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477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4774A
KR20090114774A KR1020080040589A KR20080040589A KR20090114774A KR 20090114774 A KR20090114774 A KR 20090114774A KR 1020080040589 A KR1020080040589 A KR 1020080040589A KR 20080040589 A KR20080040589 A KR 20080040589A KR 20090114774 A KR20090114774 A KR 20090114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washing machine
space
partition wall
singl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950B1 (ko
Inventor
조인호
김보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50B1/ko
Priority to EP20080020185 priority patent/EP2063014B1/en
Priority to US12/292,560 priority patent/US9127395B2/en
Priority to RU2008145934/21A priority patent/RU2402654C2/ru
Priority to AU2008249167A priority patent/AU2008249167B2/en
Priority to CN2008101779173A priority patent/CN101440561B/zh
Priority to BRPI0911755A priority patent/BRPI0911755A8/pt
Priority to PCT/KR2009/001811 priority patent/WO2009134018A2/en
Priority to CA2722531A priority patent/CA2722531C/en
Priority to TW098114212A priority patent/TWI484082B/zh
Priority to ARP090101520A priority patent/AR071604A1/es
Publication of KR2009011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제공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 및 드럼과 같이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들을 수용하는 제 1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캐비닛; 부가적인 기능을 위한 장치를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캐비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캐비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을 격리하는 단일의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 캐비닛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탁기의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보조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는 세탁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보조장치들은 상기 세탁기에 독립적인 장치로서 설계 및 제조된다. 따라서, 이러한 독립적인 보조장치를 세탁기에 설치하는 것은 많은 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가 설치된 세탁기는 좋은 외관을 갖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생산성과 향상된 외관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제공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 및 드럼과 같이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들을 수용하는 제 1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캐비닛; 부가적인 기능을 위한 장치를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캐비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캐비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을 격리하는 단일의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를 덮으며,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중 다른 하나의 상단부를 덮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둘 다와 직접적으로 마주하게 된다.
상기 단일 격벽은 소정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부속장치들이 장착되게 하는 플랫폼을 가지며, 소정깊이로 함몰되는 리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제 1 캐비닛에 장착되기 이전에 상기 제 2 캐비닛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일 격벽의 엣지부가 상기 제 2 캐비닛의 상단부의 가장자리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된 제 2 캐비닛과 단일격벽은 뒤집혀진 상태로 뒤집혀진 제 1 캐비닛의 바닥부에 결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된 제 2 캐비닛과 단일격벽은 상기 제 1 캐비닛의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들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상술된 본 발명에서 일체화된 제 1 및 제 2 캐비닛은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세탁기 제작에 요구되는 소재 및 공정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 제작시 생산성이 증가되며, 완성된 세탁기는 향상된 외관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도어가 세탁기의 전방부에 설치된 프론트 로딩 세탁기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설명될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특별한 변경없이 도어가 세탁기의 상단부에 설치된 탑 로딩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캐비닛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는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제 1 캐비닛(100)을 갖는다. 상기 제 1 캐비닛(10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들(side panel) 및 리어 패널(rear panel)를 갖는 몸체(1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10)은 그 내부에 제 1 공간(100a)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 1 공 간(100a)내에는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구성된 장치들이 수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공간(100a)내에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해 터브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터브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드럼의 회전을 위해 상기 터브 후방 또는 아래에 동력장치들이 설치된다.
상기 몸체(110)의 전방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20)이 장착되며, 도어(120a)가 상기 프론트 패널(120)에 설치된다. 상기 몸체(110)의 전방부의 상부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프레임(111)이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 (140)이 상기 패널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전방부의 하부에는 로어 프레임(112)이 장착되며, 펌프등과 같은 주변장치들이 이러한 로어 프레임(112)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패널(130)이 설치되며, 상기 탑 패널(130)에는 세제박스의 덮개(130a)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1)는 상기 제 1 캐비닛(10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캐비닛(200)을 갖는다.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그 내부에 소정의 제 2 공간(200a)을 형성하며, 부가기능을 위한 장치들이 상기 제 2 공간(200a)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부가적인 기능을 위해 소정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서랍(250)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250)의 원할한 인출을 위해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양 측벽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51)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공간(200a)은 악세서리(accessary), 즉 세탁기를 수리 하기 위한 공구, 매뉴얼이나 세제, 표백제등을 수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상기 악세서리들을 상기 제 2 공간(200a)에서 꺼낼 수 있다. 만일 상기 서랍(250)이 상기 제 2 공간(200a)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악세서리들은 상기 서랍(250)내에 수용되며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악세서리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 2 공간(200a)는 보조 세탁장치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세탁장치들은 작은 크기의 세탁물들, 예를 들어 손수건, 양말, 애기 옷들을 세탁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 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보조 터브 및 세탁물을 수용하는 보조 드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작은 세탁물들의 세탁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 세탁장치는 상기 제 1 캐비닛(100)내의 주 세탁장치들과 마찬가지로, 작은 세탁물들의 세탁 및 건조에 요구되는 모든 과정들, 즉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보조 터브 및 보조 드럼이 눕혀져서 이들의 입구가 세탁기의 전방부를 마주하는 경우, 상기 보조 드럼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보조 터브 및 드럼이 세워져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보조 터브 및 드럼은 상기 서랍(25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서랍(250)을 인출하면, 상기 세워진 보조 드럼의 입구가 노출되며, 이러한 노출된 입구를 통해 세탁물이 상기 보조 드럼내이 투입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상기 서랍(250)을 상기 제 2 캐비닛(200)내에 밀어 넣고, 작은 세탁물들을 위한 소정의 세탁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보조세탁장치는 상기 제 1 캐비닛(100)내의 주 세탁장치가 큰 세탁물을 세탁하는 동안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세탁물을 동시에 세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세탁장치는 세탁기의 세탁용량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세탁효율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 2 공간(200a)은 신발이나 세탁된 의류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별도로 부착된 장치에 의해 열풍이 상기 제 2 공간(200a)에 공급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신발이나 세탁된 의류들도 편리하게는 서랍(250)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된 열풍에 의해 신발이나 의류는 건조되며 리프레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상단 또는 하단(즉 바닥부)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어느 부위에도 제공될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캐비닛(200)이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을 소정높이로 들어올리는 받침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 캐비닛의 바닥부에는 상기 세탁기를 지지하기 위해 레그(2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장치를 수용한다. 만일 상기 제 2 캐비닛(200)이 독립적인 장치를 형성하는 경우, 이와 같은 제 2 캐비닛(200)을 제작하고 다시 상기 제 1 캐비닛(10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일체화된다. 따라서, 일체화된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는 세탁기가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세탁기에 요구되는 소재 및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이 서로 독립적인 장치들의 일부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은 각각 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그들을 갖게 된다. 만일 예를 들어,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부에 상기 제 1 캐비닛(100)을 적층하는 경우,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레그들은 불필요하며 적층된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이 서로 일체화되는 경우, 불필요한 레그에 의해 적층된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높이가 증가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컴팩트해진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00a,200a)은 서로 구별되는 기능을 하는 장치들을 수용하므로, 앞서 설명된 제 1 및 제 2 캐비닛의 구조적 통합에도 불구하고, 이들 공간들은 상기 장치들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서로 분리될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일체화에 의해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 및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는 서로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2개의 별도의 부재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에 각각 설치되면, 보다 분명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00a,200a)의 분리 및 보다 향상된 세탁기의 구조적 강도와 강성이 얻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예상되는 장점보다 더 큰 단점인 소재, 공정 및 세탁기 무게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단일의 격벽(300)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단일 격벽(300)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들이 간섭없이 의 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공간(100a)로부터 상기 제 2 공간(200a)를 격리시킨다. 또한, 구조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사이에 추가적인 격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를 덮으며 동시에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를 덮는다. 따라서,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00a,200a)와 직접 마주하게 된다. 즉,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단일 격벽(300)은 세탁기에 적절한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부여하면서도 동시에 상기 공간들(100a,200a)를 분리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소재 및 공정의 증가를 방지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에 의한 격벽(300)의 공유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실질적인 일체화가 달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들(100a,200a)의 분리, 적절한 구조적 강도 및 강성확보 이외에도 세탁기에 요구되는 부속장치들(accessory)의 장착을 위해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격벽(3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플랫폼(310)을 가지며, 이러한 플랫폼(310)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 형태의 엣지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플랫폼(310)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격벽(300)은 이의 단면계수를 증가시키는 많은 절곡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구조적 강도가 증가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플랫폼(3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브라켓 및 홀더(330,340)가 설치되며, 도시된 부재들(330,340)들 이외에도 다른 부재들이 추가 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브라켓(330)은 상기 터브를 상기 격벽(300)상에 장착시킨다. 정확하게는 상기 브라켓(330)은 상기 터브의 진동을 감쇄하는 댐퍼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홀더(340)는 다양한 부속장치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세탁기 내부의 전선, 터미널등이 이러한 홀더(3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300)에 고정되는 베이스(341)와 상기 베이스(341)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암들(342,343)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과 같은 부속장치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342,343)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베이스(341)상에 형성되는 안착부(341a)상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342,343)은 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를 가지며, 이들 후크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342,343)사이에 배치된 부속장치가 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으로, 상기 전선은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342,343)에 감길 수도 있으며, 터미널과 같이 소정부피를 갖는 부속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342,343), 정확하게는 이들의 후크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300)은 도 2a에 명확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랫폼(310)의 중앙에 형성되는 리세스(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1)는 일차적으로 상기 터브나 드럼으로부터 누수되는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예비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세스(311)내에는 상기 누출된 세탁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을 지지하는 레그를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300)의 각 코너에는 체결공(3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레그들이 이러한 체결공(3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 장착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격벽(300)은 제 2 캐비닛(200)없이 제 1 캐비닛(100)만을 갖는 통상적인 세탁기에도 적용가능하게 되며, 이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부품의 공용화를 가져온다.
한편,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서도 분리된 측벽 및/또는 후벽을 갖는 제 1 및 제 2 캐비닛들(100,200)을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캐비닛들(100,200)은 서로 일체화된 측벽 및/또는 후벽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들(100,200)은 단일의 측벽 및/또는 후벽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일 격벽(300)과 마찬가지로 단일의 측벽 및/또는 후벽의 공유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는 더욱 실질적으로 일체화되며, 조립공정 및 소재/부품의 감소도 함께 달성된다.
도 4a-4b는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의 각 조립단계별 어셈블리들의 사시도들이며, 각 조립단계별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어셈블리들을 보여준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에 상기 격벽(300)이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격벽(300)이 먼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에 올려진다. 이 후, 상기 격벽(300)의 엣지부(320)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의 가장자리가 체결부재(1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격벽(300)은 구조적인 관점에서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가 아닌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에 먼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캐비닛(100)은 상기 제 2 캐비닛(200)에 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훨씬 큰 부피를 갖는다. 만일 상기 격벽(300)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예비적인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와 같은 예비 어셈블리는 증가된 부피 및 무게로 인해 작업자가 다루기에 불편하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캐비닛(200)과 상기 격벽(300)이 예비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것이 작업자의 편의를 고려할 때 더 유리하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가 둘 다 뒤집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캐비닛(100)이 먼저 뒤집혀지고 난후, 뒤집힌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상에 마찬가지로 뒤집혀진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가 놓여진다. 통상적인 조립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를 뒤집지 않고, 상기 제 1 캐비닛(100)이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의 상단면에 조립을 위해 올려진다. 이러한 경우, 체결부재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A)를 따라 상기 제 1 캐비닛(100) 및 예비 어셈블리(200,300)를 결합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캐비닛(100)은 실질적으로 큰 높이(A)의 측벽을 가지므로,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부재를 체결하기에 불편하다. 반면,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은 상기 높이(A)보다 적은 높이(B)를 갖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하기에 용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1 캐비닛(100) 및 예비 어셈블리(200,300) 둘 다가 뒤집혀지는 것이 작업자가 이들을 서로 체결하는 데 있어서 편리하다.
상기 제 1 캐비닛(100) 및 예비 어셈블리(200,300)의 배치가 완료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예비 어셈블리(200,300)은 체결부재(10)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다. 실제적으로 도 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100a)에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0)는 방향(B)를 따라 상기 제 1 캐비닛(100) 및 예비 어셈블리(200,300)를 결합한다. 즉, 상기 체결부재(10)는 상기 제 2 캐비닛(200), 상기 격벽(300) 및 제 1 캐비닛(100)의 순서로 이들을 관통한다. 이후, 서로 결합된 제 1 캐비닛(100) 및 어셈블리(200,300)은 다시 뒤집혀지고 이러한 완성된 캐비닛 구조물에 다른 장치들이 장착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4a-4c에 따른 조립방법은 작업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캐비닛을 조립하게 하며, 이에 따라 세탁기 제조시의 생산성이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캐비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캐비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세탁기의 캐비닛의 격벽상에 장착되는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4a-4c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33)

  1.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제공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 및 드럼과 같이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들을 수용하는 제 1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캐비닛;
    부가적인 기능을 위한 장치를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캐비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캐비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을 격리하는 단일의 격벽으로 이루어지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은 상기 단일의 격벽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제 1 캐비닛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캐비닛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 둘 다와 직접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중 어느 하나의 바닥부를 덮으며,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중 다른 하나의 상단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비닛은 상기 제 1 캐비닛의 바닥부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제 1 캐비닛의 바닥부를 덮으며, 동시에 상기 제 2 캐비닛의 상단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은 소정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부속장치들이 장착되게 하는 플랫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은 소정깊이로 함몰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플랫폼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상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를 장착시키기 위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상에 설치되며, 세탁기의 부속장치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위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부속장치들을 붙잡는 제 1 및 제 2 암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부속장치들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은 상기 부속장치에 걸리는 후크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장치들은 전선, 터미널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제 1 캐비닛을 지지하는 레그를 이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레그가 결합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은 세탁에 필요한 액세서리들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은 보조 세탁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세탁장치는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를 포함하여 세탁 및 건조에 필요한 모든 과정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세탁장치는 작은 크기의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보조 터브 및 세탁물을 수용하는 보조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은 신발을 리프레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간은 신발을 수용하며 상기 신발은 제 2 공간내에서 열풍에 의해 리프레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비닛은 상기 제 1 캐비닛의 받침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세탁기.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비닛은 서랍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비닛은 세탁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 2 캐비닛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은 상기 제 1 캐비닛에 장착되기 이전에 상기 제 2 캐비닛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격벽의 엣지부가 상기 제 2 캐비닛의 상단부의 가장자리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제 2 캐비닛과 단일격벽은 뒤집혀진 상태로 뒤집혀진 제 1 캐비닛의 바닥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된 제 2 캐비닛과 단일격벽은 상기 제 1 캐비닛의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들에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비닛의 측벽 및 후벽은 상기 제 2 캐비닛의 측벽 및 후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80040589A 2007-11-21 2008-04-30 세탁기 KR101461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589A KR101461950B1 (ko) 2008-04-30 2008-04-30 세탁기
EP20080020185 EP2063014B1 (en) 2007-11-21 2008-11-19 Washing machine
RU2008145934/21A RU2402654C2 (ru) 2007-11-21 2008-11-20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US12/292,560 US9127395B2 (en) 2007-11-21 2008-11-20 Washing machine
AU2008249167A AU2008249167B2 (en) 2007-11-21 2008-11-21 Washing machine
CN2008101779173A CN101440561B (zh) 2007-11-21 2008-11-21 洗衣机
BRPI0911755A BRPI0911755A8 (pt) 2008-04-30 2009-04-08 máquina de lavar roupa
PCT/KR2009/001811 WO2009134018A2 (en) 2008-04-30 2009-04-08 Washing machine
CA2722531A CA2722531C (en) 2008-04-30 2009-04-08 Washing machine
TW098114212A TWI484082B (zh) 2008-04-30 2009-04-29 洗衣機
ARP090101520A AR071604A1 (es) 2008-04-30 2009-04-29 Lavarropas y su metodo de montaj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589A KR101461950B1 (ko) 2008-04-30 2008-04-30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774A true KR20090114774A (ko) 2009-11-04
KR101461950B1 KR101461950B1 (ko) 2014-11-14

Family

ID=4125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589A KR101461950B1 (ko) 2007-11-21 2008-04-30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1461950B1 (ko)
AR (1) AR071604A1 (ko)
BR (1) BRPI0911755A8 (ko)
CA (1) CA2722531C (ko)
TW (1) TWI484082B (ko)
WO (1) WO200913401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3788A (zh) * 2021-05-17 2021-10-22 江苏凡润电子有限公司 一种洗衣机组件生产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06076D0 (en) 2010-04-12 2010-05-26 Xeros Ltd Nove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015277D0 (en) 2010-09-14 2010-10-27 Xeros Ltd Novel cleaning method
GB201100627D0 (en) 2011-01-14 2011-03-02 Xeros Ltd Improved cleaning method
GB201100918D0 (en) 2011-01-19 2011-03-02 Xeros Ltd Improved drying method
EP2949801B1 (en) * 2011-05-02 2017-10-25 Whirlpool EMEA S.p.A Appliance for treating textile items and auxiliary washing device
ITTO20110382A1 (it) * 2011-05-02 2012-11-03 Indesit Co Spa Apparato per il trattamento di capi tessili e dispositivo ausiliario di lavaggio per un tale apparato
ITBS20110168A1 (it) 2011-12-01 2013-06-02 Sergio Zaglio Apparecchiatura per smacchiare, lavare, asciugare e stirare panni e indumenti
BE1020603A3 (nl) * 2012-04-03 2014-01-07 City Decor City Clean Bv Met Beperkte Aansprakelijkheid Inrichting voor het ondersteunen van huishoudtoestellen.
GB201212098D0 (en) 2012-07-06 2012-08-22 Xeros Ltd New cleaning material
EP2700743B1 (en) 2012-08-23 2020-07-29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KR102082700B1 (ko) * 2013-01-16 2020-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 세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KR20150025083A (ko) * 2013-08-28 201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GB201319782D0 (en) 2013-11-08 2013-12-25 Xeros Ltd Cleaning method and apparatus
GB201320784D0 (en) 2013-11-25 2014-01-08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JP6409241B2 (ja) * 2014-03-26 2018-10-24 アクア株式会社 靴洗浄ユニットおよび洗濯機
KR102255385B1 (ko) * 2014-05-30 2021-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60014974A (ko) * 2014-07-30 2016-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7558089A (zh) * 2016-06-30 2018-01-0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086B1 (ko) * 1999-12-30 2002-05-04 구자홍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KR100471456B1 (ko) * 2003-03-26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댐퍼 지지구조
KR200358180Y1 (ko) * 2004-04-29 2004-08-07 이복순 세탁수 재활용 드럼세탁기
ES2342471T3 (es) * 2004-06-14 201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porte para maquina lavadora de ropa y aparato secador de ropa.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3788A (zh) * 2021-05-17 2021-10-22 江苏凡润电子有限公司 一种洗衣机组件生产制造方法
CN113523788B (zh) * 2021-05-17 2023-08-29 江苏凡润电子有限公司 一种洗衣机组件生产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84082B (zh) 2015-05-11
TW201009157A (en) 2010-03-01
BRPI0911755A8 (pt) 2017-01-31
WO2009134018A3 (en) 2011-01-20
WO2009134018A2 (en) 2009-11-05
CA2722531A1 (en) 2009-11-05
BRPI0911755A2 (pt) 2015-10-06
KR101461950B1 (ko) 2014-11-14
AR071604A1 (es) 2010-06-30
CA2722531C (en)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950B1 (ko) 세탁기
EP2063013B1 (en) Washing machine
US8341981B2 (en) Washing machine
AU2008249167B2 (en) Washing machine
CN101440561B (zh) 洗衣机
KR100925735B1 (ko)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KR101342368B1 (ko) 세탁기용 키높이 수납장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20090057793A (ko) 의류 처리장치
KR20090114776A (ko) 세탁기
KR101435836B1 (ko) 세탁기
JP2014004348A (ja) 洗濯機上物干し装置
EP2065506A1 (en) Laundry machine
RU2402653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RU2402654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RU2396386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KR100784714B1 (ko) 세탁기 상부판 고정 장치
KR20080096300A (ko) 세탁물 처리 장치와 세탁물 처리 장치용 키높이 부재
KR10135649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20040085521A (ko) 세탁 장치의 받침대 마운팅 브라켓
KR20070002288A (ko) 복합 세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