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047A - 쌍절곤 - Google Patents

쌍절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047A
KR20090117047A KR1020080042918A KR20080042918A KR20090117047A KR 20090117047 A KR20090117047 A KR 20090117047A KR 1020080042918 A KR1020080042918 A KR 1020080042918A KR 20080042918 A KR20080042918 A KR 20080042918A KR 20090117047 A KR20090117047 A KR 20090117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tube
pair
section
coupl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1020080042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047A/ko
Publication of KR20090117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쌍절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연결줄의 길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쌍절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부에 상기 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측벽에 결합용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관상체의 삽입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삽입관에 삽입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결합용 레일에 결합되는 결합용 돌기가 외벽 또는 내벽에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머리뭉치;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줄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쌍절곤, 연결줄, 결합용 레일, 머리뭉치, 삽입관,

Description

쌍절곤{NUNCHAKU}
본 발명은, 쌍절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연결줄의 길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쌍절곤에 관한 것이다.
쌍절곤은, 대소자(大掃子), 소소자(小掃子), 소반룡곤(小盤龍棍)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두 개의 짧은 봉을 부드럽고 강한 줄로 연결한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데, 보통은 쌍절곤으로 부른다.
예전에는 쌍절곤이 전투 시 적군과 적군마를 공격하는 데 효과적인 무기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호신용 무기 또는 신체 단련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크게 보면, 쌍절곤은 치고, 찌르고, 막고, 비트는 네 가지 동작으로 구분되지만 응용 기술의 폭이 넓고 다양해 마음대로 사용할 정도가 되면 그 위력은 실로 대단하다 볼 수 있다. 또 짧은 시간 내에 혼자서 배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쌍절곤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정면치기, 아래위 치기, 아래위 돌려치기, 다리치기, 휘두르기, 좌우 올려치기, 한쪽 어깨 돌리기, 좌우 등뒤 올려치기, 목반동 치기, 목 돌리기, 수평 교차잡기, 수평 돌려잡기, 뒤돌려잡기, 물레 돌리기, 팔자 돌리기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있어 쌍절곤은 휴대도 간편하거니와 별도의 넓은 장소가 필요치 않으며, 또한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독립적으로 체력을 단련하기에 좋은 기구라 할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쌍절곤은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파지하는 봉의 재질에 따라 스펀지, 알루미늄, 나무 재질의 쌍절곤으로 크게 나뉜다. 또한 한 쌍의 봉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의 재질에 따라 쌍절곤은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용 쌍절곤과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용 쌍절곤으로 나뉘기도 한다.
한편, 기존의 쌍절곤에 마련되어 있는 연결줄의 경우, 그 길이가 미리 정해진 상태로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손등에 맞는 길이로 조절이 불가능하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연결줄의 조절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출원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연결줄의 대부분이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연결줄에 매듭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그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물론, 쇠사슬로 된 연결줄은 다른 방식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매듭의 방법으로 연결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술의 경우, 한번의 작업으로 연결줄의 길이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일이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불편함 및 번거로움이 따른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매듭 형성이 서툴기 때문에 사실상 연결줄의 길이 조절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연결줄의 길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쌍절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부에 상기 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측벽에 결합용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관상체의 삽입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삽입관에 삽입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결합용 레일에 결합되는 결합용 돌기가 외벽 또는 내벽에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머리뭉치;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줄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용 레일은, 상기 삽입관의 노출 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봉을 향해 형성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과의 사이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구간에 인접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구간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단부에서 상기 제2 구간에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3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간의 어느 일 영역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의 최종 위치를 설정하는 최종 위치 설정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돌기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외벽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결합용 돌기는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더미관의 외벽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삽입관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 플랜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내벽에는 상기 제3 구간이 끝나는 지점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은 신축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제작 가능하며,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외벽에는 미끌림방지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끌림방지홈은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원주 방향 또는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열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은,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 그리고 로프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구슬이 결합된 구슬로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는, H형 연결고리와 C형 연결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연결줄이 상기 연결끈인 경우 상기 연결끈은 상기 H형 연결고리 또는 C형 연결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매듭의 형태로 고정되면서 길이 조절되고, 상기 연결줄이 상기 연결체인인 경우 상기 연결체인은 상기 H형 연결고리 또는 C형 연결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체인의 내부공이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면서 길이 조절되고, 상기 연결줄이 상기 구슬로프인 경우 상기 구슬로프는 상기 C형 연결고리에 의해 걸려 지지되는 형태로 고정되면서 길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C형 연결고리는, 중앙에 유격이 생긴 부분을 기준으로 상호 비대칭되게 벌림 가능한 양측 자유단과,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슬로프의 이동 및 구속을 제한하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은 상기 삽입관의 표면에 고착되어 일체로 마련되되, 상기 결합용 레일은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과 상기 삽입관 간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의 대치에 의해 굴절식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레일은, 상기 삽입관에 형성된 수직 구간 및 상기 수직 구간에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에 형성되는 수평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구간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의 최종 위치를 설정하는 최종 위치 설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보다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연결줄의 길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1a 및 도 1b, 그리고 도 2는 연결줄이 천이나 합성섬유의 연결끈(30)으로 된 쌍절곤(1a,1b)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은 연결줄이 쇠사슬의 연결체인(40)으로 된 쌍절곤(1c,1d,1e)에 대해,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연결줄이 로프(81)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구슬(82)이 결합된 구슬로프(80)로 된 쌍절곤(1f)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들 쌍절곤(1a~1f)은 연결줄의 형태가 연결끈(30)과 연결체인(40)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상이할 뿐 나머지의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고 있는 쌍절곤(1a~1f)들은 모두가 아래의 구조에 의해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을 상호 호환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용도 기능성 쌍절곤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것이다.
그러면, 우선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1a)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쌍절곤(1a)은, 한 쌍의 봉(10), 삽입관(15), 한 쌍의 머리뭉치(20), 연결줄로서의 연결끈(30), 연결고리(50) 및 삽입관 보호용 캡(60)을 구비한다. 각 구성에 대해 부연한다.
한 쌍의 봉(10)은, 쌍절곤(1a)을 통한 무술운동이나 수련 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일정한 단면적의 원형 봉으로 제작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10)은 한 쌍의 머리뭉치(20)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한 쌍의 봉(10)은 연습용 봉일 수도 있고, 혹은 실전용 봉일 수도 있다.
연습용 봉은 주로 쌍절곤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연습용 봉의 외면은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실전용 봉의 외면 역시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봉(10)은 그 재질에 따라 스펀지, 알루미늄, 나무 재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므로 한 쌍의 봉(10)은 어떠한 재질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삽입관(15)은, 한 쌍의 봉(10)의 일단부에 봉(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삽입관(15)은 한 쌍의 머리뭉치(20)와 결합되는 장소로 활용된다. 이러한 삽입관(15)의 측벽에는 한 쌍의 머리뭉치(20)에 형성된 결합용 돌기(23)가 결합되는 결합용 레일(17)이 형성되어 있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결합용 돌기(23) 및 결합용 레일(17)은 적어도 한 쌍씩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용 레일(17)은 단순한 직선 혹은 아크(arc) 형상에서 벗어나 일정한 경로를 갖도록 마련됨으로써 결합용 돌기(23)에 대한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결합용 레일(17)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결합용 레일(17)은, 삽입 관(15)의 노출 단부에서 한 쌍의 봉(10)을 향해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 구간(17a)과, 제1 구간(17a)과의 사이에 이탈방지턱(17b)이 형성되도록 제1 구간(17a)에 인접된 위치에서 제1 구간(17a)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구간(17c)과, 제2 구간(17c)의 단부에서 제2 구간(17c)에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3 구간(17d)을 포함한다.
이탈방지턱(17b)은 결합용 돌기(23)가 결합용 레일(17)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용 돌기(23)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턱(17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식으로 마련되고 있다.
제3 구간(17d)에는 결합용 돌기(23)의 최종 위치를 설정하는 최종 위치 설정홈(17e)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 구간(17d)이 끝나는 지점에는 돌기부(17f)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7f)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실질적으로 도 1a 및 도 1b의 경우에는 돌기부(17f)가 구성상 제외되어도 좋다.
한 쌍의 머리뭉치(20)는, 연결줄로서의 연결끈(3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한 쌍의 봉(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 사이의 결합 영역에는 고무링(미도시)이 더 개재될 수 있다.
한 쌍의 머리뭉치(20)의 노출 단부 영역에는 연결끈(30)에 대한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줄 회전부(25)가 더 형성되어 있다. 줄 회전부(25)는, 연결끈(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데, 만약에 이러한 줄 회전부(25)가 없다면 연결끈(30)이 해당 위치의 모서리에 걸려 회전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연 결줄이 연결체인(40)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줄 회전부(25)는 단순한 원기둥 타입으로 되어 있지만 절두원뿔 형상으로 줄 회전부(25)를 제작하여도 좋다.
이러한 머리뭉치(20)의 일측에는 머리뭉치(20)로부터 연장되어 삽입관(15)의 내부로 삽입되는 더미관(22)이 더 형성되어 있다. 더미관(22)이 삽입관(15)의 내부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더미관(22)의 내경은 삽입관(15)의 내경보다 작게 설계된다. 이러한 더미관(22)의 외벽에 결합용 돌기(2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더미관(22)을 삽입관(15)의 내부로 삽입시키면서 결합용 돌기(23)가 제1 구간(17a) 및 제2 구간(17c)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 후 제2 구간(17c)의 단부에 결합용 돌기(23)가 도달되면 머리뭉치(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결합용 돌기(23)가 제3 구간(17d)을 경유하다가 최종적으로 최종 위치 설정홈(17e)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를 상호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 간의 해제는 전술한 방법의 역순을 따르면 된다.
이러한 구조만으로도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 간의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관(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삽입관 보호용 캡(60)을 더 마련함으로써 지지력을 배가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삽입관 보호용 캡(60)은 단순한 관상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삽입관(15)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 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삽입관 보호용 캡(60)이 마련되는 경우, 결합용 레일(17)이 은닉될 수 있어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삽입관 보호용 캡(60)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쌍절곤(1a)에는 연결줄로서의 연결끈(30)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연결고리(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고리(50)는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도 좋고, 아니면 한 쌍의 머리뭉치(20) 중 어느 한 쪽에만 마련되어도 좋다. 어떠한 구조일지라도 연결고리(50)는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부에 마련되어 한 쌍의 머리뭉치(20)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해당 위치에서 연결끈(30)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연결끈(3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고리(50)는 H형 연결고리로 적용되고 있다. 즉 연결고리(50)는 원반 형상의 몸체부(51)와, 몸체부(51)의 외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취되어 실질적으로 연결줄로서의 연결끈(30)이 고정되는 한 쌍의 절취부(52)를 구비한다.
이처럼 연결끈(30)은 연결고리(50)의 절취부(52) 영역에 매듭져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 때 연결끈(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30a)가 두 갈래로 나뉜 후 연결고리(50)에 매듭져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끈(30)의 고정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연결끈(30)의 단부(30a)를 두 갈래로 나누지 않고 연결끈(30)의 단부(30a)를 그대로 연결고리(50)의 절취부(52) 영역에 감아서 매듭져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만약에, 연결끈(3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한다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풀어 원하는 길이로 연결끈(30)을 맞춰두고 그 부분을 연결고리(50)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처럼 한 쌍의 머리뭉치(20)로부터 연결고리(50)를 빼내어 연결끈(30)에 대한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시켜 연결고리(50)를 다시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 집어넣는 정도면 충분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핀 고정 방식(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20-1999-6956호)에 비해 그 장착 및 분리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연결고리(50)는 항상 머리뭉치(20)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밖으로 튕겨나갈 우려가 없어 안전을 확보하기에도 충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고리(50)로서 H형 연결고리(50)를 적용하고 있지만, 후술할 C형 연결고리(70)를 적용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보다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연결줄의 길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의 경우, 머리뭉치(20a)에 더미관(22, 도 1b 참조)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머리뭉치(20a) 그 자체가 삽입관(15)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결합용 레일(17)에 결합될 결합용 돌기(23a)는 머리뭉치(20a)의 내벽 에 마련된다.
도 2와 같이 적용하더라도 종래보다 간단하고도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연결줄의 길이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하려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연결줄이 연결체인(40)으로 된 쌍절곤(1c,1d,1e)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의 경우,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연결줄이 연결체인(40)으로 된 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해서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한번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삽입관 보호용 캡이 삽입관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쌍절곤(1c,1d,1e)은 연결줄이 연결체인(40)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연결줄이 연결체인(40)으로 적용될 경우, 연결체인(40)의 내부공(40a)이 H형 연결고리(50)의 한 쌍의 절취부(52) 영역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됨으로써 간편 조작이 가능해진다.
참고로 도 3 내지 도 6의 쌍절곤(1c,1d,1e)의 경우에도, H형 연결고리(50) 대신에 C형 연결고리(70)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의 경우, 삽입관(15)을 보호하는 삽입관 보호용 캡(60)은 단순한 관상체이며, 도 1a 및 도 1b의 구조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도 4의 경우에는 삽입관 보호용 캡(60a)의 구조가 일부 상이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삽입관 보호용 캡(60a)의 일단에는 결합용 돌기(23)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 플랜지(61a)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탈저지 플랜지(61a)는 대략 아크(arc) 형상으로서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삽입관 보호용 캡(60a)의 내벽에는 결합용 레일(17)의 제3 구간(17d)이 끝나는 지점에 형성된 홈부(17f)에 삽입되는 돌기부(62a)가 더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기 때문에 삽입관 보호용 캡(60a)에 이탈저지 플랜지(61a)나 돌기부(62a)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이 구조가 적용될 경우에는 보다 우수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삽입관 보호용 캡(60b)의 구조는 도 3 및 도 4와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및 도 6의 삽입관 보호용 캡(60b)은, 신축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제작 가능한데, 이러한 삽입관 보호용 캡(60b)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5)을 지지하면서 결합용 레일(17)을 외부로부터 은닉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삽입관 보호용 캡(60b)의 외벽에는 미끌림방지홈(61b)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미끌림방지홈(61b)이 삽입관 보호용 캡(60b)의 원주 방향(수평)을 따라 복수 열로 형성되어 있지만, 삽입관 보호용 캡(60b)의 길이 방향(수직)을 따라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미끌림방지홈(61b)은 줄 가공이 아닌 엠보 가공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미끌림방지홈(61b)으로 인해, 쌍절곤(1e)의 착탈 과정에서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미끌림방지홈(61b)은 특히 쌍절곤(1e)의 회전기술 구사할 때 손바닥에서 미끄러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시킨다.
특히,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삽입관 보호용 캡(60b)은 평상 시 삽입관(15) 상부의 맨 끝에 위치하는데, 더미관(22)이 삽입되면 머리뭉치(20)로 인해 삽입관 보호용 캡(60b)이 하방으로 접히면서 머리뭉치(20)가 봉(10)에 밀착되도록 하는 고무링의 역할을 겸한다. 반대로 봉(10)으로부터 머리뭉치(20)를 분리하면, 삽입관 보호용 캡(60b)의 접힌 부분이 펼쳐지면서 원상태로 회복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삽입관 보호용 캡(60a,60b)은 연결줄이 연결끈(30)으로 된 도 1a, 도 1b 및 도 2의 쌍절곤(1a,1b)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할 때, 제6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1f) 역시 전술한 실시예들, 특히 도 1b 및 도 3에 도시된 쌍절곤(1a,1c)과 실질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제6 실시예의 경우, 연결줄이 로프(81)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구슬(82)이 결합된 구슬로프(80)로 적용되고, 연결고리(70)가 전술한 H형이 아닌 C형 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연결줄인 구슬로프(80)의 길이 조절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C형 연결고리(70)에서 중앙에 유격(71)이 생긴 부분을 기준으로 C형 연결고리(70)의 양측 자유단(70a,70b)을 상호간 비대칭되게 벌려 내부 통공(72)을 통해 구슬로프(80)를 이동시키면서 길이를 조절한다.
길이가 조절되고 나면, 그 상태에서 C형 연결고리(70)의 양측 자유단(70a,70b)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면 구슬로프(80)의 어느 일 로프(81)는 통공(72)에 걸치게 되고 그 로프(81)의 양측에 마련된 구슬(82)은 각각 통공(72)의 양측에 배치됨에 따라 C형 연결고리(70)를 뒤틀지 않고서는 구슬로프(80)의 길이가 완전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작용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구슬(82)의 직경이 통공(72)보다는 커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특히, 매듭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연결줄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사 입장에서 보면 제품 출시를 위해 일일이 매듭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공정에서 시간적 혹은 경제적 효율성이 증대되고 나아가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삽입관 보호용 캡 및 삽입관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경우에는 전술한 모든 쌍절곤(1a~1f)들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삽입관 보호용 캡(60c)이 삽입관(15)의 표면에 고착된 상태로 일체형으로 마련되어도 좋다.
삽입관 보호용 캡(60c)을 삽입관(15)의 표면에 고착시키는 방안은, 예컨대 접착이나 압입 등의 방법이 고려될 수 있지만, 이에 더하여 돌기 결합 방법이나 후크 결합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과 관련해서, 만약 전술한 쌍절곤(1a~1f)들에 적용되고 있는 결합용 레일(17)을 삽입관(15)의 측벽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면, 삽입관 보호용 캡(60c)의 위치를 변경하여 삽입관 보호용 캡(60c)과 삽입관(15)을 상호간 굴절식 형상으로 대치시킴으로써 결합용 레일(17)의 기능을 대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의 결합용 레일(18)은 전술한 결합용 레일(17)과 기능은 유사하지만 구조적으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도 8의 결합용 레일(18)은, 삽입관(15)에 형성된 수직 구간(18a) 및 수직 구간(18b)에 교차되게 배치되고 삽입관 보호용 캡(60c)에 형성되는 수평 구간(18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평 구간(18b)의 단부에는 전술한 쌍절곤(1a~1f)들에 적용되고 있는 결합용 돌기(23,23a)의 최종 위치를 설정하는 최종 위치 설정홈(18c)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쌍절곤(1a~1f)들에 적용되고 있는 결합용 레일(17)을 삽입관(15)의 측벽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면 굳이 도 8의 방법이 적용될 필요는 없다.
동작을 살펴보면, 결합용 돌기(23,23a)들이 삽입관 보호용 캡(60c)의 유입구(61c)를 통과하도록 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돌려 삽입관 보호용 캡(60c)과 삽입관(15)의 상부 영역 사이의 유도라인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 후, 수직 구간(18b) 및 수평 구간(18b)을 지나 최종 위치 설정홈(18c)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결 합을 완료할 수 있다.
만약, 위와 같은 완전한 결합을 이루지 못하고, 예컨대 사용자가 결합용 돌기(23,23a)들이 수직 구간(18b)까지 위치된 상태를 결합이 완성된 것으로 착각하고 쌍절곤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결합용 돌기(23,23a)들이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삽입관 보호용 캡이 삽입관에 결합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삽입관 보호용 캡 및 삽입관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f : 쌍절곤 10 : 봉
15 : 삽입관 20 : 머리뭉치
30,40,80 : 연결줄 50,70 : 연결고리
60,60a,60b,60c : 삽입관 보호용 캡

Claims (14)

  1.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부에 상기 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측벽에 결합용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관상체의 삽입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삽입관에 삽입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결합용 레일에 결합되는 결합용 돌기가 외벽 또는 내벽에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머리뭉치;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줄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레일은,
    상기 삽입관의 노출 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봉을 향해 형성되는 제1 구간;
    상기 제1 구간과의 사이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구간에 인접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구간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의 단부에서 상기 제2 구간에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3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간의 어느 일 영역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의 최종 위치를 설정하는 최종 위치 설정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기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외벽에 마련되는 경우, 상기 결합용 돌기는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더미관의 외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상의 삽입관 보호용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 플랜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내벽에는 상기 제3 구간이 끝나는 지점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은 신축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제작 가능하며,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외벽에는 미끌림방지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끌림방지홈은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원주 방향 또는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열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줄은,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 그리고 로프에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구슬이 결합된 구슬로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연결고리는, H형 연결고리와 C형 연결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줄이 상기 연결끈인 경우 상기 연결끈은 상기 H형 연결고리 또는 C형 연결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매듭의 형태로 고정되면서 길이 조절되고,
    상기 연결줄이 상기 연결체인인 경우 상기 연결체인은 상기 H형 연결고리 또는 C형 연결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체인의 내부공이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면서 길이 조절되고,
    상기 연결줄이 상기 구슬로프인 경우 상기 구슬로프는 상기 C형 연결고리에 의해 걸려 지지되는 형태로 고정되면서 길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형 연결고리는, 중앙에 유격이 생긴 부분을 기준으로 상호 비대칭되게 벌림 가능한 양측 자유단과,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슬로프의 이동 및 구속을 제한하는 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은 상기 삽입관의 표면에 고착되어 일체로 마련되되,
    상기 결합용 레일은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과 상기 삽입관 간의 상대적인 위치 변경의 대치에 의해 굴절식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레일은, 상기 삽입관에 형성된 수직 구간 및 상기 수직 구간에 교차되게 배치되고 상기 삽입관 보호용 캡에 형성되는 수평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구간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의 최종 위치를 설정하는 최종 위치 설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KR1020080042918A 2008-05-08 2008-05-08 쌍절곤 KR20090117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918A KR20090117047A (ko) 2008-05-08 2008-05-08 쌍절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918A KR20090117047A (ko) 2008-05-08 2008-05-08 쌍절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047A true KR20090117047A (ko) 2009-11-12

Family

ID=4160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918A KR20090117047A (ko) 2008-05-08 2008-05-08 쌍절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70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743B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7503883B2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4316610A (en) Segmented elastic cable exerciser bar
US6979286B1 (en) Exercise bar and cord assembly
US4177985A (en) Jump rope with variable weighting and rope configuration
US1112114A (en) Exercising apparatus.
US20070049463A1 (en) Trampoline frame structure
US20190175973A1 (en) Fitness equipment
WO2007088070A3 (de) Ballspielschläger
KR20090117047A (ko) 쌍절곤
JP6703332B2 (ja) 模擬刀
US4957292A (en) Loop transfer game device
KR200360368Y1 (ko) 줄 길이 조절이 용이한 줄넘기 손잡이.
KR20090010392U (ko) 쌍절곤
US6704937B2 (en) Thumb sleeve for thumb wrestling game
KR200438985Y1 (ko) 쌍절곤
US20080171638A1 (en) Spring structure for trampoline
CN205516346U (zh) 无伤害击打性武艺棒
KR20090128075A (ko) 다용도 쌍절곤
KR200246111Y1 (ko) 이탈 방지 리듬스틱
KR100808067B1 (ko) 볼 체인 줄넘기
KR20090009194U (ko) 쌍절곤
US1585334A (en) Gymnasium equipment
JP3231890U (ja) 練習用縄跳び
WO2008117964A1 (en) Twins st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