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6224A -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 Google Patents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6224A
KR20090116224A KR1020080042034A KR20080042034A KR20090116224A KR 20090116224 A KR20090116224 A KR 20090116224A KR 1020080042034 A KR1020080042034 A KR 1020080042034A KR 20080042034 A KR20080042034 A KR 20080042034A KR 20090116224 A KR20090116224 A KR 20090116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rotrusion
pressing
tab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조행
Original Assignee
한조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조행 filed Critical 한조행
Priority to KR102008004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6224A/ko
Publication of KR2009011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4Details of the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31Reclosable openings
    • B65D2517/0032Reclosable openings the tab re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34Reclosable openings the tab reclosing the opening by means of the hand grip alone, e.g. rotating hand grip into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뚜껑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회전 부재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일부분이 개봉되어 캔 내용물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캔 뚜껑은 상부 표면; 상부 표면에 절취선으로 경계가 형성된 개봉 면; 손잡이 부분과 가압 부분을 가진 가압 탭; 가압 탭을 상부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및 가압 탭이 회전하면서 손잡이 부분과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진 연장 경사 돌기를 포함한다.
캔 뚜껑, 가압 탭, 회전 돌기, 연장 경사 돌기, 접촉 시점

Description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Can Cover Capable being Opened by Rotational Pressure}
본 발명은 캔 뚜껑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회전 부재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일부분이 개봉되어 캔 내용물을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은 음료 또는 주류와 같은 내용물을 밀봉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보관된 내용물의 섭취를 위하여 캔의 윗부분 전체가 개방되거나 또는 탭을 형성하여 윗면의 일부가 개방된다.
캔의 윗부분 전체가 개방되는 형태는 예를 들어 병뚜껑과 같이 분리 가능한 뚜껑을 별도로 제조하여 결합시킨다. 이후 내용물의 섭취를 위하여 뚜껑을 회전시켜 캔과 분리시켜 캔의 상부를 개방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뚜껑이 별도로 제조되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아울러 내용물 섭취를 위하여 캔의 상부가 필요 이상으로 개방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달리 캔 위쪽 표면 일부를 개방시키는 방법으로 탭 방식의 캔 뚜껑이 있다. 캔 위쪽 표면 일부를 탭 방식으로 개방시키기 위하여 캔 뚜껑 위쪽 표면에 일정 압력이 가해지면 캔 상부 표면으로부터 일부분이 캔 상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공지된 탭 방식의 캔 뚜껑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공지된 탭 방식의 푸시 오픈 타입 캔(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고리 형태의 탭(1001)은 탭 노즈(1002)와 탭 손잡이(1003)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리벳 방식으로 캔 상부 표면(1004)에 결합되어 있다. 캔 상부 표면(1004)에 형성된 개방 부분(1005)은 절취선(1006)에 의하여 캔 상부 표면(1004)의 다른 부분과 구분된다. 절취선(1006)을 따라 개방 부분(1005)을 캔 상부 표면(1004)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탭 손잡이(1003)를 위쪽 방향으로 들어올리면 탭 노즈(1002)는 개방 부분(1005)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개방 부분(1005)은 절취선(1006)을 따라 분리된다.
공지된 캔 뚜껑의 경우 개방 부분(1005)이 캔과 일체로 제조되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하고 그리고 밀봉이 뛰어나다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손잡이 부분(1003)이 캔 상부 표면(1004)에 밀착된 형태가 되므로 손잡이(1003)를 위쪽 방향으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손톱 또는 손가락의 일부를 손잡이(1003)와 캔 상부 표면(1004) 사이로 끼워 넣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손톱이 손상되거나 또는 손가락에 상처가 생길 염려가 있다. 아울러 손잡이 부분(1003)과 캔 상부 표면(1004) 사이에 틈이 매우 작은 경우 개방 부분(1005)의 분리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공지된 캔 뚜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등록 번호 제386475호 “돌려 따는 캔 뚜껑”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캔 뚜껑의 상부 표면에 요철의 절취선을 따라 형성된 입구와 막대 형상의 회전 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지된 캔 뚜껑이 가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3-14802호 “캔 뚜껑 구조”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압에 의하여 절취되는 개구를 가진 캔 상부 표면, 개구를 가압하기 위한 탭, 탭을 캔 상부 표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제안된 개량 발명은 탭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공지된 캔 뚜껑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구성과 캔 뚜껑 자체의 구조 변화로 인하여 제조가 어려우면서 공지 발명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문제를 가진다. 공지된 캔 뚜껑의 해결은 구조적을 간단하면서 이와 동시에 캔 뚜껑의 구조 자체를 변경시키지 않을 것을 전제로 한다. 달리 말하면 캔 뚜껑에 간단한 구성을 추가하면서 캔 뚜껑 상부 표면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실질적으로 캔 뚜껑 자체의 구조를 변경시킨다면 공지 발명의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구조의 변경은 제조비용의 상승을 유발시키거나 캔이 단지 일시적으로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캔 뚜껑 자체의 구조를 변경시키지 않고 간단한 구성을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공지의 캔 뚜껑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압력으로 용이하게 개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회전 개봉 방식의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캔 뚜껑은 상부 표면; 상부 표면에 절취선으로 경계가 형성된 개봉 면; 손잡이 부분과 가압 부분을 가진 가압 탭; 가압 탭을 상부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및 가압 탭이 회전하면서 손잡이 부분과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진 연장 경사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압 탭이 회전하면서 가압 부분이 접하는 개봉 면에 가압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캔 뚜껑은 연장 경사 돌기의 반대편에 형성된 회전 방지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회전 돌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 수단을 기준으로 손잡이 부분의 연장 길이가 가압 부분의 연장 길이에 비하여 크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리벳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장 경사 돌기는 가압 탭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부 표면에 대하여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압 돌기는 고정 수단을 중심으로 연강 경사 돌기와 회전 대칭 형상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압 부분의 개봉 면과 접하는 끝 부분은 돌출된 연장 돌기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개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톱과 같은 신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어 추가적인 제조비용의 상승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된다. 실시 예는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캔이란 음료 및 주류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용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캔은 밀봉의 편의를 위하여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일부가 별도로 제조되어 일체형을 형성할 수 있다. 캔 뚜껑이란 밀봉 형태의 캔의 위쪽 부분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 필요에 따라 캔 뚜껑은 밀봉 형태를 이루는 캔의 상부 표면을 의미한다. 또한 캔의 개봉이란 캔의 내용물을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캔의 일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밀봉 형태의 캔은 주로 캔의 상부를 캔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캔 뚜껑의 일부를 개방 형태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개봉된다. 캔 뚜껑 일부는 주로 미리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캔 뚜껑(10)은 둘레 턱(W), 상부 표면(S) 및 절취선(L)에 의하여 구분되는 개봉 면(P)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캔 뚜껑(10)은 리벳과 같은 고정 수단(12)에 의하여 상부 표면(S)에 결합된 가압 탭(11); 가압 탭(11)의 경사 회전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경사 연장 돌기(1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경사 연장 돌기(13)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연장 홈이 가압 탭(11)에 형성될 수 있다. 캔 뚜껑(10)은 선택적으로 가압 탭(11)이 경사 연장 돌기(13)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방지 스토퍼(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캔 뚜껑(10)은 선택적으로 가압 탭(11)이 회전 이동되면서 개봉 면(P)에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압 돌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표면(S)은 캔의 다른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고 그리고 둘레 턱(W)은 상부 표면(S)에 비하여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개봉 면(P)은 임의의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타원 형태 또는 원형이 될 수 있다. 개봉 면(P)은 절취선(L)에 의하여 상부 표면(S)의 다른 부분과 구분된다. 절취선(L)은 상부 표면의 다른 부분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약하게 형성되므로 개봉 면(P)의 일정 위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개봉 면(P)은 절취선(L)을 따라 상부 표면(S)의 다른 부분과 분리된다. 절취선(L)의 의하여 개봉 면(P)의 형상이 결정되고 그리고 절취선(L)의 파열에 의하여 캔 뚜껑(10)이 개봉될 수 있다. 절취선(L)은 반드시 폐곡선이 될 필요가 없고 그리고 캔 뚜껑(10)의 개봉 형태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 탭(11)은 결합 부분(111), 가압 부분(112) 및 손잡이 부분(113)을 포함한다. 가압 탭(11)은 얇은 두께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판형 막대 형태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 탭(11)의 모서리 부분은 사용 및 취급의 편리를 위하여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 탭(11)은 결합 부분(111)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정 각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리벳과 같은 고정 수단(12)에 의하여 상부 표면(S)에 결합된다.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는 것은 일정한 압력을 가하는 경우 고정 수단(12)을 중심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압 부분(112)의 적어도 일부는 개봉 면(P)의 가장 자리에 접하여 가압 탭(11)이 회전되는 경우 개봉 면(P)과 접하는 부분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만약 개봉 면(P)의 일정 위치에 가압 돌기(15)가 형성된다면, 가압 부분(112)은 가압 탭(11)이 회전하는 경우 가압 부분(112)의 끝 부분이 가압 돌기(15)를 통과하면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개봉 면(P)과의 상대적인 위치가 결정된다. 손잡이 부분(113)은 가압 부분(112)과 반대편으로 연장된다. 손잡이 부분(113)은 임의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가압 부분(112)보다 큰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경사 연장 돌기(13)는 캔 뚜껑(10)이 개봉되지 않는 상태에서 손잡이 부분(113)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 탭(11)이 회전하면, 손잡이 부분(113)은 경사 연장 돌기(13)의 위쪽 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경사 연장 돌기(13)는 손잡이 부분(113)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점차로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경사 연장 돌기(13)의 형성 위치, 연장 방향 또는 연장 길이는 가압 탭(11)의 회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경사 연장 돌기(13)는 손잡이 부분(113)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부 표면(S)으로부터 높이가 높아지도록 반달 형상으로 가질 수 있다(도 1a 참조). 캔의 취급 편의를 고려할 때, 경사 연장 돌기(13)의 최고 높이는 둘레 턱(W)의 높이보다 낮아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가압 탭(11)이 회전하여 손잡이 부분(113)과 경사 연장 돌기(13)가 겹쳐진 최고 높이가 둘레 턱(W)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유리하다.
회전 방지 스토퍼(14)는 상부 표면(S)으로부터 돌출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회전 방지 스토퍼(14)는 가압 탭(11)이 경사 연장 돌기(13)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캔 뚜껑의 제조 과정에서 가압 탭(11)은 고정 수단(12)에 의하여 상부 표면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경사 연장 돌기(13) 또는 그 반대 방향 어느 쪽으로도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러므로 회전 방지 스토퍼(14)가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형성 여부의 선택성은 가압 돌기(15)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가압 돌기(15)는 가압 탭(11)이 회전하면서 작용하는 개봉 면(P)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압 탭(11)이 회전하는 경우 가압 부분(11)은 가압 돌기(15)의 위쪽 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가압 돌기(15)는 고정 수단(12)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가압 돌기(15)가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가압 돌기(15)는 단지 가압 부분(112)이 개봉 면(P)에 가하는 압력을 크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단지 일정한 높이를 가진 연장 돌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10)은 가압 탭(11)의 손잡이 부분(113)의 회전에 의하여 가압 부분(112)이 개봉 면(P)을 가압하는 파열시키는 방법으로 개봉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 부분(113)은 경사 연장 돌기(13)의 위쪽 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아래에서 가압 탭(11) 및 경사 연장 돌기(13)의 실시 예가 개시된다.
도 2a 및 도 2b는 가압 탭(11) 및 경사 연장 돌기(13)의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가압 탭(11)은 고정 수단(12)이 결합된 결합 부분(111)을 중심으로 가압 부분(112)과 손잡이 부분(1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압 부분(112)의 길이(LP)는 손잡이 부분(113)의 길이(LH)에 비하여 큰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가압 부분(112)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개봉 면(도 1a 참조)에 압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손잡이 부분(113)의 길이가 가압 부분(112)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다면, 손잡이 부분(113)에 작은 압력이 위쪽 방향으로 적용될지라도, 개봉 면의 가압 부분(112)과 접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손잡이 부분(113) 또는 가압 부분(112)의 길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의 (가) 및 (나)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 탭(11)은 회전 돌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돌기(114)는 가압 탭(11)을 회전시키는 경우 용이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의 (가) 및 (나)에서 회전 돌기(114)가 손잡이 부분(113)의 한쪽 가장 자리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회전 돌기(114)는 임의의 형상 또는 손잡이 부분(113)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손잡이 부분(113)의 연장 끝 부분 모서리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으로 가압 탭(11)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는 손잡이 부분(113)의 측면 부분의 두께를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껍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가압 탭(1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가압 부분(112)은 끝 부분은 개봉 면과 접촉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개봉 면과 접촉 부분이 압력이 집중되도록 하여 절취선(도 1a 참조)을 따라 개봉 면이 용이하게 돌출되도록 한다. 대안으로 가압 부분(112)의 접촉 끝 부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텁게 할 수 있다.
도 2b의 (가) 및 (나)는 경사 연장 돌기(13)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경사 연장 돌기(13)는 접촉 시점(131)으로부터 회전 종점(132)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연장 방향을 따라 폭은 넓어지고 그리고 높이가 높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폭 및 높이는 가압 탭(11) 의 회전을 용이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점진적으로 큰 압력이 개봉 면의 접촉 부분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경사 연장 돌기(13)의 폭 또는 높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2b의 (가)에 도시된 것처럼 경사 연장 돌기(13)는 곡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그리고 전체적인 평면 형상은 반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엄밀하게 연장 끝 부분이 부드러운 곡선을 형성하는 1/2 반달 형상).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c의 (가) 및 (나)는 경사 연장 돌기(13)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경사 연장 돌기(13)는 완전한 반달 형상 또는 초승달 형상을 가진다. 경사 연장 돌기(13)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경사 연장 돌기(13)는 가압 탭(11)이 회전하는 경우 손잡이 부분(113)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133)을 가지고 그리고 상부 표면(도 1a 참조)을 기준으로 접촉 시점(131)의 높이가 회전 종점(132)의 높이에 비하여 낮아지는 것이 유리하다. 경사면(133)은 반드시 평평한 면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c의 (가) 및 (나)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경사면(133, 134)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경사 연장 돌기(13)의 형태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경사 연장 돌기(13)가 2개의 경사면(133, 134)을 가진다면, 경사 연장 돌기(13)의 최고 높이가 둘레 턱(W)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 가압 탭(11)의 회전하여 손잡이 부분(113)과 겹쳐진 경사 연장 돌기(13)의 높이를 둘레 턱(W)의 높이와 비교할 필요가 없다.
위에서 설명을 한 것처럼, 가압 탭(11)은 경사 연장 돌기(13)의 경사면(133)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 탭(11)의 손잡이 부분(113)은 상부 평면(도 1a 참조)과 일정한 크기의 틈을 발생시키고 그리고 이와 동시에 가압 탭(11)의 가압 부분(112)은 개봉 면(도 1a 참조)에 아래쪽 방향의 압력을 가하게 된다. 가압 탭(11)의 경사면(133)을 따른 회전 용이성을 위하여 가압 탭(11)이 회전하면서 경사면(133)과 접하는 부분에 경사면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 연장 돌기(13)의 연장 길이(WP)는 가압 탭(11)의 접촉 부분의 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길이(WP)는 가압 탭(11)의 접촉 부분과 동일하거나 또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사 연장 돌기(13)의 높이(HP)는 둘레 턱(도 1a 참조)의 높이 및 가압 탭(11)의 가압 부분(112)이 개봉 면에 작용하는 압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 연장 돌기(13)의 높이(HP)와 가압 탭(11)의 두께의 합은 둘레 턱(도 1a 참조)의 높이 보다 작은 것이 유리하다. 만약 가압 탭(11)이 경사 연장 돌기(13)의 회전 종점(132)까지 회전할지라도 가압 부분(112)이 개봉 면(도 1a 참조)에 작용하는 압력이 절취선(도 1a 참조)을 파열시킬 만큼 충분하지 않다면 손잡이 부분(113)의 길이가 가압 부분(112)의 길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어지도록 결합 부분(111)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압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라고 사용자가 손잡이 부분(113)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방법으로 추가 압력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결합 부분(111)의 위치 이동이 반드시 요구 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가압 탭(11)의 경사면(133)을 따른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가압 부분(112)의 압력에 의하여 절취선이 파열되어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이와 같은 캔 뚜껑이 개봉 과정이 설명된다.
도 3a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개봉 전 구조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캔 뚜껑(30)은 개봉 면(P)의 절취선(L)이 파열되는 것에 의하여 개봉된다. 그리고 절취선(L)은 개봉 면(P)의 한쪽 가장 자리 부분에 일정한 크기의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파열된다. 도 3a의 (가) 및 (나)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 탭(31)의 가압 부분(311)은 개봉 면(P)의 일부에 접촉한다. 그리고 가압 탭(31)은 개봉 면(P)을 벗어나서 연장되면서 손잡이 부분(313)을 형성한다. 가압 탭(31)은 손잡이 부분(313)에 인접하여 상부 표면(S)에 형성된 연장 경사 돌기(33)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리벳과 같은 고정 수단(31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연장 경사 돌기(33)의 반대편에 가압 탭(31)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 방지 스토퍼(3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가압 탭(31)의 손잡이 부분(313)에 회전 돌기(314)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전 돌기(314)를 이용하여 가압 탭(31)을 연장 경사 돌기(33)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가압 탭(31)은 고정 수단(3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 탭(31)의 회전에 의하여 손잡이 부분(313)은 연장 경사 돌기(33)의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가압 부분(311)은 회전하면서 개봉 면(P)과 접하는 부분에 아래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가압 부분(311)은 가압 돌기(35)의 위쪽 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연장 경사 돌기(33)는 가압 탭(3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므로(경사면) 가압 탭(31)이 경사면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가압 부분(311)이 개봉 면(P)의 한쪽 부분에 가하는 압력이 점점 커지게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가압 부분(311)이 접하는 부분에 가까운 쪽에 있는 절취선(L)이 파열되고 이에 따라 개봉 면(P)이 개방된다. 만약 가압 탭(31)이 연장 경사 돌기(33)를 따라 충분히 회전하여도 절취선(L)이 파열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손잡이 부분(313)을 위쪽 방향으로 들어 올려 가압 부분(311)의 압력을 크게 하여 절취선(L)을 파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손잡이 부분(313)이 상부 표면(S)과 상당한 크기의 간격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손잡이 부분(313)을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개봉된 캔 뚜껑이 아래의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b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개봉 후 구조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연장 경사 돌기(33)의 최고 높이는 둘레 턱(W)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유리하다. 추가로 도 3b의 (가) 및 (나)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 탭(31)의 손잡이 부분(313)이 회전되어 연장 경사 돌기(33)와 겹친 상태에서 상부 평면(S)에서 가압 탭(31)의 위쪽 면까지 높이(TH)가 둘레 턱(W)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유리하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b의 (가) 및 (나)에서 절취선(L)이 파열되는 부분은 가압 부분(311)의 전면이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절취선(L)의 파열 부분은 제조 편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절취선(L)은 전체가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일부가 개방된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가압 돌기(35)는 절취선(L)의 파열 형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이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가압 탭(11) 및 경사 연장 돌기(13)의 실시 예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의 (가) 및 (나)는 경사 연장 돌기(13)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개봉 전 구조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개봉 후 구조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0)

  1. 상부 표면;
    상부 표면에 절취선으로 경계가 형성된 개봉 면;
    손잡이 부분과 가압 부분을 가진 가압 탭;
    가압 탭을 상부 표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및
    가압 탭이 회전하면서 손잡이 부분과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진 연장 경사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2. 제1 항에 있어서,
    가압 탭이 회전하면서 가압 부분이 접하는 개봉 면에 가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3. 제1 항에 있어서,
    연장 경사 돌기의 반대편에 형성된 회전 방지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4. 제1 항에 있어서,
    손잡이 부분에 형성된 회전 돌기를 더 포함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5. 제1 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을 기준으로 손잡이 부분의 연장 길이가 가압 부분의 연장 길이에 비하여 큰 것에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6. 제1 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은 리벳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7. 제1 항에 있어서,
    연장 경사 돌기는 가압 탭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부 표면에 대하여 높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8. 제1 항에 있어서,
    가압 돌기는 고정 수단을 중심으로 연강 경사 돌기와 회전 대칭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9. 제1 항에 있어서,
    가압 부분의 개봉 면과 접하는 끝 부분은 돌출된 연장 돌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10. 제1 항에 따른 캔 뚜껑을 가진 캔.
KR1020080042034A 2008-05-06 2008-05-06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KR20090116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034A KR20090116224A (ko) 2008-05-06 2008-05-06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034A KR20090116224A (ko) 2008-05-06 2008-05-06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224A true KR20090116224A (ko) 2009-11-11

Family

ID=4160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034A KR20090116224A (ko) 2008-05-06 2008-05-06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62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4804A1 (de) * 2022-01-15 2023-07-20 Eckhard Schrader Getränkedo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4804A1 (de) * 2022-01-15 2023-07-20 Eckhard Schrader Getränkedo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2524B2 (ja) 医療バイアルの蓋
US8464887B2 (en) PT1-2 pull tab
US8336725B2 (en) Sealing device for a container
US4681238A (en) Re-closure device for pop top containers
CA2834330C (en) Beverage container lid with mouth opening and separate push in vent
US8783495B2 (en) Can end
JP5579171B2 (ja) 飲料用缶の蓋シール具
CA2725255C (en)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WO2006090525A1 (ja) 缶蓋及びこれを備えた缶容器
US20100025402A1 (en) Pushdown openings with purchase, leverage and gas-tight resealability for can ends
US3250425A (en) Rotatable pull tab to break scored tear strip
DK3116798T3 (en) DRINK BOXING WITH BREATHING
JP2019500288A (ja) 缶の蓋
TWI608971B (zh) 具有開瓶器組件的冠形瓶蓋(一)
JP2018536592A (ja) 通気機構を備えた缶端部
KR20090116224A (ko) 회전 가압 개봉 방식의 캔 뚜껑
JPH07132936A (ja) 缶蓋およびそれを用いた飲料用缶
WO2017100829A1 (en) Lid for container
JPH1191779A (ja) 飲料缶
WO2010045760A1 (zh) 杠杆式易拉瓶盖
JPH01308744A (ja) タブ不分離型容易開放缶蓋
US11679913B2 (en) Crown cap
JP6632889B2 (ja) 打栓式樹脂キャップ
KR100419265B1 (ko) 캔뚜껑 구조
JP2015137132A (ja) 缶蓋と回転式タ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