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167A - 렌티큘러 스크린을 위한 개구 보정 - Google Patents

렌티큘러 스크린을 위한 개구 보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167A
KR20090115167A KR1020097017796A KR20097017796A KR20090115167A KR 20090115167 A KR20090115167 A KR 20090115167A KR 1020097017796 A KR1020097017796 A KR 1020097017796A KR 20097017796 A KR20097017796 A KR 20097017796A KR 20090115167 A KR20090115167 A KR 20090115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lection
selection device
overcoating material
impermeable
auto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니 립튼
Original Assignee
리얼 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얼 디 filed Critical 리얼 디
Publication of KR20090115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02B30/29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lenticular array, e.g. slanted arrays, irregular arrays or arrays of varying shape or siz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Abstract

장치는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autostereoscopic image selection device)와 이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에 도포되는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포함한다.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는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관련된 자가 배치 개구(self-locating aperture)를 제공하도록 함께 작용한다. 해당 방법은 복수 개의 렌티큘(lenticule)을 포함하는 영상 선택 디바이스에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도포하는 것과, 영상 선택 디바이스로부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도포하는 것과,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렌티큘에 대한 개구수를 감소시키도록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함께 작용한다.

Description

렌티큘러 스크린을 위한 개구 보정{APERTURE CORRECTION FOR LENTICULAR SCREE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autostereoscopic display)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명확하게 말하자면 광학적 질을 향상시키고 영상의 깊이와 조망 구역의 개수 및 질을 증대시키는, 평판 모니터 디바이스를 위한 진보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제조업자는 3차원(3D) 컨텐츠의 표시와 관련된 영상의 질을 계속해서 개선시키고자 노력한다. 향상된 영상의 질을 나타내는 현재의 한가지 자동 입체 영상 평판 모니터 장치는 영상 선택을 위한 굴절 광학 기술(refractive optic technique)을 이용한다. 굴절 광학 구성은 통상적으로 렌티큘러 스크린(lenticular screen)과 위넥 경사 렌즈(Winnek slanted lens)를 포함한다. 현재의 다른 평판 모니터 구성은 영상 선택을 위한 래스터 배리어 기술(raster barrier technique)에 의존한다. 양자의 구성에 있어서, 원근뷰(perspective view)로 형성된 스트라이프로 이루어진 영상 컬럼은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상에 반복 패턴을 형성한다. 굴절 광학 기술은 각각의 영상 컬럼을 원통형 렌티큘(lenticule)에 관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래스터 배리어 기술은 각 각의 영상 컬럼을 래스터 배리어의 개구 슬릿(aperture slit)과 관련시킨다.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구성은 여러 종래 특허의 대상이었다. 예컨대, 1976년, 뉴욕 Academic Press에 등재된 Okoshi의 "Three-Dimensional Imaging Techniques"이라는 저술을 참고한다.
현재 평판 모니터 디바이스 구성에 이용 가능한 다른 기술은 영상 선택을 위한 "플라이 아이 렌즈(fly eye lens)"를 채용한다. 이 기술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모두로 광선을 굴절시키는 복수 개의 관련 소형 구형 렌즈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굴절 광학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평행한 원통형 렌티큘 로우(row)를 채용하는 반면, 래스터 배리어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평행한 슬릿 로우를 채용한다. 양자의 기술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모두에서 패럴랙스 효과(parallax effect)를 생성하는 "플라이 아이 렌즈"와는 달리 수평 방향에서만 패럴랙스 효과를 생성한다. 따라서, 굴절 광학 기술과 래스터 배리어 기술은 수평 방향 패럴랙스만을 포함한다. 굴절 광학 구성과 래스터 배리어 구성은 저해상도 요건으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 구성이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모두에 있어서라기 보다는, 선택적으로 단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실제적으로, 렌티큘러 자동 입체 영상 스크린을 채용하는 구성은 이러한 구성이 전체 유효 디스플레이 선예도(overall effective display sharpness)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결점을 갖는다. 특히, 영상 선택을 위한 렌티큘러 스크린을 채용하는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는 높은 패럴랙스 값을 갖는 영상의 선예도에 관하여 결점을 갖는 경향이 있다. 그러한 결점은 특히 스크린 평면에 나타나는 대상 또는 스크린 내 매우 깊숙히 나타나는 대상을 포함하는 영상에 관하여 특히 뚜렷하다. 렌티큘러 스크린에 있어서의 다른 문제는 복수 개의 비주요 조망 구역(non-primary viewing zone)이 존재할 때, 특히 이러한 비주요 조망 구역의 선예도에 관하여 발생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를 채용하는 구성은 전체 디스플레이 휘도(輝度)를 감소시키고, 바람직하지 않은 가시 패턴 노이즈를 도입한다. 사실상, 래스터 배리어 자동 입체 영상 스크린은 복수 개의 원근 영상을 표현할 때 통상적으로 광의 80 % 또는 90 %가 손실되어 너무 흐릿한 것으로 확인되어, 현재 이용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때 상업적으로 비실용적일 수 있다.
"플라이 아이 렌즈" 구성을 채용하는 굴절 스크린은 시장에 전혀 진입하지 못했고, 실험용으로 연구실에 제공되었다. 이러한 굴절 스크린은 평판 모니터 디바이스에 관련되어 채용될 때 저해상도를 갖는다.
렌티큘러 렌즈, 래스터 배리어 및 "플라이 아이 렌즈"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는 아래에 놓이는 평판 모니터 디바이스 전자 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될 때 요구되는 엄격한 치수 및 정렬 공차로 인해 제조하기가 어렵다.
전술한 바에 기초했을 때, 기존의 공지된 구성에 존재하는 전술한 결점을 해결하는, 입체 영상 컨텐츠를 조망하는 데 이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이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에 도포되는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포함하는 장치가 마련된다.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는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관련된 자가 배치 개구(self-locating aperture)를 마련하도록 함께 작동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개선된 영상 선택 디바이스를 마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복수 개의 렌티큘을 포함하는 영상 선택 디바이스에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도포하는 것과, 영상 선택 디바이스로부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도포하는 것과,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렌티큘에 대한 개구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함께 작용한다.
본 발명의 이들 장점 및 다른 장점은 아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에는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예로서, 본 발명을 예시하였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자동 입체 영상 굴절 렌즈 시트의 개략도이고,
도 2는 개별 렌티큘의 광학계와, 그 결과로 형성되는 구면수차를 예시하는 광로도이며,
도 3은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계과, 채용되는 간단한 광학계로부터 형성되 는 상면만곡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인접한 조망 구역의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 단면의 광로도이며,
도 5는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제조 단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버코팅을 지닌 렌티큘러 스크린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 보정 렌티큘러 스크린을 제조하도록 오버코팅이 버핑된 최종 제조 단계의 렌티큘러 스크린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구면수차에 관한 개구 보정의 개선을 보여주는 광로도가 있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대상인 개구 보정을 보여주는, 렌티큘이 상면만곡을 나타내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9는 개구 보정이 비축 조망 구역의 광학적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예시하는, 렌티큘러 스크린 단면의 광로도이다.
아래 설명과 도면은 당업자가 설명되는 장치와 방법을 실시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하도록 특정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른 실시예는 구조적, 논리적 과정 및 다른 변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는 통상적으로 단지 가능한 변형을 예시하는 것이다. 개별 구성 요소와 기능은 명확히 요구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선택적이며, 과정의 순서는 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의 부분과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거나 다른 실시예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굴절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또는 렌티큘러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와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결합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은 굴절 렌티큘러 광학을 이용하여 광 출력은 조금만 감소시키면서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의 영상의 질을 매우 향상시킨다.
렌티큘러 스크린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은 평판 디스플레이어 적용되었으며, 그 결과 성공적이었다. 2가지 주요 변화가 있는데, 한가지는 영상 선택을 위한 굴절 광학계를 이용한다는 것이고, 나머지 한가지는 래스터 배리어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양자의 경우에, 원근뷰로 형성된 스트라이프로 이루어진 영상 컬럼은 디스플레이 상에 반복 패턴을 형성한다. 각각의 컬럼은 원통형 렌티큘 또는 래스터 배리어의 개구 실릿과 관련된다. 기본적으로, 선택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굴절 기술과 래스터 배리어 기술뿐만 아니라, 다른 기술 - "플라이 아이 렌즈" -도 채용하였다. 플라이 아이 렌즈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모두로 굴절시키는 복수 개의 소형 구형 렌즈를 포함한다.
평행한 원통형 렌티큘 로우를 포함하는 렌티큘러 스크린 또는 평행한 슬릿 로우를 지닌 래스터 배리어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모두로 작용하는 플라이 아이 렌즈와는 달리, 수평 방향으로만 그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기술은 수평 패럴랙스의 이용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약으로 인해, 보다 선명한 영상을 생성하는 능력이 있는데, 그 이유는 영상 정보가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양자보다는 선택적으로 수평 방향에서만 이용되기 때문이다.
표준 렌티큘러 스크린
도 1a에는, 대상 렌티큘(102)을 갖는 통상의 렌티큘러 스크린(101)이 도시되어 있으며, 지점(103)에 스크린의 피치(P)가 주어져 있다. 디스플레이면(104)이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면(104)은 하드 카피나 전자 장치를 포함-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 -하는 임의의 타입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디스플레이면(104)은 자기 조명 디스플레이(self-illuminated display)나 후방 조명 디스플레이(rear-illuminated display)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는 구성은 휘도의 감소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자기 조명 디스플레이나 후방 조명 디스플레이는 본 구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술은 후방 조명되지 않는 하드 카피에 적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은 플라즈마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발광 다이오드 또는 광을 조절하거나 발광하는 유사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자 디스플레이 또는 후방 조명 하드 카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b에는 도 1a의 스크린과 매우 유사한 위넥 경사 렌즈 시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b에서의 차이는 렌티큘이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는 것이다. 렌티큘 간의 경계가 디스플레이의 수직 에지에 대해 평행한 대신에, 렌티큘이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렌즈 시트(105)는 피치(P)(107)를 갖는 개별 렌티큘(106)을 갖고,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08)를 갖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3,409,351호는 이러한 타입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장점을 논의하였다. 렌즈 시트의 위넥 티핑(Winnek tipping)에 대한 주요 장점은 패턴 노이즈와 색대(色帶), 즉 무아레(moire)를 제거하고, 또한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서의 해상도 를 동등하게 한다는 것이다.
플라이 아이
도 1c에는 개별 원형 렌즈 요소(110)를 지닌 플라이 아이 렌즈 시트(109)가 도시되어 있다. 플라이 아이 렌즈 시트(109)는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 모두에서 동일한 피치(P)(111)를 갖고, 도시한 바와 같이 배향된 디스플레이면(112)을 갖는다. 플라이 아이 렌티큘러 스크린은 시장에서는 널리 받여들여지지 않았지만, 연구실 실험은 그 성능을 증명하였다. 플라이 아이 렌티큘러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제조하기가 어렵고, 또한 평판 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될 때 해상도가 낮다. 하지만, 플라이 아이 렌티큘러 스크린은 이 스크린의 물리학과 뷰어의 최종 효능의 관점에서 홀로그래피와 매우 유사한 한 매력적인 특성을 갖는다.
래스터 배리어
시도한 다른 구성은 슬릿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얼룩말형 슬릿(zebra-like slit) 또는 론치 격자형 슬릿(Ronchi-grating-like slit)으로 이루어진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래스터 배리어는 영상 손상이 발생하기 전에 패럴랙스 버짓(parallax budget)이 보다 큰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형성한다.
"패럴랙스 버짓"은 디스플레이 내의 유용 패럴랙스 범위로 정의된다. 스크린내 패럴랙스에는 양의 값이 할당되고, 스크린외 패럴랙스에는 음의 값이 할당된다. 패럴랙스의 절대값이 클수록 이들값과 관련된 영상 포인트의 외관은 더 깊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하는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에서와 같이 패럴랙스의 값이 큰 영상 포인트는 선예도가 손실되고 영상 중복과 같은 부적당한 인공 산물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영상 손상이 일어나기 전에 디스플레이에 의해 잘 나타날 수 있는 패럴랙스 값의 범위, 즉 패럴랙스 버짓은 입체 영상 깊이와 직접 관련된 주요한 정량적 측정값이다.
래스터 배리어 구성은 증가되고 보다 선명한 조망 구역을 갖는다. 증가된 패럴랙스 버짓은 중요한데, 그 이유는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에서 패럴랙스 정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는 보다 큰 패럴랙스 버짓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영상은 보다 깊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패럴랙스가 주요 입체 영상 깊이 단서(principal stereoscopic depth cue)이기 때문이다.
추가로,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는 또한 보다 많은 개수의 조망 구역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많은 개수의 조망 구역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선택적으로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가 굴절 광학계보다는 슬릿 광학계를 사용하며, 사실상 영상 형성 광선이 관련된 작은 개구의 결과로서 보다 평행에 가깝기 때문에 큰 초점심도를 갖는다는 점이다.
래스터 배리어의 단점은 흐릿함, 즉 휘도의 결여이다. 사실상, 래스터 배리어는 너무 흐릿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비실용적일 수 있다. 래스터 배리어는 매우 밝은 하부 디스플레이를 필요로 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즈마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모두가 만족스러운 래스터 배리어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에 충분한 휘도가 결여되어 있다. 양호한 디스플레이의 특징 중 한가지와, 전자 디스플레이에 관한 가장 중요한 것 중 한가지는 휘도이며, 디스플레이 제조업 자는 평판 디스플레이에 대한 휘도 요건을 충족시키고자 하는 도전을 해왔다. 래스터 배리어의 추가의 휘도 한계가 주어진 경우, 조도(照度) 사양을 충족하는 디스플레이를 추구하는 것은 거의 가망이 없는데, 그 이유는 다안 영상 또는 입체 영상은 통상적으로 본래 전달되는 광의 80 % 내지 90 %를 놓치기 때문이다.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것이 보다 쉬워보일 수 있으나, 사실상 이러한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가 반드시 렌티큘러 디스플레이보다 제조하기 쉬운 것은 아니다.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와 렌티큘러 디스플레이 모두는 하부 전자 디스플레이에 관한 정렬 및 치수 공차에 관하여 과제를 갖는다.
패럴랙스 문제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특히 영상 선택을 위한 렌즈 시트를 이용하는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는 패럴랙스 값이 높은 영상의 선예도에 관하여, 특히 대상이 스크린 평면에 나타나거나, 스크린 평면 내로 매우 깊이 들어가는 영상에 관하여 결점을 갖는 경향이 있다. 즉, 패럴랙스 버짓이 제한된다. 그러한 디스플레이는 또한 다수의 비주요 조망 구역과 이러한 비주요 조망 구역의 선예도 양자에 대해 문제점을 갖는다.
렌티큘러 디스플레이는 각각의 수직 연장 렌티큘 뒤에서 그것들과 연관되고, 영상 정보 컬럼은 원근뷰 스트라이프로 세분된다. 자동 입체 영상을 조망할 때, 영상 선택은 스크린 평면에서 일어난다. 렌티큘러 스크린의 기능과 이 렌티큘러 스크린의 광학적 특성은 Okoshi가 저술한 간행물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사진용 광학계의 수차 보정을 논의하는 한가지 간행물은 1974년, Focal Press, London, 제 15판, Arthur Cox저, 사진용 광학계이다.
광로도(光路圖)를 보여주는 첨부 도면은 도 1a, 도 1b 및 도 1c에서 광학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것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a 및 도 1b의 경우, 원통형 렌티큘이 채용되어, 단면이 렌티큘 경계의 교차부에 대해 수직인 것으로 가정된다. 도 1a의 경우, 단면은 렌티큘을 관통하는 수평면이다. 도 1b의 경우, 단면은 위넥 선단각을 형성하도록 소정 각도로 렌티큘을 관통하는 평면이기 때문에, 렌티큘을 관통하는 평면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티큘 교차부의 경계에 대해 수직이다. 도 1c의 경우, 단면은 임의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지점(109)에서의 플라이 아이 렌즈는 원통형이라기 보다는 구형 섹션이기 때문이다.
도 2에는, 렌즈 시트(201)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각각의 렌티큘(202)이 제시되어 있다. 피치(P)(203)는 렌티큘의 폭을 나타낸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스크린,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평판 디스플레이일 수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면(204)이 도시되어 있다. 렌티큘(205)의 곡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광선(206A, 206B)이 개별 렌티큘(202)에 의해 반사된 후 디스플레이 스크린(204)으로부터 방출된다. 화살표는 뷰어의 눈을 향하는데, 그 이유는 디스플레이면이 디스플레이 타입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명되는 픽셀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광선(207A, 207B)은 평행하지만, 이들 광선은 경계 에지보다는 렌즈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나오고, 이중 화살표는 광선을 나타낸다. 지점(208)은 최외측 광선 또는 경계 광선이 교차하거나 뚜렷한 초점에 있는 부위이며, 지점(209)은 중앙 광선(207A, 207B)이 교차, 즉 디스플레이 평면 뒤에서 교차하는 부위이다. 경계 광선 또는 최외측 광선이 교차하는 것을 나타내는 지점(208)은 디스플레이면 평면 앞에 있다.
도면은 광선이 단일 파장인 것으로, 즉 광선이 단파장에 대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면에는 구형 수차를 갖는 비이상적 렌즈(non-ideal lens)가 예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복수 개의 통상적인 수차를 설명하겠다. 이러한 수차는 렌즈를 스톱다운(stop down)시키는 것에 의해 또는 개구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본 구성은 수차 보정을 향상시키도록 개구수(numerical aperture)(그리고 이에 따라 이용 가능한 렌즈의 표면적)를 저감한다. 본 구성은 또한 필드의 깊이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영상을 조망하는 데 필요한 복수의 원근뷰는 컬럼(P) 내에 포함된다. 통상의 디스플레이스를 보면, 굴절 렌즈 시트가 없으며, 각각의 눈을 개별 영상 포인트를 바라보도록 포커싱하여 입체 영상 효과를 생성한다. 그러나, 통상의 디스플레이의 경우, 눈이 수렴하고 포커싱하는 디스플레이 상의 단일 영상 지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의 선택 디바이스- 렌즈 시트 -로 인해, 피치(P)(203) 내에 포함되는 원근뷰가 상이한 지점으로 굴절되어 눈에 보이고, 이러한 개별 원근의 조합이 입체 영상을 형성한다.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는 렌즈 시트의 경우, 그러한 렌즈 시트는 단일 요소 장치이다. 양호한 보정(즉, 수차에 있어서의 현저한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서, 렌즈 장치는 복잡한 렌즈 요소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요소는 광의 분산 특성을 상쇄하고 영상을 상당량 보정하기 위해서 상이한 분산도와 상 이한 굴절률을 갖는다.
간단한 렌즈 시트는 아마도 고품질의 보정과 수차 보정을 제공할 수 없는 광학 장치에 해당한다. 수차 보정은 공간에서 대상의 작고 선명한 단일 영상 지점을 생성하는 렌즈의 능력에서부터 출발할 것이다. 양호한 전체 광학 구성은 선명하고, 디스플레이면에서 나오는 가능한 한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를 갖는 영상을 생성해야 한다. 따라서, 어떠한 점에서는 이러한 구성의 광학계는 카메라보다는 프로젝터 광학계와 훨씬 더 유사하다. 관심의 대상이 대는 객체, 즉 측정치는 "초점심도(depth of focus)"라고 명명된다. 초점심도는 도 2의 경우에 디스플레이면(204)에 대해 선명하게 해상될 수 있는 허용 가능한 초점 범위이다.
렌즈 시트(201)의 경우에 디스플레이에서 방출되는 평행 광선, 즉 광선(206A, 206B)은 지점(209)에 뚜렷한 초점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라. 렌티큘의 경계 에지가 아니라 중앙에서 방출되는 광선은 208에 있는 뚜렷한 초점에 도달한다. 따라서, "구형 수차"라고 설명한 이러한 조건은 완벽히 선명한 영상을 생성할 수 없다.
도 3을 볼 때, 렌즈 시트(301)가 개별 렌티큘(302)과 피치(P)(303)를 갖는다는 점에 주목하라. 디스플레이면은 면(304)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면만곡이 예시되어 있다. 역시, 대상 광은 단파장 광이다, 렌즈의 가장 경계에서 렌즈에 입사하는 축상 평행 광선은 광선 306A 306B로 표기한다. 광선(306A, 306B)은 지점(308)에 있는 뚜렷한 초점으로 들어온다. 광선(307A, 307B)은 렌즈의 동일한 지점에 입사되지만, 축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관찰되며, 이들 광선은 이중 화 살표로 나타내고(반면에, 306A306B는 단일 화살표로 나타냄), 뚜렷한 초점(309)으로 들어온다. 초점(309)은, 렌티큘러 시트의 경우에 곡률 반경이 고정된 원통면인 면(310) 상에 놓여 있다. 원통면 대신에 플라이 아이 렌즈를 채용하는 경우, 면(3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의 일부로 도시될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도면은 원통형 렌티큘이나 플라이 아이 렌즈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3의 경우, 상면만곡 수차는 영상면(304)에서의 유효 초점심도를 제한하는데, 그 이유는 지점(308, 309)이 상이한 거리에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당일 요소를 사용하여 치유하기 어려운 조건이다. 여기에서 주창되는, 아래에서 설명할 치유는 수치적으로 개구수가 보다 높고 이용 가능한 면적이 보다 적도록 렌티큘을 실제적으로 스톱다운하는 일종의 개구 보정이다.
도 4에서, 렌즈 시트(401)는 개별 렌티큘(402)과, 피치(P)(403), 그리고 디스플레이면(404)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렌티큘(405)의 곡률이 도시되어 있다. 뷰어의 관심사는 인접한 원근뷰를 보는 것이다. 렌티큘러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를 볼 때, 뷰의 연속, 즉 계속은 조망 구역 내에서 볼 수 있다. 소정 공간, 즉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어떠한 적당한 거리에서, 뷰어의 눈은 비교적 제한된 시야각에 걸쳐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다. 시야각은 몇도 정도로 협소할 수도 있고, 수십도 정도로 클 수도 있다. 뷰어가 측방향으로 이동하고 나면, 소위 "플립(flip)"이 발생하며, 지금까지 중앙 조망 구역과 연관된 광선은 인접한 조망 구역으로 이동한다.
개별 조망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individual viewing an autostereoscopic display)는 제1 조망 구역, 제2 조망 구역, 제3 조망 구역 등을 제공한다. 제1 조망 구역- 디스플레이가 적절히 세팅된 경우 -은 축으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소정의 특정 각도 범위이다. 뷰어는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티큘에 의해 굴절되는 컬럼을 본다. 이러한 컬럼은 이제 렌티큘 바로 아래나 축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제2, 제3 등의 컬럼(사실상, 다른 렌티큘 아래의 영상 컬럼임)이다. 제2, 제3 등의 컬럼의 영상은 선명하고 적절히 보정되어야 한다. 본 구성은 개구 보정을 이용하여 이러한 향상을 이루는 것을 해결한다.
래스터 배리어에 관하여, 이 래스터 배리어를 이용하는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는 영상이 보다 선명하고 영상 "팝(pop)"이 더 많은 경향이 있다. 이것은 수차 결함으로 인해 영상이 손상되는 일 없이, 영상이 확실히 스크린으로부터 더 멀리 방출될 수 있고, 실제적으로 스크린 내로 더 깊이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는 보다 선명한 제2, 제3 등의 조망 구역을 갖고, 사실상 보다 많은 보조 조망 구역을 가지며, 이것은 중요한 장점이다.
래스터 배리어와 렌티큘러 스크린은 선택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여, 주어진 하부 디스플레이에 대해 하나가 다른 하나를 대체할 수 있다.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는 좁은 개구, 즉 슬릿을 갖는다. 래스터 배리어는 얼룩말 줄무늬 격자 또는 론치 격자와 같이 보이며, 이들 디스플레이는 어떠한 장점을 갖는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복수 개의 원근뷰를 지닌 파노라마그램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 휘도가 매우 낮고, 또한 패턴 노이즈가 두드러진다. 래스터 배리어를 사용하여 영상을 보는 것은 사실상 격자를 통해 보는 것과 유사하다.
도 4에 관하여, 유사한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렌즈 시트(401)가 도시되어 있고, 개별 렌티클(402)이 제시되어 있으며, 폭(403)은 피치(P)에 의해 주어진 렌티큘의 폭이며, 디스플레이면(404)이 도시되어 있고, 곡률(405)은 개별 렌티큘의 곡률이다. 인접한 컬럼에 의해 영상이 형성되는 방법이 관심 대상이다. 광선(406A, 406B)이 보이고, 이 광선 역시 단지 단파장 광선인 것으로 가정하며, 단일 화살표로 표시되고, 지점(408)에 초점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렌즈가 완벽한 렌즈인 것으로 가정하여 수차를 고려하지 않는다. 관심의 대상은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이다. 제2 조망 구역을 볼 때, 광선(407A, 407B)는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 예시한다. 이들 광선은 이중 화살표로 나타낸다. 광선은 렌티큘(402)- 특정 광선에 관하여 제2 렌티큘임 -에 있는 409에서 교차한다. 이 경우에는 뚜렷한 초점이 유지되지 않는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 제3 조망 구역과 렌티큘에 관하여, 초점은 훨씬 더 악화될 것이다.
개구 보정 구성(Aperture Corrected Design)
본 구성에서는, 렌티큘의 상부에 소정 재료가 코팅된 다음에, 버핑에 의해 제거된다. 도 5에는 개별 렌티큘(502)을 지닌 렌즈 시트(501)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렌티큘 피치(P)(503)와 디스플레이면(504)이 도시되어 있다. 곡선(505)은 렌티큘의 곡면을 나타낸다. 불투과성 재료(506)가 곡면에 도포된다. 불투과성 재료는 INX 안료 또는 다른 왁스 재료를 포함-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음 -하는 왁스 재료 또는 다른 적절한 마스킹 재료일 수 있다.
그 후, 불투과성 재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핑된다. 도 6에는 렌즈 시트(501)로 도시한 것과 동일한 대응하는 렌즈 시트가 도시되어 있다 피치(P)(603)를 지닌 개별 렌티큘(602)이 도시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면(604)이 도시되어 있다. 곡률(605)은 렌즈 시트나 유일한 상면의 곡률이며, 재료(606)는 남아 있는 개구 재료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료(506)를 도포하고 나면, 채용되는 불투과성 재료의 타입에 따라, 소정 시간 경과후(매우 급속할 수도 있고 재료가 경화되는 데 시간이 걸릴 수도 있음)에 재료를 수동으로 버핑할 수도 있고, 연마포나 와이핑천으로 와이핑할 수도 있으며, 기계에 의해 러빙, 버핑 또는 연마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적절한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상면이 나타나, 렌즈 시트의 경우에는 감소된 원통 부분을 형성하거나, 플라이 아이 렌즈의 경우에는 감소된 원형 부분을 형성한다. 그 결과, 개구가 감소된다.
렌즈 개구는 렌즈 장치의 다양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개구는 간단한 렌즈 앞 또는 간단한 렌즈 뒤에 배치될 수도 있고, 아마도 가장 효과적으로는 복잡한 렌즈 장치에서 렌즈의 광심(optical center)에 또는 이 광심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개구 보정을 이용하여 이러한 타입의 레즈 시트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복수의 문제가 존재한다. 한가지 문제는 렌즈의 광심, 또는 렌즈의 반경이 렌즈 시트 내에 놓여 있기 때문에, 개구를 렌즈 시트에 배치하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개구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할 수는 있지만, 여러 다른 방식은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들거나, 및/또는 비실용적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개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픽셀과 해상도의 손실이 야기되고, 패턴 노이즈를 갖는 불량한 질의 영상이 형성된다.
개구를 배치하는 최상의 부위는 도 5 및 도 6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의 표면이다. 이 접근법은 자가 배치(self-locating)이다. 그러한 디스플레이에는 종종 수만개의 개별 렌티큘이 있기 때문에, 렌티큘과 밀접하게 병렬 배치될 수 있는 개구 시트를 제조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장점을 제공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할 것이다.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9에서 감소의 이점을 제시하였다. 도 7에는 디스플레이면(704)과 함께, 피치(P)(703)가 마련된 개별 레티큘(702)을 갖는 렌즈 시트(701)가 도시되어 있다. 렌즈의 상면(705)이 도시되어 있다, 개구 감소 재료(7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다른 광선이 개구를 터치하기 때문에 구면수차의 감소가 존재한다. 광선(706A, 706B)(단일 화살표)은 지점(708)에 뚜렷한 초점을 형성한다. 광선(707A, 707B)(이중 화살표로 나타냄)은 뚜렷한 초점(709)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광선은 보다 평행에 가깝고, 초점 스팟은 보다 타이트하고 작은 스팟이며, 초점이 개선된다.
도 8에는, 상면만곡에 있어서의 개선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개선의 이유는 개별 렌티큘(802), 주어진 피치(P)(803) 및 디스플레이면(804)을 지닌 렌즈 시트(801)가 이제 초점에서 보다 좁은 각을 갖기 때문이다. 이것은 지점(808)에 포커싱되는 평행 광선(806A, 806B)을 보는 것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축상 광선(806A, 806B)은 단일 화살표로 나타낸다. 이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광선(807A, 807B)은 곡선(810) 상의 초점(809)으로 들어온다. 이제 광선은 보다 평행에 가깝거나, 덜 가파른 각도로 초점을 형성한다. 따라서, 광선이 영상 형성면(804)을 가로지를 때 영상 지점이 보다 타이트하고 작기 때문에 상면만곡은 문제가 덜 된다.
도 9는 제2 조망 구역과 제3 조망 구역의 원리를 제시한다. 디스플레이면(904)과 함께 피치(P)(903)가 예시되어 있는, 개별 렌티큘(902)을 포함하는 렌즈 시트(901)가 도시되어 있다. 곡률(905)은 렌티큘의 곡률이며, 개구를 감소시키기 위해 불투과성 재료(910)가 도포되었다. 광선(906A, 906B)은 단일 화살표로 예시한, 개구 에지에서 벗어나 있는 축상 평행 광선이다. 광선(906A, 906B)은 초점(908)으로 들어온다. 광선(907A, 907B)은 굴절되어 렌티큘(902)에 영상 지점(909)을 형성하는 비축 광선이다. 광선(907A, 907B)은 이중 화살표로 나타낸다. 비주요 조망 구역을 보는 뷰어는 뚜렷한 영상을 보는데, 그 이유는 광선이 보다 평행에 가깝고 초점 스팟이 보다 타이트하고 작은 점이기 때문이다. 불투과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은 렌즈 요소의 피사계심도(또는 보다 적절하게는 초점심도)를 개선한다. 초점심도에 있어서의 이러한 개선은 비주요 조망 구역 조망과, 구면수차 및 상면만곡 양자의 보정 모두에 기여한다.
이 결과, 렌즈 시트는 품질, 즉 휘도가 크게 감소된다. 그러한 구성은 전형적으로 통상의 렌즈 시트보다는 휘도가 작지만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보다 휘도가 훨씬 높을 수 있다. 최신 평판 디스플레이는 매우 밝을 수 있기 때문에, 휘도가 소량 희생되더라도- 휘도의 절반 또는 휘도의 1/3- 여전히 상당히 밝은 디스플레이를 생산한다. 그러나, 이제 최종 결과는 "팝"이 훨씬 큰 영상이다. 어떠한 영상 손상 이전에 오프스크린 효과(Off-screen effect)는 현저히 개선되고, 보다 큰 패럴랙스 값이 유지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패럴랙스 버짓은 매우 확장되었다. 이점은 고도로 향상된 입체 영상 효과이다.
추가로, 제2 조망 구역과 제3 조망 구역은 매우 향상된 선예도를 갖는다, 그리고, 사실상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상 형성 광선보다 더 평행에 가깝기 때문에 보다 많은 조망 구역이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 시트 구성은 전체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방법은 통상의 렌즈 시트보다는 더 밝겠지만, 현재의 래스터 배리어 디스플레이 구성보다는 훨씬 밝을 수 있다. 오늘 날의 평판 모니터 디바이스는 매우 밝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관련된 휘도에 있어서의 감소는 여전히 상당히 밝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은 영상이 훨씬 더 큰 "팝"을 갖게 할 수도 있고 보다 만족스러운 전체 효과를 갖게 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어떠한 영상 손상이 일어나기 전에 오프스크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큰 패럴랙스 값이 실현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의 패럴랙스 버짓은 크게 확대될 수 있고, 딥 스테레오스코픽 이펙트(deep stereoscopic effect)로 알려진 것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조망 구역과 제3 조망 구역은 선예도가 개선된 영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거의 평행하게 되는 영상 형성 광선에 기인하는 추가의 비축 조망 구역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제시한 것은 결과적으로 영상의 질을 향상시키는 개구 감소를 이루는 당업계의 통상의 지술을 지닌 작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개구 감소는 복수 개의 개구의 정확한 위치를 요구하는 일 없이 달성되었는데, 그 이유는 개구 감소가 제조 공정의 관점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자가 배치되기 때문이다. 추가로, 제1 조망 구역, 제2 조망 구역, 제3 조망 구역 및 다른 조망에 대해서는 영상의 질이 매우 향상된다. 그리고, 이제는 사실상, 질이 향상된 사실상 보고 즐길 수 있는 추가의 조망 구역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전체 입체 영상 효과는 매우 확장되고 향상된다.
제시된 기술 및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은 한정적 의미로서 주어진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이론 및 장점들을 여전히 포함하면서 대체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들과 함께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한층 더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내의 잘 알려진 통상적인 실시의 범주 내에 있게 되는 본 명세서로부터의 이탈을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따르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사용 또는 개조에 효력이 미치도록 의도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 관한 상기 설명은 제3 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일반 사상을 벗어나는 것 없이 현존 지식을 적용하여 다양한 응용을 위해 본 시스템과 방법을 손쉽게 변형시키고 및/또는 개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본질을 충분히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개조 및 변형은 개시된 본 실시예들의 등가적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뿐이지 발명을 한정시키려는 목적은 없다.

Claims (24)

  1.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autostereoscopic image selection device)와,
    상기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에 도포되는 불투과성 오버코팅재
    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는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관련된 자가 배치 개구(self-locating aperture)를 제공하도록 함께 작용하는 것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는 렌티큘러 스크린(lenticular screen)인 것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는 플라이 아이 렌즈(fly eye lens)인 것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는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 상에 형성된 개별 요소에 도포되고, 이어서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로부터 과량의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개별 요소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것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는 왁스 재료로 형성되는 것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는 INX(Internationl Ink Company) 안료재인 것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는 자동 입체 영상 선택 디바이스 상에 형성된 개별 요소에 도포되고, 이어서 개별 요소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것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도포에 의해 감소된 이용 가능한 투과성 렌즈 표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개별 요소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렌즈 표면 영역이 개구 보정 입체 영상(aperture-corrected autostereoscopic image)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버핑(buff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10. 개선된 영상 선택 장치를 마련하는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렌티큘(lenticule)을 포함하는 영상 선택 디바이스에 불투과성 오 버코팅재를 도포하고,
    상기 영상 선택 디바이스로부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도포하는 것과,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렌티큘을 위한 개구수(numerical aperture)를 감소시키도록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함께 작용하는 것인 개선된 영상 선택 장치 마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 디바이스는 위넥 렌즈 시트(Winnek lens sheet)인 것인 개선된 영상 선택 장치 마련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 디바이스는 플라이 아이 렌즈인 것인 개선된 영상 선택 장치 마련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감소된 개구수는 영상 형성 광선이 제2, 제3, 및 추가의 비축 조망 구역(off-axis viewing zone)에 있어서 거의 평행한 방위로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인 개선된 영상 선택 장치 마련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개구 보정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렌즈 표면 영역을 구성하도록 불투과성 오버 코팅재의 일부를 버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개선된 영상 선택 장치 마련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렌티큘의 상면을 드러내도록 렌티큘러 스크린 상의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연마하는 동안 압력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개구 보정을 위한 감소된 원통 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개선된 영상 선택 장치 마련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과성 오버코팅재의 선택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렌티큘의 상면을 드러내도록 플라이 아이 렌즈 상의 불투과성 오버코팅재를 연마하는 동안 압력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 렌즈 요소 상의 거의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인 개선된 영상 선택 장치 마련 방법.
  17. 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렌티큘을 포함하는 영상 선택 디바이스를 마련하고,
    상기 영상 선택 디바이스에 오버코팅재를 도포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렌티큘로부터 오버코팅재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코팅재를 도포하는 것과, 오버코팅재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은 자동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영상 선택 디바이스에 대한 조망 구역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인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 디바이스를 마련하는 것, 오버코팅재를 도포하는 것, 및 오버코팅재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은 영상 선택 디바이스와 관련된 패럴랙스 버짓(parallax budget)을 증가시키는 것인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 디바이스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인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 디바이스는 플라이 아이 렌즈를 포함하는 것인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 디바이스를 마련하는 것과 오버코팅재를 도포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렌티큘에 대한 개구수를 감소시키고, 영상 형상 광선이 거의 평행한 방위로 배치되게 하는 것인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팅재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은 개구 보정 자동 입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렌티큘의 표면 영역을 구성하도록 오버 코팅재를 버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팅재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은 렌티큘 상면을 드러내도록 렌티큘러 스크린을 버핑하는 동안 압력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개구 보정을 위한 렌티큘의 감소된 원통 부분을 형성하는 것인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은 영상 선택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보는 뷰어(viewer)를 위한 조망 구역의 개수를 증가시고, 상기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은 디스플레이와 영상 선택 디바이스를 위한 선예도(sharpness)와 패럴랙스 버짓을 더 증대시키는 것인 자가 배치 개구 보정 디바이스 구성 방법.
KR1020097017796A 2007-02-01 2008-01-23 렌티큘러 스크린을 위한 개구 보정 KR200901151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01,995 US7808708B2 (en) 2007-02-01 2007-02-01 Aperture correction for lenticular screens
US11/701,995 2007-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167A true KR20090115167A (ko) 2009-11-04

Family

ID=3967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7796A KR20090115167A (ko) 2007-02-01 2008-01-23 렌티큘러 스크린을 위한 개구 보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808708B2 (ko)
EP (1) EP2115520A4 (ko)
JP (1) JP2010518425A (ko)
KR (1) KR20090115167A (ko)
WO (1) WO2008094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22968D0 (en) 2005-11-11 2005-12-21 Popovich Milan M Holographic illumination device
GB0718706D0 (en) 2007-09-25 2007-11-07 Creative Physic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ser speckle
US7508589B2 (en) 2007-02-01 2009-03-24 Real D Soft aperture correction for lenticular screens
US20100033813A1 (en) * 2008-08-05 2010-02-11 Rogoff Gerald L 3-D Display Requiring No Special Eyewear
USD666663S1 (en) 2008-10-20 2012-09-04 X6D Limited 3D glasses
USD603445S1 (en) 2009-03-13 2009-11-03 X6D Limited 3D glasses
USRE45394E1 (en) 2008-10-20 2015-03-03 X6D Limited 3D glasses
USD624952S1 (en) 2008-10-20 2010-10-05 X6D Ltd. 3D glasses
CA2684513A1 (en) 2008-11-17 2010-05-17 X6D Limited Improved performance 3d glasses
US8542326B2 (en) 2008-11-17 2013-09-24 X6D Limited 3D shutter glasses for use with LCD displays
USD646451S1 (en) 2009-03-30 2011-10-04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US9335604B2 (en) 2013-12-11 2016-05-10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US11726332B2 (en) 2009-04-27 2023-08-15 Digilens Inc. Diffractive projection apparatus
USD672804S1 (en) 2009-05-13 2012-12-18 X6D Limited 3D glasses
USD650956S1 (en) 2009-05-13 2011-12-20 X6D Limited Cart for 3D glasses
USD669522S1 (en) 2010-08-27 2012-10-23 X6D Limited 3D glasses
USD671590S1 (en) 2010-09-10 2012-11-27 X6D Limited 3D glasses
USD692941S1 (en) 2009-11-16 2013-11-05 X6D Limited 3D glasses
USD662965S1 (en) 2010-02-04 2012-07-03 X6D Limited 3D glasses
WO2012003233A1 (en) * 2010-06-30 2012-01-05 Thomas Zerega Display with anti-moire optical system and method
USD664183S1 (en) 2010-08-27 2012-07-24 X6D Limited 3D glasses
US9274349B2 (en) 2011-04-07 2016-03-01 Digilens Inc. Laser despeckler based on angular diversity
WO2016020630A2 (en) 2014-08-08 2016-02-11 Milan Momcilo Popovich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EP2748670B1 (en) 2011-08-24 2015-11-18 Rockwell Collins, Inc. Wearable data display
US10670876B2 (en) 2011-08-24 2020-06-02 Digilens Inc.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WO2013085513A1 (en) * 2011-12-07 2013-06-13 Intel Corporation Graphics rendering technique for auto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display
CN103176276B (zh) * 2011-12-20 2015-03-11 来百客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装置以及方法
US9223138B2 (en) 2011-12-23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ixel opacity for augmented reality
US20150010265A1 (en) 2012-01-06 2015-01-08 Milan, Momcilo POPOVICH Contact image sensor using switchable bragg gratings
US9726887B2 (en) 2012-02-15 2017-08-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color conversion
US9779643B2 (en) 2012-02-15 2017-10-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emitter configurations
US9297996B2 (en) 2012-02-15 2016-03-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aser illumination scanning
US9368546B2 (en) 2012-02-15 2016-06-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with embedded light sources
US9578318B2 (en) 2012-03-14 2017-02-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maging structure emitter calibration
US11068049B2 (en) 2012-03-23 2021-07-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ght guide display and field of view
US10191515B2 (en) 2012-03-28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light guide display
US9558590B2 (en) 2012-03-28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light guide display
US9717981B2 (en) 2012-04-05 2017-08-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ed reality and physical games
CN103562802B (zh) 2012-04-25 2016-08-17 罗克韦尔柯林斯公司 全息广角显示器
WO2013167864A1 (en) 2012-05-11 2013-11-14 Milan Momcilo Popovich Apparatus for eye tracking
US10502876B2 (en) 2012-05-22 2019-12-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veguide optics focus elements
CA2874812A1 (en) * 2012-06-01 2013-12-05 Koninklijke Philip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US8989535B2 (en) 2012-06-04 2015-03-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le waveguide imaging structure
TWI491923B (zh) * 2012-07-13 2015-07-11 E Lon Optronics Co Ltd 影像顯示片材
USD711959S1 (en) 2012-08-10 2014-08-26 X6D Limited Glasses for amblyopia treatment
US9733483B2 (en) * 2012-11-16 2017-08-15 Koninklijke Philip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9933684B2 (en) 2012-11-16 2018-04-03 Rockwell Collins, Inc. Transparent waveguide display providing upper and lower fields of view having a specific light output aperture configuration
US10192358B2 (en) 2012-12-20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stereoscopic augmented reality display
WO2014188149A1 (en) 2013-05-20 2014-11-27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eye tracker
WO2015015138A1 (en) 2013-07-31 2015-02-05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image sensing
US9304235B2 (en) 2014-07-30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icrofabrication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WO2016020632A1 (en) 2014-08-08 2016-02-11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for holographic mastering and replication
US10241330B2 (en) 2014-09-19 2019-03-26 Digile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put images for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s
WO2016046514A1 (en) 2014-09-26 2016-03-31 LOKOVIC, Kimberly, Sun Holographic waveguide opticaltracker
CN104297930B (zh) * 2014-10-09 2016-07-0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集成成像三维立体显示装置及显示系统
WO2016113533A2 (en) 2015-01-12 2016-07-21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light field displays
EP3245444B1 (en) 2015-01-12 2021-09-08 DigiLens Inc. Environmentally isolated waveguide display
WO2016116733A1 (en) 2015-01-20 2016-07-28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lidar
US9535253B2 (en) 2015-02-09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372347B1 (en) 2015-02-09 2016-06-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513480B2 (en) 2015-02-09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veguide
US10018844B2 (en) 2015-02-09 2018-07-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image display system
US10317677B2 (en) 2015-02-09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423360B1 (en) 2015-02-09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components
US11086216B2 (en) 2015-02-09 2021-08-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electronic components
US9429692B1 (en) 2015-02-09 2016-08-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components
US9827209B2 (en) 2015-02-09 2017-11-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632226B2 (en) 2015-02-12 2017-04-25 Digilens Inc. Waveguide grating device
US10459145B2 (en) 2015-03-16 2019-10-29 Digilens Inc. Waveguide device incorporating a light pipe
WO2016156776A1 (en) 2015-03-31 2016-10-06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image sensing
CN105116558A (zh) * 2015-09-10 2015-12-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3d显示装置
EP3359999A1 (en) 2015-10-05 2018-08-15 Popovich, Milan Momcilo Waveguide display
WO2017134412A1 (en) 2016-02-04 2017-08-10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optical tracker
EP3433659A1 (en) 2016-03-24 2019-01-30 DigiLe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larization selective holographic waveguide device
EP3433658B1 (en) 2016-04-11 2023-08-09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 apparatus for structured light projection
EP3548939A4 (en) 2016-12-02 2020-11-25 DigiLens Inc. UNIFORM OUTPUT LIGHTING WAVEGUIDE DEVICE
US10545346B2 (en) 2017-01-05 2020-01-28 Digilens Inc. Wearable heads up displays
US10942430B2 (en) 2017-10-16 2021-03-09 Digile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ying the image resolution of a pixelated display
CN115356905A (zh) 2018-01-08 2022-11-18 迪吉伦斯公司 波导单元格中全息光栅高吞吐量记录的系统和方法
WO2019136476A1 (en) 2018-01-08 2019-07-11 Digilens, Inc. Waveguide architectures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EP3765897B1 (en) 2018-03-16 2024-01-17 Digilens Inc. Holographic waveguides incorporating birefringence control and methods for their fabrication
US11402801B2 (en) 2018-07-25 2022-08-02 Digile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 multilayer optical structure
DE102019100066A1 (de) * 2019-01-03 2020-07-09 Psholix Ag Autostereoskopisches Display mit Integral-Imaging ähnlichen optischen Elementen
KR20210138609A (ko) 2019-02-15 2021-11-19 디지렌즈 인코포레이티드. 일체형 격자를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도파관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34763A (ko) 2019-03-12 2021-11-10 디지렌즈 인코포레이티드. 홀로그래픽 도파관 백라이트 및 관련된 제조 방법
CN114207492A (zh) 2019-06-07 2022-03-18 迪吉伦斯公司 带透射光栅和反射光栅的波导及其生产方法
KR20220038452A (ko) 2019-07-29 2022-03-28 디지렌즈 인코포레이티드. 픽셀화된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해상도와 시야를 증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54386A (ko) 2019-08-29 2022-05-02 디지렌즈 인코포레이티드. 진공 브래그 격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5452A (en) * 1975-12-19 1977-06-24 Hoya Glass Works Ltd Method of producing soft aperture filter
JP2526858B2 (ja) * 1985-06-24 1996-08-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遮光スクリ−ン
US4882262A (en) * 1987-09-28 1989-11-21 Honeywell Inc. Self-aligning aperture
US5396774A (en) * 1987-11-13 1995-03-14 Paul J. Hubbell, Jr. By-pass manifold valve for charging, repairing and/or testing refrigerant systems
US5121252A (en) * 1990-05-11 1992-06-09 Mitsubishi Rayon Co., Ltd. Projection scree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5359454A (en) 1992-08-18 1994-10-25 Applied Physics Research, L.P. Apparatus for providing autostereoscopic and dynamic images
JP2643755B2 (ja) * 1993-02-26 1997-08-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ディスプレイ
JPH06308633A (ja) * 1993-04-20 1994-11-04 Toppan Printing Co Ltd レンチキュラー板
US6115101A (en) 1995-05-04 2000-09-05 Kainen; Daniel B.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graphic images using a lenticular sheet
US5936774A (en) 1995-08-29 1999-08-10 Street; Graham S. B. Autostereoscopic display
US6046849A (en) 1996-09-12 2000-04-04 Sharp Kabushiki Kaisha Parallax barrier, display,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WO1999023513A1 (en) 1997-11-05 1999-05-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enticular sheet
JP2000075429A (ja) * 1998-08-26 2000-03-14 Toyama Kosuke 立体写真および広告用表示装置
KR100521731B1 (ko) * 2000-07-03 2005-10-1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투과형 스크린의 제조 방법 및 투과형 스크린
US6443579B1 (en) * 2001-05-02 2002-09-03 Kenneth Myers Field-of-view controlling arrangements
KR20040026693A (ko) * 2001-07-27 2004-03-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관찰자 추적 시스템을 구비한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디스플레이
JP4562060B2 (ja) * 2001-09-06 2010-10-13 大日本塗料株式会社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ブラックマスク形成方法
US7221512B2 (en) 2002-01-24 2007-05-22 Nanoventions, Inc. Light control material for displaying color information, and images
GB2387664B (en) * 2002-04-17 2005-08-24 Philip Anthony Surman Autostereoscopic display
JP2003310876A (ja) * 2002-04-19 2003-11-05 Santekkusu:Kk 遊技機
US20040056995A1 (en) * 2002-09-24 2004-03-25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ximizing LCD contrast
JP2004264587A (ja) * 2003-02-28 2004-09-24 Nec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レンチキュラレンズ
WO2004081650A2 (en) * 2003-03-12 2004-09-23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ar projection screen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04361750A (ja) * 2003-06-05 2004-12-24 Seiko Epson Corp 着色層の形成方法、マイクロレンズ基板、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リア型プロジェクタ
KR20050090895A (ko) 2004-03-10 2005-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시스템의 스크린
US8279272B2 (en) * 2005-04-08 2012-10-02 Reald Inc.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planar pass-through
DE102007021823A1 (de) * 2007-05-07 2008-11-13 Vistec Semiconductor Systems Gmbh Messsystem mit verbesserter Auflösung für Strukturen auf einem Substrat für die Halbleiter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Blenden bei einem Mes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18425A (ja) 2010-05-27
US20080186573A1 (en) 2008-08-07
US7808708B2 (en) 2010-10-05
EP2115520A4 (en) 2012-02-08
EP2115520A1 (en) 2009-11-11
WO2008094427A1 (en) 2008-08-07
US20090262419A1 (en)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5167A (ko) 렌티큘러 스크린을 위한 개구 보정
KR20100041698A (ko) 렌티큘러 스크린을 위한 연개구 보정
JP2010518425A5 (ko)
US7551353B2 (en) Glassless stereoscopic display
US9715117B2 (en) Auto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display
US9274345B2 (en) Multiple view display
CN1860403A (zh) 定向显示设备
JP2011154337A (ja) 立体映像結像装置
JP2005340957A (ja) 立体画像を表示する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を表示する表示方法
KR20130023029A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JP2009510538A (ja) 光を阻止する特徴を設けることによるレンチキュラーの設計の改善
US20080304013A1 (en) Projection Type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JP2006293106A (ja) 立体表示装置
US5146246A (en)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three-dimensional images
JP2007041218A (ja) 画像表示装置
KR101324060B1 (ko) 무안경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TW448312B (en) Microprism automatic stereoscopic display
CN203422528U (zh) 一种投影式裸眼立体显示系统
US20120002278A1 (en) Anti-Moire Optical System and Method
JP200325526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06330327A (ja) 投影型三次元画像表示装置
TWI710801B (zh) 頭戴式顯示器
CN219625863U (zh) 柱面匀光的正投影屏幕
JP2002328335A (ja) 三次元映像表示装置
KR100575625B1 (ko) 입체화상 표시용 배면 투사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