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392U - 쌍절곤 - Google Patents

쌍절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392U
KR20090010392U KR2020080004662U KR20080004662U KR20090010392U KR 20090010392 U KR20090010392 U KR 20090010392U KR 2020080004662 U KR2020080004662 U KR 2020080004662U KR 20080004662 U KR20080004662 U KR 20080004662U KR 20090010392 U KR20090010392 U KR 200900103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histle
coupling
rods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6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20200800046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392U/ko
Publication of KR20090010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3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쌍절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봉을 연결하는 연결줄이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이던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이던 간에 연결줄의 조절을 쉽고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연결끈과 연결체인을 상호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쌍절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머리뭉치;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과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연결줄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쌍절곤, 연결끈, 연결체인, 교체, 연결고리, H형, 장식부재

Description

쌍절곤{Twins stick}
본 고안은, 쌍절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봉을 연결하는 연결줄이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이던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이던 간에 연결줄의 조절을 쉽고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연결끈과 연결체인을 상호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쌍절곤에 관한 것이다.
쌍절곤은, 대소자(大掃子), 소소자(小掃子), 소반룡곤(小盤龍棍)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두 개의 짧은 봉을 부드럽고 강한 줄로 연결한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데, 보통은 쌍절곤으로 부른다.
예전에는 쌍절곤이 전투 시 적군과 적군마를 공격하는 데 효과적인 무기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호신용 무기 또는 신체 단련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크게 보면, 쌍절곤은 치고, 찌르고, 막고, 비트는 네 가지 동작으로 구분되지만 응용 기술의 폭이 넓고 다양해 마음대로 사용할 정도가 되면 그 위력은 실로 대단하다 볼 수 있다. 또 짧은 시간 내에 혼자서 배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쌍절곤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정면치기, 아래위 치기, 아래위 돌려치기, 다리치기, 휘두르기, 좌우 올려치기, 한쪽 어깨 돌리기, 좌우 등뒤 올려치기, 목반동 치기, 목 돌리기, 수평 교차잡기, 수평 돌려잡기, 뒤돌려잡기, 물레 돌리기, 팔자 돌리기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있어 쌍절곤은 휴대도 간편하거니와 별도의 넓은 장소가 필요치 않으며, 또한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독립적으로 체력을 단련하기에 좋은 기구라 할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쌍절곤은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파지하는 봉의 재질에 따라 스펀지, 알루미늄, 나무 재질의 쌍절곤으로 크게 나뉜다. 또한 한 쌍의 봉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의 재질에 따라 쌍절곤은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용 쌍절곤과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용 쌍절곤으로 나뉜다.
한편, 이러한 분류 중에서 특히 후자의 분류에 따르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쌍절곤은 연결끈용 쌍절곤과 연결체인용 쌍절곤으로 각각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끈용 쌍절곤과 연결체인용 쌍절곤 중에서 자신의 기호에 맞는 쌍절곤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어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뿐만 아니라 선택된 쌍절곤을 사용하는 도중, 연결끈용 쌍절곤과 연결체인용 쌍절곤은 각각 아래와 같은 추가의 문제점을 더 야기시킬 수 있다.
연결끈용 쌍절곤의 경우, 오랜 기간 사용으로 인해 연결끈이 마모되거나 혹은 연결끈이 충격에 견디지 못하고 끊어지면 쌍절곤을 분해해서 연결끈을 교체해야 하지만 이는 불편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보통은 쌍절곤을 파기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라도 연결끈의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이는 연결줄이 연결체인으로 된 연결체인용 쌍절곤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만 연결체인용 쌍절곤의 경우 보통은 핀 고정 방식으로 제작 당시 일정하게 체인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20-1999-6956호에 보면 연결체인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문헌에서 연결체인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핀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처럼 연결핀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특수한 공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연결핀 제거 시에 부상 위험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비록 핀 제거를 하여 체인의 길이를 조절했다 하더라도 유격에 의해 체인이 쌍절곤에서 이탈되어 튕겨나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실제로 이 같은 예가 종종 발생되고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만일, 이탈된 조각이 상대편 사람에게 향할 경우라면 치명적인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연결체인용 쌍절곤의 경우에도 연결체인이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결국, 한 쌍의 봉을 연결하는 연결줄이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이던 쇠사슬이던 간에 연결줄의 조절을 쉽고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연결끈과 연결체인을 상호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한 쌍의 봉을 연결하는 연결줄이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이던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이던 간에 연결줄의 조절을 쉽고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연결끈과 연결체인을 상호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쌍절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머리뭉치;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과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연결줄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봉과 상기 머리뭉치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용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용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봉의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용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용 돌기홈은 상기 머리뭉치의 내면에서 소정의 아크(arc)형 경로를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는 H형 연결고리일 수 있다.
상기 H형 연결고리는, 원반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취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줄이 고정되는 한 쌍의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줄이 연결끈일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절취부 영역에서 매듭져 고정되고, 상기 연결줄이 연결체인일 경우 체인의 내부공이 상기 한 쌍의 절취부 영역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더미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용 돌기는 상기 더미결합부의 외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사이의 결합 영역에는 고무링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 및 상기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가 상기 쌍절곤의 회전 크기 및 속도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는 스피드 휘슬(speed whist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는, 상기 한 쌍의 봉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지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 및 소리 발생을 위해 상기 끼움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휘파람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드 휘슬은, 상기 휘파람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상기 결합부보다 큰 단면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는 휘슬몸체; 및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휘슬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를 통한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를 조절하는 울림조절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슬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채찍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채찍살은 상기 휘슬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무른 연성의 플라스틱으로 유연하면서도 휘어짐이 좋은 재질로 제작 가능하다.
상기 다수의 채찍살은, 직선구간; 및 상기 직선구간의 단부에서 라운딩 처리되는 곡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상기 휘슬몸체 및 상기 채찍살은 일체로 제작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쌍의 봉을 연결하는 연결줄이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이던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이던 간에 연결줄의 조절을 쉽고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연결끈과 연결체인을 상호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약 스피드 휘슬이 마련되는 경우라면, 쌍절곤의 회전 크기 및 속도의 변화에 따라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가 달리 발생되기 때문에, 기술습득이 완성된 전문가가 쌍절곤 기술구사 과정에서 그에 맞는 청각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끈이 적용된 쌍절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결체인이 적용된 쌍절곤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쌍절곤(1,1a)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은 연결줄이 천이나 합성섬유의 연결끈(30)으로 된 연결끈용 쌍절곤(1)이고, 도 2는 연결줄이 쇠 사슬의 연결체인(40)으로 된 연결체인용 쌍절곤(1a)이다.
이들의 쌍절곤(1,1a)은 연결줄의 형태가 연결끈(30)과 연결체인(40)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할 뿐 나머지의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다.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쌍절곤(1,1a)은 모두가 아래의 구조에 의해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을 상호 호환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용도 기능성 쌍절곤으로서의 가치를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 구성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면서 동시에 설명하도록 한다.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쌍절곤(1,1a)의 구성 중에서 특히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는 두 개씩 마련되고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들에 대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의 쌍절곤(1,1a)에 마련된 한 쌍의 봉(10)은, 쌍절곤을 통한 무술운동이나 수련 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일정한 단면적의 원형 봉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10)은 한 쌍의 머리뭉치(20)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봉(10)은 연습용 봉일 수도 있고, 혹은 실전용 봉일 수도 있다.
연습용 봉은 주로 쌍절곤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연습용 봉의 외면은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실전용 봉의 외면 역시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의 쌍절곤(1,1a)에 마련된 한 쌍의 봉(10)은 그 재질에 따라 스펀지, 알루미늄, 나무 재질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므로 한 쌍의 봉(10)은 어떠한 재질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도 1 및 도 2의 쌍절곤(1,1a)에 마련된 한 쌍의 머리뭉치(20)는, 연결줄로서의 도 1의 연결끈(30) 및 도 2의 연결체인(4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한 쌍의 봉(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머리뭉치(20)의 노출 단부 영역에는 도 1의 연결끈(30) 및 도 2의 연결체인(40)에 대한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줄 회전부(25)가 더 형성되어 있다. 줄 회전부(25)는,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데, 만약에 이러한 줄 회전부(25)가 없다면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이 해당 위치의 모서리에 걸려 회전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줄 회전부(25)를 절두원뿔 형상으로 제작하고 있는데,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의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 간의 결합을 위해, 한 쌍의 봉(10)의 단부에는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50)가 더 마련되어 있다. 삽입부(50)가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삽입부(50)의 단면 직경은 한 쌍의 봉(10)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부(50)의 외면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결합용 돌기(16)가 마련되어 있고, 머리뭉치(20)의 내면에는 결합용 돌기(16)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용 돌기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결합용 돌기홈(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아크(arc)형 경로를 갖는다.
이에, 삽입부(50)를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회전시켜 결합용 돌기(16)가 결합용 돌기홈(17)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 후, 최종적으로 결합용 돌기(16)가 결합용 돌기홈(17)의 단부(17a)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를 상호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 간의 해제는 전술한 방법의 역순을 따르면 된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결합용 돌기(16)와 결합용 돌기홈(17)의 구조 대신에 통상의 나사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 사이의 결합 영역에는 고무링(19)이 더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의 쌍절곤(1,1a)에는, 연결줄로서의 도 1의 연결끈(30) 및 도 2의 연결체인(40)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연결고리(5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고리(50)는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도 좋고, 아니면 한 쌍의 머리뭉치(20) 중 어느 한 쪽에만 마련되어도 좋다. 어떠한 방식일지라도 연결고리(50)는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부에 마련되어 한 쌍의 머리뭉치(20)로부터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해당 위치에서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고리(50)는 H형 연결고리로 적용되고 있다. 즉 연결고리(50)는 원반 형상의 몸체부(51)와, 몸체부(51)의 외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취되어 실질적으로 연결줄로서의 도 1의 연결끈(30) 및 도 2의 연결체인(40)이 고정되는 한 쌍의 절취부(52)를 구비한다.
이 때, 연결줄이 도 1의 연결끈(30)일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30)은 한 쌍의 절취부(52) 영역에서 매듭져 고정될 수 있으며, 연결줄이 도 2의 연결체인(40)일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의 내부공(40a)이 한 쌍의 절취부(52) 영역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이 연결고리(50)에 고정되었다 하더라도 연결고리(50)는 머리뭉치(20)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쌍절곤(1)의 동작 시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이 꼬이는 등의 폐단을 우려할 필요는 없다.
한편, 연결끈(30)은 연결체인(40)과 달리 연결고리(50)의 절취부(52) 영역에 매듭져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 때 연결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30a)가 두 갈래로 나뉜 후 연결고리(50)에 매듭져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끈(30)의 고정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연결끈(30)의 단부(30a)를 두 갈래로 나누지 않고 연 결끈(30)의 단부(30a)를 그대로 연결고리(50)의 절취부(52) 영역에 감아서 매듭져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만약에,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한다면, 도 3 및 도 4와 같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풀어 원하는 길이로 연결끈(30) 및 연결체인(40)을 맞춰두고 그 부분을 연결고리(50)에 고정시키면 된다.
특히, 이러한 연결고리(50)는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 마련된 상태에서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부에서 도 1의 연결끈(30) 및 도 2의 연결체인(4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종래기술(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20-1999-6956호)의 핀 고정 방식에 비해 그 장착 및 분리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다.
즉, 그 작용을 살펴보면, 한 쌍의 머리뭉치(20)로부터 연결고리(50)를 빼내어 도 1의 연결끈(30) 및 도 2의 연결체인(40)에 대한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시켜 연결고리(50)를 다시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 집어넣는 정도면 충분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핀 고정 방식에 비해 그 장착 및 분리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연결고리(50)는 항상 머리뭉치(20)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밖으로 튕겨나갈 우려가 없어 안전을 확보하기에도 충분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본 실시예의 경우, 삽입부(15)에는 별도의 더미결합부(60)가 더 결합되어 있으며, 전술한 결합용 돌기(16)는 더미결합부(60)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더미결합부(60)는 결합용 돌기(16)와 함께 금속 재질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삽입부(15)에 접착되거나 압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 이, 별도의 더미결합부(60)를 더 형성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보다 하중을 더 크게 지지할 수 있고, 결합용 돌기(16)의 부러짐이나 훼손을 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봉(10)을 연결하는 연결줄이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30)이던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40)이던 간에 연결줄의 조절을 쉽고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연결끈(30)과 연결체인(40)을 상호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쌍절곤(1,1a)은, 그 무술운동의 수련층이 성인뿐만 아니라 일선 체육도장에서 많은 어린이들이 다루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많은 어린이들마다 그들에 맞는 개별적인 쌍절곤(1,1a)을 구입하는데 따른 손실에서 벗어나, 몇 개의 쌍절곤(1,1a)을 구비하여 많은 어린이들마다 자신의 조건에 맞게 연결끈(30)과 연결체인(40)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휘슬이 결합된 쌍절곤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쌍절곤(미도시)의 한 쌍의 봉(10) 중 어느 하나의 단부 영역에는 해당 봉(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가 결합되어 있으며,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에는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를 통해 형성되는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가 쌍절곤의 회전 크기 및 속도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는 스피드 휘슬(80, speed whistle)이 더 결합되어 있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쌍절곤의 특징은 크게 원심력을 이용한 무술운동이라 할 수 있으므로 기술의 난이도가 변화함에 따라 쌍절곤의 회전 크기 및 속도 변화도 발생된다.
따라서 만약에 회전 크기 및 속도 변화에 맞추어 쌍절곤에서 청각적 혹은 시각적 장식이 형성되면, 특히 청각적인 소리가 발생되면 쌍절곤을 다루는 사람과 보는 사람 모두가 즐거울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쌍절곤이 체조 또는 시범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쌍절곤에 채용되고 있는 기존의 장식부재 종류에는 청각적 효과를 이용한 휘파람 구멍 또는 방울장식, 그리고 시각적 효과를 이용한 천 리본 또는 비닐 리본 등에 한정되어 있을 뿐이므로 사실상 청각적 혹은 시각적 장식 효과가 미비하다 할 수 있다. 특히, 소리에 의한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치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쌍절곤에는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와 스피드 휘슬(80)이 구비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는 봉(10)에 결합되고, 스피드 휘슬(80)은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에 결합된다. 물론, 이들은 상호간 분리도 가능하다.
이들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는, 봉(10)에 형성된 결합공(12)에 끼워지는 끼움부(71)와, 끼움부(71)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72)와, 휘파람 구멍 장식부 재(70) 내에 마련되어 소리 울림을 발생시키는 휘파람 구멍(70a)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휘파람 구멍(70a)은 한 개 형성되고 있지만 도시된 것과는 달리 다수의 휘파람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하나의 휘파람 구멍일지라도 그 내부의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의 것과 상이하다.
이러한 구조의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는 쌍절곤의 동작 시 소리를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사실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만을 사용하더라도 소리에 의한 효과는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는 쌍절곤의 강한 회전 및 속도 변화에 따라 '윙'하는 소리를 내기는 하지만 작은 회전 및 속도에는 거의 무반응에 가깝거나 혹은 미약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만을 단독으로 사용하게 되면 그 청각적 효과가 다소 떨어질 우려가 높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소리를 발생시키는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에 별도의 스피드 휘슬(80)이 더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쌍절곤의 회전 크기 및 속도의 변화에 따라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가 달리 발생되기에 충분한 것이다.
스피드 휘슬(80)에 대해 살펴보면, 스피드 휘슬(80)은,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의 휘파람 구멍(70a)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81)와, 결합부(81)의 외측에 결합부(81)보다 큰 단면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는 휘슬몸체(82)와, 결합부(81) 및 휘슬몸체(82)의 내부에 형성되어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를 통한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를 조절하는 울림조절공(83)을 구비한다.
이 때, 휘슬몸체(82)의 외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채찍살(84)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채찍살(84)은 휘슬몸체(8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는데, 예컨대 실리콘과 같은 무른 연성의 플라스틱으로 유연하면서도 휘어짐이 좋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81), 휘슬몸체(82) 및 채찍살(84)들은 일체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호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라면, 특히 채찍살(84)들은, 휘슬몸체(82)의 외면에 별도의 홈을 내어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혹은 본딩 결합될 수도 있다.
어떠한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스피드 휘슬(80)이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70)에 더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쌍절곤의 회전 크기 및 속도의 변화에 따라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가 달리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다수의 채찍살(84) 각각은, 직선구간(84a)과, 직선구간(84a)의 단부에서 라운딩 처리되는 곡선구간(84b)을 포함한다. 곡선구간(84b)들의 제일 끝단은 모두가 하나의 정점을 향하도록 좁아지는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소리를 강도를 세게 할 수 있는 이점도 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채찍살(84)들은 채찍 소리를 낼 수도 있어 청각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에 충분한 것이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 스피드 휘슬(80)은 쌍절곤의 회전 크기 및 속도의 변화에 따라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가 달리 발생되기 때문에, 기술습득이 완성된 전문가가 쌍절곤 기술구사 과정에서 그에 맞는 청각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쌍절곤의 작은 회전이나 속도에서는 스피드 휘슬(80)로 인해 소리 울림 의 공명은 길면서도 그 음의 끝이 명확하게 되면서 간결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큰 회전이나 속도에서는 소리 울림의 공명은 짧으면서도 그 음의 끝이 명확하고 간결하면서도 강한 스피드함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소리 울림의 공명의 길이가 쌍절곤의 회전 크기 및 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을 경우, 쌍절곤을 다루는 사용자에게 청각적인 효과를 더 제공할 수 있어 쌍절곤으로 인한 다양한 효과, 즉 무술의 난이도 등을 익히거나 보여주기에 충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끈이 적용된 쌍절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결체인이 적용된 쌍절곤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 및 도 2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쌍절곤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휘슬이 결합된 쌍절곤의 요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쌍절곤 10 : 한 쌍의 봉
16 : 삽입부 16 : 결합용 돌기
17 : 결합용 돌기홈 19 : 고무링
20 : 한 쌍의 머리뭉치 30,40 : 연결끈
50 : 연결고리 60 : 더미결합부
70 :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 80 : 스피드 휘슬

Claims (14)

  1.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머리뭉치;
    천이나 합성섬유로 된 연결끈과 쇠사슬로 된 연결체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부에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연결줄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과 상기 머리뭉치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용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용 돌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봉의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기는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결합용 돌기홈은 상기 머리뭉치의 내면에서 소정의 아크(arc)형 경로를 가지고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H형 연결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형 연결고리는,
    원반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절취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줄이 고정되는 한 쌍의 절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줄이 연결끈일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절취부 영역에서 매듭져 고정되고, 상기 연결줄이 연결체인일 경우 체인의 내부공이 상기 한 쌍의 절취부 영역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더미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용 돌기는 상기 더미결합부의 외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 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사이의 결합 영역에는 고무링이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 및
    상기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를 통해 형성되는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가 상기 쌍절곤의 회전 크기 및 속도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는 스피드 휘슬(speed whistl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는,
    상기 한 쌍의 봉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지는 끼움부;
    상기 끼움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헤드부; 및
    소리 발생을 위해 상기 끼움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휘파람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스피드 휘슬은,
    상기 휘파람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상기 결합부보다 큰 단면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는 휘슬몸체; 및
    상기 결합부 및 상기 휘슬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휘파람 구멍 장식부재를 통한 소리 울림의 크기 및 세기를 조절하는 울림조절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휘슬몸체에 결합되는 다수의 채찍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찍살은 상기 휘슬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며, 무른 연성의 플라스틱으로 유연하면서도 휘어짐이 좋은 재질로 제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채찍살은,
    직선구간; 및
    상기 직선구간의 단부에서 라운딩 처리되는 곡선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상기 휘슬몸체 및 상기 채찍살은 일체로 제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절곤.
KR2020080004662U 2008-04-08 2008-04-08 쌍절곤 KR200900103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662U KR20090010392U (ko) 2008-04-08 2008-04-08 쌍절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662U KR20090010392U (ko) 2008-04-08 2008-04-08 쌍절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92U true KR20090010392U (ko) 2009-10-13

Family

ID=4153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662U KR20090010392U (ko) 2008-04-08 2008-04-08 쌍절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39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461B1 (ko) 2018-11-29 2020-04-20 허기철 수련용 봉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461B1 (ko) 2018-11-29 2020-04-20 허기철 수련용 봉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883B2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4316610A (en) Segmented elastic cable exerciser bar
WO2010065336A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4953854A (en) String exerciser
US8597068B1 (en) Safe spinning button necklace toy
US20110212786A1 (en) Combat toy
KR20090010392U (ko) 쌍절곤
US5797814A (en) Retention device for sports racquets, especially for racquetball racquets
US7727094B2 (en) Institutional badminton racket
KR200360368Y1 (ko) 줄 길이 조절이 용이한 줄넘기 손잡이.
US6704937B2 (en) Thumb sleeve for thumb wrestling game
US2030302A (en) Spinning top
US1529600A (en) Ball and bat toy
KR100808067B1 (ko) 볼 체인 줄넘기
KR20090117047A (ko) 쌍절곤
KR200438985Y1 (ko) 쌍절곤
FR3034024A1 (fr) Dispositif transformable pour renvoyer les balles de tennis et de plage
US1032604A (en) Toy.
JP3231890U (ja) 練習用縄跳び
KR20090009194U (ko) 쌍절곤
US1955677A (en) Basket-ball toy
WO2008117964A1 (en) Twins stick
KR20090128075A (ko) 다용도 쌍절곤
KR200364076Y1 (ko) 요요 완구
CN204522121U (zh) 一种多功能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