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318A -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318A
KR20090116318A KR1020080042180A KR20080042180A KR20090116318A KR 20090116318 A KR20090116318 A KR 20090116318A KR 1020080042180 A KR1020080042180 A KR 1020080042180A KR 20080042180 A KR20080042180 A KR 20080042180A KR 20090116318 A KR20090116318 A KR 20090116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company
integrated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충한
주기범
양성훈
김형준
채성태
정상화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42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318A/ko
Publication of KR20090116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3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산업, 특히 건설자재에 대한 통합정보, 업체정보, 법률정보, 지적재산권정보의 능동적이고 조직적인 제공 및 이를 통해 건설자재와 정보의 공유, 교환, 연계가 용이하도록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은 건축 및 건설에 이용되는 건설자재 및 건설기술에 대한 자재정보를 제공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반 사용자 단말; 상기 건설자재 및 상기 건설기술을 생산, 유통 및 시행하며, 보유한 상기 건설자재 및 상기 건설기술에 대한 자재정보를 등록하는 건설업체 시스템; 상기 일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과 공중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을 통해 등록된 상기 자재정보를 분류, 저장하여 상기 일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설, 자재, 정보제공, 건축

Description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A Technical Know-how Networking Including A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Of Construction Material}
본 발명은 건설자재에 관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설산업, 특히 건설자재에 대한 통합정보, 업체정보, 법률정보, 지적재산권정보의 능동적이고 조직적인 제공 및 이를 통해 건설자재와 정보의 공유, 교환, 연계가 용이하도록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산업은 국가 경제를 좌우하는 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매우 방대한 규모를 가지며, 매우 다양한 종류의 산업재와 이를 생산하고 이용하는 매우 많은 업체가 존재한다. 때문에 생산되는 산업재, 이를 생산하는 업체 및 이를 이용하여 건설공사를 수행하는 업체를 모두 포괄하는 정보화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를 토대로 표준화를 시행하는 것은 더욱더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정보화와 표준화의 미비로 인해 건설자재 및 이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 다른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실정이다. 때문에, 건설업계는 필요한 정보의 부재 및 접근의 어려움, 관련정보 취득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나아가 전달되는 정보를 가공하여 업무에 재활용하는 것 또한 곤란함을 겪고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차이가 현격한 규모의 업체가 산재하여, 건설자재의 구입을 희망하는 사용자 혹은 건설을 시행하는 사업자에 의한 선택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건설자재 및 이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많은 사용자들에게 제공하여 효율적인 정보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최근 '참살이'이 관련된 사회적 현상은 건설업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시멘트와 같이 유독성 물질을 방출하는 자재의 사용을 줄이고, 건설 및 건축에 의해 자연환경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자재의 사용이 종용되고 있다. 때문에 대규모 건설자재 생산업자뿐만 아니라 소규모 영세 자영업자들에 의해서도 이런 자재들 및 공법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너무나 방대한 건설산업의 규모로 인해 이러힌 신공법 및 신자재의 사용이 미미하며, 기술 개척의 속도가 더딘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이러한 신공법 및 신자재의 사용을 촉진하고, 환경친화적인 자재 및 공법의 사용을 종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산업, 특히 건설자재에 대한 통합정보, 업체정보, 법률정보, 지적재산권정보의 능동적이고 조직적인 제공 및 이를 통해 건설자재와 정보의 공유, 교환, 연계가 용이하도록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성자재 및 공법의 사용을 촉진하고, 이를 개발하는 사업자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여, 환경성자재 및 공법의 신속한 보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신력 있는 유관기관에 의한 업체 평가, 자재평가 위탁 및 소규모 영세 업체에 대한 위탁업무 대행을 통해 다양한 규모 및 업종의 건설산업체를 육성하여, 건설산업 전반의 안정화를 꾀하도록 한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은 건축 및 건설에 이용되는 건설자재 및 건설기술에 대한 자재정보를 제공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반 사용자 단말; 상기 건설자재 및 상기 건설기술을 생산, 유통 및 시행하며, 보유한 상기 건설자재 및 상기 건설기술에 대한 자재 정보를 등록하는 건설업체 시스템; 상기 일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과 공중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을 통해 등록된 상기 자재정보를 분류, 저장하여 상기 일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일반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 서브시스템;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상기 건설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업체관리 서브시스템; 및 상기 자재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자재정보 중 환경성 자재 및 환경성 기술에 관한 상기 자재정보를 별도로 취합하여 관리하는 환경성자재 관리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일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에 공공기관 입찰/발주 정보, 상기 건설자재에 대한 시험평가 정보, 건설관련 지적재산권 정보, 건설관련 정보 및 상기 건설업체의 신용정보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공공기관 시스템, 심의기관 시스템, 지적재산권 정보제공 시스템, 법률정보 제공시스템 및 신용평가 기관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상기 공중망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일반사용자단말 및 상기 선설업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상기 건설자재에 대한 시험평가 의뢰를 대행하여 상기 심의기관 시스템에 의뢰한다.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지적재산권 정보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지적재산 정보 중 상기 자재정보를 등록한 상기 건설업체의 지적재산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자재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은 건설산업, 특히 건설자재에 대한 통합정보, 업체정보, 법률정보, 지적재산권정보의 능동적이고 조직적인 제공 및 이를 통해 건설자재와 정보의 공유, 교환, 연계가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은 환경성자재 및 공법의 사용을 촉진하고, 이를 개발하는 사업자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여, 환경성자재 및 공법의 신속한 보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공신력 있는 유관기관에 의한 업체 평가, 자재평가 위탁 및 소규모 영세 업체에 대한 위탁업무 대행을 통해 다양한 규모 및 업종의 건설산업체를 육성하여, 건설산업 전반의 안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 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한 등가의 기능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도면에 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을 위한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은 일례로써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한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을 포함하는 연계시스템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 일반사용자 단말(10), 건설업체 시스템(20), 공공기관 시스템(200), 심사기관 시스템(300), 지적재산정보 시스템(400), 법률정보 시스템(500) 및 신용도 평가기관 시스템(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통합서버(110), 회원관리 서브시스템(120),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 통계정보관 리 시스템(150), 전자상거래 지원시스템(160) 및 환경성 자재관리 시스템(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 사용자단말(10)은 공중망을 통해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과 연결되어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건설자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견적요청정보를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전달하고, 이에 따른 견적대응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 일반 사용자단말(10)은 건설업에 종사하는 개인사업자, 건설자재의 구매를 희망하는 개인, 건설자재정보의 취득을 원하는 일반인, 건설업체, 건설자재 개발업자와 같은 다양한 대상이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 휴대단말 및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 사용자단말(10)은 편의상 건설자재정보, 건설업체정보, 유관정보, 통계정보를 획득하여 이용하는 자 및 전자상거래에 의해 건설자재 구입을 희망하는 자가 사용하는 단말로 국한하여 설명하였다. 즉, 일반 사용자단말(10)을 통해 건설자재 정보가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으로 전달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을 통해 취합, 가공되어 전달되는 공공기관 입찰정보, 환경성자재정보, 건설관련 지적재산권 정보, 건설관련 법률 및 이의 변동정보, 관심업체의 신용도 평가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건설업체 시스템(20)은 건설자재정보, 업체정보를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전달하는 건설자재 생산 및 유통업체의 시스템이다. 이 건설업체 시스템(20)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자사에서 생상되는 건설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자사의 업체 정보를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등록하기 위해 공중망(30)을 통해 선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과 연결된다. 이 건설업체 시스템(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건설자재를 생산 또는 유통하는 업체로써,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건설자재 또는 유통 대상인 건설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 또는 개인이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제한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건설업체 시스템(20)과 일반 사용자단말(10)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사항이 아니고, 기능에 의해 구분되는 사항으로써 설명을 위해 가정한 것이다. 또한, 건설업체 시스템(20)과 일반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 별로 구성되어 공중망(30)을 통해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건설업체 시스템(20)을 이용하는 업체 회원도 공공기관 입찰정보, 환경성자재정보, 건설관련 지적재산권 정보, 건설관련 법률 및 이의 변동정보, 관심업체의 신용도 평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건설자재를 생산하는 건설업체 시스템(20)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100)을 통해 생산된 자재 및 공법에 대한 성능심사와 규격심사에 대한 위탁심사를 대행하여 의뢰할 수 있다.
공중망(30)은 인터넷망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을 기본으로 하여 제공된다. 즉, 공중망(30)은 유선전화망,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이러한 통신망 상에 구현된 인터넷과 같은 상호 정보 교환이 가능한 통신망을 의미한다.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일반사용자 단말(10) 및 건설업체 시스템(20)을 통해 건설자재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건설자재정보를 분류 및 검증하여 등록 및 관리한다. 또한,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텝(100)은 등록된 건설자재정보를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일반사용자 단말(10) 또는 건설업체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한다. 아울러,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등록된 자재 및 해당 자재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등록된 자재에 대해 사용자간의 전자상거래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전자상거래 지원시스템(160)에 의해 전자입찰, 전자결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활한 전자상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정보가 등록된 건설자재에 대해 유관기관에 품질 검증을 의뢰함과 아울러, 건설자재 별 관리를 위한 전자태그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태그정보가 기록된 전자태그를 건설자재에 부여하여, 전자태그를 가지는 건설자재의 유통 및 이용을 관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통합서버(110), 회원관리 서브시스템(120),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 자재정보관리 서브스시템(140), 통계정보관리 시스템(150), 전자상거래지원 시스템(160) 및 환경성 자재관리 시스템(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 또는 전자상거래지원 시스템(160)은 전자태그시스템을 부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공공기간, 연구기관, 국가기관등으로부터 제공되는 환경성 자재 및 공법에 관한 정보를 일반자재 정보, 일반 기술정보와 구분하여 보관 및 관리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 및 연계 시스템에 전달한다. 아울러,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 은 주기적으로 연계 시스템과 정보교환을 통해 건설관련 법률 및 이의 변동사항, 국내외 신기술 정보, 국내외 건설관련 지적재산권 정보를 습득 및 갱신하여 회원들에게 제공한다. 또한,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회원업체로부터 요청되는 위탁심사를 연계시스템 중 심사기관 시스템(300)에 위탁하여 성능 심사, 품질 심사 및 규격심사를 대행하여 처리한다. 아울러, 공공기관 시스템(200), 일반회원에 의한 요청 발생시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100)은 신용도 평가기관 시스템(600)에 특정 업체의 신용도 조사를 의뢰하고, 의뢰결과를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합서버(110)는 공중망(30)을 통해 일반사용자 단말(10) 및 건설업체 시스템(20)과 연결되어, 회원관리서브시스템(120),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 통계정보관리 시스템(150), 전자상거래 지원시스템(160) 및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 환경성 자재관리시스템(180)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일반사용자 단말(10) 및 건설업체 시스템(2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통합서버(110)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인터넷 상의 웹사이트 형태로 사용자 또는 건설업체에 제공할 수 있다.
회원관리서브시스템(120)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전자상거래, 통계정보, 유관정보 및 업체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을 수용하고, 사용자의 일반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제공되는 회원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한다. 이를 위해, 회원관리 서브시스템(120)은 서버와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은 건설자재, 건설자재의 정보, 전자상거래, 통계정보, 유관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건설관련 업체의 회원가입을 수용하고, 건설업체 시스템(20)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한다. 특히,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은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에 등록된 자재정보의 제공업체에 대한 정보를 수용하여 기록하고,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에 업체정보를 제공하여, 더욱 정확한 자재정보가 효율적으로 저장 및 기록되어 유지되도록 보조한다. 또한,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은 사용자와의 전자상거래를 시행한 업체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신용도를 부분적으로 관리함과 아울러, 통계정보관리시스템(150)에 업체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업체관리가 이루어지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은 회원관리 서브시스템(120)과 통합되어 운영될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에 의해 관리되는 업체정보는 업체코드, 사업자등록번호, 회사면, 대표자면, 설립년도,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업체구분, 업태, 종목, 업종, 전화번호, 팩스, 소재지, 주소, 자재품목, 신용평가정보, 업체담당자 정보 및 이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아울러,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은 환경성 자재관리 시스템(180)과 연계하여 환경성 자재 및 친환경성 기술을 소유한 업체를 별도로 관리하고, 국가기관 등의 요청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은 건설업체 시스템(20)을 통해 전달되는 자재정보를 수용하여 기록, 분류, 검증 및 관리함과 아울러, 사용자 또는 건설관련 사용자에 의한 요청 발생시 저장된 건설자재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자재정보는 자재 각각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의 속성정보, 자재의 특성에 대해 검증기관에 의해 검증된 인증정보 및 인증정보에 해당하는 관련규격, 인증일자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자재정보의 효율적인 제공 및 관리를 위해, 자재분류코드, 자재분류명, 상위 및 하위 자재분류코드, 생성일시, 수정일시, 자재명, 규격, 단위, 자재구분, 등급, 검색키워드, 자재사진, 자재 동영상, 자재 설계도, 자재 전자카탈로그, 도면, 자재에 대한 환경정보, 시방서, 전자태그정보, 자재상태, 업체정보, 가격, 운반비용, 할인, 결재 및 공급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정보가 부가되어 기록될 수 있다. 특히,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은 유관정보관리 시스템(170)과 더불어 등록된 자재에 대한 품질검증을 외부 검증기관에 의뢰하고, 검증결과를 자재정보에 부가하여 기록관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은 일반적인 검색기능 외에도 온톨로지(Ontoloty)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방대한 건설자재의 효율적인 검색 및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은 특정업체에서 생산된 친환경성 자재 및 친환경성 기술에 대해 일반 자재와 별도로 관리하고 다른 기관, 시스템 또는 회원의 요청이 발생할 경우, 저장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통계정보관리 시스템(150)은 회원, 업체, 자재, 자재정보, 유관정보 및 전자상거래에 관한 각종 수치에 대한 통계를 작성 및 분류하여 보관하고 제공한다. 즉, 통계정보관리 시스템(150)은 동일한 자재에 대한 가격 통계, 이용통계, 거래 통계, 생산기간 통계, 생산지역 정보, 단위 건설당 자재 소요량, 소요 자재명, 회원별 자재정보 이용 실적과 같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 내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자료 및 행위에 대한 통계를 작성하고, 사용자 및 건설업체에 따라 제공한다.
전자상거래 지원시스템(160)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을 통해 건설자재, 공법 및 시공업체 알선을 중계한다. 전자상거래 지원시스템(160)은 건설자재의 구매, 특정 공법에 의한 공사를 원하는 사용자, 기업, 기관에 의해 발주된 거래에 대해, 등록된 업체가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와 업체간의 건설관련 거래가 성립되도록 지원한다. 이 전자상거래 지원시스템(160)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 상에 등록된 일반 건설자재 외에도, 건설특허, 건설신기술과 같은 건설과 관련된 항목의 거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 지원시스템(160)은 건설자재의 원활한 유통, 정확한 재고파악, 유통과정의 확인을 위한 전자태그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특정 건설자재를 구입하는 경우, 구입한 자재에 대해 특정정보를 가지는 전자태그를 생성 부착하고, 이 전자태그의 감시를 통해 자재의 유통을 관할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규모가 크거나, 양이 많은 건설자재의 경우 전자태그를 이용하여 현재의 유통 상태를 사용자 또는 업체가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사시행 및 건설자재의 수급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역할을 전자상거래 지원시스템(160)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건설자재, 건설기술, 건설특허, 건설자재 인 증, 감리와 같이 건설, 건설자재, 건설정보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기관을 통합하여 관리한다. 이를 통해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건설관련 법규, 건설관련 신기술, 신공법, 건설 관련 국내외 논문, 건설관련 국내외 특허에 관한 동향을 파악하여 관리하고, 자재인증기관, 건설관련 국가기관, 대학 연구기관, 감리기관, 설계기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및 업체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과의 연계를 통해 등록된 자재에 대해 유관기관에 품질검증을 위탁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건설자재의 품질을 일정 수준이상으로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공공기관 시스템(200), 심사기관 시스템(300), 지적재산정보 시스템(400), 법률정보 시스템(500) 및 신용평가 기관시스템(600)과 연계되어 정보 교환 및 업무를 수행한다. 우선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업체정보관리 서브시스템(130),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50), 환경성 자재관리 시스템(180)과 연계하여 업체의 실적, 자재의 특성을 파악하여 공공기관 시스템(200) 등의 요청시 이를 제공한다. 특히,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공공기관 시스템(200)과 같은 시행 주체로부터 게시되는 공개입찰 및 발주정보를 공공기관 시스템(200)으로부터 제공받아 회원들에게 제공하고, 회원으로부터 입찰과정을 중계한다. 특히, 최근과 같이 환경성 자재 사용 기업에 대한 우선권이 주어지는 경우 해당조건에 부합하는 업체회원을 검색하여, 해당업체에 대해 입찰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공공기간에 업체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이 업체관리시스템(130), 회원관리 시스템(120) 및 환경성 자재관리 시스템(180) 과의 연계를 공공기관 입찰실적, 환경성 자재에 의한 공사 수행 실적, 환경성 자재의 개발 및 보유 실적 등을 파악하여 선순위권을 제안하고, 이러한 선순위권 정보를 시행주체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환경성 자재의 사용 및 개발을 확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개별적인 품질검사 의뢰, 성능시험 의뢰, 규격심사의뢰가 어려운 영세, 소규모 업체를 대신하여 건설자재에 대한 검사를 심의기관(300)에 위탁 의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업체 회원으로부터 의뢰가 발생하면,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이 심의기관 시스템(300)을 통해 심사의뢰 과정을 진행한다. 이에 따라, 자재 생산업체는 심사에 반드시 필요한 절차만 수행하게 되어 심사에 소요되는 경비 및 시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심의기관에 의해 작성된 평가정보, 성능정보, 규격인증 정보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전달되어 자재정보의 갱신에 이용된다. 아울러,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지적재산정보 시스템(400)과 연계하여 국내외 공개, 등록된 건설관련 지적재산권 정보를 회원들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법률정보 제공시스템(500)과 연계하여, 건설관련 법률 및 이의 변동사항을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공지함으로써 회원들의 이용 편의를 향상시킨다. 또한, 유관정보 관리시스템(170)은 업체회원의 효과적인 관리 및 업체회원과 거래하는 특정회원들의 보호, 공공기관 입찰 자격 심사와 같은 중요 업무의 수행을 위해, 회원 및 연계시스템으로부터의 요청시 신용평가기관 시스템(600)과 연계하여 업체회원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평가정보를 요청기관에 전달할 수 있다.
환경성 자재관리 시스템(180)은 환경성 자재, 환경성 자재의 생산업체, 환경성 기술, 환경성 기술보유 업체, 국가적 지원을 받는 환경사업 참여업체와 같은 환경성 자재의 현황을 보유하여 관리하고 회원 및 연계시스템들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환경성 자재관리 시스템(180)은 공공기관 시스템(200), 회원관리 서브시스템(120), 업체관리 서브시스템(130),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140)과 연계되어 운용된다. 아울러, 환경성 자재관리 시스템(180)은 일반자재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성 자재 및 이에 대한 국가의 지원사항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회원들에게 제공한다.
공공기관 시스템(200)은 국가기관, 공기업, 국가지원에 의해 운영되는 협회, 연구소와 같은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시스템이다. 이 공공기관 시스템(200)은 건설에 대한 입찰/발주 정보를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100)을 통해 회원들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라 입찰에 참여한 업체의 정보, 신용도 정보와 같은 상세정보를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받아 입찰 및 건설 시행사 선정에 이용한다.
심의기관 시스템(300)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100)을 통해 위탁되는 특정 자재 및 기술에 관한 성능, 품질 및 규격 시험을 진행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심의기관 시스템(300)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10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및 제반사항에 의해 심사과정을 진행하게 되어 업체에 의한 개별적인 심사요청에 비해 업무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적재산권 정보제공 시스템(400)은 건설관련 부분 국내외 지적재산권 정보를 주기적으로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지적재산권 정보제공 시스템(400)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100)과 연결하여 지적재권자와 회원 간의 지적재산권 거래, 임대를 중계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지적재산권 정보제공 시스템(400)으로부터 제공되는 지적재산권 정보를 갱신하고, 이를 회원들에게 제공하여 신기술의 파악 및 이용을 활성화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은 전달되는 지적재산권 정보를 확인하고, 회원업체에 권한이 소유되는 지적재산권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 자재정보, 업체정보를 갱신하여 등록 및 관리하게 된다.
법률정보 제공시스템(500)은 건설관련 법률, 지역별 조례, 규정, 세칙과 같은 법률 변동정보를 주기적으로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제공한다.
도 2는 기술정보 연계 시스템에서의 교환되는 정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의해 연계시스템들과 회원 간의 정보가 교환되며, 이를 통해 회원의 회원정보, 업체정보, 자재정보가 갱신 관리되어, 최신 최상의 건설자재 및 관련회원 정보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의해 정보교환이 수행되어 회원 또는 각 시스템이 별도로 각 시스템과 연결되 어 업무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발생되는 불편함으로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제공되는 정보는 공공기관 시스템(200), 심의기관 시스템(300), 지적재산권 정보제공 시스템(400), 법률정보 제공시스템(500) 및 신용평가 기관시스템(600)과 같이 각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거나, 주도적인 운영을 수행하는 기관의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는 정보이기 때문에 회원이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확하고 안정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각 정보의 취합은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서 수행하고, 이에 대한 정보는 회원이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을 통해 이용하게 됨으로써, 소요경비, 시간 및 노력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건설산업에 관련된 정보가 일괄적으로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100)에 의해 관리되어, 정보의 중복 및 소실을 방지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을 위한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기술정보 연계 시스템에서의 교환되는 정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
10 : 일반사용자 단말 20 : 건설업체 시스템
30 : 공중망 100 :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
110 : 통합서버 120 : 회원관리 서브시스템
130 : 업체관리 서브시스템 140 : 자재정보 관리 서브시스템
150 : 통계정보 관리 시스템 160 : 전자상거래 지원시스템
170 : 유관정보 관리시스템 180 : 환경성 정보관리 시스템
200 : 공공기관 시스템 300 : 심의기관 시스템
400 : 지적재산 정보제공 시스템 500 : 법률정보 제공 시스템
600 : 신용평가기관 시스템

Claims (7)

  1. 건축 및 건설에 이용되는 건설자재 및 건설기술에 대한 자재정보를 제공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일반 사용자 단말;
    상기 건설자재 및 상기 건설기술을 생산, 유통 및 시행하며, 보유한 상기 건설자재 및 상기 건설기술에 대한 자재정보를 등록하는 건설업체 시스템;
    상기 일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과 공중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을 통해 등록된 상기 자재정보를 분류, 저장하여 상기 일반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일반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상기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 서브시스템;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상기 건설업체의 정보를 관리하는 업체관리 서브시스템; 및
    상기 자재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자재정보관리 서브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 계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자재정보 중 환경성 자재 및 환경성 기술에 관한 상기 자재정보를 별도로 취합하여 관리하는 환경성자재 관리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일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건설업체 시스템에 공공기관 입찰/발주 정보, 상기 건설자재에 대한 시험평가 정보, 건설관련 지적재산권 정보, 건설관련 정보 및 상기 건설업체의 신용정보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공공기관 시스템, 심의기관 시스템, 지적재산권 정보제공 시스템, 법률정보 제공시스템 및 신용평가 기관 시스템 중 어느 하나 상기 공중망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 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일반사용자단말 및 상기 선설업체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상기 건설자재에 대한 시험평가 의뢰를 대행하여 상기 심의기관 시스템에 의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은,
    상기 지적재산권 정보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지적재산 정보 중 상기 자재정보를 등록한 상기 건설업체의 지적재산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자재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KR1020080042180A 2008-05-07 2008-05-07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KR200901163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80A KR20090116318A (ko) 2008-05-07 2008-05-07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180A KR20090116318A (ko) 2008-05-07 2008-05-07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318A true KR20090116318A (ko) 2009-11-11

Family

ID=4160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180A KR20090116318A (ko) 2008-05-07 2008-05-07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3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2849A (zh) * 2018-02-21 2020-09-25 超链接株式会社 基于知识产权的工程投标及企业评选系统
KR20230158268A (ko) 2022-05-11 2023-11-2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건설자재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2849A (zh) * 2018-02-21 2020-09-25 超链接株式会社 基于知识产权的工程投标及企业评选系统
JP2021513716A (ja) * 2018-02-21 2021-05-27 セコンド コネク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cond Connect Co.,Ltd. 知的財産権に基づく工事の入札及び業者選定システム
KR20230158268A (ko) 2022-05-11 2023-11-2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건설자재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32596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センタ
Hikmawati et al. Improving Data Quality and Data Governance Using Master Data Management: A Review
CN115796999A (zh) 计算机实现的方法、计算机系统和非暂态计算机可读介质
JP2007141051A (ja) 商品情報を管理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836877B1 (ko) 연구개발 환경정보를 이용한 미래 시그널 및 이슈 도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116318A (ko) 건설자재 통합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술정보 연계시스템
KR20100089300A (ko) 요청 응답 방식형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0352345B1 (ko) 웹 서버상에서 구현되는 플랜트 건설을 위한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32238B1 (ko) 통합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통합 서비스 관리 방법
KR101096405B1 (ko) 온라인 쇼핑몰 중개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중개 시스템
KR20090116317A (ko) 건설자재 통합정보 제공방법
JP4354158B2 (ja) 部品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管理方法
KR20100009660A (ko) 산업기술 인프라 활용을 위한 장비 공유 관리 시스템
KR100642068B1 (ko) 폐쇄형 장비 제작 대행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707724B1 (ko) 온라인 쇼핑몰 중개 방법 및 온라인 쇼핑몰 중개 시스템
CN111047296A (zh) 一种知识产权保护管理系统
JP4256598B2 (ja) ベンダ情報管理システム
JP4354131B2 (ja) 部品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管理方法
KR102189596B1 (ko) 사입대행 관리시스템 및 그 정보 처리 방법
JP2007018541A (ja) 部品管理方法
JP2005107982A (ja) 変更手続装置および方法、変更受付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変更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6343832A (ja) 共有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グリーン調達支援方法
JP4342776B2 (ja) 部品管理システム
JP2003141276A (ja) 化学物質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化学物質情報提供方法ならびに化学物質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
JP3604624B2 (ja) 建設資材販売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222

Effective date: 2011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