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825A -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 Google Patents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825A
KR20090115825A KR1020080041060A KR20080041060A KR20090115825A KR 20090115825 A KR20090115825 A KR 20090115825A KR 1020080041060 A KR1020080041060 A KR 1020080041060A KR 20080041060 A KR20080041060 A KR 20080041060A KR 20090115825 A KR20090115825 A KR 20090115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barrel
patient
waste contain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동
장기현
이호연
Original Assignee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5825A/ko
Publication of KR20090115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배설물을 보다 청결하고 용이하게 자동처리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과 관로를 용이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오물통의 분리 후 이동시 오물이 유입구측으로 튀어올라 외부로 누출됨을 방지하여 보다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에 관한 것이다.
배설물자동처리장치, 오물통, 오물통캡, 베럴, 오물유입구밀폐연장편,

Description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A night soil tank of Automatic Disposing Patient's Excreta with splash preventer of soil}
본 발명은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거동이 불편하여 스스로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 등의 배설물을 보다 청결하고 용이하게 자동처리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와 연결되는 오물유입관과 공기흡입관을 기밀성을 유지함은 물론 오물통을 분리 후 이동시 묽은 오물이 튀어올라 캡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됨을 방지하도록 한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에 관한 것이다.
신체적 결함으로 인하여 혼자서 용변을 처리할 수 없는 환자의 경우 이들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간병작업은 환자나 보호자에게 엄청난 스트레스와 번거로움을 주며, 환자의 경우 부끄러움은 감수하더라도 침구 등을 더럽힐 것에 대한 불안감이 항상 존재하여 편안함을 유지할 수 없으며, 특히 간병인이 없을 경우 용변 을 원하는 시간에 편안하게 볼 수 없는 문제점으로 육체적 고통은 상상을 초월하게 심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7-34978호(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것으로 비데노즐, 세정노즐, 엉덩이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 건조노즐과 대변감지센서 및 소변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저면부에는 배설물을 진공압에 의해 수거하도록 오물관이 연결되는 오물배출구가 구비된 기저귀부(20)와; 상기 기저귀부에 연결된 오물관과 하기 진공탱크에 연결된 흡기관A가 각각 상측의 개폐 가능한 뚜껑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물관을 통하여 흡입된 배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며, 일측부에는 오물 수거량을 감지하도록 수거량감지센서가 구비된 밀폐용기형 배설물수거부(10)와; 상기 배설물수거부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진공탱크와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흡입부(30)와; 상기 흡입부의 진공탱크와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도록 다단계의 필터A, 필터B를 구비한 악취제거부(40)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탱크와 상기 세척수탱크로 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 저장하는 온수통과 상기 온수통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기저귀부의 비데노즐, 세정노즐, 엉덩이세정노즐, 대변분쇄노즐에 공급하도록 급수관로에 연결된 워터펌프를 구비한 세척수공급부(50)와; 상기 기저귀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기의 공급을 제어하고, 진공탱크와 진공펌프의 연결관로를 제어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 브로 구성된 밸브장치부(60) 및; 상기 각 센서로 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밸브장치부 및 세척수공급부의 워터펌프, 히터 등을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는 흡입부(30)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설물과 혼합된 세척수를 흡입하여 배설물수거부(10)의 오물통(100)에 담겨지게 되는데 상기 배설물수거부(10)의 수위가 일정이상이 되면 반드시 흡입을 중단시키고 오물통의 배설물을 비워준 다음 가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배설물의 처리시에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를 정지시킨 다음 오물통 캡과 연결관로를 서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오물통을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서 인출한 다음 오물통을 화장실 등과 같은 처리장소로 이동하여 오물통 내부의 오물을 비워 처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오물통을 비워 세척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오물통캡에 연결된 오물유입관과 공기흡입관을 분리하여야 하는데 상기 오물유입관과 공기흡입관은 누압이 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갖도록 결합하여야 함은 물론 쉽게 분리/ 결합작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배설물처리장치의 오물통은 진공압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관로의 조립이 완전하지 못하여 압력이 누출될 경우 작동불능의 요인이 되므로 상기 관로와 오물통캡의 사이에는 기밀성 갖도록 하여야만 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배설물처리장치는 본체케이스와 일체로 구성되어 오물통을 용이하게 장착하도록 하는 오물통장착대의 일측부에 구비된 관결합부에 오물유입관과 공기흡입관이 결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오물통장착대에 고정된 배럴과 오물통캡을 상호 연결시키는 관로는 일정 간격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오물통의 장착 후에는 상기 일정간격 떨어져 있는 두 부분의 관로를 상호 연결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10-2007-0079323호(명칭: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배관 연결장치)를 제안하였다.
첨부도면 도 7은 선출원의 실시예의 오물통장착대에 오물통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선출원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8a)는 배럴슬라이더와 배럴이 분리된 상태이고, 도 8b)는 배럴슬라이더와 배럴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본체케이스(300) 내부의 일측부에는 오물통장착대(310)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물통장착대(310)는 상기 오물통(100)을 본체케이스(30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면 일측부에는 오물유입관(350)과 공기흡입관(360)을 각각 연결하도록 하는 배럴A(320), 배럴B(321)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물통(100)의 주입구(120)를 개폐하도록 하는 오물통캡(110)에는 수평방향 일측으로 오물유입관(350)과 공기흡입관(360)을 포함하는 관로를 연결하도록 오물통(100)의 내부로 통하는 연결실린더A(111),B(1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오물통장착대(310)의 배럴(320)(321)과 상기 오물통캡(110)의 사이는 상기 오물통(100)의 용이한 삽입 장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연결하여 주는 것이 배럴슬라이더(200)이다.
상기 배럴슬라이더(200)는 상기 오물통캡(110)과 상기 배럴A(320),B(321)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111),B(112)에 끼워 설치되며, 소정구간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며,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항상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즉, 상기 배럴슬라이더(200)는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111),B(112)에 각각 삽입되는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의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패킹A(220),B(2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의 타측 끝단부 내부면에 설치되는 바렐밀착패킹A(230),B(231)이 끼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며, 작동손잡이(250)가 형성된 커버(2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럴슬라이더(200)의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는 각각 오물유입관부와 공기흡입관부로서 서로 다른 규격으로 각각 독립된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가 삽입되는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111),B(112)는 서로 규격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실린더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출원기술은 오물을 쏟아 비우기 위하여 오물통(100)을 배설물자동처리장치로 부터 분리하여 이동시 세척수와 혼합된 묽은 오물이 튀어올라 관로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8a와 같이 오물통(100)의 관로를 연결하는 배럴을 전진시켜 본체와 결합시킨 상태는 물론 도 8b와 같이 오물통(100)의 배럴을 후퇴시켜준 상태에서 오물통캡의 관로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물통의 오물이 출렁이면서 튀어올라 외부로 누출되게 되어 악취발생 및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하는 것으로 오물통캡과 오물통장착대에 고정된 배럴 사이의 상호 떨어져 있는 간격을 자체적으로 해소하면서 2개 이상의 관로를 한 번의 동작으로 동시에 기밀성 있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분리하여 이동시 내용물이 오물통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부와; 상기 기저귀부에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오물통을 포함하는 배설물수거부와; 상기 배설물수거부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의 흡입작업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부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부와; 상기 기저귀부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부 및;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물통을 본체케이스의 내측에 장착되도록 하며, 전면 일측부에는 오물유입관과 공기흡입관을 각각 연결하도록 하는 배럴A, 배럴B가 고정 설치된 오물통장착대와; 상기 오물통의 주입구를 개폐하도록 하며, 수평방향 일 측으로 오물유입 관과 공기흡입관을 포함하는 관로를 연결하도록 오물통의 내부로 통하는 연결실린더A,B를 구비한 오물통캡과; 상기 오물통캡과 상기 배럴A,B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오물통캡의 연결실린더A,B에 끼워 설치되며, 소정구간 슬라이드 작동되는 배럴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럴슬라이더는 오물통캡의 연결실린더A,B에 각각 삽입되는 배럴슬라이더관A, B와;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 B의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패킹A,B와;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 B의 타측 끝단부 내부면에 설치되는 바렐밀착패킹A,B와;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B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며, 작동손잡이가 형성된 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럴슬라이더의 배럴슬라이더관A,B는 각각 오물유입관부와 공기흡입관부로서 서로 다른 규격으로 각각 독립된 관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B가 삽입되는 오물통캡의 연결실린더A,B는 서로 규격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실린더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물통장착대의 전면부에는 상기 배럴슬라이더가 완전체결시 접촉하여 작동하는 마이크로스위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물통캡의 상부 선단에는 멈춤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오물통캡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배럴슬라이더의 커버 하단에는 상기 멈춤턱에 걸리어 완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걸림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럴스라이더관A의 내측 끝단부에는 하단부측으로 연장된 오물유입구밀폐연장편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배럴스라이더관B의 내측 끝단부에도 하단부측으로 연장된 공기흡입구밀폐연장편이 구비되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배설물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줌으로써 환자가 보호자의 도움없이 스스로 시간의 구애를 받지않고 소변이나 대변을 배설하여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최소화하여 환자요양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을 관리함에 있어 사용자가 오물통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이동시 오물이 오물통의 캡에 설치된 관로 상으로 튀어 올라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하여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주요구성은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부(20)와; 상기 기저귀부(20)에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오물통(100)을 포함하는 배설물수거부(10)와; 상기 배설물수거부(10)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부(30)와; 상기 흡입부(30)의 흡입작업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부(40)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부(50)와; 상기 기저귀부(20)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부(60) 및; 상기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배설물수거부(10)의 오물통(100)을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장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오물통 배관연결장치가 설치된 환자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오물통장착대에 오물통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오물통 배관 연결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된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본체케이스(300) 내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오물통(100)을 삽입 장착하도록 하며, 상기 오물통(100)과 연결되는 관로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배럴(320)(321)이 고정 설치된 오물통장착대(310)가 있다.
즉, 상기 오물통장착대(310)는 상기 오물통(100)을 본체케이스(30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며, 전면 일측부에는 오물유입관(350)과 공기흡입관(360)을 각각 연결하도록 하는 배럴A(320), 배럴B(321)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물통(100)의 주입구(120)를 개폐하도록 하는 오물통캡(110)에는 수평방향 일측으로 오물유입관(350)과 공기흡입관(360)을 포함하는 관로를 연결하도록 오물통(100)의 내부로 통하는 연결실린더A(111),B(1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오물통장착대(310)의 배럴(320)(321)과 상기 오물통캡(110)의 사이는 상기 오물통(100)의 용이한 삽입 장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연결하여 주는 것이 배럴슬라이더(200)이다.
상기 배럴슬라이더(200)는 상기 오물통캡(110)과 상기 배럴A(320),B(321)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111),B(112)에 끼워 설치되며, 소정구간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며,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항상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즉, 상기 배럴슬라이더(200)는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111),B(112)에 각각 삽입되는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의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패킹A(220),B(2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의 타측 끝단부 내부면에 설치되는 바렐밀착패킹A(230),B(231)이 끼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며, 작동손잡이(250)가 형성된 커버(2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럴슬라이더(200)의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는 각각 오물유입관부와 공기흡입관부로서 서로 다른 규격으로 각각 독립된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가 삽입되는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111),B(112)는 서로 규격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실린더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럴스라이더관A(210)의 내측 끝단부에는 하단부측으로 연장된 오물유입구밀폐연장편(26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럴스라이더관B(211)의 내측 끝단부에도 하단부측으로 연장된 공기흡입구밀폐연장편(27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오물유입구밀폐연장편(260)과 공기흡입구밀폐연장편(270)은 부드럽고 밀착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물유입구밀폐연장편(260)은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의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패킹A(220)와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구밀폐연장편(270)은 상기 배럴슬라이더관B(211)의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패킹B(221)와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배럴슬라이더와 배럴이 분리되고 오물유입구가 차단된 상태이고, b)는 배럴슬라이더와 배럴이 결합되고 오물유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는 관로와 오물통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오물통(100)을 본체케이스(300)으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이며, 아울러 오물통(100)의 내부를 청소한 다음 본체케이스(300)에 삽입 장착하고 관로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 역시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럴슬라이더(200)의 커버(240)에 형성된 작동손잡이(250)를 잡고 배럴(320)(321) 쪽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배럴슬라이더(200)는 슬라이드되면서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와 상기 배럴(320)(321)이 서로 끼워져 동시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의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패킹A(220),B(221)은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111),B(112)의 내면과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작동되므로 항상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슬라이더와 배럴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강제적으로 오물통(100)이 분리될 수 없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B(211)의 타측 끝단부 내부면에 끼워 설치된 바렐밀착패킹A(230),B(231)은 상기 배럴(320)(32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되어 끼워 결합되므로 항상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물통캡(110)과 배럴(320)(321)의 사이 간격을 자체적으로 연장되면서 연결되도록 하면서도 항상 기밀성을 가지므로 진공압 누출에 의한 작동불량이나 오물이 외부로 흘러 누출되지 않도록 완전하게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배럴슬라이더(200)가 전진할 경우 상기 오물유입구밀폐연장편(260)과 공기흡입구밀폐연장편(270)은 각각 오물통캡(110)의 오물유입구(150)와 공기흡입구(160)를 각각 개방시켜 유체가 유입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물통(100)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배럴슬라이더(200)을 후퇴할 경우 상기 오물유입구밀폐연장편(260)과 공기흡입구밀폐연장편(270)은 각각 오물통캡(110)의 오물유입구(150)와 공기흡입구(160)를 각각 밀폐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오물통(100)의 분리 후 이동시 오물이 튀어 올라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오물통 배관연결장치가 설치된 환자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오물통장착대에 오물통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오물통 배관 연결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배럴슬라이더와 배럴이 분리되고 오물유입구가 차단된 상태이고,
b)는 배럴슬라이더와 배럴이 결합되고 오물유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임.
도 6은 환자배설물자동처리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보인 계통도.
도 7은 종래의 오물통 배관 연결장치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오물통 배관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a)는 배럴슬라이더와 배럴이 분리된 상태이고,
b)는 배럴슬라이더와 배럴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설물수거부 20: 기저귀부
30: 흡입부 40: 악취제거부
50: 세척수공급부 60: 밸브장치부
100: 오물통 110: 오물통캡
111: 연결실린더A 112: 연결실린더B
120: 주입구 130: 멈춤턱
150: 오물유입구 160: 공기흡입구
200: 배럴슬라이더 210,211: 배럴슬라이더관A,B
220,221: 배럴슬라이더관A,B 230,231: 배럴밀착패킹A,B
240: 커버 241: 걸림편
260: 오물유입구밀폐연장편 270: 공기흡입구밀폐연장편
300: 본체케이스 310: 오물통장착대
320,321:배럴A,B 330: 마이크로스위치
350: 오물유입관 360: 공기흡입관

Claims (6)

  1. 환자의 신체에 착용하여 용변을 받아내는 기저귀부(20)와; 상기 기저귀부(20)에 연결되어 오물을 수거하여 저장하는 오물통(100)을 포함하는 배설물수거부(10)와; 상기 배설물수거부(10)에 배설물이 수거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작용시키는 흡입부(30)와; 상기 흡입부(30)의 흡입작업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부(40)와; 용변 후 환자의 몸을 세척하도록 하는 세척수공급부(50)와; 상기 기저귀부(20)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건조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장치부(60); 및 상기 각 장치(10,20,30,40,50,6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상기 오물통(100)을 본체케이스(300)의 내측에 장착되도록 하며, 전면 일측부에는 오물유입관(350)과 공기흡입관(360)을 각각 연결하도록 하는 배럴A(320), 배럴B(321)가 고정 설치된 오물통장착대(310)와;
    상기 오물통(100)의 주입구(120)를 개폐하도록 하며, 수평방향 일 측으로 오물유입관(350)과 공기흡입관(360)을 포함하는 관로를 연결하도록 오물통(100)의 내부로 통하는 연결실린더A,B(111,112)를 구비한 오물통캡(110); 및
    상기 오물통캡(110)과 상기 배럴A,B(320,321)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B(111,112)에 끼워 설치되며, 소정구간 슬라이드 작동되는 배럴슬라이더(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슬라이더(200)는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B(111,112)에 각각 삽입되는 배럴슬라이더관A, B(210,211)와;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 B(210,211)의 일측 끝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더패킹A,B(220,221);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 B(210,211)의 타측 끝단부 내부면에 설치되는 배럴밀착패킹A,B(230,231); 및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B(210,211)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며, 작동손잡이가 형성된 커버(24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슬라이더(200)의 배럴슬라이더관A,B(210,211)는 각각 오물유입관부와 공기흡입관부로서 서로 다른 규격으로 각각 독립된 관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B(210,211)가 삽입되는 오물통캡(110)의 연결실린더A,B(111,112)는 서로 규격에 맞추어 각각 독립된 실린더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통장착대(310)의 전면부에는 상기 배럴슬라이더(200)가 완전체결시 접촉하여 작동하는 마이크로스위치(3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통캡(110)의 상부 선단에는 멈춤턱(1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오물통캡(11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배럴슬라이더(200)의 커버(240) 하단에는 상기 멈춤턱(130)에 걸리어 완전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걸림편(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슬라이더관A(210)의 내측 끝단부에는 하단부측으로 연장된 오물유입구밀폐연장편(260)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배럴슬라이더관B(211)의 내측 끝단부에도 하단부측으로 연장된 공기흡입구밀폐연장편(27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KR1020080041060A 2008-05-01 2008-05-01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KR20090115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60A KR20090115825A (ko) 2008-05-01 2008-05-01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060A KR20090115825A (ko) 2008-05-01 2008-05-01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825A true KR20090115825A (ko) 2009-11-09

Family

ID=4155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060A KR20090115825A (ko) 2008-05-01 2008-05-01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58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6663A1 (zh) * 2014-01-17 2015-07-23 宁波新海电气股份有限公司 尿便自动护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6663A1 (zh) * 2014-01-17 2015-07-23 宁波新海电气股份有限公司 尿便自动护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80532A1 (zh) 一种中央集成护理机
EP1809217B1 (en) Colostomy bag cleansing system
US6224581B1 (en) Ostomy bag cleaning appliance having a mounting plate
CN204318626U (zh) 一种自洁马桶盖与马桶
KR100893733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CN101269373B (zh) 多功能管道疏通器
JP7109095B2 (ja) トイレの洗浄および清掃システム、ならびに洗浄方法
KR100882811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배관 연결장치
KR20090115825A (ko) 튐방지부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KR100882810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배관 전동식 연결장치
KR20140133309A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
KR100882812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레버형 오물통 배관 연결장치
KR100880608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세척수공급장치
KR20180047315A (ko) 양변기에 설치되는 남성용 소변기
KR20170002950U (ko) 위생구토기
JP2008284044A (ja) オストメイト用汚物流し
KR100872455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분리부 청결장치
JP4091418B2 (ja) ストーマ便の処理装置
KR100963244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세정제 용기 결착구
CN209998057U (zh) 造口袋冲便器
KR20170097801A (ko) 대소변 자동처리장비의 오수통 장치
JP5948689B1 (ja) 廃液処分装置
KR20090115293A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CN208864916U (zh) 一种医用灌肠装置
US7451771B2 (en) Portable pouch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