opening
door
hinge pin
clos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지경하
곽남규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알씨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알씨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536A/ko
Publication of KR2009011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81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vertical sliding closing doors, e.g. hood-type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후벽체(11)가 구비된 세척기본체(10); 상기 세척기본체(10)의 상부를 덮어씌우되 상기 후벽체(11)와 인접되는 양측면 후단부에 상하구동롤러(22)가 구비된 세척기도어(20); 상기 상하구동롤러(22)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 상하구동롤러(22)를 감싼 상태로 세척기본체(10)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레일(30); 상기 세척기도어(20)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게 그 양측 후단부가 후벽체(11)에 힌지 연결되는 개폐손잡이(40); 및 상기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힌지 연결시키되 각각의 연결부위에 제1, 2힌지핀(62,64)이 마련된 연결링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60)는 제1힌지핀(62)과 제2힌지핀(64)이 수직선상에 인접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개폐손잡이의 개폐조작이 부드럽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작동상의 편리성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상하구동롤러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힘 요소가 최소화되어 이에 따라 이 상하구동롤러의 손상 및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식기세척기, 세척기도어, 개폐손잡이, 연결링크, 제1힌지핀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기도어와 개폐손잡이를 힌지 연결시키는 연결링크가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이 수직선상과 인접되는 범위 내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세척기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이 세척기도어를 떠받치는 힘이 더 커지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세척기도어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개폐손잡이의 개폐조작이 부드럽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작동상의 편리성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구동롤러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힘 요소가 최소화되어 이에 따라 이 상하구동롤러의 손상 및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사 후 음식찌꺼기가 남아 있는 식기들을 자동으로 세척, 헹굼 및 건조까지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보통 가정용과 업소용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가정용의 경우 보편적으로 세척할 식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저용량에 따른 성능을 구비하여 장시간 동안 세척이 수행되도록 하는 반면, 업소용의 경우 세척할 식기가 많고 지속적으로 세척 및 재사용이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용량의 성능을 구비 하여 단시간에 신속하게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업소용 식기세척기의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후벽체(11)가 구비된 세척기본체(10)와, 이 세척기본체(10)의 상부를 덮어씌우되 상기 후벽체(11)와 인접되는 양측면 후단부에 상하구동롤러(22)가 구비된 세척기도어(20)와, 상기 상하구동롤러(22)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 상하구동롤러(22)를 감싼 상태로 세척기본체(10)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레일(30)과, 상기 세척기도어(20)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게 그 양측 후단부가 후벽체(11)에 힌지 연결되는 개폐손잡이(40) 및 상기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힌지 연결시키되 각각의 연결부위에 제1, 2힌지핀(52,54)이 마련된 연결링크(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개폐손잡이(4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세척기도어(20)를 개방시킨 후 세척기본체(10) 내부에 세척 대상의 식기들을 투입시키고 나서 다시 개폐손잡이(40)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세척기도어(20)를 닫은 후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손잡이(40)의 승강조작에 따른 세척기도어(20)의 개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세척기도어(20)의 개방시 개폐손잡이(4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이 개폐손잡이(40)가 연결링크(50) 상단부의 제2힌지핀(54)을 잡아당기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연결링크(50) 하단부의 제1힌지핀(52)이 세척기도어(20)를 잡아당기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세척기도어가 개방되는 것이 다.
미 설명 부호 s는 사용자가 상기 세척기도어(20)를 반 정도 열어 올린 후에는 스프링 힘만으로도 세척기도어(20)가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가스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스스프링(70)이 작동하기 전 최초로 세척기도어(20)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 이 세척기도어(20)의 개방 조작이 수월하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식기세척기는 세척기도어와 개폐손잡이를 힌지 연결시키는 연결링크가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해서 전방으로 크게 치우쳐져 있기 때문에 첨부된 도 3에서 나타낸 연결링크의 승강 변위량(A)에서도 알 수 있듯이 소정각도만큼 승강시 연결링크가 비교적 많은 거리 이동을 한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이는 곧 개폐손잡이 조작시 많은 힘이 들어가고 있다는 반증으로 볼 수 있는바 결과적으로 개폐손잡이의 개폐조작이 힘들게 되어 사용자에게 작동상의 불편함을 끼치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링크가 전방으로 치우쳐져 있기 때문에, 상하구동롤러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힘 요소에 의해 가이드레일 내의 상하구동롤러 역시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받게 되면서 상하구동롤러의 작동 중 로드가 걸리면서 손상이 발생되거나 가이드레일과의 마찰에 따른 소음발생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연결링크가 전방으로 치우쳐져 있는데다가 제작시에 세척기도어 개폐가 원활하게 되도록 가이드레일에 어느 정도 유격을 주어 세척기도어가 열린 상태로 있을 때 연결링크가 각도상 세척기도어를 위로 떠받치는 힘보다 하방으로 당기는 힘이 더 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기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그 결과 세척기도어 하단부 가이드레일쪽 잔여물이 밖의 사용자에게로 쏟아지게 되는 등의 불편함을 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기도어와 개폐손잡이를 힌지 연결시키는 연결링크가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이 수직선상과 인접되는 범위 내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세척기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이 세척기도어를 떠받치는 힘이 더 커지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세척기도어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세척기도어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도어 하단부 잔여물이 자연스럽게 뒤쪽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는 역할을 하여 개폐손잡이의 개폐조작이 부드럽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작동상의 편리성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구동롤러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힘 요소가 최소화되어 이에 따라 이 상하구동롤러의 손상 및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후벽체가 구비된 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기본체의 상부를 덮어씌우되 상기 후벽체와 인접되는 양측면 후단부에 상하구동롤러가 구비된 세척기도어; 상기 상하구동롤러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 상하구동롤러를 감싼 상태로 세척기본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세척기도어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게 그 양측 후단부가 후벽체에 힌지 연결되는 개폐손잡이; 및 상기 세척기도어와 개폐손잡이를 힌지 연결시키되 각각의 연결부위에 제1, 2힌지핀이 마련된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이 수직선상에 인접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 세척기도어와 개폐손잡이를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의 제2힌지핀은 제1힌지핀을 기준으로 세척기도어의 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핀의 후방 기울기는 5°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의 제2힌지핀은 제1힌지핀을 기준으로 세척기도어의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핀의 전방 기울기는 5°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후벽체가 구비된 세척기본체; 상기 세척기본체의 상부를 덮어씌우되 상기 후벽체와 인접되는 양측면 후단부에 상하구동롤러가 구비된 세척기도어; 상기 상하구동롤러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 상하구동롤러를 감싼 상태로 세척기본체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세척기도어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게 그 양측 후단부가 후벽체에 힌지 연결되는 개폐손잡이; 및 상기 세척기도어와 개폐손잡이를 힌지 연결시키되 각각의 연결부위에 제1, 2힌지핀이 마련된 연결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제1힌지핀과 제2힌지핀이 수직선상에 놓인 상태에서 세척기도어와 개폐손잡이를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세척기도어와 개폐손잡이를 힌지 연결시키는 연결링크가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이 수직선상과 인접되는 범위 내에 놓 이도록 함으로써, 세척기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이 세척기도어를 떠받치는 힘이 더 커지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세척기도어의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개폐손잡이의 개폐조작이 부드럽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작동상의 편리성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구동롤러를 전방측으로 잡아당기는 힘 요소가 최소화되어 이에 따라 이 상하구동롤러의 손상 및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후벽체(11)가 구비된 세척기본체(10)와, 이 세척기본체(10)의 상부를 덮어씌우고 상하구동롤러(22)가 구비된 세척기도어(20)와, 이 상하구동롤러(22)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30)과, 상기 세척기도어(2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개폐손잡이(40) 및 상기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힌지 연결하는 연결링크(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세척기본체(10)는 상방이 개방된 사각용기 형상으로, 그 저면 모서리에는 각각 지면으로 연장되는 받침대(10a)가 마련되어 있고, 이 받침대(10a) 중 후단 받침대(10a)에는 그 상방으로 직립 연장되는 후벽체(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세척기도어(20)는 세척기본체(10)의 상부를 덮어씌우되 배면과 저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상기 후벽체(11)와 인접되는 양측면 후단부 하단에는 상하구동롤러(2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30)은 상하구동롤러(22)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 상하구동롤러(22)를 감싼 상태로 세척기도어(20) 양측면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디귿자형 터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개폐손잡이(40)는 세척기도어(20)를 상하로 승강시켜 세척기본체(10)를 개폐시킬 수 있게 세척기도어(20)를 감싸는 디귿자 봉 형상으로, 자유단인 양단부가 후벽체(11)의 양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양측 소정부위가 세척기도어(20)와 힌지 연결되어 있는 연결링크(60)와 힌지 연결되어 개폐손잡이(40)의 승강시 세척기도어(20)가 상하로 연동하여 승강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링크(60)는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가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시키되, 이들 각각의 연결부위, 즉 세척기도어(20)와의 연결부위에 제1힌지핀(62)을 마련하고, 개폐손잡이(40)와의 연결부위에 제2힌지핀(64)을 마련하여 상기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가 각각 힌지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연결링크(60)는 제1힌지핀(62)과 제2힌지핀(64)이 수직선상에 인접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링크(60)의 제2힌지핀(64)은 제1힌지핀(62)을 기준으로 세척기도어(20)의 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힌지핀(64)의 후방 기울기는 5°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연결링크의 제2힌지핀(64)은 제1힌지핀(62)을 기준으로 세척기도어(20)의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힌지핀(64)의 전방 기울기는 5ㅀ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연결링크(60)는 제1힌지핀(62)과 제2힌지핀(64)이 수직선상에 놓인 상태에서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개폐손잡이(4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세척기도어(20)를 개방시킨 후 세척기본체(10) 내부에 세척 대상의 식기들을 투입시키고 나서 다시 개폐손잡이(40)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세척기도어(20)를 닫은 후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손잡이(40)의 승강조작에 따른 세척기도어(20)의 개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례로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세척기도어(20)의 개방시 개폐손잡이(4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이 개폐손잡이(40)가 연결링크(60) 상단부의 제2힌지핀(64)을 잡아당기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연결링크(60) 하단부의 제1힌지핀(62)이 세척기도어(20)를 잡아당기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세척기도어가 수월하게 개방되는 것이다.
이렇게 개폐손잡이(40)를 통해 세척기도어(2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소정각도(대략 40°)만큼 상승시키게 되면, 그에 따른 연결링크(60)의 진행방향이 거의 수직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상하구동롤러(22)에 대한 전방 당김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개폐손잡이(40)의 상승에 따른 연결링크(60)의 변위량(B)도 도 3에서 나타낸 종래 기술의 동일 각도에 의한 변위량(A)보다 적은 변위량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사용자로 하 여금 개폐손잡이(40)를 들어올리는 힘이 최소화됨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60)의 수직선상에 인접되는 배치 구조에 세척기도어(20)의 승강에 따른 개폐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연결링크가 수직선상의 좌측, 즉 세척기도어(20)의 후방측으로 많이 기울어진 기울기(예를 들어 대략 15°)를 가지고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비록 연결링크가 그 배치구조에 의해 전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은 배제되어 그 결과 상하구동롤러(22)에 대한 부하는 걸리지 않겠지만, 이 경우에는 개폐손잡이(40)를 상방으로 들어올릴수록 연결링크가 후방으로 넘어가는 회전각이 커지게 되면서 즉 개폐손잡이(40)를 들어올리는 각도도 커지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세척기도어(20)를 충분히 올려주지 못하게 되어 개폐조작이 불편하게 될 우려가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연결링크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기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폐손잡이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연결링크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연결링크가 기울어진 정도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폐손잡이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척기본체 10a : 받침부
11 : 후벽체 20 : 세척기도어
22 : 상하구동롤러 30 : 가이드레일
40 : 개폐손잡이 50 : 연결링크
52 : 제1힌지핀 54 : 제2힌지핀
60 : 연결링크 62 : 제1힌지핀
64 : 제2힌지핀 A, B : 변위량
s : 가스스프링

Claims (6)

  1. 후벽체(11)가 구비된 세척기본체(10);
    상기 세척기본체(10)의 상부를 덮어씌우되 상기 후벽체(11)와 인접되는 양측면 후단부에 상하구동롤러(22)가 구비된 세척기도어(20);
    상기 상하구동롤러(22)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 상하구동롤러(22)를 감싼 상태로 세척기본체(10)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레일(30);
    상기 세척기도어(20)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게 그 양측 후단부가 후벽체(11)에 힌지 연결되는 개폐손잡이(40); 및
    상기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힌지 연결시키되 각각의 연결부위에 제1, 2힌지핀(62,64)이 마련된 연결링크(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60)는 제1힌지핀(62)과 제2힌지핀(64)이 수직선상에 인접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 내에서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60)의 제2힌지핀(64)은 제1힌지핀(62)을 기준으로 세척기도어(20)의 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핀(64)의 후방 기울기는 5°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60)의 제2힌지핀(64)은 제1힌지핀(62)을 기준으로 세척기도어(20)의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핀(64)의 전방 기울기는 5°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후벽체(11)가 구비된 세척기본체(10);
    상기 세척기본체(10)의 상부를 덮어씌우되 상기 후벽체(11)와 인접되는 양측면 후단부에 상하구동롤러(22)가 구비된 세척기도어(20);
    상기 상하구동롤러(22)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이 상하구동롤러(22)를 감싼 상태로 세척기본체(10)에 각각 고정되는 가이드레일(30);
    상기 세척기도어(20)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게 그 양측 후단부가 후벽체(11)에 힌지 연결되는 개폐손잡이(40); 및
    상기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힌지 연결시키되 각각의 연결부위 에 제1, 2힌지핀(62,64)이 마련된 연결링크(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60)는 제1힌지핀(62)과 제2힌지핀(64)이 수직선상에 놓인 상태에서 세척기도어(20)와 개폐손잡이(40)를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80043634A 2008-05-09 2008-05-09 식기세척기 KR20090117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34A KR20090117536A (ko) 2008-05-09 2008-05-09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634A KR20090117536A (ko) 2008-05-09 2008-05-09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536A true KR20090117536A (ko) 2009-11-12

Family

ID=41601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634A KR20090117536A (ko) 2008-05-09 2008-05-09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75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9229A (zh) * 2017-10-20 2018-02-09 李家成 一种清洗机提拉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9229A (zh) * 2017-10-20 2018-02-09 李家成 一种清洗机提拉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55170A (ja) 食器洗い機
JP4692037B2 (ja) 食器洗い機
KR100662406B1 (ko) 냉장고
US10231599B2 (en) Lower rack assembly for dishwasher appliance
CN108348131A (zh) 洗碗机
US20080129168A1 (en) Dishwasher rack lift system
US8840201B2 (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rack assembly of an appliance
ATE424753T1 (de) Korbhebeanordnung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CN107212830A (zh) 一种洗碗机以及带有该洗碗机的集成水槽
KR101904551B1 (ko) 붙박이 식기세척기
KR101253238B1 (ko) 식기세척기
KR20060006588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20170202427A1 (en) Lower Rack Assembly for Dishwasher Appliance
JP2010233850A (ja) 収納庫
KR20100091906A (ko) 수납고
KR20090117536A (ko) 식기세척기
KR20100128564A (ko) 식기세척기
KR20080044078A (ko) 식기세척기의 랙
KR100981720B1 (ko) 식기세척기
KR100707556B1 (ko) 식기 세척기
JPH10179495A (ja) 食器洗い機
JP2003135357A (ja) 昇降式食器洗浄装置
KR100753447B1 (ko) 식기세척기
CN217244224U (zh) 一种揭盖式洗碗机框架式上罩上升结构
TW201340927A (zh) 餐具清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