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134A -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 Google Patents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134A
KR20090115134A KR1020097016135A KR20097016135A KR20090115134A KR 20090115134 A KR20090115134 A KR 20090115134A KR 1020097016135 A KR1020097016135 A KR 1020097016135A KR 20097016135 A KR20097016135 A KR 20097016135A KR 20090115134 A KR20090115134 A KR 20090115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upling
bucket
engine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자일러
마리오 쿠울
루시아 힌코프스카
잔드라 셰퍼
Original Assignee
섀플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11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05Deactiv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4Tappets; Push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4Tappets; Push rods
    • F01L1/143Tappets; Push rods for use with overhead 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1)에 관한 것이며, 상기 버킷 태핏은 링형 베이스(2)를 포함하는 버킷 본체(3)를 구비하고, 버킷 본체는 베이스(2)의 외부 테두리(4)로부터 돌출된 스커트(5)를 통해 엔진 보어 내에서 안내 가능하고, 베이스(2)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 캠에 의해 구동 가능하며, 베이스(2)의 내부 테두리(6)로부터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가 돌출되고, 베이스의 보어(8) 내에는 버킷 본체(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내부 몸체(9)가 연장되고, 내부 몸체의 하부측(10)은 적어도 간접적인 가스 교환 밸브의 접촉을 위한 장치를 내부에 가지며, 내부 몸체(9)의 보어(11) 내에는 완전한 밸브 리프팅을 달성하기 위해 섹션별로 버킷 본체(3)의 종동면(13)과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이 연장되며, 버킷 본체(3)와 내부 몸체(9) 사이에는 로스트 모션 스프링(14)이 작용하며,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이 내부 몸체(9)의 보어(11) 내로 완전히 변위될 때 제로 밸브 리프팅이 달성되며, 이 경우 베이스 없는 내부 몸체(9)는 캠의 접촉 또는 지지 원의 접촉이 전혀 없이 존재하며,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은 자신의 반경 방향 외부 정면(15)으로부터 시작해서 피스톤의 상부측(16)에 편평부(17)를 지니며, 이 편평부를 통해 커플링 피스톤은 커플링 시 종동면(13)으로서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의 편평한 대응면(18) 이하로 변위될 수 있으며, 대응면(18)은 버킷 본체(3)의 베이스(2) 영역 하부에 축방향으로 위치하며, 베이스(2) 영역은 적어도 거의 대칭이면서 계속해서 얇게 나타나고, 내부 몸 체(9)는 버킷 본체(3)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이동 가능하다.
버킷 태핏, 링형 베이스,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 커플링 피스톤, 편평부

Description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SWITCHABLE BUCKET TAPPET}
본 발명은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에 관한 것이며, 상기 버킷 태핏은 링형 베이스를 포함하는 버킷 본체를 구비하고, 버킷 본체는 베이스의 외부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스커트를 통해 엔진 보어 내에서 안내 가능하고, 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 캠에 의해 구동 가능하며, 베이스의 내부 테두리로부터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가 돌출되고, 베이스의 보어 내에는 버킷 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내부 몸체가 연장되고, 내부 몸체의 하부측은 적어도 간접적인 가스 교환 밸브의 접촉을 위한 장치를 내부에 가지며, 내부 몸체의 보어 내에는 완전한 밸브 리프팅을 달성하기 위해 섹션별로 버킷 본체의 종동면과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이 연장되며, 버킷 본체와 내부 몸체 사이에는 로스트 모션 스프링이 작용한다.
상기 유형의 버킷 태핏은 일반적 유형으로서 고려되는 DE 44 92 633 C1호에 제시된다. 상기 공보에서 이 버킷 태핏은 커플링 메커니즘이 베이스 하부에 직접적으로 배치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으로서 형성된다. 공지된 태핏이 비교적 복잡하게 설계됨에 따라 제조 비용이 불필요하게 많이 드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링형 베이스 하부에서 안내 보어들이 커플링 피스톤에 적용 되기 때문에 베이스 영역의 외부는 비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베이스 영역의 내부가 불필요하게 강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성으로 형성됨으로써, 진동(oscillate)하는 밸브 구동 장치의 원하지 않는 질량 상승을 수반한다. 또한 커플링 피스톤에 의해 커플링 섹션 내에 비교적 큰 표면 압력이 발생될 수 있고, 비틀림 방지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용된 단점들을 해소하고, 특히 저렴하게 제조되고, 간소화된 커플링 메커니즘을 갖는 상술한 유형의 버킷 태핏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이 변위될 때 내부 몸체의 보어 내로 완전한 제로 밸브 리프팅이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되며, 베이스 없는 내부 몸체는 캠의 접촉 또는 지지 원의 접촉이 전혀 없이 존재하며,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은 상부측에 자신의 외부 정면으로부터 시작되는 편평부를 가지며, 커플링 시 커플링 피스톤은 상기 편평부를 거쳐 종동면으로서의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의 편평한 대응면 아래로 변위될 수 있으며, 대응면은 버킷 태핏의 베이스 영역 아래에서 축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 영역은 적어도 거의 대칭으로 계속해서 얇게 나타나고, 내부 몸체는 버킷 본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술한 단점들이 해소된다. 버킷 본체의 베이스측 안내 보어가 없이 적어도 가능한 한 대칭을 형성함으로써, 버킷 본체의 가공은 간소화되고 저렴해지며 질량은 감소한다. 또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이 차단 가능한 태핏으로서 제시되므로, 캠 영역에서는 하나 이상의 큰 리프팅 캠만이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단들은 낮은 리프팅 캠 또는 제로 리프팅 캠의 캠 시동을 위한 베이스가 내부 몸체에 제공되는 버킷 태핏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커플링 영역이 평평하고 바람직하게 직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커플링 피스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단들에 의해, 커플링 시 안전하게 커플링이 이루어지며, 커플링 영역에서 비교적 적은 표면 압력만이 고려된다. 커플링 영역으로서, 쉽게 말해 버킷 본체 베이스의 내부 테두리로부터 캠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는 내부 몸체를 적합한 방식으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술된 선행 기술과는 달리 버킷 본체에 대한 내부 몸체의 비틀림 방지부가 생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커플링 피스톤을 위한 링형 결합 영역).
내부 몸체가 실질적으로 중공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커플링 피스톤을 위한 상응하는 반경 방향 보어가 단지 하나의 링 웨브를 통해 제공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작은 리프팅 캠의 시동을 위한 베이스 영역이 내부 몸체에 제공되지 않으므로, 구조의 복잡성과 비용에 있어 추가의 장점이 있다. 내부 몸체는 예를 들어 압출 기술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내부 몸체가 강성으로 구성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 피스톤은 압축 스프링력을 통해 커플링 방향으로 변위되고, 압축 스프링은 커플링 피스톤의 각각 하나의 내부 정면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커플링 분리 방향으로의 변위가 유압 수단을 통해 추진되며, 이 유압 수단은 스커트 내의 적합한 통로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커플링 피스톤이 자신의 커플링 방향으로 유압식 변위되고, 커플링 분리 방향으로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커플링 유격 또는 록킹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단한 수단들은 추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따라서 링 웨브 상부에서 연장되는 내부 몸체의 실린더 섹션에 스냅 링들로 구성된 패킷을 적용하는 것이 제시되며, 예를 들어 상기 스냅 링들 중 하나는 공지된 방법 및 방식으로 조립 시에 가변적인 두께를 보유한다. 이 경우 상기 링 패킷의 하부측에는 버킷 본체 베이스의 내부 테두리 영역이 부딪힐 수 있다. 동시에, 상기와 같은 링 패킷이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인 이동 한계 및 이탈 방지부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2개의 스냅 링 대신에 핀, 볼(ball) 등과 같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다른 부재들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에서, 예를 들어 버킷 본체의 연장부 내에 링 그루브와 같이, 연장부 보어 내에 제공된 재료 리세스부가 적용되는 것이 제시되며, 이 경우 상기 재료 리세스부의 상부측은 바람직하게 2개의 커플링 피스톤을 위한 상보적인 대응면을 나타낸다. 상기 링 그루브는 예를 들어 금속 절삭 공정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압인 공정 등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안적으로 커플링 피스톤이 연장부의 하부 테두리 밑으로 변위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링 그루브는 불필요하다.
추가의 대안적인 예로서, 버킷 본체의 연장부 내에 연장부 보어에서 돌출되는 링형의 반경 방향 확장부를 제공하는 것이 제시되며, 상기 반경 방향 확장부는 예를 들어, 롤링 가공과 같은 가공 절차를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반경 방향 확장부의 상부측은 재차 커플링 피스톤을 위한 상보적인 대응면으로서 사용된다.
추가의 종속항들은 상술된 커플링 변형예들에서, 커플링 피스톤의 반경 방향 외부 정면 앞에 유압 수단을 공급하는 수단들과 관련된다.
이와 같이, 바람직하게 버킷 본체의 내부 공간에는 박판부 또는 플라스틱 부와 같은 얇은 부재가 위치해야 하며, 이 경우 상기 얇은 부재 내에는 상응하는 공급용 채널들이 몰딩될 수 있다. 이 채널들은 베이스 영역에서 둘레에 분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개별 채널로부터, 하나의 별도의 축방향 채널이 (하부를 향해) 커플링 피스톤의 외부 정면 앞의 링 챔버 내로 연장된다.
반경 방향 관통구에 의해 베이스 영역의 얇은 부재는 베이스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섹션별로 아치형 만곡되므로, 로스트 모션 스프링을 위한 "평형" 접촉부를 제공하기 위해 링 부품을 부재의 하부측과 스프링 사이에 적용하는 것이 제시된다.
내부 몸체 내의 커플링 피스톤을 위한 보어로부터 하나 이상의 배기구가 적어도 간접적으로 외부로 연장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구는 바람직하게 반경 방향 보어로서 형성된 보어를 거의 자신의 중심 영역에서 할선 형태로 교차할 수 있다. 공기가 상부와 하부로 통과하는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지만, 공기를 단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배출하는 실시예도 고려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출원에 따른 버킷 태핏을 완전히 기계적으로 작용하도록, 즉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hydraulic lash adjuster)없이 형성하는 것이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 제시되는 바와 같이, 링 웨브 하부에서 연장되는 내부 몸체의 실린더 섹션에서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를 공지된 설계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의 압력 피스톤은 하나 이상의 가스 교환 밸브와 연결된다.
유압 수단은 얇은 부재와 버킷 본체 사이에서 적합한 채널들을 통해 가스 교환 밸브에 재차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커플링 피스톤에 비틀림 방지부를 제공함으로써, 커플링 피스톤의 편평부가 연장부의 상보적인 대응면과 관련하여 항상 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편평부 상에 위치한 스냅 링, 반경 방향으로 결합되는 핀, 외부 재킷의 편평부 등의 매우 간단하고 저렴한 비틀림 방지 수단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도면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커플링을 위한 연장부 내에 재료 리세스부를 갖는,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배기구가 보이도록 도 1을 약 90° 회전시킨 단면도이다.
도 3은 연장부의 하부 테두리가 커플링을 위한 대응면으로서 사용되는, 도 1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종단면도이나, 연장부 내의 반경 방향 확장부를 대응면으로서 갖는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과 유사한 버킷 태핏의 종단면도이나,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와, 얇은 부재 내의 유압 수단을 공급하기 위한 채널들을 갖는 경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유압 수단을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에 공급하기 위한 대안적인 공급 수단을 갖는 버킷 태핏의 도면이다.
전체 도면들에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버킷 태핏은 여기서 캠 리프팅에 의해 완전히 차단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버킷 태핏(1)은 캠측에서 링형 베이스(2)에 의해 폐쇄되는 버킷 본체(3)로 구성된다. 베이스(2)의 외부 테두리(4)로부터 중공 실린더형 스커트(5)가 돌출된다. 이 스커트(5)의 외부 재킷을 통해 버킷 태핏(1)은 도시되지 않은 엔진 수용부 내에서 진동하며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캠 연장 방향으로, 실린더형으로 아치형 만곡되어 나타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는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큰 리프팅 캠에 의해 리프팅 방향으로 접촉된다.
베이스(2)의 내부 테두리(6)로부터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가 동심으로 돌출된다. 이 연장부는 내부 몸체(9)가 버킷 태핏(1)의 추가적인 중요 부품으로서 내부 연장되는 보어(8)를 갖는다. 내부 몸체(9)는 버킷 본체(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부측(10)을 통해 내부 몸체(9)는 적어도 간접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가스 교환 밸브에 리프팅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 5에 도시되고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몸체(9) 내로는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48)가 장착될 것이므로 내부 몸체(9)는 간극 조정 부재(48)의 압력 피스톤(49)을 통해 각각의 가스 교환 밸브에 작용한다.
따라서, 버킷 본체(3)의 연장부(7) 보어(8)가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을 위한 안내부로서 사용되고, 상기 내부 몸체(9)는 링 웨브(24)로 분할되어, 상부 및 하부 실린더 섹션(25, 47)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몸체(9)가 베이스 없이 형성되고, 캠 접촉부를 갖지 않는 것이 나타난다.
상술된 링 웨브(24) 내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11)가 연장된다. 상기 보어(11) 내에는 대향 배치된 2개의 커플링 피스톤(12)이 위치한다. 이 커플링 피스톤들은 내부 정면들(19)에 반대로 작용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프링(20)에 의해 커플링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도시되지 않은 정지링은 보어(11) 내 커플링 피스톤(12)을 규정된 분리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커플링 피스톤(12)은 상부측(16)에 자신의 외부 정면(15)으로부터 시작되는 편평부(17)를 각각 하나씩 지니며, 상부측(16) 상에는 비틀림 방지부(51)로서 얇은 링 부품이 위치한다.
전체 도면들에는 커플링 피스톤(12)의 분리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커플링 피스톤은 캠 기초원 통과 시, 완전한 캠 리프팅의 '전환'을 위해 버킷 본체(3)의 종동면(13)과 결합 가능하다. 종동면(13)으로서 편평한 대응면(18)이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에서 또는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 내에서 사용된다.
도 1과 도 2의 실시예에 따라 연장부(7)의 보어(8) 내에는 상보적인 대응면(18)을 상부측(29)에 갖는 재료 리세스부(28)가 제공된다. 수직 계단형으로 배 치된 복수의 재료 리세스부들의 경우, 부분 리프팅을 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연장부(7)의 하부 테두리(30)가 상보적인 대응면(18)으로서 형성된다. 커플링 피스톤(12)은 커플링 시 바람직하게 완전히 연장부(7) 하부에서 이동한다.
도 4에는 도 1과 도 2에서 기술된 해결책과 유사하지만 연장부(7) 내로 반경 방향 확장부(31)가 제공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롤링 가공, 압연 가공 등과 같은 가공 프로세스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피스톤(12)의 외부 정면(15) 앞에 유압 수단을 공급하기 위해, 버킷 본체(3)의 내부 공간(32)에는 박판부와 같은 얇은 부재(33)가 위치한다. 이 부재는 실질적으로 스커트(5)의 내부 윤곽, 베이스(2)의 내부 윤곽 그리고 연장부(7)의 외부 재킷(39)에 따른다. 스커트(5)의 하부 영역에는 통로(34)가 보어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보어 영역에서 부재(33)는 내부 몰딩된 하나 이상의 수직 채널(35)을 포함하며, 이 수직 채널은 베이스(2) 하부에서 부재(33) 내의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관통구(36)로 이어진다[바람직하게 복수의 반경 방향 관통구(36)들이 둘레에 분포된다.].
연장부(7)의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관통구(36)는, 마찬가지로 부재(33) 내로 몰딩된 축방향 채널(38)과 연결된다. 이 축방향 채널은 축방향 하부에서, 커플링 피스톤(12)의 정면(15) 앞의 링 챔버(21)로 안내된다. 또한 도 1과 도 2에는 연장부(7)의 외부 재킷(39)에서 부재(33)가 관통구(40)를 거쳐 링 챔 버(21) 앞에서 하부를 향해 뻗어있고, 이 관통구(40) 하부에서 연장부(7) 외부 재킷(39)에 밀봉식으로 접하는 것이 제시된다.
도 3에는 유압 수단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피스톤(12)에 공급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러나 여기서 부재(33)는 연장부(7)의 하부 테두리(30)를 거쳐 연장되고, 상기 부재(33)의 반경 방향으로 수축된 링형 영역(41)은 커플링 피스톤(12) 하부에서(커플링 시) 링 챔버(21)의 형성하에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에 접한다. 따라서 상술된 관통구(40)가 생략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라 축방향 채널(38)은 역시 연장부(7)와, 이 연장부 영역에 접하는 부재(33)의 섹션 사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연장부(7) 외부 재킷(39)의 부재(33)는 축방향으로 하부를 향해 반경 방향 확장부(31)를 거쳐 연장되고, 수축된 칼라(42)를 통해 반경 방향 확장부의 관통구(43) 하부에 밀봉식으로 접한다. 이에 따라 링 챔버(21)가 반경 방향 확장부(31)를 통해 형성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도 5에는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48)를 사용하는 경우, 스커트(5) 하부 영역의 도시되지 않은 추가 개구로부터 유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는 추가 채널(50)(도면 우측)이 부재(33) 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48)로 유압 수단을 공급하기 위한 채널(50)의 진행은 커플링 피스톤(12) 앞의, 유압 수단을 공급하기 위한 축방향 채널(38)과 이하의 반경 방향 관통구(36)를 구비한 채널(35)의 진행에 대략 상응한다. 이 경우 내부 몸체(9)의 하부 실린더 섹션(47)은 간극 조정 부재(48)를 위한 반경 방향 전환부(54)를 포함한다.
또한, 반경 방향 전환부(54)의 유압식 밀봉을 위해, 연장부(7)에서 연장된, 수축된 칼라를 구비한 부재(33) 하부 섹션이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에 캠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밀봉식으로 접하는 것이 나타난다.
도 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 조정 부재(48)가 내부 몸체(9)에 장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버킷 태핏(1)이 기술되며, 여기서는 유압 수단을 공급하기 위한 채널(52)이 링 웨브(24)를 거쳐 연장된다.
또한 링 부품(45)이 부재(33)의 베이스측 영역의 하부측(44)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로스트 모션 스프링(14)은 한쪽 끝은 상기 링 부품에 대향 작용하고 다른쪽 끝은 링 플레이트(53)에 지지되며, 이 링 플레이트는 연장부(7)의 하부 실린더 섹션(47) 하부 영역에 고정된다. 상술한 링 부품(45)은 로스트 모션 스프링(14)이 하부측(44)에 평평하게 접하도록 하는데, 이는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관통구(36)가 부재(33) 내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도면 부호 리스트>
1 : 버킷 태핏
2 : 베이스
3 : 버킷 본체
4 : 외부 테두리
5 : 스커트
6 : 내부 테두리
7 : 연장부
8 : 보어 연장부
9 : 내부 몸체
10: 하부측
11: 보어 내부 몸체
12: 커플링 피스톤
13: 종동면
14: 로스트 모션 스프링
15: 외부 정면
16: 상부측
17: 편평부
18: 대응면
19: 내부 정면
20: 스프링
21: 링 챔버
22: 상부 정면 내부 몸체
23: 하부 정면 내부 몸체
24: 링 웨브
25: 실린더 섹션
26: 높이 방향 정지 부재
27: 하부측
28: 재료 리세스부
29: 상부측 재료 리세스부
30: 하부 테두리
31: 반경 방향 확장부
32: 내부 공간
33: 부재(박판부)
34: 통로
35: 수직 채널
36: 반경 방향 관통구
37: 하부측
38: 축방향 채널
39: 외부 재킷 연장부
40: 관통구
41: 영역
42: 칼라
43: 관통구
44: 하부측
45: 링 부품
46: 배기구
47: 하부 실린더 섹션
48: 간극 조정 부재
49: 압력 피스톤
50: 채널
51: 비틀림 방지부
52: 채널
53: 링 플레이트
54: 반경 방향 전환부

Claims (18)

  1.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1)이며, 상기 버킷 태핏은 링형 베이스(2)를 포함하는 버킷 본체(3)를 구비하고, 버킷 본체는 베이스(2)의 외부 테두리(4)로부터 돌출된 스커트(5)를 통해 엔진 보어 내에서 안내 가능하고, 베이스(2)는 하나 이상의 리프팅 캠에 의해 구동 가능하며, 베이스(2)의 내부 테두리(6)로부터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가 돌출되고, 베이스의 보어(8) 내에는 버킷 본체(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내부 몸체(9)가 연장되고, 내부 몸체의 하부측(10)은 적어도 간접적인 가스 교환 밸브의 접촉을 위한 장치를 내부에 가지며, 내부 몸체(9)의 보어(11) 내에는 완전한 밸브 리프팅을 달성하기 위해 섹션별로 버킷 본체(3)의 종동면(13)과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이 연장되며, 버킷 본체(3)와 내부 몸체(9) 사이에는 로스트 모션 스프링(14)이 작용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이 내부 몸체(9)의 보어(11) 내로 완전히 변위될 때 제로 밸브 리프팅이 달성되며, 이 경우 베이스 없는 내부 몸체(9)는 캠의 접촉 또는 지지 원의 접촉이 전혀 없이 존재하며,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은 자신의 반경 방향 외부 정면(15)으로부터 시작해서 피스톤의 상부측(16)에 편평부(17)를 지니며, 이 편평부를 통해 커플링 피스톤은 커플링 시 종동면(13)으로서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의 편평한 대응면(18) 이하로 변위될 수 있으며, 대응면(18)은 버킷 본체(3)의 베이스(2) 영역 하부에 축방향으로 위치하며, 베이스(2) 영역은 적어도 거의 대칭이면서, 계속해서 얇게 나타나고, 내부 몸체(9)는 버킷 본체(3)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몸체(9)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또는 할선 형태로 연장되는 보어(11) 내에 서로 대향 배치되고, 자신의 반경 방향 내부 정면(19)에 가해지는 나사 압축 스프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프링(20)의 힘을 통해 커플링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2개의 커플링 피스톤(12)이 적용되며, 커플링 피스톤의 외부 정면(15) 앞의 링 챔버(21) 내로 안내될 수 있는 유압 수단과 같은 보조 수단을 통해 커플링 분리 방향으로의 변위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몸체(9)는 실질적으로 중공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몸체의 정면들(22, 23)로부터 이격되어 링 웨브(24)가 연장되는데, 링 웨브 내에 커플링 피스톤(12)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4. 제3항에 있어서, 링 웨브(24) 상부에서 연장되는 내부 몸체(9)의 실린더 섹션(25)이 커플링 상태에서 버킷 본체(3)의 베이스(2)로부터 약간 돌출되며, 돌출된 영역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높이 방향 정지 부재(26)가 적용되며, 높이 방향 정지 부재의 하부측(27)에는 커플링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버킷 본체(3) 베이스(2)의 내부 테두리(6) 영역이 부딪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5. 제4항에 있어서, 커플링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가변적인 두께를 보유하는 하나의 스냅 링이 높이 방향 정지 부재(26)로서 제공되거나, 2개의 스냅 링들이 높이 방향 정지 부재(26)로서 제공되는데, 이 스냅 링들 중 하나 이상은 커플링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가변적인 두께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6. 제1항에 있어서, 버킷 본체(3)의 연장부(7) 내에는 연장부의 보어(8) 내에 제공된, 링 그루브와 같은 재료 리세스부(28)가 제공되며, 재료 리세스부의 상부측(29)은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을 위한 상보적인 대응면(18)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도 1),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7. 제1항에 있어서, 버킷 본체(3)의 연장부(7) 하부 테두리(30)가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을 위한 상보적인 대응면(18)으로서, 커플링 시 커플링 피스톤(12)이 적어도 하부 테두리의 두께만큼 스쳐지나는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도 3),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8. 제1항에 있어서, 버킷 본체(3)의 연장부(7)에는 연장부 보어(8)에서 돌출되는, 롤링부와 같은 링형의 반경 방향 확장부(31)가 제공되며, 반경 방향 확장부의 상부측은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을 위한 상보적인 대응면(18)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도 4),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킷 본체(3)의 내부 공간(32)에는 박판부와 같이, 실질적으로 내부 공간의 내부 윤곽을 따르는 얇은 부재(33)가 위치하며, 스커트(5) 내의 하나 이상의 통로(34)로부터 통로(34)와 부재(33) 사이에는 유압 수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수직 채널(35)이 형성되고, 수직 채널은 베이스(2)의 하부측(37)과 부재(33) 사이의 작은 파이프 또는 세그먼트 형태인 하나 또는 복수의 반경 방향 관통구(36)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관통구(36)는 하나 이상의 축방향 채널(38)과 반경 방향 내부에서 연결되고, 축방향 채널은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의 외부 재킷(39)과 부재(33) 사이에서 베이스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의 반경 방향 외부 정면(15) 앞의 링 챔버(21)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10. 제6항을 인용하는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축방향 채널(38)은 자신의 하부 단부에서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 내의 관통구(40)와 연결되며, 관통구는 링 챔버(21)로 안내되고, 링 챔버(21)는 링 그루브와 같은 재료 리세스부(28)를 통해 나타나며, 부재(33)는 관통구(40)의 축방향 아래에서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의 외부 재킷(39)에 밀봉식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11. 제7항을 인용하는 제9항에 있어서,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의 외부 재킷(39)에서 부재(33)는 연장부의 하부 테두리(30)를 거쳐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부재의 반경 방향으로 수축된 영역(41)은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 하부에서(커플링 시) 내부 몸체(9)의 외부 재킷에 접하며, 축방향 채널(38)은 자신의 하부 단부에서, 부재(33)를 통해 반경 방향 외부를 향해 제한된 링 챔버(21)로 안내되고, 링 챔버(21)는 하부 테두리(30) 아래뿐만 아니라, 수축된 영역(41) 위에서 축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12. 제8항을 인용하는 제9항에 있어서, 중공 실린더형 연장부(7)의 외부 재킷(39)에서 부재(33)는 반경 방향 확장부(31)를 거쳐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 확장부의 하부 영역에서 수축된 칼라(42)를 통해 밀봉식으로 접하며, 링 챔버(21)는 반경 방향 확장부(31)를 통해 형성되고, 각각의 축방향 채널(38)은 자신의 하부 단부에서, 단부의 칼라(42) 상부에서 반경 방향 확장부(31) 내의 관통 구(4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13. 제9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베이스측 반경 방향 관통구(36)는 둘레에 분포되고, 반경 방향 관통구는 채널과 유사하면서 베이스에서 떨어진 방향을 향한 형상으로서 부재(33) 내에 각각 형성되며, 반경 방향 관통구(36)의 하부측(44)에는 링 부품(45)이 로스트 모션 스프링(14)에 대해 한쪽 단부에 접하는 접촉부로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1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커플링 피스톤(12)을 위한 내부 몸체(9)의 보어(11)로부터 보어(11)와 교차하는 배기구(46)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15. 제3항에 있어서, 링 웨브(24) 하부에서 연장되는 내부 몸체(9)의 실린더 섹션(47) 내에는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48)가 설치되며, 유압식 간극 조정 부재의 압력 피스톤(49)은 가스 교환 밸브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16. 제15항에 있어서, 버킷 본체(3)의 내부 공간(32)에는 박판부와 같이, 실질적으로 내부 공간의 내부 윤곽에 따르는 얇은 부재(33)가 위치하며, 스커트(5) 내의 하나 이상의 관통구로부터 부재(33) 내로 유압 수단을 간극 조정 부재(48)에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채널(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17. 제2항에 있어서, 커플링 피스톤(12)는 내부 몸체(9)의 보어(11) 내의 비틀림 방지부(51)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18. 제17항에 있어서, 비틀림 방지부(51)로서 얇은 링 부품이 사용되고, 버킷 태핏(1)의 축선에 대해 동심으로 연장되어 커플링 피스톤(12)의 편평부(17)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밸브 구동 장치를 위한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KR1020097016135A 2007-02-02 2008-01-30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KR20090115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05302A DE102007005302A1 (de) 2007-02-02 2007-02-02 Schaltbarer Tassenstößel
DE102007005302.0 2007-0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134A true KR20090115134A (ko) 2009-11-04

Family

ID=3927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135A KR20090115134A (ko) 2007-02-02 2008-01-30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01940B2 (ko)
KR (1) KR20090115134A (ko)
DE (1) DE102007005302A1 (ko)
WO (1) WO20080928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96B1 (ko) * 2009-12-04 201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태핏 및 이를 포함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8573A1 (de) * 2007-02-19 2008-08-21 Schaeffler Kg Schaltbarer Tassenstößel
KR101090798B1 (ko) * 2009-06-04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태핏
DE102009035143A1 (de) * 2009-07-29 2011-02-03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chaltbares Bauteil eines Ventiltriebs einer Brennkraftmaschine
CN101886561B (zh) * 2010-06-30 2012-05-23 芜湖杰锋汽车动力系统有限公司 一种发动机机械式熄缸挺柱
CN102477875B (zh) * 2010-11-30 2015-03-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内燃机的气门传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5522A1 (de) * 1984-07-11 1986-01-23 Mtu Motoren- Und Turbinen-Union Friedrichshafen Gmbh, 7990 Friedrichshafen Dieselmotor mit jedem zylinder zugeordneter einspritzpumpe
JP2563713B2 (ja) 1990-02-16 1996-12-18 グループ ロータス リミテッド 弁制御手段
DE4206166B4 (de) * 1991-03-14 2004-11-04 Volkswagen Ag Variabler Ventiltrieb für ein Hubventil einer Maschine
DE4314619A1 (de) 1993-05-04 1994-11-10 Schaeffler Waelzlager Kg Stößel
DE9306685U1 (ko) * 1993-05-04 1993-06-09 Ina Waelzlager Schaeffler Kg, 8522 Herzogenaurach, De
DE4433742A1 (de) 1993-09-22 1995-04-20 Aisin Seiki Ventilsteuerungsvorrichtung
DE4436952A1 (de) * 1994-10-15 1996-04-18 Schaeffler Waelzlager Kg Schaltbarer Stößel eines Ventiltriebs einer Brennkraftmaschine
JPH08189316A (ja) * 1994-12-28 1996-07-23 Aisin Seiki Co Ltd 可変バルブリフト装置
US5934232A (en) * 1998-06-12 1999-08-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gine valve lift mechanism
US7263956B2 (en) * 1999-07-01 2007-09-04 Delphi Technologies, Inc. Valve lifter assembly for selectively deactivating a cylinder
US6578535B2 (en) * 1999-07-01 2003-06-17 Delphi Technologies, Inc. Valve-deactivating lifter
DE10212327A1 (de) * 2001-09-11 2003-03-27 Porsche Ag Ventiltrieb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4672A1 (de) * 2002-02-06 2003-08-07 Ina Schaeffler Kg Schaltelement für einen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45301A1 (de) * 2002-09-27 2004-04-08 Ina-Schaeffler Kg Schaltelement für einen Ventil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96B1 (ko) * 2009-12-04 201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태핏 및 이를 포함한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4237A1 (en) 2009-12-24
WO2008092884A1 (de) 2008-08-07
DE102007005302A1 (de) 2008-08-07
US8001940B2 (en) 201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7958B2 (en) Switchable lever for a valve dri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90115134A (ko) 전환 가능한 버킷 태핏
US5431133A (en) Low mass two-step valve lifter
US7246587B2 (en) Deactivating element for a val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980211B2 (en) Cam follower for the variable actuation of a gas-exchange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146552B2 (en) Coupling device of a switchable cam follower of a val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30338B2 (en) Valvetrain system for an engine
CN112513430B (zh) 中心枢转闩锁停用摇臂
CA2470834A1 (en) Switch element for valve actua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082896B2 (en) Switchable support element for a valve trai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21212663A1 (zh) 一种横置柱塞式可变高度气门桥总成
US20110265750A1 (en) Switchable lever for a valve dri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577469A (en) Device for controlling a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99302B1 (ko) 밸브제어수단
US7415954B2 (en) Rocker shaft arrangement for an engine
EP1891304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ovement from a rocker arm to a valve in a combustion engine and a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such an apparatus
US8256394B2 (en) Switchable cup tappet
US8240285B2 (en) Switchable cup tappet
KR101465280B1 (ko) 스위칭 가능한 밸브 트레인 부품
CN101720382B (zh) 可控的杯形挺杆
JP2014129814A (ja) 揺動形アクチュエータ
US20150136053A1 (en) Roller lifter lubrication guide
JP2012076550A (ja) プランジャ型マスタシリンダ
KR101478860B1 (ko) 내연기관의 밸브 트레인을 위한 전환 가능한 태핏
KR20010113764A (ko)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밸브 및 상기 밸브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